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니아어 키릴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스니아어 키릴 문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중앙 달마티아 및 두브로브니크에서 사용된 키릴 문자의 한 형태로, 10세기 또는 11세기의 후마크 태블릿을 초기 사례로 꼽는다. 이 문자는 18세기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으며, 20세기에도 산발적으로 사용되었다. 보스니아 교회, 로마 가톨릭 교회, 보스니아 무슬림 귀족 등 다양한 지역과 계층에서 사용되었으며, 법적 문서, 묘비명, 종교 서적 등 다양한 종류의 텍스트에 사용되었다. 보스니아 키릴 문자의 민족적 소속과 관련하여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학계에서 논쟁이 있으며, 제3의 견해도 존재한다. 1861년 프란 쿠렐라츠에 의해 '보산치차'라는 이름으로 처음 불렸으며, 이후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문화 - 스테차크
스테차크는 헤르체고비나, 보스니아 등지에서 발견되는 독특한 중세 묘비 양식으로, 다양한 장식 모티프가 사용되었으며 블라흐인과의 연관성이 주목받고 있고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 보스니아어 - 아레비차
아레비차는 오스만 제국 시기에 페르시아 문자를 바탕으로 보스니아어에 맞게 변형된 알파벳으로, 보스니아어의 특정 음운을 표기하기 위해 새로운 문자가 추가되었고 모든 모음에 대한 완전한 문자를 도입하여 알파벳의 형태를 갖추었다. - 세르비아어 - 샤트로바치키
샤트로바치키는 세르비아의 언어 기법으로, 단어의 음절 순서를 바꾸거나 모음을 추가/변경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며, 언어유희로서 사회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하위 문화에서 정체성 형성 및 소통에 기여한다.
보스니아어 키릴 문자 | |
---|---|
개요 | |
이름 | 보스니아 키릴 문자 |
유형 | 알파벳 |
문자 체계 유형 | 키릴 문자 |
사용 기간 | 10세기–19세기 |
사용 언어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
창시자 | 알 수 없음 |
![]() | |
코드 | |
ISO 15924 | bsyc |
2. 역사와 문자꼴 형태
보스니아 키릴 문자의 정확한 등장 시기를 특정하기는 어렵지만, 고고학자들은 10세기 또는 11세기의 후마크 태블릿을 이 문자의 가장 초기 형태로 간주한다.[6] 이 문자는 11세기경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18세기까지 꾸준히 사용되었으며, 14세기부터 17세기에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18세기 말부터는 라틴 문자로 점차 대체되었고, 20세기에도 산발적으로 사용된 예가 있다.[14]
보스니아 키릴 문자는 키릴 문자의 한 형태이지만, 표준적인 교회 슬라브어 키릴 문자와는 구별되는 독자적인 특징을 지닌다. 특히 서법, 형태, 철자법 등에서 글라골 문자와 강한 연관성을 보이는 점이 특징적이다.[14] 문자의 구체적인 형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했으며, 사용 지역과 계층, 문자 자체의 세부적인 특징은 하위 문단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2. 1. 사용 지역 및 계층
보스니아 키릴 문자가 언제 처음 나타났는지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관련 문서는 11세기경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고고학자들은 10세기 또는 11세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후마크 태블릿을 가장 초기의 예로 간주하기도 한다.[6] 이 문자는 18세기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으며, 20세기에도 간헐적으로 쓰였다.[14] 특히 14세기부터 17세기까지가 사용의 황금기로 여겨진다.역사적으로 보스니아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은 특정 지역과 계층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 보스니아 교회 신자들은 13세기와 15세기에 작성된 문서에 포함된 성경 구절에 이 문자를 사용했다.[14]
- 중세 보스니아 국가의 귀족과 왕족들은 라구사 공화국 및 달마티아의 여러 도시와 주고받은 법적, 상업적 문서(헌장, 서신, 기증서 등)에 사용했다. 쿨린 반의 헌장(12세기)을 비롯하여 12세기에 시작되어 14세기와 15세기에 가장 활발하게 작성되었다.[14]
- 중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지역에서는 11세기부터 15세기 사이에 만들어진 묘비명에 이 문자가 새겨졌다.[14]
- 중부 달마티아에서는 폴지차 규약(1440)과 같은 법적 문서에 사용되었으며, 이 지역의 로마 가톨릭 교회 관련 서적에서는 19세기 말까지도 사용 흔적이 나타난다.[14]
- 두브로브니크에서는 15세기와 16세기에 로마 가톨릭 교회의 전례 서적(미사, 성무일도서, 독서집 등) 발행에 사용되었다. 특히 1512년에 인쇄된 성무일도서가 유명하다.[7][8][9]
- 보스니아 프란치스코 수도회와 관련된 보스니아 문학 작품들은 16세기부터 18세기 중반, 그리고 19세기 초까지 이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현존하는 보스니아 키릴 문자 자료 중 가장 풍부한 부분을 차지한다. 주요 작가로는 마티야 디브코비치, 스테판 마티예비치, 파바오 포실로비치 등이 있다.[14]
