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리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리카는 수피즘 교단을 의미하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분파가 존재한다. 타리카는 아랍어로 "길"을 의미하며, 수피즘의 수행의 길, 나아가 교단과 공동체를 가리킨다. 수행자는 서약을 통해 타리카에 참여하며, 계층적인 구조와 실실라(셰이크의 계보)를 갖는다. 타리카는 9세기부터 10세기 사이에 사상 체계가 확립되었으며, 12세기부터는 교단으로서의 타리카가 등장했다. 타리카는 이슬람교의 확산에 기여했으며, 특히 비아랍권 지역으로의 전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서구에는 메블레비 교단, 남아시아에는 나크쉬반디 교단, 카디리 교단, 치스티 교단 등이 있으며, 한국의 수피즘에 대한 내용은 별도로 다루어진다.
수피즘 교단은 '타리카'라고 불리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분파가 존재한다. '타리카'는 아랍어로 "길"을 의미하며, 수피즘의 수행의 길, 나아가 수피즘 교단 자체를 가리킨다. 특정 수피 교단에 소속되는 것은 배타적이지 않으며, 수피들은 종종 여러 교단의 구성원이 된다.[7]
2. 수피즘 교단 (타리카)
수행자는 '바이야'라고 불리는 사제 간의 서약을 맺음으로써 타리카에 참여한다. 타리카의 수행은 계층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수행을 완수하면 '이자자'라고 불리는 면장이 발행되어 차세대에게 가르침을 전수하는 것이 허가된다. 이러한 끊임없이 이어지는 사제 관계를 '실실라'라고 한다. 실실라의 정점에는 예언자 무함마드가 있으며, 이는 타리카의 이슬람적인 정통성을 보장한다.
대부분의 경우 셰이크는 자신의 임기 동안 후계자인 ''할리파''를 지명하며, 할리파가 교단을 넘겨받는다.[8] 드문 경우, 셰이크가 ''할리파''를 지명하지 않고 사망하면, 타리카의 제자들이 투표를 통해 다른 영적 지도자를 선출한다.
무리드는 타리카에 들어갈 때 셰이크(''무르시드'')로부터 ''아우라드''를 승인받는다. 아우라드는 매일 암송하는 기도문으로, 내용은 광범위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의례적인 청결 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무리드의 수피 학위가 올라감에 따라 아우라드의 내용도 변경된다.
수피즘은 이슬람의 영적 전통을 따르는 그룹으로, 공식 학자인 ''울마''와 구별되며, 이슬람의 비공식 선교사 역할을 하기도 했다. 수피즘은 신앙의 감정적 표현을 위한 길을 제공했으며, 타리카는 이슬람 세계 전역에 퍼져나가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했다.
2. 1. 주요 수피 교단
잘랄 앗딘 무함마드 루미의 가르침을 따르는 메블레비 교단은 '회전하는 데르비쉬' 의식으로 유명하다.[2] 하지 벡타쉬 벨리의 가르침을 따르는 벡타쉬 교단도 있는데, 터키와 발칸 지역에 널리 퍼져 있다. 바하웃딘 나크쉬반드 부하라를 따르는 나크쉬반디 교단은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에서 영향력이 크며, 한국의 이슬람교 전파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10] 압둘 카디르 길라니를 따르는 카디리 교단은 남아시아와 아프리카 등지에 널리 퍼져 있다.[2]
호자 마우두드 치스티와 호자 무이누딘 치스티를 따르는 치스티 교단은 인도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교단 중 하나이다. 샤하브 알딘 수라와르디를 따르는 수라와르디 교단은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영향력이 크다.
이 외에도 무리디야(서아프리카), 부르하니야(수단과 이집트), 티자니야(서아프리카와 북아프리카), 마이즈반다리 타리카(19세기 방글라데시),[4] 와르시 타리카(와리스 알리 샤 설립)[5][6] 등의 주요 수피 교단들이 있다.
2. 2. 교단의 구조와 수행
타리카 교단의 구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구분 | 설명 |
---|---|
셰이크(무르시드) | 교단의 영적 지도자로, 제자들의 수행을 지도하고 인도한다.[8] |
할리파 | 셰이크의 후계자로, 셰이크가 생전에 지명하거나,[8] 셰이크 사후 제자들의 투표로 선출되기도 한다. |
무리드 | 셰이크에게 귀의한 제자로, 교단의 가르침과 수행을 따른다. |
실실라 | 교단의 영적 계보로, 예언자 무함마드 또는 초기 칼리프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9] 나크쉬반디 교단의 실실라는 수니파 이슬람의 첫 번째 칼리프인 아부 바크르로 이어진다.[10] |
타리카의 수행은 다음과 같다.
