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니가와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니가와산은 일본 군마현과 니가타현 경계에 위치한 산으로, 두 개의 봉우리를 의미하는 '두 개의 귀'로 불리다가, 메이지 시대 지형도 제작 과정에서 '타니가와산'으로 명칭이 정착되었다. 최고봉은 오키노미미이지만, 역사적인 이유로 토마노미미가 주봉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다양한 등산 코스와 암벽 지대로 인해 연간 4만 명 이상의 등산객이 찾는 인기 있는 산이며, 1931년 조에쓰선 개통으로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1920년 첫 등정을 기념하여 7월 2일을 '타니가와산의 날'로 지정하고, 매년 안전 등산의 날 행사를 개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산 - 스리바치산
    스리바치산은 이오 섬 남서쪽에 위치한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화쇄구로, 이오지마 전투 격전지이자 미국 해병대 성조기 게양으로 미국을 상징하는 장소가 되었다.
타니가와산
지도
일반 정보
다니가와산
다니가와산
높이1,977미터
위치미나카미정, 유자와정
산맥에치고 산맥
등반
난이도일본 3대 암벽 중 하나로, 등반 난이도가 매우 높음
사고1931년부터 2012년까지 조난 사고로 805명이 사망하여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산"이라는 별명이 있음

2. 명칭의 유래와 역사

타니가와산의 지형도.
원래 이 산은 남쪽의 도네군누마타시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인해 두 봉우리를 뜻하는 '두 개의 귀(二つ耳, 후타츠미미)'로 불렸다. 두 봉우리 중 토마노미미는 약사여래를 모신 약사산(薬師岳), 오키노미미는 후지아사마 신사(浅間神社)의 오쿠노인(奥の院)이 위치해 타니가와 후지/谷川富士일본어 또는 아사마산(浅間岳)으로도 불렸다.[2]

"타니가와산"이라는 명칭은 원래 타니가와촌(현재 미나카미정 타니가와 지구)을 흐르는 타니가와의 발원지인 현재의 마나이타구라(俎嵓)를 가리키는 이름이었다. 그러나 메이지 시대 육지측량부의 1대 5만 지형도 제작 당시 약사산(薬師岳)에 "타니가와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지면서 혼용되기 시작했다. 당시 산악인인 기쿠레 리타로(木暮理太郎)와 다케다 히사요시(武田久吉) 등이 올바른 명칭을 사용할 것을 촉구했으나, 지형도 표기가 보편화되면서 토마노미미와 오키노미미 두 봉우리가 타니가와산으로 불리게 되었다.[2]

메이지 시대의 지형도 제작 당시 토마노미미에는 삼각점이 설치되었으나, 현재는 없어지고 기초 석재만 남아 있다. 한편, "타니가와 후지"라는 이름은 이치노쿠라다케에 사용되었으며, 태평양 전쟁 이후까지 두 명칭이 함께 사용되었다. 그러나 1961년(쇼와 36년) 이후부터는 "이치노쿠라다케"로 통일되었다. 타니가와산의 최고점은 오키노미미이지만, 이름의 역사로 인해 토마노미미가 주봉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 "토마(トマ)"는 "입구" 또는 "앞쪽"을, "오키(オキ)"는 "멀리" 또는 "안쪽"을 의미한다.[3] 니가타 측에서는 메이지 시대까지 단순히 "후지산(富士山)"으로 불렸다.[4]

2. 1. 명칭의 변화

원래 이 산은 남쪽의 도네군누마타시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인해 두 봉우리를 뜻하는 '두 개의 귀(二つ耳, 후타츠미미)'로 불렸다. 두 봉우리 중 토마노미미는 약사여래를 모신 약사산(薬師岳), 오키노미미는 후지아사마 신사(浅間神社)의 오쿠노인(奥の院)이 위치해 타니가와 후지(谷川富士) 또는 아사마산(浅間岳)으로도 불렸다.[2]