- 오스만 제국의 보스니아 정복 이후, 보스니아 무슬림 귀족층은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 주로 서신 등에 아레비카(수정된 아랍 문자)와 함께 보스니아 키릴 문자를 사용했다. 이 때문에 이 문자는 '베고비차'(베이의 문자)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일부 가문이나 개인은 20세기까지도 이 문자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 그 외 지역에서도 사용 흔적이 발견된다. 12세기의 "수페타르 단편"은 중앙 이스트리아의 수도원에서 발견되어, 이 문자가 이스트리아와 크바르너 만까지 퍼졌을 가능성을 보여준다.[14] 또한, 오미쉬의 로마 가톨릭 교구 신학교에서도 19세기에 이 문자를 사용했다.[14]
반면, 세르비아 정교회 성직자와 신자들은 주로 레사바 철자법의 표준 세르비아 키릴 문자를 사용했다.[14]
2. 2. 문자 특징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중부 달마티아, 두브로브니크 등지에서 주로 사용된 키릴 문자의 한 형태이다. 이 문자로 쓰인 가장 오래된 유물은 11세기경의 것으로 추정되며[6], 14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18세기 말부터는 라틴 문자의 사용이 늘면서 점차 쓰이지 않게 되었다.[14]정확히 언제부터 보스니아 키릴 문자의 독자적인 특징이 나타나기 시작했는지 특정하기는 어렵지만, 고고학자들은 10세기 또는 11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후마크 태블릿을 가장 초기의 형태로 보고 있다.[6] 이 문자는 18세기까지 꾸준히 사용되었으며, 20세기에도 간헐적으로 사용된 예가 있다.[14]
보스니아 키릴 문자는 표준적인 교회 슬라브어 키릴 문자와는 다른 특징을 보이는데, 특히 서법, 형태, 철자법 등에서 글라골 문자와 강한 연관성을 나타낸다.[14] 이는 동방 정교회와 관련된 표준 키릴 문자와는 다른 발전 경로를 거쳤음을 시사한다. 또한, 문자의 형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여, 예를 들어 13세기 달마티아 지역의 헌장과 17세기 보스니아 프란치스코회 문서는 서로 다른 서체 특징을 보인다.
역사적으로 보스니아 키릴 문자는 다양한 집단과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시기 | 주요 사용자/집단 | 주요 용도/문서 | 대표 문서/유물 및 비고 |
---|---|---|---|
11세기~15세기 | 보스니아 교회 신자 | 성경 구절 기록 | - |
12세기~15세기 | 중세 보스니아 귀족 및 왕족 | 법적, 상업 문서 (서신, 헌장 등) | 쿨린 반의 헌장, 라구사 공화국 및 달마티아 도시와의 교류 문서 |
11세기~15세기 | 불특정 다수 | 스테차크 (묘비명) | 중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지역의 대리석 묘비 |
15세기 이후 | 중앙 달마티아 주민 | 법적 문서, 교회 서적 | 폴지차 규약 (1440년) |
12세기 | 베네딕토회 수도사 추정 | 불명 (수도원 석재 파편) | 수페타르 단편 (이스트리아) |
19세기 | 오미쉬 가톨릭 신학교 | 신학교 내 사용 (arvatica|아르바티차hr) | arvacki šeminarij ("크로아티아 신학교") 관련 기록 |
15세기~16세기 | 두브로브니크 로마 가톨릭 교회 | 전례 서적 (미사, 성무일도서 등) | 1512년에 인쇄된 성무일도서[7][8][9] |
16세기~19세기 초 | 보스니아 프란치스코회 수도사 | 보스니아 문학 (반종교개혁 소책자, 교리문답, 역사 기록, 시 등) | 마티야 디브코비치, 스테판 마티예비치, 파바오 포실로비치 등의 작품 |
15세기~17세기 (이후 간헐적) | 보스니아 무슬림 귀족 (베이) | 서신 등 (Arebica|아레비카ar와 병용) | 베고비차 (begovica|베고비차bs, "베이의 문자")로 불림. 알자미아도 문자를 더 선호하기도 함. |
보스니아 키릴 문자를 둘러싼 논쟁은 1850년대에 처음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주요 쟁점은 이 문자의 "민족적 소속" 문제로, 19세기에 시작된 논쟁이 1990년대 중반에 다시 부각되었다.[10]
주요 사용자는 보스니아 교회와 로마 가톨릭 교회 신자들이었으며, 지리적으로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달마티아, 두브로브니크 지역에서 널리 쓰였다. 오스만 제국의 정복 이후에는 보스니아 무슬림 귀족층도 이 문자를 사용했는데('베고비차'라는 별칭 존재), 특히 서신 교환에 활용하였으나 아랍 문자를 변형한 '알자미아도' 문자를 더 선호하는 경향도 있었다. 한편, 세르비아 정교회 성직자와 신자들은 주로 표준 세르비아 키릴 문자를 사용했다.[14]
3. 논쟁
이 논쟁은 크게 다음과 같은 주장들을 중심으로 전개된다.3. 1. 세르비아 학계의 주장
세르비아 학자들은 보스니아 키릴 문자를 세르비아 키릴 문자의 한 변형으로 간주한다. 구체적으로는 중세 세르비아 왕국의 스테판 드라구틴 왕 궁정에서 고안된 소문자 또는 필기체(이탈릭체) 형태로 보며, 이를 근거로 보스니아 키릴 문자로 작성된 문헌들을 세르비아 문학의 일부로 포함시킨다.[10]
1956년 학술지 ''프릴로지 자 크니제브노스트, 예지크, 이스토리유 이 폴클로르''에서는 '보산치차'라는 용어 자체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선전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며, 실제로는 키릴 문자와 구별될 만한 독자적 특징이 없는 필기체의 한 종류일 뿐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11][12]
이러한 관점을 지지하는 주요 세르비아 학자들은 다음과 같다.
