크로아티아 문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로아티아 문학은 11세기부터 시작되어 중세, 르네상스, 바로크, 계몽주의, 낭만주의, 사실주의, 모더니즘을 거쳐 발전해 왔다. 초기에는 라틴어와 교회 슬라브어로 쓰였으며, 이후 크로아티아어 사용이 증가했다. 15세기에는 인쇄술의 발달로 책이 출판되었고, 르네상스 시대에는 이탈리아 문학의 영향을 받아 시와 희곡이 발전했다. 19세기에는 민족 부흥 운동과 함께 낭만주의와 사실주의가 나타났으며, 20세기 초에는 모더니즘이 등장하여 다양한 문학적 시도를 보여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의 문화 - 보스니아어 키릴 문자
보스니아어 키릴 문자는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보스니아에서 널리 쓰인 문자 체계로, 세르비아어 또는 마케도니아어 키릴 문자와 구별되는 글자 모양을 가지며 글라골 문자와 연관성이 깊고,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민족적 소속 논쟁에도 불구하고 보스니아 문화유산으로 여겨진다.
크로아티아 문학 | |
---|---|
문학 정보 | |
![]() | |
개요 | |
유형 | 문학 |
국가 | 크로아티아 |
역사 | |
기원 | 9세기 |
시대 | 중세 크로아티아 문학 르네상스 크로아티아 문학 바로크 크로아티아 문학 크로아티아 계몽주의 문학 크로아티아 낭만주의 문학 크로아티아 사실주의 문학 크로아티아 현대 문학 크로아티아 포스트모던 문학 |
특징 | |
언어 | 크로아티아어 |
문자 | 글라골 문자 키릴 문자 라틴 문자 |
추가 정보 | |
관련 문서 |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어 |
2. 역사
2. 1. 중세 문학 (11세기 ~ 16세기 중반)
크로아티아 중세 산문은 당시 유럽의 다른 중세 문학과 유사하며, 11세기와 12세기에 크로아티아 문해력의 가장 오래된 증거가 나타나며, 16세기 중반까지 지속되었다. 18세기 크로아티아 문학에서도 중세 형식의 일부 요소가 발견되는데, 이는 그 영향력이 유럽의 다른 지역보다 크로아티아에서 더 강했음을 의미한다. 초기 크로아티아 문학은 석판에 새겨졌고, 필사본으로 손으로 쓰여졌으며, 책으로 인쇄되었다. 크로아티아 중세 문학은 라틴어로 쓰여진 것이 특별한 부분이다. 성 두예, 성 아나스타시우스 등 달마티아와 이스트리아 순교자에 관한 텍스트를 포함한 라틴어 성인전으로 시작되었다. 파노니아 크로아티아 공국에서는 세스치아의 키리누스 성인, 성 에우세비우스와 성 폴리오와 같은 기독교 컬트에 관한 작품이 창작되었다.크로아티아 중세 산문은 크로아티아어와 교회 슬라브어로 작성되었으며, 글라골 문자, 라틴 문자 및 보스니아 키릴 문자를 사용했다. 이 중에는 두 가지 형태의 문자를 사용하는 문서, 특히 글라골 문자와 키릴 문자의 텍스트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상호 작용이 있었으며, 일부 라틴어는 글라골 문자의 형태에 의존했다. 크로아티아 중세 문학은 유럽 문학 내의 일반적인 경향을 반영하지만, 일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문학, 구전 문학의 강력한 배경 전통, 종교적 주제의 혼합 등의 특징이 있었다.

14세기부터 서구의 영향은 크로아티아 문학에서 강하게 유지되었다. 크로아티아 작가들은 대부분 익명으로, 그들이 글을 쓰는 지역 사회의 특정 요구에 맞게 작품을 각색했다. 교회 슬라브어 문어(특히 글라골 문자)를 보존한 것은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이다. 후기 시대에 그 언어의 요소는 표현적인 방식으로 사용되었고 "고상한 스타일"의 신호로 사용되었으며, 현재의 방언 단어를 통합하고 법률 및 신학, 연대기 및 과학 텍스트에서 문학 작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주제에 대한 지식을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의 전형적인 종교 시 스타일을 개발한 익명의 시인과 가수는 후기 작가와 자료에 의해 "자치냐브치"라고 불렸다.
모국어로 된 최초의 세속 시는 14세기 중반에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글라골 문자와 라틴 문자로 모두 쓰여졌으며, 그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스비트 세 콘차("세상이 끝나간다")이다.
