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히티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히티 축구 국가대표팀은 1952년 창단되었으며,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 소속이다. 1966년, 1975년, 1979년, 1983년, 1995년 퍼시픽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2012년 OFC 네이션스컵에서 우승하며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했다.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진출한 적이 없으며, 2022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솔로몬 제도에 패해 탈락했다. 주요 선수로는 테아누이 테하우가 있으며, 뉴칼레도니아와 스포츠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전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전은 브라질이 스페인을 3-0으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한 경기로, 프레드의 2골과 네이마르의 1골로 승리했으며 네이마르가 경기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선수 명단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선수 명단은 일본, 멕시코, 이탈리아, 브라질, 나이지리아, 타히티, 우루과이, 스페인 8개 참가국의 선수 명단과 소속 클럽 현황, 자국 리그 선수 비중 정보를 담고 있다.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참가국 - 칠레 축구 국가대표팀
칠레 축구 국가대표팀은 1895년 창립된 칠레 축구 협회에서 운영하는 남미의 국가대표 축구팀으로, 1962년 자국 월드컵 3위, 2015년과 2016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현재는 세대교체를 진행 중이며, 아르헨티나와 페루를 라이벌로 두고 특히 페루와의 경기는 '태평양 더비'로 불린다.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참가국 -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은 프랑스에서 개최되었으며, 프랑스가 결승에서 카메룬을 꺾고 우승했으며 티에리 앙리가 골든볼과 골든슈를 수상했다.
타히티 축구 국가대표팀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토아 아이토 (Les guerriers de fer; 철의 전사) |
협회 | 타히티 축구 연맹 |
연맹 | OFC (오세아니아) |
감독 | 사뮈엘 가르시아 |
주장 | 테아오뉘 테하우 |
최다 출장 선수 | 테아오뉘 테하우 (48) |
최다 득점 선수 | 테아오뉘 테하우 (31) |
홈 경기장 | 스타드 파테 트 호노 누이 |
FIFA 트리그램 | TAH |
FIFA 최고 랭킹 | 111 |
FIFA 최고 랭킹 날짜 | 2002년 8월 |
FIFA 최저 랭킹 | 196 |
FIFA 최저 랭킹 날짜 | 2016년 4월–5월 |
Elo 최고 랭킹 | 45 |
Elo 최고 랭킹 날짜 | 1983년 9월 |
Elo 최저 랭킹 | 167 |
Elo 최저 랭킹 날짜 | 2011년 9월 |
최대 점수차 승리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30–0 쿡 제도 (파페에테, 타히티; 1971년 9월 2일) |
최대 점수차 패배 | 뉴질랜드 10–0 타히티 (애들레이드, 오스트레일리아; 2004년 6월 4일) 스페인 10–0 타히티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2013년 6월 20일) |
지역 대회 | |
지역 대회 이름 | OFC 네이션스컵 |
지역 대회 출전 횟수 | 10 |
첫 지역 대회 출전 | 1973년 |
지역 대회 최고 성적 | 우승 (2012년) |
대륙간 대회 | |
대륙간 대회 출전 횟수 | 1 |
첫 대륙간 대회 출전 | 2013년 |
대륙간 대회 최고 성적 | 조별 리그 (2013년) |
기타 지역 대회 | |
기타 지역 대회 이름 | 쿠프 드 뢰트르메르 |
기타 지역 대회 출전 횟수 | 2 |
첫 기타 지역 대회 출전 | 2010년 |
기타 지역 대회 최고 성적 | 6위 (2012년) |
2. 역사
1989년 나폴레옹 스피츠의 지휘 아래 타히티 축구 연맹이 공식 설립되었다. 타히티는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처음 참가하여 A조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솔로몬 제도와 경쟁하였다.