학자 |
---|
요르조 타디치 |
블라디미르 초로비치 |
페타르 콜렌디치 |
페타르 조르지치 |
베라 예르코비치 |
이레나 그리카트 |
파블레 이비치 |
알렉산다르 믈라데노비치 |
3. 2. 크로아티아 학계의 주장
크로아티아 언어학계 내에서는 보스니아 키릴 문자의 귀속 문제를 두고 의견이 나뉜다.첫 번째 그룹은 이 문자가 세르비아 키릴 문자의 변형이라는 세르비아 학계의 주장에 근본적으로 반대한다. 이들은 보스니아 키릴 문자로 작성된 가장 중요한 문서 대부분이 세르비아 왕실 궁정에서 문자가 변형되기 이전에 작성되었거나, 역사적으로 관련이 없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세르비아 기원설은 근거가 부족하며, 이 문자는 본질적으로 크로아티아 문화권에 속하므로 '보스니아 문자'가 아닌 '크로아티아 키릴 문자'로 불러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들은 보스니아 키릴 문자로 된 모든 문헌이 크로아티아 문학의 일부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본다.
두 번째 그룹의 크로아티아 언어학자들은 스테판 드라구틴 왕의 세르비아 궁정에서 나타난 문자 변형과 같이 일부 "세르비아와의 연관성"이 보스니아 키릴 문자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인정한다. 하지만 이는 여러 갈래 중 하나일 뿐이며, 문자의 변형과 발전은 그 이전과 이후에도 계속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크로아티아 영토에서 작성된 모든 텍스트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작성된 일부 텍스트만을 크로아티아 문학 정경에 포함해야 한다고 본다. 이 기준에 따르면 보스니아 기독교 관련 텍스트의 약 절반은 제외되지만, 프란체스코회 관련 모든 텍스트와 대부분의 법률 및 상업 문서는 포함된다. 이 학파는 일반적으로 '크로아티아 키릴 문자'라는 명칭 대신 '서부 키릴 문자' 또는 '보스니아 키릴 문자'라는 용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두 그룹 모두 크로아티아와 다른 유럽의 여러 역사적 자료에서 이 문자를 "크로아티아 문자" 또는 "크로아티아 필기체"라고 지칭한 사례가 있다는 점을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제시한다.
이 분야를 연구한 주요 크로아티아 학자로는 바트로슬라프 야기치, 마테 텐토르, 치로 트루헬카, 블라디미르 브라나, 야로슬라프 시다크, 헤르타 쿠나, 토미슬라브 라우카르, 에두아르트 헤르치고냐, 베네딕타 젤리치-부찬 등이 있다.