크로아티아 중세 산문의 가장 오래된 유물은 글라골 문자로 새겨진 석판이다: 발룬 석판, 플로민 석판 및 11세기의 크르크 석판, 11세기 또는 12세기의 바슈카 석판이다. 바슈카 석판은 교회 슬라브어의 요소를 포함한 민족 언어에 대한 최초의 완전한 문서이며, 크로아티아어의 "출생 증명서"로 간주되며, ''크로아티아인''에 대한 최초의 언급이 담겨 있다.[1] 석판에는 크로아티아의 드미트리예 즈보니미르가 수도원장 ''드르지하'' 시대에 베네딕토 수도원에 토지를 기증한 기록이 있다.[1]

다른 초기 저술로는 12세기의 세니 석판, 플라스토보 석판, 크닌 석판 및 수페타르 석판, 11세기 또는 12세기의 후마크 석판이 있다. 빈 단편의 단편은 서부 크로아티아 어딘가에서 쓰여진 11/12세기의 글라골 필사본에서 발췌한 것으로, 교회 슬라브어의 크로아티아 판본의 최초의 전례적 저술을 나타낸다.[2] ''포발리스카 리스티나''는 키릴 문자로 쓰여진 가장 초기의 문서로, 12세기에 작성되었으며 브라치에서 기원하며, 표준 "고대" 차카비아 방언을 특징으로 한다.[3] 브르브니크 법령, 비노돌 법전 및 카스타프 법령과 같은 다른 법률 문서에는 행정 중심지로서의 해안 도시의 규정이 설명되어 있다.
손으로 쓴 문서에서 단편만 보존되어 있으며, 크로아티아 땅에 풍부한 문학 전통이 있었음을 증언한다. 이것들은 성경-전례 작품의 일부이다: 12세기에 만들어진 미하노비치의 사도와 그래슈코비치의 단편과 같은 사도의 단편; 11세기 또는 12세기의 키예프 문서의 첫 페이지와 12세기의 빈 문서와 같은 미사본의 단편, 그것들은 전례 내용의 가장 오래된 크로아티아 문서이다; 13세기에 작성된 런던 단편, 브르브니크 단편 및 로치키 단편과 같은 성무일과의 단편. 크로아티아인들은 12세기와 13세기까지 자신만의 글라골 문자 형태를 개발하고 차카비아의 영향을 받아 크로아티아어를 적용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크로아티아인들은 16세기까지 지속된 자체 버전의 교회 슬라브어를 형성했다. 동시에 성경은 라틴어 불가타의 모델에 따라 쓰여졌다. 그 시기부터 성인전 전설과 외경 산문의 가장 오래된 텍스트가 남아 있는데, 예를 들어 부다페스트 단편 (12세기, 성 시므온과 성 테클라에 관한 전설의 일부, 13세기, 바울과 테클라의 외경 작품의 일부)이 있다.
2. 2. 르네상스 문학 (15세기 ~ 16세기)
크로아티아에서 인쇄된 최초의 책은 로마 미사 경본 글라골리체(Misal po zakonu rimskoga dvorahr)이다. 1483년에 제작된 이 책은 유럽 최초로 라틴어가 아닌 언어로 인쇄된 미사 경본이자, 남슬라브 언어로 인쇄된 최초의 책이다.[4]15세기와 16세기에는 유럽의 새로운 시 형식이 흡수되었다. 이탈리아와 서유럽 문학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크로아티아 르네상스는 크로아티아 해안 지역에서 가장 완전하게 발전했다.
라구사 공화국(오늘날의 두브로브니크)에서는 연애시에서 방언 서정시가 번성했다. 초기 작품의 가장 중요한 기록 중 하나는 닉샤 란지나의 선집인데, 주로 시슈코 멘체티치와 조레 드리지치가 쓴 시 모음집이다. 이 선집에 실린 시는 주로 사랑을 주제로 하며, 이중 운율의 12음절 운율로 쓰여졌다.
스플리트의 달마티아 인문주의자 마르코 마루리치는 라틴어로 쓴 저작으로 당시 유럽에서 널리 알려졌지만, 그의 주요 유산은 크로아티아어로 쓴 작품으로 여겨진다.[5] 그중 가장 유명한 작품은 1501년에 쓰여 1521년 베니스에서 출판된 서사시 ''유디타''이다. 이 작품은 외경의 유딧기를 바탕으로, 차카비아 방언으로 쓰여졌으며, ''u versi haruacchi slozhena''("크로아티아어 연으로 구성")라고 묘사되었다. 고전적인 성경의 인물과 사건을 현대 문학에 맞게 각색했다.[6]
흐바르 섬 출신의 시인이자 노래 수집가인 페타르 헥토로비치의 시 ''어부들의 대화''는 알레고리적으로 묘사되지 않고 실제 여행으로 묘사되어 자연과 고향의 아름다움을 묘사한 최초의 크로아티아 문학 작품이다. 헥토로비치는 또한 어부들이 부르는 노래를 기록하여 텍스트 내에 필사된 민속 음악을 포함하는 크로아티아 문학의 가장 초창기 사례 중 하나가 되었다.[7] 이로 인해 ''리바니예''는 예술 문학과 민속 문학을 혼합한 작품이 되었다. 같은 시기 흐바르에서는 한니발 루치치가 오비드의 작품을 번역했고(iz latinske odiće svukavši u našu harvacku priobukalhr), 크로아티아 문학 최초의 세속극인 Robinjahr (''노예 소녀'')를 썼으며, 사랑시도 썼다.