2012년 OFC 네이션스컵 결승에서 뉴칼레도니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는데, 이는 오스트레일리아(현 AFC 소속)와 뉴질랜드를 제외한 팀으로서는 최초의 우승이었다.[30] 이 우승으로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13 출전권을 획득하여 FIFA 주최 국제 대회에 처음으로 참가하게 되었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13에서 타히티는 나이지리아에 1-6, 스페인에 0-10, 우루과이에 0-8로 패배하며 3연패를 기록했다. 하지만 타히티 선수들의 투지와 골을 향한 열정은 브라질 현지 팬들의 큰 응원을 받았고,[31] 페르난도 토레스를 비롯한 상대팀 선수들로부터 페어플레이에 대한 칭찬을 받았다.[32] 특히 나이지리아와의 첫 경기에서 조나탄 테하우가 기록한 골은 FIFA 주최 국제 대회에서 타히티 대표팀의 사상 첫 골이었으며, 타히티 축구 연맹은 이를 "모든 오세아니아 국가의 골"이라며 기쁨을 표현했다.[33]
2. 1. 초기 역사 (1952년 ~ 1990년)
타히티는 1952년 9월 21일 뉴질랜드와의 홈 경기에서 첫 공식 경기를 치렀으며,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일주일 후 두 팀은 다시 맞붙었고, 뉴질랜드가 5-3으로 승리했다. 9월 30일 세 번째 경기에서 타히티는 2-0으로 첫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이 경기가 A매치였는지는 알 수 없다.[6]1953년 9월, 타히티는 뉴칼레도니아에서 뉴칼레도니아 국가대표팀과 세 경기를 치렀고, 첫 경기에서 5-0으로 패배했으며, 나머지 두 경기에서 4-1로 패배했다. 그 후 뉴헤브리디스 제도(현 바누아투)로 이동하여 바누아투 국가대표팀을 상대로 두 번의 경기에서 4-2로 승리했다. 1969년에는 방문한 세계 챔피언 잉글랜드가 친선 경기에서 타히티를 4-1로 이겼다.[7] 1989년 나폴레옹 스피츠의 지휘 아래 공식 축구 연맹이 설립되었다.
타히티는 미국에서 열린 1994년 월드컵 진출을 목표로 첫 월드컵 예선에 참가했다. A조에 오스트레일리아와 솔로몬 제도와 함께 편성되어 1992년 7월 11일 호니아라에서 솔로몬 제도와의 원정 경기를 치렀다. 에릭 에타에타가 76분에 동점골을 넣어 1-1을 만들었다. 9월 11일, 타히티는 파페에테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맞아 3-0으로 패배했다. 다음 경기는 다시 오스트레일리아와의 경기였으며, 브리즈번에서 2-0으로 원정 패배를 당했다. 10월 9일, 파페에테에서 타히티는 솔로몬 제도를 4-2로 이겼다. 타히티의 첫 골은 정치인이자 현재 OFC 회장인 레이널드 테마리가 8분에 페널티킥으로 성공시킨 것이다. 그러나 타히티는 조에서 오스트레일리아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 2. 월드컵 도전과 OFC 네이션스컵 (1990년대 ~ 2010년대)
타히티는 현재까지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2012년 OFC 네이션스컵에서 5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하며 사상 첫 월드컵 지역 최종 예선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30] 이는 타히티 축구 역사상 월드컵 지역 예선 최고 성적이었다.OFC 네이션스컵 본선에는 9번 출전하여 2012년 OFC 네이션스컵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1973년, 1980년, 1996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1998년, 2002년 대회에서는 4강에 진출했다.