"타니가와산"이라는 명칭은 원래 타니가와촌(현재 미나카미정 타니가와 지구)을 흐르는 타니가와의 발원지인 현재의 마나이타구라(俎嵓)를 가리키는 이름이었다. 그러나 메이지 시대 육지측량부의 1대 5만 지형도 제작 당시 약사산(薬師岳)에 "타니가와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지면서 혼용되기 시작했다. 당시 산악인인 기쿠레 리타로(木暮理太郎)와 다케다 히사요시(武田久吉) 등이 올바른 명칭을 사용할 것을 촉구했으나, 지형도 표기가 보편화되면서 토마노미미와 오키노미미 두 봉우리가 타니가와산으로 불리게 되었다.[2]

메이지 시대의 지형도 제작 당시 토마노미미에는 삼각점이 설치되었으나, 현재는 없어지고 기초 석재만 남아 있다. 한편, "타니가와 후지"라는 이름은 이치노쿠라다케에 사용되었으며, 태평양 전쟁 이후까지 두 명칭이 함께 사용되었다. 그러나 1961년(쇼와 36년) 이후부터는 "이치노쿠라다케"로 통일되었다. 타니가와산의 최고점은 오키노미미이지만, 이름의 역사로 인해 토마노미미가 주봉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 "토마(トマ)"는 "입구" 또는 "앞쪽"을, "오키(オキ)"는 "멀리" 또는 "안쪽"을 의미한다.[3] 니가타 측에서는 메이지 시대까지 단순히 "후지산(富士山)"으로 불렸다.[4]

2. 2. 기타 명칭

타니가와산은 원래 남쪽의 도네군누마타시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인해 두 봉우리를 뜻하는 '두 개의 귀(二つ耳, 후타츠미미)'로 불렸다. 두 봉우리 중 토마노미미는 약사여래를 모신 약사산(薬師岳), 오키노미미는 후지아사마 신사(浅間神社)의 오쿠노인(奥の院)이 위치해 타니가와 후지(谷川富士) 또는 아사마산(浅間岳)으로도 불렸다.[2]

"타니가와산"이라는 명칭은 원래 타니가와촌(현재 미나카미정 타니가와 지구)을 흐르는 타니가와의 발원지인 현재의 마나이타구라(俎嵓)를 가리키는 이름이었다. 그러나 메이지 시대 육지측량부의 1대 5만 지형도 제작 당시 약사산(薬師岳)에 "타니가와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지면서 혼용되기 시작했다. 당시 산악인인 기쿠레 리타로(木暮理太郎)와 다케다 히사요시(武田久吉) 등이 올바른 명칭을 사용할 것을 촉구했으나, 지형도 표기가 보편화되면서 토마노미미와 오키노미미 두 봉우리가 타니가와산으로 불리게 되었다.[2]

메이지 시대의 지형도 제작 당시 토마노미미에는 삼각점이 설치되었으나, 현재는 없어지고 기초 석재만 남아 있다. 한편, "타니가와 후지"라는 이름은 이치노쿠라다케에 사용되었으며, 태평양 전쟁 이후까지 두 명칭이 함께 사용되었다. 그러나 1961년(쇼와 36년) 이후부터는 "이치노쿠라다케"로 통일되었다. 타니가와산의 최고점은 오키노미미이지만, 이름의 역사로 인해 토마노미미가 주봉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 "토마(トマ)"는 "입구" 또는 "앞쪽"을, "오키(オキ)"는 "멀리" 또는 "안쪽"을 의미한다.[3] 니가타 측에서는 메이지 시대까지 단순히 "후지산(富士山)"으로 불렸다.[4]

3. 지리적 특징

3. 1. 주요 봉우리

3. 2. 암벽 지대

4. 등산

타니가와산은 초보자부터 상급자까지 다양한 난이도의 등산 코스를 갖추고 있어,[5][1] 매년 4만 명 이상의 등산객이 찾는 인기 있는 산이다. 특히, 조에쓰선 도아이역에서 접근성이 좋아 등산로 입구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지 않으며, 다양한 루트가 개척되어 있다.[5] 그러나 위험한 구간이 많고 날씨 변화가 급격해 조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산으로도 유명하다.[5][6]

