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회색머리아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회색머리아비(Gavia arctica)는 아비과에 속하는 조류로, 몸길이 58~73cm, 날개 길이 100~130cm의 크기를 가진다. 이 종은 칼 폰 린네에 의해 1758년 학명 Colymbus arcticus로 처음 기재되었으며, 현재는 두 아종, Gavia arctica arctica와 Gavia arctica viridigularis로 분류된다. 검은목머리아비는 북유럽, 아시아, 알래스카 등 넓은 지역에 분포하며, 번식기에는 호수 주변에서, 비번식기에는 해안가에서 생활한다. 이들은 물고기, 곤충, 연체동물 등을 먹으며, 잠수를 통해 먹이를 잡는다. 암컷과 수컷이 함께 알을 품고 새끼를 돌보며, 둥지 성공률은 포식, 홍수, 물고기 밀도 등에 영향을 받는다. 큰회색머리아비는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서식지 파괴, 오염, 포식자, 기생충 등의 위협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비목 - 아비속
아비는 북극권의 담수호와 늪에서 번식하고 겨울에 남쪽으로 이동하는 철새로, 뛰어난 수영 및 잠수 능력으로 물고기를 주식으로 하며 독특한 울음소리와 생태적 특징을 지닌 아비목 아비과의 조류 5종을 통칭한다. - 아비목 - 검은부리아비
검은부리아비는 뛰어난 잠수 능력으로 물고기를 주식으로 하며 유라시아에서 큰북방잠수부로도 불리는 검은부리아비과 조류의 일종으로, 북아메리카와 그린란드 연안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여러 지역으로 이동하여 월동하며 다양한 울음소리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수은 오염 등으로 개체수 보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러시아의 새 - 황새
황새는 흰색 몸과 검은 날개, 긴 목둘레 깃털을 가진 동아시아 서식 육식성 조류로,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멸종위기에 처해 국제적 보호를 받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복원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러시아의 새 - 원앙
화려한 수컷과 회갈색 암컷 깃털을 가진 원앙은 동아시아 원산의 오리과 조류로, 부부 금슬 상징으로 여겨지나 실제로는 매년 짝을 바꾸며, 서식지 감소와 밀렵으로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보호받는다. - 1758년 기재된 새 - 코뿔새
코뿔새는 검은 깃털과 흰 꼬리, 뿔 모양 돌기가 있는 큰 새로, 열대우림에 살며 특이한 번식 습성을 가지고 말레이시아의 국조이자 취약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1758년 기재된 새 - 갈매기
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바닷새의 총칭으로, 전 세계 연안과 하구 등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자 여러 지역의 상징 새이기도 하다.
큰회색머리아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Gavia arctica |
명명자 | Linnaeus, 1758 |
한국어 이름 | 큰회색머리아비 |
영어 이름 | Black-throated Diver (검은목 물새) |
북미 영어 이름 | Arctic Loon (북극 물새) |
일본어 이름 | オオハム (오오하무) |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아비목 |
과 | 아비과 |
속 | 아비속 |
아종 | |
아종 목록 | G. a. arctica G. a. viridigularis |
보존 상태 | |
IUCN Red List | 멸종 위협 없음 |
참고 | BirdLife International (2018). Gavia arctica. |
형태 | |
길이 | 70 cm |
무게 | 1.3 ~ 3.4 kg |
부리 길이 | 23 cm |
생태 | |
서식지 | 북반구 |
잠수 깊이 | 5 m |
2. 분류 및 어원
큰회색머리아비(검은목머리아비)는 1758년 칼 폰 린네가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Colymbus arcticus''라는 이명으로 정식 기재했다.[2] 속명 Gaviala는 고대 로마의 박물학자 대 플리니우스가 사용한 '바다 갈매기'를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종명 arcticala는 '북쪽' 또는 '북극'을 의미하는 라틴어이다.[7]