1989년 나폴레옹 스피츠의 지휘 아래 타히티 축구 연맹이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타히티는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처음 참가하여 A조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솔로몬 제도와 경쟁했다. 1992년 7월 11일 솔로몬 제도와의 원정 경기에서 에릭 에타에타의 동점골로 1-1 무승부를 기록했고, 10월 9일 파페에테에서 열린 솔로몬 제도와의 홈 경기에서는 4-2로 승리했다. 이 경기에서 타히티의 첫 골은 현재 OFC 회장인 레이널드 테마리가 페널티킥으로 성공시킨 것이었다. 그러나 타히티는 오스트레일리아에 이어 조 2위를 기록하며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2012년 OFC 네이션스컵 결승에서 뉴칼레도니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는데, 이는 오스트레일리아(현 AFC 소속)와 뉴질랜드를 제외한 팀으로서는 최초의 우승이었다.[30] 이 우승으로 타히티는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13 출전권을 획득하여 FIFA 주최 국제 대회에 처음으로 참가하게 되었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13에서 타히티는 나이지리아에 1-6, 스페인에 0-10, 우루과이에 0-8로 패배하며 3연패를 기록했다. 하지만 타히티 선수들의 투지와 골을 향한 열정은 브라질 현지 팬들의 큰 응원을 받았고,[31] 페르난도 토레스를 비롯한 상대팀 선수들로부터 페어플레이에 대한 칭찬을 받았다.[32] 특히 나이지리아와의 첫 경기에서 조나탄 테하우가 기록한 골은 FIFA 주최 국제 대회에서 타히티 대표팀의 사상 첫 골이었으며, 타히티 축구 연맹은 이를 "모든 오세아니아 국가의 골"이라며 기쁨을 표현했다.[33]
2. 3. 2012 OFC 네이션스컵 우승과 컨페더레이션스컵
2012 OFC 네이션스컵에서 타히티는 결승전에서 스티비 콩 후의 골로 뉴칼레도니아를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8] 이는 오스트레일리아 (현 AFC 소속)와 뉴질랜드를 제외한 다른 국가가 오세아니아 챔피언에 오른 최초의 사례였다.[8][30]
이 우승으로 타히티는 2013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출전할 자격을 얻었다.[9] 타히티는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팀 나이지리아, UEFA 유로 2012 우승팀 스페인, 2011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팀 우루과이와 함께 B조에 편성되었다. 타히티는 조별 리그에서 3전 전패를 기록하며 세계 축구의 높은 벽을 실감했다.[13] 특히 스페인과의 경기에서는 0-10으로 대패했는데, 이는 뉴질랜드와의 2004년 OFC 네이션스컵 경기와 함께 최다 점수 차 패배 타이기록이었다.[11]
벨루오리존치에서 열린 나이지리아와의 첫 경기에서 타히티는 1-6으로 패했지만, 조나탄 테하우가 코너킥 헤딩으로 타히티의 유일한 골을 기록하며 국제 대회에서의 첫 골이라는 기쁨을 맛보았다.[10] 타히티 축구 연맹은 공식 트위터에 "모든 오세아니아 국가의 골"이라며 이 골을 기념했다.[33]
비록 타히티는 3경기에서 총 24골을 실점하고 1골을 득점하여 -23의 골득실로 대회를 마감했지만,[13] 언더독으로서의 투혼은 브라질 국민들로부터 큰 존경을 받았고, 모든 경기에서 타히티를 향한 응원이 이어졌다.[14][31] 스페인의 비센테 델 보스케 감독과 페르난도 토레스, 다비드 비야 등은 타히티의 페어플레이를 칭찬했다.[15][32]
2. 4. 최근 역사 (2010년대 후반 ~ 현재)
Toa Aito프랑스어는 카타르 월드컵 예선 토너먼트에 복귀했지만, 솔로몬 제도와의 경기에서 1-3으로 패하며 A조 2위를 차지했다. 솔로몬 제도가 전반 20분에 득점하며 앞서 나갔지만, 타히티는 전반 26분 알빈 테하우(Alvin Tehau)의 득점으로 동점을 만들었다. 이후 솔로몬 제도는 후반전 시작 직후 빠른 역습으로 다시 득점하고, 경기 종료 직전 추가 득점에 성공했다.[16]3. 국제 대회 기록