4. 1. 등산 코스

타니가와산은 초보자부터 상급자까지 다양한 난이도의 등산 코스를 갖추고 있어,[5][1] 매년 4만 명 이상의 등산객이 찾는 인기 있는 산이다. 특히, 조에쓰선 도아이역에서 접근성이 좋아 등산로 입구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지 않으며, 다양한 루트가 개척되어 있다.[5] 그러나 위험한 구간이 많고 날씨 변화가 급격해 조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산으로도 유명하다.[5][6]

4. 2. 등산 시설

1960년 12월에 개통된 타니가와산 로프웨이는 동쪽 기슭에서 산 능선 부근의 텐진다이라(天神尾根)까지 연결된다. 이 로프웨이는 겨울철에 스키어와 등산객 모두가 이용하며, 텐진다이라를 향해 같은 곤돌라를 타고 오르는 모습도 흔히 볼 수 있다. 산 능선에 위치한 텐진다이라역 부근에는 쉴 수 있는 공간이 있어 간단한 식사를 제공하며, 등산객과 스키어들의 휴식 공간으로 활용된다.

4. 3. 암벽 등반

이치노쿠라사와 암벽지대
이치노쿠라사와(一ノ倉沢)를 비롯한 타니가와산의 암벽 지대는 그 험준함으로 인해 다테야마산의 쓰루기다케, 호타카다케와 더불어 일본 3대 암벽 지대 중 하나로 꼽힌다. 로프를 사용하는 암벽 등반이 활발한 지역으로, 클라이머들에게도 유명하다.

4. 4. 스키

타니가와산 기슭은 스키 명소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타니가와산 텐진다이라 스키장과 화이트 밸리 스키장이 위치해 있다. 이치노쿠라사와(一ノ倉沢)를 비롯한 타니가와산의 암벽 지대는 그 험준함으로 인해 다테야마산의 쓰루기다케와 호타카다케를 포함하는 일본 3대 암벽 지대 중 하나로 꼽힌다. 이곳은 로프를 사용하는 암벽 등반이 활발한 지역으로, 클라이머들에게도 유명하다.

5. 신앙

타니가와 후지 아사마 신사(谷川富士浅間神社)는 군마현 미나카미정 타니가와 지역에 위치한 신사로, 전설에 따르면 1380년에 건립되었다. 주신(主神)은 코노하나사쿠야히메노미코토(木花咲弥姫命)이다. 중궁(中宮)의 사당은 1658년 혹은 1663년에 사나다 이가노카미(真田伊賀守)가 누마타 총진수(沼田総鎮守)로서 조영하였다.

오쿠노인(奥の院)은 오키노미미(オキノ耳) 북쪽에 위치하며, 산중 동굴에서 발견된 에이로쿠 8년(1565년)의 명문을 가진 거울 형태의 걸이 불상(御神体)이 안치되어 있었다. 이 거울은 이후 문화재로 지정되면서 미나카미 역사 민속 자료관으로 옮겨졌다가 현재는 신사 총대에 의해 보관되고 있다. 매년 4월 29일에 열리는 봄 축제에서는 봉납 무용인 다이다이카구라(太太神楽)가 공연되는데, 이 춤은 사나다 노부유키게이초 6년(1601년)에 에이로쿠전(永楽銭) 300관문을 기부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전해진다.[7]