수행 | 설명 |
---|---|
아우라드 | 무리드가 매일 암송하는 기도문으로, 셰이크로부터 승인받는다. |
하드라 | 주 1회 집단으로 기도를 하는 의식이다. |
9세기 중반부터 10세기 중반에 걸쳐 수피즘의 사상 체계가 확립되었다. 수피즘에는 "스승이 없는 자에게는 악마가 스승이 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스승의 가르침이 중요하며, 단독으로 수행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위로 여겨졌다. 수피즘은 성립 초기부터 신과의 합일을 이룬 도사와 소수의 제자로 구성된 공동체를 형성했다. 수행 방법은 도사의 방침에 따라 다소 달랐지만, 방법론 자체는 이미 체계적으로 확립되어 있었으며, 이 방법론이 본래 "타리카"라고 불리는 것이다.
3. 타리카 성립의 역사
12세기 무렵부터 이슬람권에서 다양한 수피즘 교단(공동체)으로서의 타리카가 출현하기 시작했다. 타리카의 명칭은 정신적 지도자(셰이크)나 창시자의 이름을 따는 경우가 많았다. 타리카의 멤버는 도장에 정기적으로 모여 수피즘 교의 학습과 집단 수행을 하였다.
13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 타리카는 대형화되었고, شهاب_الدين_عمر_السهروردي|우마르 수라와르디ar가 쓴 『지혜의 은혜』라는 수행 지침서가 널리 채택되었다. 초기 수피즘 이래의 은둔 생활과 독신주의를 포기하는 유파가 늘어났고, 조직도 점차 관료화되었다. 지도자의 세습이 일반화되면서 타리카는 천천히 쇠퇴해갔지만, 분기와 전파를 반복하며 현재까지 존속하는 조직도 많이 있다.
3. 1. 이슬람 확산에 대한 기여
타리카는 이슬람교, 특히 비아랍권 지역으로의 확산에 큰 기여를 했다. 9세기부터 14세기까지 사하라 이남 지역의 이슬람 확산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북아프리카와 가나, 말리 등 사하라 이남 왕국 간의 무역로를 따라 남쪽으로 퍼져나갔다. 서아프리카 해안에서는 나이저 강 유역에 자위야를 세웠으며, '알 무라비툰' 또는 알모라비드 왕조와 같은 독립 왕국을 건설하기도 했다.[11] 19세기에는 사누시 교단이 아프리카에서 선교 활동을 통해 이슬람교와 문해력을 차드호 이남 지역까지 확산시켰으며, 이슬람교를 가르치는 자위야 네트워크를 구축했다.[11]
중앙아시아와 남부 러시아의 상당 부분은 타리카의 선교 활동을 통해 이슬람교로 개종했으며, 무슬림 군대가 발을 들인 적이 없는 인도네시아 인구의 대다수는 무슬림 상인과 수피 선교사들의 노력으로 이슬람교로 개종했다.[11] 인도의 수피교는 엘리트 및 대중 수준에서 이슬람교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1]
17세기에는 마 라이치 등 중국 수피교도들이 메카와 예멘에서 공부하고 카슈가르 출신 수피 스승 아파크 호자의 영향을 받아 타리카를 중국으로 전파했다. 이들은 중국에서 '먼환'으로 알려졌으며, 창시자의 무덤 (''궁베이'') 근처에 본부를 두었다.[11]
4. 한국의 수피즘
한국 이슬람교의 역사는 고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고려 시대에는 중앙아시아 출신 무슬림들이 고려에 귀화하여 공동체를 이루고 살았다는 기록이 있다. 이들 중 수피즘을 따르는 이들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조선 시대에는 조선 왕조의 억불숭유 정책으로 이슬람교는 쇠퇴했지만, 민간 신앙 형태로 명맥을 유지했을 가능성이 있다.
현대에는 한국전쟁 이후 터키 군인들을 통해 수피즘이 다시 소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현재 한국에는 다양한 수피 교단이 활동하고 있으며, 이슬람교 신자들뿐만 아니라 비무슬림 중에서도 수피즘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참조
[1]
문서
Tariqa
Britannica
[2]
웹사이트
Gyarvi Sharif
http://www.shattariy[...]
2022-10-03
[3]
서적
Hayate Makhdoom Syed Ashraf Jahangir Semnani
Maktaba Jamia Ltd
[4]
서적
Sufism and Saint Veneration in Contemporary Bangladesh: The Maijbhandaris of Chittagong.
Routledge
[5]
웹사이트
Waris Pak
http://www.shattariy[...]
2022-10:03
[6]
서적
SUFISM AND ENGLISH LITERATURE : Chaucer to the Present Age
https://books.google[...]
Adam Publishers & Distributors
[7]
서적
Sufi martyrs of love
[8]
서적
Encyclopaedic survey of Islamic culture. evolution and practice
Anmol Publications Pvt. Ltd
[9]
서적
Sufism
Routledge
[10]
서적
Classical Islam and the Naqshbandi Sufi tradition
Islamic Supreme Council of America
[11]
서적
A sketch of the history of Chinese Islamic sects and the menhuan system
https://books.google[...]
Ningxia Renmin Chubansh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