타히티는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다양한 성적을 거두었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2012년 OFC 네이션스컵 우승팀 자격으로 2013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출전했다. 그러나 나이지리아, 스페인, 우루과이를 상대로 3전 전패를 기록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특히 스페인과의 경기에서는 0-10으로 대패하며 최다 점수차 패배 타이기록을 세웠다.[9][11]
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92년 ~ 1995년 | OFC 대표팀 초청 없음 | |||||||
1997년 ~ 2009년 | 예선 탈락 | |||||||
2013 | 조별 리그 | 8위 | 3 | 0 | 0 | 3 | 1 | 24 |
2017 | 예선 탈락 | |||||||
합계 | 조별 리그 | 10위 중 1위 | 3 | 0 | 0 | 3 | 1 | 24 |
OFC 네이션스컵 (오세아니아 네이션스컵)OFC 네이션스컵에는 총 10번 출전하여 2012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1973년, 1980년, 1996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OFC 네이션스컵 기록 | ||||||
---|---|---|---|---|---|---|
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1973 | 준우승 | 2위 | 5 | 2 | 2 | 1 |
1980 | 준우승 | 2위 | 4 | 3 | 0 | 1 |
1996 | 준우승 | 2위 | 4 | 2 | 0 | 2 |
1998 | 4위 | 4위 | 4 | 1 | 0 | 3 |
2000 | 조별리그 | 5위 | 2 | 0 | 0 | 2 |
2002 | 3위 | 3위 | 5 | 3 | 0 | 2 |
2004 | 조별리그 | 5위 | 5 | 1 | 1 | 3 |
2008 | 예선 탈락 | |||||
2012 | 우승 | 1위 | 5 | 5 | 0 | 0 |
2016 | 조별리그 | 5위 | 3 | 1 | 2 | 0 |
2024 | 3위 | 3위 | 5 | 2 | 1 | 2 |
합계 | 1회 우승 | 10/11 | 42 | 20 | 6 | 16 |
남태평양 게임 (퍼시픽 게임)남태평양 게임(현 퍼시픽 게임)에는 16번 출전하여 금메달 5개, 은메달 3개, 동메달 3개를 획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남태평양 게임 축구 기록 | ||||||
---|---|---|---|---|---|---|
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1963 | 3위 | 3위 | 2 | 1 | 0 | 1 |
1966 | 우승 | 1위 | 4 | 4 | 0 | 0 |
1969 | 준우승 | 2위 | 5 | 3 | 1 | 1 |
1971 | 3위 | 3위 | 4 | 2 | 1 | 1 |
1975 | 우승 | 1위 | 5 | 4 | 0 | 1 |
1979 | 우승 | 1위 | 5 | 5 | 0 | 0 |
1983 | 우승 | 1위 | 5 | 5 | 0 | 0 |
1987 | 준우승 | 2위 | 5 | 3 | 1 | 1 |
1991 | 조별리그 | 6위 | 3 | 1 | 0 | 2 |
1995 | 우승 | 1위 | 6 | 6 | 0 | 0 |
2003 | 4위 | 4위 | 6 | 3 | 0 | 3 |
2007 | 조별리그 | 6위 | 4 | 1 | 1 | 2 |
2011 | 3위 | 3위 | 6 | 3 | 1 | 2 |
2015 | 준우승 | 2위 | 5 | 3 | 1 | 1 |
2019 | 조별리그 | 5위 | 5 | 3 | 0 | 2 |
2023 | 5-8위 결정전 | 5위 | 4 | 3 | 1 | 0 |
합계 | 5회 우승 | 16/16 | 74 | 50 | 7 | 17 |
폴리네시아컵폴리네시아컵에서는 3번 출전하여 모두 우승을 차지했다.