오쿠노인에는 원래 안세이 7년(1860년)에 제작된 철판 지붕의 사당이 있었으나,[8] 강풍으로 인해 여러 차례 계곡으로 떨어지는 일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다이쇼 시대에 돌로 만든 사당으로 대체되었다. 또한 만엔 원년(1860년)에 아사마 신사가 정일위 아사마 대신(正一位浅間大神)의 신위를 부여받았을 때, 이를 기념하며 누마타 성주 도키 요리유키(土岐頼之)에 의해 여자는 오를 수 없다는 규제가 해제되어 많은 참배객이 몰렸다. 보토노사와(保登野沢)를 따라 조성된 하산 전용 코스는 이 시기에 혼잡을 피하기 위해 만들어졌다.[9]

과거에는 중궁에서 능선을 따라 텐진 고개(天神峠)로 올라가는 길이 있었으나, 도아이역에서 오르는 등산객이 많아지면서 길이 거의 폐허가 되었었다. 근래에 오쿠노인 고도(奥之院古道)로 재정비되었다.

타니가와산은 본래 신앙의 대상으로, 주로 수험자(修験者, 야마부시)와 지역 주민들이 등산하였다. 산 동쪽 기슭을 흐르는 유히소가와강(湯檜曽川)을 따라 고도가 있었으나, 에도 시대에는 구치토메 반쇼(口留番所)에 의해 통행이 금지되었다. 메이지 시대에 새로운 길이 개설되어 국도로 지정되었으나, 니가타현 측에서 발생한 산사태, 눈사태, 도로 침하 등으로 인해 약 2년 만에 통행이 불가능해졌다. 1876년(메이지 9년), 육운회사 누마타 분사(陸運会社沼田分社)는 이치노쿠라사와(一ノ倉沢) 출입구, 타케노사와(武能沢) 출입구, 시라카바 능선(白樺尾根)에 휴식소를 설치했으나, 이후 폐지되었다.[10] 1932년(쇼와 7년)경에는 철도성이 송전선로 건설을 진행한 바 있다.[11]

5. 1. 타니가와 후지 아사마 신사

타니가와 후지 아사마 신사(谷川富士浅間神社)는 군마현 미나카미정 타니가와 지역에 위치한 신사로, 전설에 따르면 1380년에 건립되었다. 주신(主神)은 코노하나사쿠야히메노미코토(木花咲弥姫命)이다. 중궁(中宮)의 사당은 1658년 혹은 1663년에 사나다 이가노카미(真田伊賀守)가 누마타 총진수(沼田総鎮守)로서 조영하였다.

오쿠노인(奥の院)은 오키노미미(オキノ耳) 북쪽에 위치하며, 산중 동굴에서 발견된 에이로쿠 8년(1565년)의 명문을 가진 거울 형태의 걸이 불상(御神体)이 안치되어 있었다. 이 거울은 이후 문화재로 지정되면서 미나카미 역사 민속 자료관으로 옮겨졌다가 현재는 신사 총대에 의해 보관되고 있다. 매년 4월 29일에 열리는 봄 축제에서는 봉납 무용인 다이다이카구라(太太神楽)가 공연되는데, 이 춤은 사나다 노부유키게이초 6년(1601년)에 에이로쿠전(永楽銭) 300관문을 기부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전해진다.[7]

오쿠노인에는 원래 안세이 7년(1860년)에 제작된 철판 지붕의 사당이 있었으나,[8] 강풍으로 인해 여러 차례 계곡으로 떨어지는 일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다이쇼 시대에 돌로 만든 사당으로 대체되었다. 또한 만엔 원년(1860년)에 아사마 신사가 정일위 아사마 대신(正一位浅間大神)의 신위를 부여받았을 때, 이를 기념하며 누마타 성주 도키 요리유키(土岐頼之)에 의해 여자는 오를 수 없다는 규제가 해제되어 많은 참배객이 몰렸다. 보토노사와(保登野沢)를 따라 조성된 하산 전용 코스는 이 시기에 혼잡을 피하기 위해 만들어졌다.[9]

과거에는 중궁에서 능선을 따라 텐진 고개(天神峠)로 올라가는 길이 있었으나, 도아이역에서 오르는 등산객이 많아지면서 길이 거의 폐허가 되었었다. 근래에 오쿠노인 고도(奥之院古道)로 재정비되었다.