크로아티아 문학은 산문과 희곡으로 확장되었으며, 딘코 즐라타리치, 마브로 베트라노비치, 마린 드리지치와 같은 작가들이 등장했다. 페타르 조라니치가 쓴 최초의 크로아티아 소설[8][9] 플라니네hr(''산'')는 1569년 베네치아에서 사후 출판되었으며, 작가를 "모험가"로 묘사하여 토착 소녀에 대한 그의 열정적인 사랑을 그렸다. 이 작품은 독특한 스타일로 당시 침략하는 투르크의 정치적 상황을 배경으로 주변 풍경을 묘사했다.
2. 3. 바로크 문학 (17세기 후반)
17세기 후반 크로아티아에서는 반종교개혁 시대였으며, 지배적인 바로크 문화가 등장했다. 문학은 화려함으로 특징지어졌으며, 내용보다 형식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 풍부한 비유를 사용하여 경건하고 고상한 주제를 다루었다. 두브로브니크, 슬라브, 카이카브, 오잘 등 지역 문학 서클이 발달했다.[10] 이 시기에 표준 크로아티아어의 부재가 중요한 문제로 떠올랐다.두브로브니크는 주요 문학 중심지가 되었으며,[11] 이반 군둘리치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북부 대륙 문학 서클의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으로는 프란 크르스토 프란코판의 서정시 모음집인 가르틀리치 자 차스 크라티티와 파바오 리터 비테조비치의 1684년에 처음 출판된 혁신적인 장르의 상호 텍스트 서정시인 오딜레니예 시게츠코가 있다. 카타리나 즈린스카는 1660년 베니스에서 기도서 푸트니 토바루슈를 출판했는데, 문학 역사가들은 이를 크로아티아 바로크 문학의 높은 문학적 성취로 칭찬한다.
카이카비안 서클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은 종교적 주제를 다룬 예수회 소속 유라이 하브델리치였다.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은 ''즈르칼로 마리안스코'' (마리아의 거울)이며, 카이카비안-라틴어 사전을 만들었다.
오잘 서클은 세 방언을 모두 아우르는 언어로 특징지어진다. 즉, 카이카비안 방언과 차카비안, 슈토카비안, 이카비안/에카비안 요소가 혼합된 것이다. 이 서클에서 가장 중요한 작가는 페타르 즈린스키, 아나 카타리나 즈린스카, 프란 크르스토 프란코판, 이반 벨로스테네츠이다.
이 시기에는 많은 과학 저서, 특히 어휘집이 제작되었다.[10]
- 이반 루치치는 라틴어로 크로아티아 최초의 과학적 역사서인 ''달마티아와 크로아티아 왕국에 관하여''를 썼다.
- 이반 벨로스테네츠, 오잘 서클의 바울 수도회 수도사이자 회원은 카이카비안-라틴어 사전인 ''가조필라치움''을 썼다.
- 야코프 미칼야는 크로아티아어-이탈리아어-라틴어 사전인 ''블라고 예지카'' ''슬로비스코가'' (축복받은 슬라브어)를 저술하고 슬라브어의 첫 정자법을 출판했다.
- 바르톨 카시치는 그의 가장 중요한 작품인 ''일리리아어 연구''로, 로마에서 라틴어로 출판된 최초의 크로아티아어 문법이다.