폴리네시아컵 기록 | ||||
---|---|---|---|---|
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1994 | 우승 | 1위 | 3 | 3 |
1998 | 우승 | 1위 | 4 | 4 |
2000 | 우승 | 1위 | 4 | 4 |
합계 | 3회 우승 | 3/3 | 11 | 11 |
3. 1. FIFA 월드컵
현재까지도 월드컵 본선 경험은 전무하지만, 2012년 OFC 네이션스컵에서 5전 전승·전체 1위로 사상 첫 월드컵 지역 최종 예선에 진출하며 타히티 축구 역사상 월드컵 지역 예선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34]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30년 ~ 1990년 | 없음 | ||||||
1994년 | 4 | 1 | 1 | 2 | 5 | 8 | 4 |
1998년 | 4 | 0 | 1 | 3 | 2 | 12 | 1 |
2002년 | 4 | 3 | 0 | 1 | 14 | 6 | 9 |
2006년 | 9 | 3 | 3 | 3 | 7 | 25 | 12 |
2010년 | 4 | 1 | 1 | 2 | 2 | 6 | 4 |
2014년 | 11 | 6 | 0 | 5 | 22 | 17 | 18 |
2018년 | 7 | 3 | 2 | 2 | 14 | 7 | 11 |
2022년 | 2 | 0 | 0 | 2 | 1 | 4 | 0 |
합계 | 45 | 17 | 8 | 20 | 67 | 85 | 59 |
3. 2. OFC 네이션스컵
OFC 네이션스컵 본선에는 9번 출전하여 2012년 대회에서 사상 첫 메이저 대회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1973년, 1980년, 1996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1998년, 2002년 대회에서는 4강에 이름을 올렸다.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73년 | 준우승 | 2위 | 5 | 2 | 2 | 1 | 7 | 4 | 8 |
1980년 | 준우승 | 2위 | 4 | 3 | 0 | 1 | 23 | 9 | 9 |
1996년 | 준우승 | 2위 | 4 | 2 | 0 | 2 | 3 | 12 | 6 |
1998년 | 4강 | 4위 | 4 | 1 | 0 | 3 | 8 | 10 | 3 |
2000년 | 조별리그 | 5위 | 2 | 0 | 0 | 2 | 2 | 5 | 0 |
2002년 | 4강 | 3위 | 5 | 3 | 0 | 2 | 8 | 9 | 9 |
2004년 | 결선리그 | 5위 | 5 | 1 | 1 | 3 | 2 | 24 | 4 |
2008년 | 예선 탈락 | ||||||||
2012년 | 우승 | 1위 | 5 | 5 | 0 | 0 | 20 | 5 | 15 |
2016년 | 조별리그 | 5위 | 3 | 1 | 2 | 0 | 7 | 3 | 5 |
합계 | 9회 진출(9/10) | 우승(1회) | 37 | 18 | 5 | 14 | 80 | 81 | 59 |
순위 | OFC 네이션스컵 순위 : 3위 |
3. 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13년 대회에 2012년 OFC 네이션스컵 우승팀 자격으로 출전하여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팀인 나이지리아, UEFA 유로 2012 챔피언이자 메이저 대회 3연속 제패의 대기록을 수립한 스페인, 2011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팀인 우루과이와 B조에 편성되었다. 3전 전패·조 최하위로 세계 축구의 높은 벽을 실감했고 특히 스페인과의 2차전 경기(0-10 패)는 뉴질랜드와의 2004년 OFC 네이션스컵 2라운드 4차전과 함께 최다 점수차 패배 타이를 이룬 경기로 기록되었다.[9][11]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 ||||||||
---|---|---|---|---|---|---|---|---|
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92년 ~ 1995년 | OFC 대표팀 초청 없음 | |||||||
1997년 ~ 2009년 | 예선 탈락 | |||||||