타니가와산은 본래 신앙의 대상으로, 주로 수험자(修験者, 야마부시)와 지역 주민들이 등산하였다. 산 동쪽 기슭을 흐르는 유히소가와강(湯檜曽川)을 따라 고도가 있었으나, 에도 시대에는 구치토메 반쇼(口留番所)에 의해 통행이 금지되었다. 메이지 시대에 새로운 길이 개설되어 국도로 지정되었으나, 니가타현 측에서 발생한 산사태, 눈사태, 도로 침하 등으로 인해 약 2년 만에 통행이 불가능해졌다. 1876년(메이지 9년), 육운회사 누마타 분사(陸運会社沼田分社)는 이치노쿠라사와(一ノ倉沢) 출입구, 타케노사와(武能沢) 출입구, 시라카바 능선(白樺尾根)에 휴식소를 설치했으나, 이후 폐지되었다.[10] 1932년(쇼와 7년)경에는 철도성이 송전선로 건설을 진행한 바 있다.[11]

5. 2. 수험도(修験道)

타니가와 후지 아사마 신사(谷川富士浅間神社)는 군마현 미나카미정 타니가와 지역에 위치한 신사로, 1380년에 건립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주신(主神)은 코노하나사쿠야히메노미코토(木花咲弥姫命)이다. 중궁(中宮)의 사당은 1658년 혹은 1663년에 사나다 이가노카미(真田伊賀守)가 누마타 총진수(沼田総鎮守)로서 조영하였다.[7]

오쿠노인(奥の院)은 오키노미미(オキノ耳) 북쪽에 위치하며, 산중 동굴에서 발견된 에이로쿠 8년(1565년)의 명문을 가진 거울 형태의 걸이 불상(御神体)이 안치되어 있었다. 이 거울은 이후 문화재로 지정되어 현재는 신사 총대에 의해 보관되고 있다. 매년 4월 29일에 열리는 봄 축제에서는 봉납 무용인 다이다이카구라(太太神楽)가 공연된다.[7]

오쿠노인에는 원래 안세이 7년(1860년)에 제작된 철판 지붕의 사당이 있었으나,[8] 강풍으로 인해 여러 차례 계곡으로 떨어지는 일이 발생하여 다이쇼 시대에 돌로 만든 사당으로 대체되었다. 만엔 원년(1860년)에는 아사마 신사가 정일위 아사마 대신(正一位浅間大神)의 신위를 부여받으면서 여자는 오를 수 없다는 규제가 해제되어 많은 참배객이 몰렸다. 보토노사와(保登野沢)를 따라 조성된 하산 전용 코스는 이 시기에 혼잡을 피하기 위해 만들어졌다.[9]

과거에는 중궁에서 능선을 따라 텐진 고개(天神峠)로 올라가는 길이 있었으나, 도아이역에서 오르는 등산객이 많아지면서 거의 폐허가 되었다. 근래에 오쿠노인 고도(奥之院古道)로 재정비되었다.

타니가와산은 본래 신앙의 대상으로, 주로 수험자(야마부시)와 지역 주민들이 등산하였다. 산 동쪽 기슭을 흐르는 유히소가와강(湯檜曽川)을 따라 고도가 있었으나, 에도 시대에는 구치토메 반쇼(口留番所)에 의해 통행이 금지되었다. 메이지 시대에 새로운 길이 개설되어 국도로 지정되었으나, 니가타현 측에서 발생한 산사태, 눈사태, 도로 침하 등으로 인해 약 2년 만에 통행이 불가능해졌다. 1876년(메이지 9년)에는 육운회사 누마타 분사(陸運会社沼田分社)가 휴식소를 설치했으나, 이후 폐지되었다.[10] 1932년(쇼와 7년)경에는 철도성이 송전선로 건설을 진행했다.[11]