2. 4. 계몽주의 문학 (18세기)
18세기에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서 벗어난 달마티아와 슬라보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문학에 대한 새로운 태도가 나타났다. 서유럽에서 유포된 계몽주의 사상은, 특히 마리아 테레지아와 요제프 2세의 사회 개혁과 관련하여 크로아티아 문학에 영향을 주었다.[13] 이 시대의 예술적 범위는 르네상스나 바로크 시대만큼 크지 않았지만, 작품의 보급이 증가하고 달마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슬라보니아, 두브로브니크, 북서 크로아티아의 개별 지역 문학이 통합되어, 이는 19세기의 민족 및 정치 운동으로 이어졌다.[13]
파바오 리터 비테조비치는 역사학자이자 현대 ''범슬라브주의'' 이데올로기의 창시자로, 역사(''Stemmatographia'', ''Croatia Rediviva''), 서사시(''Odiljenje sigetsko'')를 출판하고 문자 체계를 개혁했으며 인쇄기를 만들고 연대기 및 달력을 썼다. 그의 많은 아이디어는 나중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통치에 항거하는 일리리아 운동(''크로아티아 민족 부흥''이라고도 알려짐)의 기초가 되었다.[13]
미할 실로보드 볼시치는 최초의 크로아티아 산술 교과서인 ''Arithmatika Horvatzka''(1758)를 출판한 로마 가톨릭 사제이자 수학자, 작가, 음악 이론가였다.[13]
슬라보니아 출신 안툰 카니질리치(Antun Kanižlić)는 시 ''Sveta Rožalija''의 저자로서, 두브로브니크 시인, 특히 이그냐트 주르제비차(Ignjat Đurdevića)의 작품을 처음 접한 북부 작가였다. 그는 달마티아에서 온 남부 문학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

필리프 그라보바치는 1747년의 ''Cvit razgovora naroda i jezika iliričkoga aliti rvackoga'' (일리리아어 또는 크로아티아어를 사용하는 농민들의 대화)에서 중세 크로아티아 문학을 보스니아 프란체스코회 수도원의 문학과 결합했다. 안드리야 카치치 미오시치의 1756년 시와 산문으로 된 ''Razgovor ugodni naroda slovinskoga'' (슬라브 민족의 즐거운 대화)는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널리 읽힌 책 중 하나였다. 이 작품은 마티야 안툰 렐코비치의 작품과 함께 크로아티아 민족 부흥 운동에서 크로아티아어의 어법을 정립했다. 렐코비치는 1762년 시 ''Satir iliti divji čovik''(사티로스 또는 야만인)에서 슬라보니아를 독일과 비교했다.
티투스 브레조바치키는 카이카비안 방언으로 ''마티야시 그라반치야시 디약'', «''디오게네스''» 등을 집필하여 이 시대의 가장 위대한 극작가로 평가받는다.
2. 5. 낭만주의와 민족 부흥 운동 (19세기 전반)
크로아티아 문학에서 낭만주의의 기본 요소는 민족 정체성을 향한 성장하는 운동이다. 그들의 지역 유산과의 연결 외에도 독일 낭만주의의 뒤늦은 영향과 합스부르크 군주국 내 다른 지역의 민족 의식이 있었다. 당시 거의 모든 크로아티아 시인들이 독일어로도 글을 썼기 때문에 크로아티아의 언어적, 문화적 해방은 독일 문화와 문학에 뿌리를 둔 중부 유럽 패턴을 따랐다.[14]일리리아 운동은 1835년 류데비트 가이가 이끄는 주로 젊은 지식인들의 작은 모임으로 시작되었으며, 잡지 ''다니차 일리스카''(일리리아 새벽별)를 중심으로 했다. 그들은 크로아티아의 문화, 과학, 교육 및 경제 발전을 계획했다. 그들의 활동의 중심에는 특히 풍부한 문학 유산을 기반으로 하는 단일 표준의 확립, 언어 개혁이 있었다. 가이가 1830년에 출판한 ''크라트카 오스노바 호르바츠코-슬라벤스코그 프라보피사냐''(''가이 라틴 문자''라고도 알려짐)라는 정서법 책은 언어에 대한 새로운 문법 표준을 설정했다. ''가이 라틴 문자''는 유고슬라비아 해체 전까지 세르보-크로아티아어를 쓰는 데 사용된 두 개의 공식 문자 중 하나였다.

이 시대의 시인으로는 이반 마주라니치, 스탄코 브라즈, 페타르 프레라도비치가 있다. 마주라니치의 서사시 ''스르트 스마일-아게 쳉기차''(스마일 아가 쳉기치의 죽음)(1846)는 크로아티아 낭만주의의 가장 성숙한 작품으로, 두브로브니크 문학 스타일과 민속 서사시 전통의 조합으로 여겨진다. 문학 잡지 ''콜로''(바퀴)는 1842년 드라구틴 라코바츠, 류데비트 부코티노비치, 스탄코 브라즈에 의해 창간되었다. 이 잡지는 높은 미적, 비평적 기준을 설정한 최초의 크로아티아 정기간행물이었다. 애국적, 사랑, 성찰적인 가사를 쓴 프레라도비치는 이 시대의 가장 다작하고 인기 있는 시인이 되었다.
디미트리예 데메테르는 1842년 애국 서사시 ''그로브니츠코 폴리에''(그로브니크 평원)의 저자로서 극장 관리자이자 작가로서 신 크로아티아 극장의 기초를 다졌다. 그의 가장 중요한 극 작품인 ''테우타''(1844)는 일리리아 역사를 바탕으로 한다. 당시 다른 작가로는 안툰 네므치치가 있는데, 그의 글은 로렌스 스턴의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여행하는 감상적인 여정에 큰 영향을 받았다.
