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령은 한국 전통 음악의 한 종류로, 궁중에서 연주되던 취타의 세부 유형과 관련된 용어이다. 취타는 어가 앞에서 연주되는 세악취타와 뒤에서 연주되는 대취타로 나뉘며, 각각 다른 악기 편성과 음악 형식을 갖는다. 세악취타는 취타, 길군악, 길타령, 염불타령, 별우조타령 등으로 구성되며, 대취타는 태평소, 나발, 징, 북 등의 악기로 웅장하게 연주된다. 타령은 판소리와 같이 비운에 대한 탄식을 주제로 하며, 현재는 상연되지 않고 "탄식조", "한탄조", "넋두리"의 뉘앙스로 사용된다. 배비장타령, 장기타령, 옹고집타령 등이 타령의 연목으로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음악 장르 - 사물놀이
    사물놀이는 꽹과리, 징, 장구, 북 네 가지 타악기를 사용하여 한국 농악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전통 음악 공연 형식으로, 앉은 자세로 연주하며 각 악기는 우주론적 의미를 담고 있다.
  • 한국의 음악 장르 - 향악
    향악은 통일신라 시대에 당악에 대응하는 용어로 처음 사용되었으며, 한반도 토착 음악과 외래 음악을 포괄하는 음악을 뜻한다.
타령
기본 정보
유형한국 민요
다른 이름잡가, 속요
특징후렴구 반복, 다양한 주제
지역별 분류경기 타령
남도 타령
서도 타령
동부 타령
음악적 특징
장단다양함 (세마치, 자진모리 등)
선율비교적 단순, 반복적
가사삶의 애환, 사랑, 자연 등
역사
기원조선 시대 후기
발전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 거치며 대중화
종류
경기 타령경기민요의 대표적인 곡, 밝고 경쾌한 느낌
남도 타령남도민요의 하나, 슬프고 애절한 느낌
서도 타령서도민요의 하나, 씩씩하고 웅장한 느낌
동부 타령동부민요의 하나, 소박하고 정감 있는 느낌
대표적인 타령
밀양 아리랑경상남도 밀양시 지방의 대표적인 아리랑
진도 아리랑전라남도 진도군 지방의 대표적인 아리랑
강원도 아리랑강원도 지방의 대표적인 아리랑
해주 아리랑황해도 해주시 지방의 대표적인 아리랑
창부 타령경기민요의 대표적인 곡
잦은 뱃노래남해안 지방의 뱃노래
전승 및 보존
중요 무형 문화재 지정일부 타령 (예: 진도아리랑)
전승 노력국악 단체, 민요 동호회 등
교육학교, 문화센터 등에서 교육
타령의 현대적 의미
한국인의 정서 표현애환, 즐거움, 희망 등
문화적 가치한국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음
대중 문화현대 음악, 드라마, 영화 등에서 활용

2. 취타의 종류

취타에는 어가 앞에서 연주하는 세악취타와 어가 뒤에서 연주하는 대취타가 있는데, 악기 편성과 음악 내용 면에서 서로 다르다. 세악취타는 피리, 대금, 해금, 장구, 등의 삼현육각 편성으로 연주되며, 〈취타〉, 〈길군악〉, 〈길타령〉, 〈염불타령〉, 〈별우조타령〉, 〈군악〉 등을 연주한다.[1]

2. 1. 대취타 (大吹打)

취타에는 어가(御駕) 앞에서 연주하는 세악취타(細樂吹打)와 어가 뒤에서 연주하는 대취타(大吹打)가 있는데, 악기 편성이나 음악 내용 면에서 서로 다르다. 대취타는 어가 뒤에서 태평소, 나발, 소라, 자바라, , 등 음량이 큰 악기들로 편성되며, 연주하는 음악도 〈대취타(일명 武寧之曲)〉, 〈능계〉, 〈취타굿거리〉 등이다.[1]

대취타는 태평소, 나발, 소라, 자바라, 징, 장구, 북 등 음량이 큰 관악기와 타악기로 편성된 음악이다. 옛날 궁중의 선전관청과 각 영문(營門)에 속해 있던 구군악대에서 임금의 거동, 고관의 행차, 군대 행진에 연주하던 대표적인 행진곡으로, 일명 무령지곡(武寧之曲)이라고도 한다. 장단은 12박이고, 음악은 7장으로 구분되며, 장쾌하고 웅장한 음악이다.

2. 2. 세악취타 (細樂吹打)

세악취타(細樂吹打)는 어가(御駕) 앞에서 연주하는 취타로, 악기 편성과 음악 내용 면에서 어가 뒤에서 연주하는 대취타와 다르다. 피리, 대금, 해금, 장구, 등의 삼현육각 편성으로, 〈취타(萬波停息之曲)〉, 〈길군악〉, 〈길타령〉, 〈염불타령〉, 〈별우조타령〉, 〈군악(별곡타령)〉 등을 연주한다.[1] 〈군악〉은 〈관악영산회상〉의 〈군악〉과 같고, 〈별우조타령〉도 그 계통의 음악으로 보인다.[1]

2. 2. 1. 취타 (吹打)