6. 등산 역사와 행사

근대에 기록된 타니가와산의 첫 등정은 메이지 시대 육지측량부 측량대의 등정을 거쳐, 1920년(다이쇼 9년) 7월 2일 일본산악회의 후지시마 도시오(藤島敏男)와 모리 다카시(森喬)가 츠치타루촌(土樽村)의 가이드인 켄모치 마사요시(剣持政吉)의 안내로 야바 능선(矢場尾根)을 통해 모쿠라다케와 이치노쿠라다케를 거쳐 정상에 오른 것이 처음으로 여겨진다. 이후 이들은 텐진 능선을 따라 타니가와 온천으로 하산했다.[12][13] 이를 기념하여 2011년부터 매년 7월 2일을 "타니가와산의 날"로 지정하였다.[14] 이 기념일은 2010년이 후지시마 일행의 등정 90주년이었으며, 2011년이 조에쓰선 개통 80주년이 되는 해였던 점, 그리고 군마 데스티네이션 캠페인 개최 시기와 맞물려 제정되었다.

군마현 측의 산 개방식은 1938년(쇼와 13년) 7월 1일에 첫 행사를 개최한 이후,[15] 매년 7월 첫째 주 일요일에 "안전 등산의 날"로 진행된다. 이날에는 타니가와산 로프웨이의 베이스 플라자 혹은 타니가와산 등산 지도 센터에서 안전 기원제가 열리며, 2011년 기념일 제정 이후 JR 동일본에 의해 임시 야간 열차인 "타니가와산 산 개방호"가 운행되고, 로프웨이도 조기 영업을 실시하는 등 다양한 이벤트가 열린다. 타니가와산의 날과 산 개방일이 속한 주간은 "타니가와산 주간(谷川岳ウィーク)"으로 불린다. 2016년(헤이세이 28년) "산의 날"이 제정된 이후에는 "산의 날 타니가와산호"가 운행되기도 했다.

고구레 리타로(木暮理太郎)는 시미즈 고개(清水峠)를 넘어갈 때 본 절벽의 풍경을 가리켜 "훌륭한 적갈색 바위 절벽"이라 묘사했다.[13] 오시마 료키치(大島亮吉)는 전해 가을 무네토산(武尊山) 정상에서 본 타니가와산의 암벽에 매료되어, 1927년(쇼와 2년) 3월 22일 오가 도세이(大賀道昺)와 함께 타니가와 온천에서 스키로 겨울철 등정을 시도하였으며, 같은 해 5월 28일에는 시바쿠라사와(芝倉沢, 동반자는 사이토 나가쥬로斎藤長寿郎), 7월 16일에는 마치가사와(マチガ沢, 원문에서는 이오노사와イヲノ沢, 동반자는 오가 도세이와 사카이 에이酒井英)를 완등하고, 전후 일정으로 이치노쿠라사와(원문에서는 마치가사와)와 유노사와(幽ノ沢, 원문에서는 이치노쿠라사와)에서 시험 등반을 진행했다. 그는 1929년(쇼와 4년), "주로 타니가와산의 암벽을 조사하러 갔다. 모든 것은 아직 연구가 필요하며, 가까운 곳에 있는 좋은 산이다"라고 말했다.[16] 오시마의 조난 사고와 그가 남긴 유고집이 널리 칭송받으면서 타니가와산은 산악계에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17]

1931년(쇼와 6년) 9월 1일, 시미즈 터널을 포함한 조에쓰선의 조에쓰 국경 구간 전 구간이 개통되면서 도아이역쓰치타루역(土樽駅, 개업 당시에는 신호소)이 개설되었고,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었다. 이로 인해 수도권에서 야간 열차를 이용한 당일치기가 가능해졌고, 타니가와산은 쓰루기다케산호타카다케산에 필적할 만한 급경사의 암벽으로 인해 많은 대학 산악부와 사회인 등산가들에게 인기를 끌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잠시 중단되었지만, 1960년대까지 클라이머를 중심으로 한 "쇼와 시대 등산 붐"이 이어졌다.[18] 이후, 1990년대부터 일본 백명산을 중심으로 한 중장년층의 "헤이세이 시대 등산 붐"이 일어났으며, 이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6. 1. 근대 등산 역사