마티야 마주라니치는 여행기 ''포글레드 우 보스누''(보스니아를 들여다보기)(1842)를 썼다. 이반 쿠쿨레비치 사크친스키는 정치인이자 과학자, 역사가였으며, 유란 이 소피야(1839)를 비롯한 최근 크로아티아 문학을 바탕으로 한 연극의 최초 작가였으며 여행기도 썼다. 류데비트 부코티노비치는 카이카비아 방언으로 글을 쓰기 시작했으며, 브라즈와 함께 문학 비평의 선구자 중 한 명이다.
많은 작가들은 이반 필리포비치의 작품 ''말리 토볼라크 라즈노가 츠베트야 자 도브루 이 프롬니주 믈라데시 나로다 스르보-일리르스코가''를 크로아티아의 최초의 아동 문학 작품으로 간주한다.[15]
기타 주목할 만한 문학적 기여는 외교관 안툰 미하노비치가 했으며, 특히 나중에 크로아티아 국가가 된 ''호르바츠카 도모비나''(우리의 아름다운 조국)가 있다.
2. 6. 사실주의와 근대 문학의 태동 (19세기 후반)
1848년 이후 크로아티아 문학은 낭만주의와 사실주의 사이의 전환기를 맞이했다.[16] 아우구스트 셰노아는 민족 낭만주의의 화려한 언어와 농민 생활의 현실적인 묘사를 결합한 작품을 통해 이 시기를 대표하는 작가로 평가받는다.[16] 그는 크로아티아 문학이 현실과 동떨어져서는 안 되며, 민족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야 한다고 믿었다.[16] 셰노아는 역사 소설을 도입하고, 문학 잡지 ''비에나츠''(Vienac)를 편집하며[16] ''즐라타로보 즐라토''(Zlatarovo zlato, 금세공인의 금, 1871)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여 19세기 크로아티아 문학의 중심 인물이 되었다.
요시프 유라이 스트로스마이에르 주교의 후원으로 1866년 유고슬라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가 설립되었고, 1874년에는 자그레브 대학교가 재건되었다.[17][18] 아돌포 베베르 트칼체비치는 문헌학자이자 작가, 문학 평론가, 심미주의자로서,[19] 일리리아 운동의 전통을 계승하고 크로아티아 문학에 사실주의 요소를 도입했다. 그는 표준 크로아티아어의 첫 번째 문법서인 ''스클라단야 일리스코그 예지카''(1859)를 저술했다.[19]
이 시기에는 미르코 보고비치,[20] 드라고일라 야르네비치, 마토 보도피치, 이반 페르코바츠, 루카 보티치, 프란요 마르코비치, 안테 스타르체비치,[21] 요시프 오이겐 토미치,[22] 리카르드 요르고바니치 등 다양한 작가들이 활동했다.
셰노아의 문학적 요구는 사실주의의 길을 열었다. 오이겐 쿠미치치는[23] 파리에서 사실주의를 접하고, ''올가 이 리나''(Olga i Lina, 1881)에서 낭만주의와 자연주의를 결합했다. 안테 코바치치는[24] ''우 레기스트라투리''(U registraturi, 등기소, 1888)에서 크로아티아 관료주의와 농민에 대한 자연주의적 묘사와 낭만주의적 요소를 결합하여 사회 풍자를 담아냈다.
크사베르 샨도르 걀스키는[25] 자고르예 상류층을 다룬 ''포드 스타리미 크로보비''(Pod starimi krovovi, 낡은 지붕 아래, 1886)를 통해 서정적 사실주의에 영향을 받은 작품을 선보였다. 벤체슬라브 노박은[26] 크로아티아 사실주의의 가장 다작 작가로, ''포슬리에드니 스티판치치''(Posljednji Stipančići, 마지막 스티판치치, 1899)에서 세니 귀족 가문의 몰락을 다루었다. 요시프 코자라츠는[27] 슬라보니아에 외국 자본이 침투하는 문제를 다룬 ''므르트비 카피탈리''(Mrtvi kapitali, 죽은 자본, 1890)와 ''테나''(Tena, 1894)를 발표했다. 얀코 레스코바르는[28] ''미사오 나 비에치노스트''(Misao na vječnost, 영원에 대한 생각, 1891) 등 심리 소설을 통해 크로아티아 문학의 모더니즘으로 이어지는 길을 열었다.

실비예 스트라히미르 크라니체비치는[26] 19세기 가장 중요한 시인으로, ''부가르키네''(Bugarkinje, 민요, 1885) 등에서 날카로운 풍자와 깊은 비애를 담아냈다. 요시프 드라제노비치의 ''크르티체 이즈 프리모르스코가 마로가드스코가 지보타''(Crtice iz primorskoga malogradskoga života, 해안 소도시 삶의 스케치, 1893)는 크로아티아 해안 사람들의 삶에 초점을 맞추었다. 안테 트레시치 파비치치는 고전 및 이탈리아 시 형식을 도입하여 모더니즘 시대의 문을 열었다.