이 종은 북아메리카의 태평양머리아비와 동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두 종으로 분리되었다.[15] 두 종이 함께 서식하는 지역에서는 교배의 증거가 없었고,[14] 폐에 있는 기낭 구조도 현저하게 다르다.[12]
2. 1. 아종
- Gavia arctica arctica|가비아 아르크티카 아르크티카la (린네, 1758)
- G. a. viridigularis|가비아 아르크티카 비리디굴라리스la 드와이트, 1918
3. 형태
큰회색머리아비 성체의 몸길이는 58cm에서 73cm, 날개 길이는 100cm에서 130cm, 몸무게는 1.3kg에서 3.4kg이다. 기준 아종의 경우, 번식 깃털을 갖추었을 때 머리와 뒷목은 회색이며, 목은 검은색이고 앞목에는 짙은 검은색 반점이 있는데, 두 부위 모두 부드러운 보라색 광택을 띤다. 아래 목에는 짧고 평행한 흰색 선들이 목걸이 모양으로 띠를 이룬다. 목 옆면에는 아래 목 반점에서 시작하여 가슴까지 이어지는 약 다섯 개의 길고 평행한 흰색 선이 있다. 가슴 중앙을 포함한 나머지 아랫부분은 순백색이다. 윗부분은 날개 기부까지 검은색을 띠며, 여기에는 등과 어깨깃을 덮는 고대비 흰색 사각형이 몇 줄 있다. 작은 흰색 반점은 작은 덮깃과 중간 덮깃 모두에 있다. 나머지 윗날개는 검은색을 띤다. 아랫날개는 윗날개보다 더 옅고 아랫날개 덮깃은 흰색이다. 꼬리는 검은색이다.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며, 다리 안쪽 절반은 옅은 회색이다. 발가락과 물갈퀴는 회색이며, 물갈퀴는 살색을 띠기도 한다. 홍채는 짙은 갈색-적색이다. 암컷과 수컷은 비슷하며, 아종 ''viridigularis''는 검은색 대신 녹색 목 반점을 제외하면 기준 아종과 매우 유사하다.[15] ''viridigularis'' 아종은 보라색 광택을 유지하지만 기준 아종보다 덜하다.[11]
비번식기 성체는 번식기 성체와 달리 머리 덮개와 목 뒤쪽이 더 갈색을 띤다. 비번식기 성체는 또한 번식기 성체의 무늬가 있는 윗부분이 없지만 일부 윗날개 덮깃은 흰색 반점을 잃지 않는다. 이로 인해 윗부분은 위에서 보면 거의 무늬가 없는 검은색이 된다. 목 옆면은 보통 목 옆면과 목 앞면을 구분하는 흰색 테두리에서 더 어둡다. 대부분의 경우 이 두 영역 사이에 얇은 어두운 목걸이를 볼 수 있다. 눈 아래의 머리 옆면에는 흰색이 있다. 부리는 강철 회색이며, 번식기 성체와 마찬가지로 검은색 팁이 있다.[15]
어린 새끼는 비번식기 성체와 유사하지만 더 갈색을 띤다. 특히 어깨깃에서 두드러지는 윗부분의 황갈색 비늘이 있다. 아랫면과 목 앞면에는 흐릿한 갈색 색조가 있다. 어린 새끼는 날개 덮깃에 흰색 반점이 없고, 홍채는 더 어둡고 칙칙한 색을 띤다. 새끼는 그을린 갈색에서 갈색 회색까지 다양한 솜털로 부화하며, 일반적으로 머리가 약간 더 옅다. 복부는 옅은 색이다.[15]
3. 1. 태평양머리아비와의 구별
전체 길이는 72cm (58cm-73cm), 날개 길이는 120cm (110cm-130cm)이다. 가비보다 크고, 흰목머리아비보다 더 크다. 머리 꼭대기는 평평하며[36], 부리는 검은색으로 곧고 뾰족하다. 부리는 흰목머리아비에 비해 길고 굵다[36].
암수 같은 색이다. 여름깃의 앞목은 녹색 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며, 등은 검은색 바탕에 흰색 각반점이 있다. 겨울깃에서는 등면은 짙은 갈색이고, 아랫면은 흰색이다. 헤엄칠 때 뒷가장자리에 흰색 부분이 보인다. 어린 새의 깃털은 뒷목과 등이 옅은 갈색이며, 등에는 옅은 색의 깃털 가장자리가 있어 불분명한 얼룩 무늬로 보인다[36].
4. 분포 및 서식지
큰회색머리아비는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번식은 북유럽, 아시아,[1] 그리고 알래스카의 세워드 반도에서 이루어진다.[16] 번식기에는 0.1km2보다 넓은, 고립된 깊은 민물 호수 주변에서 발견되며,[21] 특히 유입구가 있는 곳을 선호하는데,[15] 이는 작은 수역을 마주하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이다.[23]
번식기가 아닐 때는 일반적으로 남쪽으로 이동하여 얼음이 없는 바다로 향하며,[15] 보통 북동 대서양 연안과 동, 서 태평양 연안, 예를 들어 일본 연안과 같은 곳에서 겨울을 난다.[1] 이 시기에는 서식지가 방파제가 있는 해안을 따라 있는 연안 수역이지만, 때로는 내륙에서도 발견되는데, 지중해와 흑해와 같은 곳에서 발견된다.[15]
북유럽에서 시베리아, 캄차카, 알래스카 서부, 남쪽으로는 바이칼호, 아무르강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남쪽으로 이동하여 유럽의 대서양 연안, 흑해 연안, 연해주에서 중국 동부에 이르는 일본해, 동중국해 연안에서 월동한다.