근대에 기록된 타니가와산의 첫 등정은 일본산악회의 후지시마 도시오(藤島敏男)와 모리 다카시(森喬)가 1920년 7월 2일 츠치타루촌(土樽村)의 가이드 켄모치 마사요시(剣持政吉)의 안내로 야바 능선(矢場尾根)을 통해 정상에 오른 것이다. 이들은 텐진 능선을 따라 타니가와 온천으로 하산했다.[12][13] 이를 기념하여 2011년부터 매년 7월 2일을 "타니가와산의 날"로 지정하였다.[14] 2010년이 후지시마 일행의 등정 90주년, 2011년이 조에쓰선 개통 80주년, 그리고 군마 데스티네이션 캠페인 개최 시기와 맞물려 제정되었다.

군마현 측의 산 개방식은 1938년 7월 1일 첫 행사를 개최한 이후,[15] 매년 7월 첫째 주 일요일에 "안전 등산의 날"로 진행된다. 이날 안전 기원제가 열리고, JR 동일본에 의해 임시 야간 열차 운행, 로프웨이 조기 영업 등 다양한 이벤트가 열린다. 타니가와산의 날과 산 개방일이 속한 주간은 "타니가와산 주간(谷川岳ウィーク)"으로 불린다. 2016년 "산의 날" 제정 이후에는 "산의 날 타니가와산호"가 운행되기도 했다.

고구레 리타로(木暮理太郎)는 시미즈 고개(清水峠)를 넘어갈 때 본 절벽 풍경을 "훌륭한 적갈색 바위 절벽"이라 묘사했다.[13] 오시마 료키치(大島亮吉)는 1927년 무네토산(武尊山) 정상에서 타니가와산 암벽에 매료되어 겨울철 등정과 여러 코스 등반을 시도했다.[16] 그는 "주로 타니가와산의 암벽을 조사하러 갔다. 모든 것은 아직 연구가 필요하며, 가까운 곳에 있는 좋은 산이다"라고 말했다.[16] 오시마의 조난 사고와 유고집은 타니가와산을 산악계에 알렸다.[17]

1931년 조에쓰선 전 구간 개통으로 도아이역쓰치타루역(土樽駅)이 개설되어 접근성이 개선되었다. 수도권에서 야간 열차를 이용한 당일치기가 가능해져 쓰루기다케산, 호타카다케산과 함께 많은 등산객들에게 인기를 끌었다.[18]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중단되었다가 1960년대까지 클라이머 중심의 "쇼와 시대 등산 붐"이, 1990년대부터는 중장년층 중심의 "헤이세이 시대 등산 붐"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18]

6. 2. 타니가와산의 날

2011년부터 매년 7월 2일을 "타니가와산의 날"로 지정하였다.[14] 이는 1920년(다이쇼 9년) 7월 2일 일본산악회의 후지시마 도시오(藤島敏男)와 모리 다카시(森喬)가 츠치타루촌(土樽村)의 가이드 켄모치 마사요시(剣持政吉)의 안내로 야바 능선(矢場尾根)을 통해 모쿠라다케와 이치노쿠라다케를 거쳐 정상에 오른 것을 기념하기 위해서다.[12][13] 2010년이 후지시마 일행의 등정 90주년, 2011년이 조에쓰선 개통 80주년이 되는 해였으며, 군마 데스티네이션 캠페인 개최 시기와 맞물려 제정되었다.