2. 7. 모더니즘 문학 (20세기 초)
모더니즘 운동은 문학, 시각 예술, 그리고 문화와 국가 생활의 여러 측면에서 나타났다. 처음부터 비정치적이고 세계적이며 미학적인 흐름(''Mladost'', ''Hrvatski salon'', ''Život'')과 더 젊고 진보적이며 정치적인 흐름(''Nova nada'', ''Hrvatska misao'', ''Novo doba'', ''Narodna misao'', ''Glas'')의 두 가지 뚜렷한 흐름이 있었다. 안툰 구스타프 마토스와 딘코 시무노비치와 같은 몇몇 저명한 작가는 두 운동 모두에 참여하지 않았다. "오래된" 것과 "젊은" 것의 차이는 10년 이상 지속되었으며 유럽의 다른 지역의 유사한 운동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다른 영향에 대한 새로운 개방성이 있었고 프랑스어, 독일어, 러시아어, 이탈리아어, 폴란드어 및 체코 문학이 모두 그 흔적을 남겼다.문학과 예술의 창작의 자유를 위한 투쟁은 모던 이상주의자 밀리보이 데즈만(Ivanov)이 이끌었다.[29] 반면에 밀란 마르야노비치는 크로아티아 문학이 국민의 정치 투쟁의 원동력이 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당시의 비슷한 사상가로는 안테 코바치치, 실비예 스트라히미르 크란체비치와 블라디미르 나조르가 있었다. 소설가이자 극작가 밀루틴 치흘라르 네하예프(''Veliki grad'', 빅 시티, 1919)는 국내외 작가에 대한 일련의 에세이를 썼으며, 그의 ''Bijeg''(탈출, 1909)은 탈출을 통해 국가 문제를 해결하려는 소외되고 혼란스러운 비전을 가진 크로아티아 모더니스트 소설의 전형으로 간주된다.

모더니즘은 특히 시 분야에서 강세를 보였다. 밀란 베고비치의 ''Knjiga Boccadoro''(보카도로 책, 1900)에 자유롭게 표현된 에로티시즘, 황홀경, 삶의 규율에 대한 반항은 선언문 역할을 했으며 크로아티아 시의 기준으로 남아 있다. 베고비치의 시는 드라구틴 돔야니치의 시와 스타일이 비슷했지만, 돔야니치는 더 서정적이고 감상적인 경향이 있었다. 그는 그의 시 ''Kipci i popevke''(조상과 대중가요 1917)로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 이 시대의 또 다른 저명한 시인은 블라디미르 비드리치로, 그의 작품은 더 넓은 유럽의 상징주의 운동의 일부를 형성한다.
극장에서 이보 보이노비치는 ''Ekvinocij''(추분, 1895)과 같은 연극으로 대중을 사로잡았다. 그의 초기 작품은 세계적인 주제를 다루었지만, 두브로브니크는 그의 주요 영감으로 남아 있었고, 특히 ''Dubrovačka trilogija''(두브로브니크 삼부작, 1903)에서 그러했습니다. 그 주제는 기술과 영감은 완전히 모더니스트이지만 그 작품의 현실주의와 관련이 있다.


같은 시기에 블라디미르 나조르가 경력을 시작하여 현대 시대의 가장 다재다능하고 다작의 작가 중 한 명이 되었습니다(''Slavenske legende'', 슬라브 전설, 1900). 그의 글은 현실주의 전통을 기반으로 하지만 모더니스트적이다. 가장 뛰어난 서술 산문 중 일부는 딘코 시무노비치가 썼으며, 그의 소설은 달마티아의 농촌 내륙 지방의 삶을 묘사했다.
당시 매우 성공적인 극작가 두 명은 밀란 오그리조비치와 요시프 코소르였다. 오그리조비치는 (''Hasanaginica'')와 같은 작품에서 민요의 주제를 사용했으며, 열정적인 드라마("Vučina", 1921)도 썼으며, 코소르는 그의 드라마 ''Požar strasti''(열정의 불, 1912)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소설가 프란요 호르바트 키슈는 크로아티아의 ''자고르예''의 삶에 대해 썼고, 이반 코자라치는 슬라보니아에 대한 소설 ''Đuka Begović''(악마의 피, 1911)를 썼다. 현대 소설의 선구자는 시인(''Psovka'', ''Ištipana hartija'', 1907), 서술자, 혁신적인 소설가(''Isušena kaljuža'' 1957), 극작가, 에세이 작가 및 평론가인 얀코 폴리치 카모프였다. 그의 산문은 구조와 주제 모두에서 오늘날에도 본질적으로 현대적이다.