일본에서는 겨울새로서 큐슈 이북의 연안에 날아온다.
5. 생태
큰회색머리아비는 보통 번식하는 호수에서 1m 이내의 땅이나 ''Arctophila fulva''와 같은 식물 위에 둥지를 튼다. 둥지 자리는 종종 다음 해에도 재사용된다.[24] 둥지는 주로 암컷이 잎과 나뭇가지 등으로 만들며, 너비는 약 23cm이다.[20][21] 새끼가 태어난 지 2주가 되면 원래 둥지에서 150m 미만 떨어진 인근 습지로 둥지를 옮기기도 한다.[24]
번식은 번식 범위의 남쪽에서는 4월에 시작하지만, 북쪽에서는 봄철 해빙기까지 기다린다.[15] 암컷은 교미 전에 목을 구부리고 해안에 엎드리며, 수컷도 같은 자세를 취한다. 교미하는 동안 수컷은 해안으로 나와 암컷 위에 올라타고 날개를 펄럭인다.[22]
알은 보통 2개이며, 갈색-녹색 바탕에 짙은 반점이 있고 크기는 76by이다. 양쪽 부모가 27~29일 동안 품으며, 부화 후 새끼들은 몇 주 동안 부모로부터 먹이를 공급받는다. 새끼는 부화 후 약 60~65일 후에 둥지를 떠나며, 2~3년 후에 성적으로 성숙한다.[15]
둥지 성공률은 포식[20]과 홍수[23]에 가장 큰 영향을 받으며, 해마다 다르다. 둥지를 잃은 어른들은 부화 기간 초기에 다시 둥지를 틀기도 한다.[24] 스코틀랜드의 한 연구에 따르면 한 쌍은 보통 1년에 평균 25%의 확률로 새끼를 둥지를 떠나게 한다.[15] 이는 인위적인 방법으로 증가할 수 있다.[25]
이 새는 일부 아한대 호수의 원양 구역에서 최상위 포식자이며, 물고기, 곤충, 연체동물, 갑각류, 식물성 물질을 먹는다.[15] 보통 단독으로 또는 쌍으로 먹이를 찾으며, 잠수 깊이는 5m를 넘지 않는다.[28][30] 잠수하기 직전에는 목을 쭉 뻗어 펴 올리고, 보통 잠수하기 전에 약간 위로 뜁니다.[31] 잠수는 빈번하게 이루어지며, 분당 평균 약 1.6번 잠수한다. 잠수의 약 80%가 성공적이며, 성공적인 잠수는 보통 17초, 실패한 잠수는 27초 동안 지속된다.[30]
번식기에는 어른 새는 보통 둥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먹이를 찾는다.[32] 새끼에게는 한 번에 먹이 한 개만 주며, 새끼는 부화 후 적어도 36일이 지나면 스스로 먹이를 잡을 수 있지만, 약 70일이 될 때까지 매일 먹이를 먹는다.[22]
검은목머리아비 새끼의 식단은 다양하며, 처음 8일 동안은 주로 세가시가자미와 참개구리를 먹는다. 이후에는 송어를 먹을 수 있게 되며, 연어과 물고기는 8일 이후 새끼 식단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100mm 에서 240mm 사이 크기의 연어과 물고기와 뱀장어는 더 큰 새끼에게 중요한 먹이이다.[32]
겨울에는 해상에서 생활하며, 해안 외에도 항만이나 하구, 해안 가까이에 있는 호소(湖沼)에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36]。 경계 시에는 몸을 수면 아래로 깊이 가라앉힌다. 주로 어류 등을 잠수하여 포식한다. 비행 시에는 수면을 발로 차서 활주하며, 잘게 움직이는 날갯짓으로 직선으로 난다.