군마현 측의 산 개방식은 1938년(쇼와 13년) 7월 1일에 처음 개최된 이후,[15] 매년 7월 첫째 주 일요일에 "안전 등산의 날"로 진행된다. 타니가와산 로프웨이 베이스 플라자 혹은 타니가와산 등산 지도 센터에서 안전 기원제가 열리며, 2011년 기념일 제정 이후 JR 동일본에 의해 임시 야간 열차인 "타니가와산 산 개방호"가 운행되고, 로프웨이도 조기 영업을 실시하는 등 다양한 이벤트가 열린다. 타니가와산의 날과 산 개방일이 속한 주간은 "타니가와산 주간(谷川岳ウィーク)"으로 불린다. 2016년(헤이세이 28년) "산의 날"이 제정된 이후에는 "산의 날 타니가와산호"가 운행되기도 했다.

고구레 리타로(木暮理太郎)는 시미즈 고개(清水峠)를 넘어갈 때 본 절벽의 풍경을 "훌륭한 적갈색 바위 절벽"이라 묘사했다.[13] 오시마 료키치(大島亮吉)는 1927년(쇼와 2년) 3월 22일 오가 도세이(大賀道昺)와 함께 타니가와 온천에서 스키로 겨울철 등정을 시도하는등, 타니가와산의 암벽 등반에 있어서 선구적인 업적을 남겼다. 그는 1929년(쇼와 4년), "주로 타니가와산의 암벽을 조사하러 갔다. 모든 것은 아직 연구가 필요하며, 가까운 곳에 있는 좋은 산이다"라고 말했다.[16]

1931년(쇼와 6년) 9월 1일, 시미즈 터널을 포함한 조에쓰선의 조에쓰 국경 구간 전 구간이 개통되면서 도아이역쓰치타루역(土樽駅)이 개설되었고,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었다. 이로 인해 수도권에서 야간 열차를 이용한 당일치기가 가능해졌고, 타니가와산은 쓰루기다케산호타카다케산에 필적할 만한 급경사의 암벽으로 인해 많은 등산가들에게 인기를 끌게 되었다.[18]

7. 갤러리

타니가와산-이치노쿠라다케-모쿠라다케를 북동쪽에서 바라본 사진. 사진은 카사가다케산(笠ヶ岳)에서 촬영되었다.


토마노미미 봉우리


토마노미미 봉우리에서 바라본 오키노미미. 그 왼쪽 뒤편은 이치노쿠라다케이다.


유노사와

참조

[1] 서적 ネイチャーハイク入門 JTBパブリッシング
[2] 서적 日本百名山 新潮社
[3] 서적 日本の名山4 谷川岳 博品社 1997-09-15
[4] 웹인용 新潟県管内地図 https://opac.niigata[...] ほんぽーと 新潟市中央図書館 2024-05-05
[5] 웹사이트 谷川岳登山の留意点 http://www.pref.gunm[...] 群馬県 2017-04
[6] 웹인용 群馬県内の山岳遭難が過去最多147件 死者は12人 県外の登山客増加で https://www.jomo-new[...] 上毛新聞 2024-01-25
[7] 문서 現地の説明板より
[8] 서적 町誌みなかみ 町誌みなかみ編纂委員会
[9] 서적 谷川岳 朝日ソノラマ
[10] 웹인용 谷川岳に因む歴史情報 https://www.tanigawa[...] 谷川岳エコツーリズム推進協議会 2024-04-27
[11] 저널 鐵道省信濃川送電線路建設工事に就いて https://www.jstage.j[...]
[12] 서적 山岳遭難の傷痕 山と渓谷社
[13] 서적 山岳 第十六年 第三号 https://jac.or.jp/sa[...] 日本山岳会
[14] 웹인용 7月2日は「谷川岳の日」 https://mmga.jp/2021[...] みなかみ山岳ガイド協会 2023-12-08
[15] 웹인용 谷川岳 https://www.yamakei-[...] ヤマケイオンライン 2024-05-05
[16] 간행물 登高行 慶應義塾大学山岳部部誌 1929-07
[17] 서적 山岳遭難の傷痕 山と渓谷社
[18] 서적 山岳遭難の傷痕 山と渓谷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