이 시대의 가장 완벽한 유럽 및 크로아티아 작가는 안툰 구스타프 마토스였으며, 그는 1892년에 첫 단편 소설 ''Moć savjesti''(양심의 힘)를 썼다. 그의 작품은 에세이, 평론, 소설, 시, 여행기를 포함하며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선집 '''''크로아티아 젊은 서정시(1914)'''''의 출판은 한 시대의 끝을 알렸습니다. 안툰 구스타프 마토스가 사망하고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해였습니다. 이 선집에는 이보 안드리치, 블라디미르 체리나, 빌코 가바리치, 카를 하슬러, 즈본코 밀코비치, 스제판 파르마체비치, 얀코 폴리치 카모프, 틴 우예비치, 밀란 브르바니치, 류보 비스너, 프란 갈로비치 등 12명의 작가가 참여했습니다. 이 작가들은 모두 안툰 구스타프 마토스와 블라디미르 비드리치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 중 많은 작가가 나중에 크로아티아 문학에서 유명해졌습니다.[30]
현대 소설과 희곡의 다작 작가인 프란 갈로비치는 고향 포드라비나 방언으로 쓴 시로도 유명했습니다(''Z mojih bregov'', 내 언덕에서, 1925년 출판). 블라디미르 체리나는 그의 시 ''Raspeće'', 십자가 처형, 1912로 가장 잘 알려졌습니다. 이바나 브르리치-마주라니치는 크로아티아 동화 작가로 성공을 거두었습니다(''Priče iz divine'', 요정 이야기, 1916), 이는 환상과 실제 캐릭터를 엮습니다. 저널리스트 마리야 유리치 자고르카는 큰 인기를 얻은 역사 소설을 썼습니다. A. G. 마토스는 이 기간에 비평적 리뷰 ''Naši ljudi i krajevi''(우리 국민과 지역, 1910)와 ''Pečalba''(수익, 1913)를 출판하고 연재물과 시를 썼습니다.

20세기 초의 정치적 사건과 통일된 남슬라브 국가(유고슬라비아)를 위한 운동은 당시 문학의 매력적인 주제였습니다. 이보 보이노비치는 비도브단 신화에 대해 썼고, 스르단 투치치는 ''Osloboditelje''(해방자, 1914)를 출판했습니다. 블라디미르 나조르는 크로아티아 역사를 주제로 한 여러 작품을 썼습니다. ''Veli Jože''(1908), ''Hrvatski kraljevi''(크로아티아 왕, 1912), ''Istarske priče''(이스트라 이야기, 1913), ''Medvjeda Brundu''(곰 브룬두, 1915). 밀란 오그리조비치의 연극 ''바노비치 스트라히냐''가 1912년에 상연되었습니다.
2. 7. 1. 제1차 세계 대전 전후 (1914-1945)
제1차 세계 대전 직전 시기는 새로운 아방가르드 운동으로 특징지어졌다. 얀코 폴리치 카모프[31]는 짧은 생애 동안 초기 선구자였으며, 그의 모더니즘 소설 ''이수세나 칼루자'' (The Drained Swamp, 1906–1909)는 현재 이 장르의 최초 주요 크로아티아 산문 작품으로 여겨진다. 새로운 세대의 미래주의 젊은 작가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여기서 단어의 표현적 사용은 형식적 구조보다 더 중요했다. 새로운 문학 스타일과 함께, 제1차 세계 대전 동안과 그 이후에도 시와 산문을 특징짓는 콘텐츠의 더욱 강력한 정치화가 나타났다.2. 7. 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wikitable저자 | 제목 | 출판사 | 출판 위치 | 출판 연도 | ISBN |
---|---|---|---|---|---|
Marilyn Cvitanic | 크로아티아 문화와 관습/Culture and Customs of Croatia영어 | ABC-CLIO | 샌타바버라 | 2011 | 9780313351174 |
[1]
논문
Najstariji hrvatski glagoljski natpisi
http://hrcak.srce.hr[...]
Old Church Slavonic Institute
1971-09-01
3. 주요 작가 및 작품
참조
[2]
웹사이트
Grapholinguistic description of Becki listici
https://bib.irb.hr/p[...]
2018-04-08
[3]
서적
Najstarija hrvatska cirilicom pisana listina
JAZU
1881-01-01
[4]
논문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Croatian Glagolitic printing (on the occasion of the 500th anniversary of the editio princeps of the 1483 Missal)
https://hrcak.srce.h[...]
2018-04-08
[5]
웹사이트
Center for study of Marko Marulić and his literary activity.
http://www.knjizevni[...]
2015-11-28
[6]
서적
Leksikon hrvatskih pisaca
Školska knjiga d.d.