2013 | 조별 리그 | 8위 | 3 | 0 | 0 | 3 | 1 | 24 |
2017 | 예선 탈락 | |||||||
합계 | 조별 리그 | 10위 중 1위 | 3 | 0 | 0 | 3 | 1 | 24 |
2012년 OFC 네이션스컵에서 우승함으로써 타히티는 브라질에서 열린 2013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처음으로 출전하게 되었다.[9] 타히티는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했지만 FIFA 월드컵에는 출전한 적이 없는 유일한 팀이다(대회 폐지 이후).[9] 벨루오리존치에서 열린 2013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나이지리아에 1-6으로 패했다. 조나탄 테하우가 코너킥 헤딩으로 후반전에 타히티의 유일한 골을 넣었고, 타히티 팬들은 국제 대회에서 골을 넣었다는 사실에 기뻐했다.[10] 스페인에 10-0으로 패하며 9년 전 뉴질랜드와의 경기에서 기록했던 최다 실점 기록과 동률을 이뤘다.[11] 우루과이에 8-0으로 패했다.[12]
결국 타히티는 총 24골을 실점하고 1골을 넣어 -23의 골득실을 기록하며, 주요 대회에 참가한 모든 국가 대표팀 중 최악의 기록을 남겼다.[13] 하지만 좋지 않은 성적과 대패에도 불구하고, 타히티의 언더독다운 모습은 브라질 국민들로부터 큰 존경을 받았고, 모든 경기에서 타히티를 응원했다.[14] 스페인의 비센테 델 보스케 감독과 페르난도 토레스, 다비드 비야(각각 타히티와의 경기에서 4골과 3골을 득점) 등의 선수들은 타히티의 페어플레이를 칭찬했다.[15]
타히티에게 있어 최대의 하이라이트는 첫 경기 나이지리아전에서 조나탄 테하우가 FIFA가 주최하는 국제 대회에서 타히티 대표팀 사상 최초의 역사적인 골을 넣은 순간이었다. 이 골에 대해 타히티 축구 연맹은 공식 트위터에 "모든 오세아니아 국가의 골이다"라고 게시하며 기쁨을 표현했다.[33]
3. 4. 퍼시픽 게임
타히티는 퍼시픽 게임에 14번 출전하여 금메달 5개, 은메달 3개, 동메달 3개를 획득했다.남태평양 게임 축구 기록 | ||||||||
---|---|---|---|---|---|---|---|---|
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63 | 3위 | 3위 | 2 | 1 | 0 | 1 | 19 | 2 |
1966 | 우승 | 1위 | 4 | 4 | 0 | 0 | 14 | 3 |
1969 | 준우승 | 2위 | 5 | 3 | 1 | 1 | 19 | 7 |
1971 | 3위 | 3위 | 4 | 2 | 1 | 1 | 41 | 5 |
1975 | 우승 | 1위 | 5 | 4 | 0 | 1 | 12 | 6 |
1979 | 우승 | 1위 | 5 | 5 | 0 | 0 | 33 | 2 |
1983 | 우승 | 1위 | 5 | 5 | 0 | 0 | 25 | 2 |
1987 | 준우승 | 2위 | 5 | 3 | 1 | 1 | 9 | 4 |
1991 | 조별리그 | 6위 | 3 | 1 | 0 | 2 | 15 | 5 |
1995 | 우승 | 1위 | 6 | 6 | 0 | 0 | 35 | 2 |
2003 | 4위 | 4위 | 6 | 3 | 0 | 3 | 25 | 7 |
2007 | 조별리그 | 6위 | 4 | 1 | 1 | 2 | 2 | 6 |
2011 | 3위 | 3위 | 6 | 3 | 1 | 2 | 28 | 9 |
2015 | 준우승 | 2위 | 5 | 3 | 1 | 1 | 34 | 4 |
2019 | 조별리그 | 5위 | 5 | 3 | 0 | 2 | 19 | 6 |
2023 | 5-8위 결정전 | 5위 | 4 | 3 | 1 | 0 | 9 | 1 |
합계 | 5회 우승 | 16/16 | 74 | 50 | 7 | 17 | 339 | 71 |
3. 5. 폴리네시아컵
폴리네시아컵 기록 | ||||||||
---|---|---|---|---|---|---|---|---|
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94 | 우승 | 1위 | 3 | 3 | 0 | 0 | 10 | 1 |
1998 | 우승 | 1위 | 4 | 4 | 0 | 0 | 27 | 1 |
2000 | 우승 | 1위 | 4 | 4 | 0 | 0 | 30 | 2 |
합계 | 3회 우승 | 3/3 | 11 | 11 | 0 | 0 | 67 | 4 |