태평소·나발·소라·자바라·징·장구·북 등 음량이 큰 관악기와 타악기로 편성된 음악으로, 옛날 궁중의 선전관청과 각 영문(營門)에 속해 있던 구군악대에서 임금의 거동, 고관의 행차, 군대 행진에 연주하던 대표적인 행진곡이다.[1] 대취타는 일명 무령지곡(武寧之曲)이라고도 하며, 장단은 12박이고, 음악은 7장으로 구분되며, 장쾌하고 웅장한 음악이다.[1]

삼현육각(대금·향피리 2·해금·장구·북)으로 편성되는 행악(行樂), 즉 행진곡으로 쓰던 음악으로서 대취타와 관련이 있다.[1] 대취타와 같이 장단은 12박이고 음악도 7장으로 구분된다.[1] 반복 연주될 때엔 '돌아간다' 또는 '돌장'이라 하여 초장 2장단을 제치고 중간에서 다시 시작한다.[1] 취타를 끝내고 길군악이 계속 연주되는데 '바로간다'고 하며, 한 장단의 경과구가 있다.[1]

취타는 관악기와 현악기로 편성되는 경우에 대개 거문고·가야금·대금·당적·향피리·해금·아쟁·장구·좌고로 연주한다.[1] 관현악으로 연주할 때는 만파정식지곡(萬波停息之曲), 현악만으로 연주할 때는 수요남극(壽耀南極)이라고 구별하여 부르기도 한다.[1] 명쾌한 음악이다.[1]

2. 2. 2. 길군악

삼현육각(대금, 당적, 향피리 2, 해금, 장구, )으로 연주되는 행악(行樂), 즉 행진곡의 하나로, 취타에 이어서 연주된다. 장단은 8박이고, 첫마루와 돌장의 2부분으로 나뉜다. 각 부분은 한 장단을 단위로, 장으로 구분하며 6장으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돌장 4장에서 시작하여 돌장 끝에서 첫마루 처음으로 반복되는 형식이다. 길군악은 돌아가지 않고 바로 갈 때에는 '길타령'으로 넘어가는데, 길타령으로 가는 경과구가 2장(2장단)이 끼어 있다. 길군악은 군악(軍樂)과 동계(同系)음악으로 선법이 청태주평조로 되어 있다. 길군악은 일명 절화(折花)라고도 하며 명쾌한 음악이다.

2. 2. 3. 길타령

삼현육각으로 연주되는 행악, 즉 행진곡의 하나로, 취타·길군악에 이어서 연주된다. 영산회상의 타령과 관련이 있는 곡이다. 장단은 4박의 좀 빠른 타령 장단으로 되어 있다. 피리는 한 구멍 치켜잡고 분다. 본마루와 돌장으로 구분되는데, 본마루는 4장단 단위로 장을 세분하여 3장으로 가르기도 한다. 돌장 3장에서 시작하여 본마루로 간다. 끝에는 염불타령으로 가는 경과구가 있다. 길타령은 일승월항지곡 또는 우림령으로 부르기도 한다. 명쾌한 음악이다.

2. 2. 4. 염불타령

염불타령은 무용음악과 순음악으로 많이 쓰인다. 순음악으로 쓰일 때는 생황단소 또는 양금과 단소로 병주하기도 하고, 대금 혹은 피리로 독주하기도 하며, 대금·단소·세피리·해금·양금으로 편성된 세악(細樂)으로 연주하기도 한다.[1] 장단은 도드리 계통의 6박이다.[1] 2장단을 단위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반복 후에는 '쇠는 장', 즉 빠르고 높은 음정으로 연주하는 부분이 2장 따른다.[1] 염불타령은 관악염불(管樂念佛) 혹은 헌천수(獻天壽)라고도 부른다.[1]

2. 2. 5. 별우조타령

별우조타령은 행악의 하나로서 영산회상 중 타령과 관련이 있는 음악이다. '삼현타령', 금전락(金殿樂)이라고도 불린다. 취타, 길군악, 길타령에 이어서 연주된다. 장단은 타령장단이다.[1]

3. 취타수와 세악수

조선 말기 서양 군악대가 설치된 뒤부터 전통 군악대를 구군악이라 불렀다. 구군악은 궁중 선전관청(宣傳官廳)에 겸내취(兼內吹)가 있었고, 오영문(五營門)에는 취고수(吹鼓手)가 있었다. 대취타를 연주하는 악수를 '취고수' 혹은 '취타내취(吹打內吹)'라 하고, 세악취타를 연주하는 악수를 '세악수(細樂手)' 혹은 '세악내취(細樂內吹)'라 하였다. 취타수는 누런 빛깔의 전복(胡服)에 초립(草笠)을 썼다.[2]

4. 타령 (打令)

타령은 판소리가 다양한 소재를 다루는 것과 달리 "비운에 대한 탄식"을 중요한 주제로 삼는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운명에 농락당하며 스스로 어찌할 수 없는 일에 대한 탄식으로, 한국 특유의 가치관인 이 예술로 승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는 상연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타령"이라는 말만 남아 "탄식조", "한탄조", "넋두리"와 같은 뉘앙스로 사용된다.

4. 1. 타령의 연목 (演目)

참조

[1] 간행물 한국음악/한국음악/한국음악의 종류/타령 글로벌 세계 대백과
[2] 간행물 한국음악/한국음악/한국음악의 종류/타령/취고수·세악수 글로벌 세계 대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