2000-01-01
[7]
서적
Italy & Dalmatia: Architecture, Painting and the Decorative Arts, c 1400–1800
Frances Lincoln Ltd
2009-11-24
[8]
논문
PETSTO GODINA OD ROĐENJA PETRA ZORANIĆA, AUTORA PRVOGA HRVATSKOG ROMANA PLANINE
http://www.matica.hr[...]
2018-10-18
[9]
서적
Xenia Slavica: papers presented to Gojko Ružičić on the occasion of his seventy-fifth birthday, 2 February 1969
https://books.google[...]
Mouton
1975-01-01
[10]
문서
Hrvatska barokna književnost (Croatian baroque literature)
[11]
뉴스
Brutal answer from Serbia: Dear Croats, it's been scientifically proven
https://www.b92.net/[...]
2022-01-21
[12]
서적
A New Europe for the Old?
Transaction Publishers
1998-01-01
[13]
서적
National revival in Dalmatia
Central Europe
2006-01-01
[14]
서적
The Germans and the East
[15]
서적
Nakladnički nizovi Grigora Viteza za djecu i mladež
University of Zagreb
[16]
웹사이트
Šenoa, August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1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University of Zagreb
http://www.unizg.hr/[...]
University of Zagreb
2010-09-30
[18]
웹사이트
Akademija znanosti – put prema narodnom obrazovanju
http://hr.wikisource[...]
Wikisource
2010-09-30
[19]
웹사이트
Veber, Adolfo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20]
웹사이트
Bogović, Mirko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21]
웹사이트
Starčević, Ante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22]
웹사이트
Tomić, Josip Eugen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23]
웹사이트
Kumičić, Eugen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24]
웹사이트
Kovačić, Ante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25]
웹사이트
Gjalski, Ksaver Šandor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26]
웹사이트
Novak, Vjenceslav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27]
웹사이트
Kozarac, Josip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28]
웹사이트
Leskovar, Janko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29]
웹사이트
Dežman, Milivoj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5-12-31
[30]
웹사이트
Poetry Anthology Young Croatian Lyrics published
http://www.versopoli[...]
2015-12-31
[31]
웹사이트
Polić Kamov, Janko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32]
웹사이트
Popović, Vladimir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33]
웹사이트
Ivan Goran Kovačić:Jama
https://sites.google[...]
Project Goethe
2019-11-01
[34]
웹사이트
Ivo Andrić poems and other work
https://sites.google[...]
Project Goethe
2019-11-01
[35]
웹사이트
Dobriša Cesarić poems
https://sites.google[...]
Project Goethe
2019-11-01
[36]
웹사이트
Cihlar Nehajev, Milutin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37]
웹사이트
Majer, Vjekoslav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38]
웹사이트
Marjanović, Milan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39]
웹사이트
Tresić Pavičić, Ante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40]
웹사이트
Antun Branko Šimić poems
https://sites.google[...]
Project Goethe
2019-11-01
[41]
웹사이트
Nikola Šop articles and poems
https://web.archive.[...]
Project Goethe
2019-11-01
[42]
웹사이트
Dragutin Tadijanović poems
https://web.archive.[...]
Project Goethe
2019-11-01
[43]
웹사이트
Ujević, Tin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44]
웹사이트
Krleža, Miroslav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45]
웹사이트
Franičević, Marin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46]
웹사이트
Jeličić, Živko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47]
웹사이트
Šolc, Oto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48]
웹사이트
Dončević, Ivan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49]
웹사이트
Bonifačić, Antun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50]
웹사이트
Vučetić, Šime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51]
웹사이트
Ivanišević, Drago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52]
웹사이트
Franičević, Marin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53]
웹사이트
Franičević Pločar, Jure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54]
웹사이트
Božić, Mirko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55]
웹사이트
Budak, Pero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56]
웹사이트
Raos, Ivan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57]
웹사이트
Matković, Marijan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58]
웹사이트
Mihalić, Slavko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59]
웹사이트
Ivan Slamnig poems
https://sites.google[...]
Project Goethe
2019-11-01
[60]
웹사이트
Slaviček, Milivoj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61]
웹사이트
Balog, Zvonimir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62]
웹사이트
Stahuljak, Višnja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0-31
[63]
웹사이트
Stošić, Josip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1-03
[64]
웹사이트
Dragojević, Danijel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1-03
[65]
웹사이트
Dragojević, Ivan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1-03
[66]
웹사이트
Stamać, Ante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1-03
[67]
웹사이트
Fabrio, Nedjeljko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1-03
[68]
웹사이트
Raos, Mate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1-03
[69]
웹사이트
Slavica, Tomislav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1-03
[70]
웹사이트
Laušić, Jozo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1-03
[71]
웹사이트
Šepić, Nenad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1-03
[72]
웹사이트
Čuić, Stjepan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1-03
[73]
웹사이트
Barbieri, Veljko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9-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