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금은 아라비아와 페르시아의 덜시머, 코카서스의 산티르가 원형인 타현악기이다. 십자군 전쟁 시기 유럽으로 전래되어 피아노의 전신이 되었으며, 한국에는 영조 초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사다리꼴 상자 위에 56개의 쇠현을 얹고 대나무 채로 쳐서 소리를 내며, 특유의 트레몰로 주법이 가능하다. 전통 음악에서는 단소와 병주하거나 줄풍류 및 세악 합주에 사용되며, 현대 창작국악에서도 활용된다. 음정 조율이 복잡하고 연주 중 음이 변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헝가리의 악기 - 탬버린
    탬버린은 고대 이집트와 근동에서 유래하여 종교 의식과 다양한 문화에서 사용된 오랜 역사를 지닌 악기로, 둥근 틀에 막과 징글이 달린 형태이며 다양한 음악 장르와 구세군에서 활용되고, 전 세계에 유사한 악기들이 존재한다.
  • 헝가리의 악기 - 주르나
    주르나는 중앙아시아와 고대 소아시아에서 유래한 과일 나무 경목으로 만든 관악기로, 오보에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크고 날카로운 소리를 내는 특징이 있고 서아시아 민속 음악과 오스만 제국 메흐테르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쑈옴, 수오나, 태평소 등 다양한 악기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 중국의 악기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중국의 악기 - 편경
    편경은 한국 전통 악기로, 중국에서 유입된 후 자체 제작이 가능해졌으며, 16개의 석경을 쳐서 소리를 내고, 청아한 음색과 안정적인 음정으로 국악기 조율의 표준이 된다.
  • 한국의 악기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한국의 악기 - 편경
    편경은 한국 전통 악기로, 중국에서 유입된 후 자체 제작이 가능해졌으며, 16개의 석경을 쳐서 소리를 내고, 청아한 음색과 안정적인 음정으로 국악기 조율의 표준이 된다.
양금
양금
양금
악기 정보
이름양금
한국어 이름
한글양금
한자洋琴
로마자 표기yanggeum
매큔-라이샤워 표기yanggŭm

2. 기원과 전래

양금의 원형은 아라비아와 페르시아의 '덜시머(Dulcimer)' 및 코카서스의 '산티르(Santir)'이다. 이 악기는 이슬람교 음악에 쓰였는데, 10~12세기경 신성 로마 제국의 십자군 전쟁 시기에 유럽으로 전래되어 피아노의 전신이 되었고, 현재에도 헝가리 등의 집시들에게 애용된다. 현재 헝가리에서는 이 악기를 쳄발로(Cembalo)로 개량하였다.[3]

순조 때의 기록에 따르면 양금은 마테오 리치에 의해 중국 명나라에 전래되었고,[4] 한국에 들어온 것은 영조 초기로 생각된다.[5]

3. 형태

양금은 사다리꼴 상자 위에 긴 괘 2개를 세우고, 쇠로 만든 현 14벌(총 56현)을 얹는다. 현은 1벌당 4현으로 구성된다. 56개의 줄은 각각 양 끝에 줄감기 못에 감겨 있어 조율할 때 사용한다. 채는 대나무 뿌리로 만든다.

4. 주법

양금은 대부분의 국악기가 현을 뜯는 발현악기(撥絃樂器)인 것과 달리 타현악기(打絃樂器)에 해당한다. 양금 뚜껑을 열어 악기 아래에 받치고 대나무 채로 악기의 현을 쳐서 소리를 낸다. 이러한 주법으로 인해 특유의 트레몰로 주법은 가능하지만 농현(弄絃)은 불가능하다.

5. 조현법과 구분

조현법과 구분은 다음과 같다.[2]

오른편 괘 왼쪽 줄
제1현황종·내림마(e flat)·청
제2현태주·바(f)·청
제3현협종·내림사(g flat)·청
제4현중려·내림가(a flat)·흥
제5현임종·내림나(b flat)·둥
제6현남려·다(c1)·등
제7현무역·내림라(d1 flat)
왼편 괘 오른쪽 줄
제1현황종·내림마1(e1 flat)·당
제2현태주·바1(f1)·동
제3현협종·내림사1(g1 flat)·지
제4현중려·내림가1(a1 flat)·징
제5현임종·내림나1(b1 flat)·칭
제6현남려·다2(c2)
제7현무역·내림라2(d2 flat)
왼편 괘 왼쪽 줄
제1현임종·내림나1(b1 flat)·당
제2현남려·다2(c2)·동
제3현무역·내림라2(d2 flat)·지
제4현황종·내림마2(e2 flat)·징
제5현태주·바2(f2)·칭
제6현고선·내림사2(g2 flat)
제7현중려·내림가2(a2 flat)·쫑


6. 이용과 편성

양금은 음을 조절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전통 음악에서는 독주 악기로는 잘 사용되지 않고, 단소와 함께 병주(倂奏)할 때 편성되거나 현악 영산회상(絃樂靈山會相)과 같은 줄풍류 및 세악(細樂) 합주에 쓰인다.

현대의 창작국악에서는 특유의 맑은 소리 때문에 여러 음악에 쓰인다.

7. 단점

양금은 줄이 많고 쇠로 되어 있어 음정 조율이 복잡하다. 따라서 연주 중 온도 변화나 조명 등으로 인해 줄이 처질 경우 음을 다시 조율하기 어렵다.[6]

참조

[1] 웹사이트 양금 https://encykorea.ak[...]
[2] 간행물 양금 https://ko.wikisourc[...]
[3] 서적 국악작곡입문 현대음악출판사
[4] 서적 구라철사금자보(歐羅鐵絲琴字譜)
[5] 서적 위의 책
[6] 서적 국악작곡입문 현대음악출판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