5. 1. 울음소리
수컷은 번식기에 "oooéé-cu-cloooéé-cu-cloooéé-cu-cluuéé"와 같이 크고 리듬감 있는 휘파람 소리를 낸다. 또한 "áááh-oo" 울음소리, 특히 밤에 내는 으르렁거리는 소리나 꽥꽥거리는 소리인 "knarr-knor"도 들을 수 있다. 둥지에서의 경계 신호는 높아지는 "uweek"이다.[15]6. 위협 요인 및 보존
큰회색머리아비는 IUCN에 의해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는 이 종이 넓은 분포 지역과 많은 개체수를 가지고 있으며, 개체수 감소가 급격하지 않기 때문이다.[1] 미국에서는 1918년 이동 조류 조약에 의해 보호받고 있으며,[34] 유럽과 아프리카에서는 아프리카-유라시아 이동성 물새 보존 협정에 따라 보호받고 있다.[35]
검은목두루미는 때때로 선충의 일종인 ''Eustrongylides tubifex''에 의해 기생당하며, 이는 Eustrongylidosis를 유발할 수 있다.[33] 붉은여우나 유럽담비와 같은 포유류 포식자는 알 손실의 약 40%를 차지하는 원인으로 보인다. 까마귀와 같은 조류 포식자 또한 이 두루미의 알을 훔쳐간다.[23]
산성화와 번식 호수의 중금속 오염은 이 새를 위협할 수 있다. 또한 어장 근처에서는 유류 오염에 취약하다. 어망 또한 사망의 원인이 된다. 이 아비는 해안 근처의 풍력 발전소에 민감하다. 전반적으로 검은머리아비 성체의 연간 사망률은 10%이다.[15]
참조
[1]
iucn
"''Gavia arctica''"
2021-11-13
[2]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Laurentii Salvii
[3]
서적
Fauna svecica, sistens animalia sveciae regni mammalia, aves amphibia, pisces, insecta, vermes
https://www.biodiver[...]
Sumtu & Literis Direct. Laurentii Salvii
[4]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www.biodiver[...]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5]
간행물
The proper generic name of the loons
https://www.biodiver[...]
[6]
간행물
Ninth supplement to the American Ornithologists' Union Check-List of North American Birds
https://www.biodiver[...]
1899
[7]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8]
웹사이트
Key to Scientific Names in Ornithology
http://www.hbw.com/d[...]
Lynx Edicions
2017-08-02
[9]
웹사이트
Kagu, Sunbittern, tropicbirds, loons, penguin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4-06-25
[10]
간행물
A new species of loon (''Gavia viridigularis'') from northeastern Siberia
https://www.biodiver[...]
[11]
간행물
Geographical variation in black-throated loons
https://www.biodiver[...]
[12]
간행물
A preliminary study on the structure of lung-air sac system of loons
https://www.jstage.j[...]
[13]
간행물
Thirty-fifth supplement to the American Ornithologists' Union check-list of North American birds
[14]
"[[Master of Science]]"
A phylogenetic reevaluation of the genus ''Gavia'' (Aves: Gaviiformes)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Northern Michigan University
2014
[15]
간행물
Arctic Loon (''Gavia arctica'')
http://www.hbw.com/s[...]
Lynx Edicions
2017-05-28
[16]
서적
Smithsonian Field Guide to the Birds of North America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2008-05-27
[17]
간행물
The impact of water level fluctuation on the breeding success of the black-throated diver ''Gavia arctica'' in south-west Sweden
[18]
서적
A Naturalist's Guide to the Arctic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2-07-31
[19]
서적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Britain and Europe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01-12-15
[20]
간행물
Nesting ecology of arctic loons
[21]
서적
The Book of Eggs: A Life-Size Guide to the Eggs of Six Hundred of the World's Bird Spec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4-08-01
[22]
간행물
Reproductive behaviour of the black-throated diver ''Gavia arctica''
[23]
간행물
The breeding biology and causes of nest failure of Scottish black-throated divers ''Gavia arctica''
[24]
간행물
Observations on arctic and red-throated loons at Storkersen Point, Alaska
https://arctic.journ[...]
[25]
간행물
Artificial floating islands for nesting Black-throated Divers ''Gavia arctica'' in Scotland: construction, use and effect on breeding success
[26]
간행물
Reproduction of black-throated diver ''Gavia arctica'' in relation to fish density in oligotrophic lakes in southwestern Sweden
[27]
간행물
Food web topology and parasites in the pelagic zone of a subarctic lake
[28]
간행물
Food habits and niche overlap of seabirds wintering on Monterey Bay, California
[29]
간행물
Foraging guilds of North American birds
[30]
간행물
Breeding and feeding observations on the black-throated diver
[31]
간행물
Arctic Loon (''Gavia arctica'')
https://birdsna.org/[...]
2017-07-11
[32]
간행물
Between-lake differences in the diet and provisioning behaviour of black-throated divers ''Gavia arctica'' breeding in Scotland
[33]
간행물
A redescription of ''Eustrongylides tubifex'' (Nitzsch 1819) Jagerskiold 1909 (Nematoda: Dioctophymatidae) from mallards (''Anas platyrhynchos'')
[34]
웹사이트
Migratory Bird Treaty Act Protected Species (10.13 List)
https://www.fws.gov/[...]
US Fish & Wildlife Service
2017-07-13
[35]
웹사이트
Species
http://www.unep-aewa[...]
Agreement on the Conservation of African-Eurasian Migratory Waterbirds
[36]
간행물
考える識別・感じる識別 アビ・カイツブリ類
文一総合出版
20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