3. 3. 제3의 견해
세르비아나 크로아티아 학자들의 국가적 소속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제3의 견해도 존재한다. 야히치(Jahić), 할릴로비치(Halilović), 팔리치(Palić)와 같은 학자들은 보스니아 키릴 문자를 특정 민족에 귀속시키려는 크로아티아 또는 세르비아 언어학자들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는다.[13]이반 G. 일리예프(Ivan G. Iliev)는 그의 저서 A Short History of the Cyrillic Alphabet|키릴 문자의 짧은 역사eng에서 이 문자가 보스니아와 크로아티아 양쪽에서 사용된 독자적인 키릴 문자의 한 변형이라고 설명한다. 그는 이 문자가 보스니아어와 크로아티아어에서 '보산치차'(bosančica) 또는 '보사니카'(bosanica)로 불렸으며, 크로아티아인들은 이를 '아르바티차'(arvatica, '크로아티아 문자') 또는 '서부 키릴 문자'라고도 불렀다고 언급했다.[14]
4. 명칭
1861년 프란 쿠렐라츠가 처음으로 ''보산치차''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7] 이후 개인, 학문 및 문학, 출판물 등에서 보스니아 키릴 문자를 지칭하는 다양한 명칭이 사용되었다.[18][19]
5. 유산
2015년, 한 예술가 그룹이 "보스니치차로 당신에게 씁니다"라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에는 바냐루카, 사라예보, 시로키 브리예그, 트레비네 출신의 예술 및 그래픽 디자인 학생들이 참여했다. 제출된 작품 전시회는 사라예보, 트레비네, 시로키 브리예그, 자그레브, 베오그라드에서 열릴 예정이었다.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고대 문자를 부활시키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모든 그룹이 공유하는 "공통 문화적 과거"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프로젝트의 첫 번째 단계는 고대 필사 문서를 사용하여 모든 고대 문자를 재구성하는 작업이었다.[15][16]
6. 갤러리
참조
[1]
서적
Die Kultur der Bosniaken, Supplement I: Inventar des bosnischen literarischen Erbes in orientalischen Sprachen
Adolf Holzhausens, Vienna
[2]
서적
The Literature of the Bosnian Muslims: a Quadrilingual Heritage
Nadwah Ketakwaan Melalui Kreativiti
[3]
서적
La littérature ottomane des musulmans yougoslaves: essai de bibliographie raisonnée, JA 259
Alan Blaustein Publishing House
[4]
서적
Prilozi za književnost, jezik, istoriju i folklor
https://books.google[...]
Državna štamparija
[5]
서적
Katalog arapskih, turskih i perzijskih rukopisa (Catalogue of the Arabic, Turkish and Persian Manuscripts in the Gazi Husrev-beg Library, Sarajevo)
[6]
웹사이트
Srećko M. Džaja vs. Ivan Lovrenović – polemika o kulturnom identitetu BiH Ivan Lovrenović
http://ivanlovrenovi[...]
Polemics appeared between [[Srećko M. Džaja]] & [[Ivan Lovrenović]] in Zagreb's biweekly "Vijenac", later in whole published in Journal of Franciscan theology in Sarajevo, "Bosna franciscana" No.42
2018-06-06
[7]
서적
Orthographies in Early Modern Europ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3-01-24
[8]
서적
Zbornik proze XVI. i XVII. stoljeća
https://books.google[...]
"[[Matica hrvatska]] - Zora"
2013-01-24
[9]
서적
Cyrillic books printed before 1701 in British and Irish collections: a union catalogue
https://books.google[...]
"[[British Library]]"
[10]
서적
The Politics of Language and Nationalism in Modern Central Europe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09-01-15
[11]
서적
Prilozi za književnost, jezik, istoriju i folklor
https://books.google[...]
Državna štamparija
[12]
서적
Književnost i jezik
https://books.google[...]
[13]
서적
Gramatika bosanskoga jezika
http://bih.fi/pub/pd[...]
Dom štampe
2017-11-04
[14]
웹사이트
Short history of the Cyrillic Alphabet
http://www.ijors.net[...]
International Journal of Russian Studies
2016-07-04
[15]
웹사이트
Bosnian Arts Save Vanished Script From Oblivion
https://balkaninsigh[...]
2015-12-10
[16]
웹사이트
Bosnian artists revive disused script
https://www.calvertj[...]
2015-12-11
[17]
간행물
Bosančica u ćiriličnoj paleografiji i njen status u filološkoj nauci
https://www.ceeol.co[...]
Institut za jezik
2020-05-07
[18]
서적
Slavic Alphabets and Identit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Bamberg Press
2020-05-07
[19]
간행물
Bosančica (zapadna ćirilica) kroz odabrana krajišnička pisma
https://hrcak.srce.h[...]
2020-05-07
[20]
문서
Poljička glagoljica ili poljiška azbukvica
http://arhiv.slobodn[...]
[21]
서적
Journal of Croatian Studies
https://books.google[...]
Croatian Academy of America
[22]
서적
Historija književnosti naroda hrvatskoga i srbskoga. Knj.l.Staro doba,, Opseg 1
https://books.google[...]
Štamparija Dragutina Albrechta
2017-11-04
[23]
서적
When Ethnicity Did Not Matter in the Balkans: A Study of Identity in Pre-Nationalist Croatia, Dalmatia, and Slavonia in the Medieval and Early-Modern Period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20-05-07
[24]
서적
Hrvatska književnost od XVI do XVIII stoljeća u Sjevernoj Hrvatskoj i Bosni
https://katalog.kgz.[...]
Matica hrvatska Zagreb
2020-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