4. 라이벌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타히티와 뉴칼레도니아는 오랜 스포츠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다. 두 지역은 정기적으로 지역 대회 및 2006년부터 국제 대회에서 경쟁하고 있다. 2012년 기준으로 타히티는 오세아니아 네이션스컵 1회 우승, 남태평양 게임 금메달 5개, 남태평양 미니 게임 금메달 2개를 획득하여 뉴칼레도니아(남태평양 게임 금메달 6개)보다 우승 횟수가 많았다. 2018년 마지막 경기까지 1953년 이후 62경기에서 뉴칼레도니아는 28승, 타히티는 25승, 9경기는 무승부를 기록했다.[17]
5. 선수
타히티 축구 국가대표팀은 현재 선수 명단과 주요 선수를 포함하여 선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2024년 11월 18일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 바누아투와의 경기를 위해 소집된 선수 명단이 발표되었다.[18]
역대 주요 선수로는 테아누이 테하우가 48경기 출전 31골로 최다 출전 및 최다 득점을 기록하고 있으며, 앙젤로 쳉, 헤이마노 부레바레, 알뱅 테하우 등이 뒤를 잇고 있다.[19]
5.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11월 18일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 바누아투와의 경기를 위해 소집된 선수 명단이다.[18]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전 경기 수 | 득점 수 | 소속 클럽 | |
---|---|---|---|---|---|---|---|
GK | 1 | Tevaearai Tamatai | Tevaearai Tamatai|테바에라이 타마타이프랑스어 | 0 | 0 | 베뉘스 | |
GK | 16 | Teave Teamotuaitau | Teave Teamotuaitau|테아베 티모투아이타우프랑스어 | 20 | 0 | 테파나 | |
GK | 23 | François Decoret | François Decoret|프랑수아 데코레프랑스어 | 4 | 0 | 피라에 | |
DF | 3 | Matatia Paama | Matatia Paama|마타티아 파아마프랑스어 | 21 | 1 | 피라에 | |
DF | 5 | François Hapipi | François Hapipi|프랑수아 하피피프랑스어 | 9 | 0 | 테파나 | |
DF | 7 | Eddy Kaspard | Eddy Kaspard|에디 카스파르프랑스어 | 14 | 4 | 테파나 | |
DF | 12 | Mauri Heitaa | Mauri Heitaa|마우리 헤이타아프랑스어 | 9 | 0 | 베뉘스 | |
DF | 17 | Téva Lossec | Téva Lossec|테바 로섹프랑스어 | 12 | 1 | 캠벨 파이팅 카멜스 | |
DF | 19 | Kévin Barbe | Kévin Barbe|케뱅 바르브프랑스어 | 15 | 1 | 베뉘스 | |
DF | 20 | Victor Snow | Victor Snow|빅터 스노우프랑스어 | 2 | 0 | 테파나 | |
MF | 4 | Vahia Tetuaroa | Vahia Tetuaroa|바히아 테투아로아프랑스어 | 0 | 0 | 알 수 없음 | |
MF | 6 | Louis Gitton | Louis Gitton|루이 지통프랑스어 | 7 | 1 | 테파나 | |
MF | 8 | Roonui Tehau | Roonui Tehau|루누이 테하우프랑스어 | 11 | 1 | 베뉘스 | |
MF | 11 | Manuarii Shan | Manuarii Shan|마누아리 샨프랑스어 | 11 | 0 | 베뉘스 | |
MF | 13 | Frank Papaura | Frank Papaura|프랭크 파파우라프랑스어 | 13 | 0 | 푸에우 | |
MF | 14 | Alvin Tehau | Alvin Tehau|앨빈 테하우프랑스어 | 30 | 9 | 피라에 | |
FW | 9 | Benoît Mathon | Benoît Mathon|브누아 마통프랑스어 | 3 | 2 | 루니옹 생장 | |
FW | 10 | Teaonui Tehau | Teaonui Tehau|테아누이 테하우프랑스어 | 48 | 31 | 베뉘스 | |
FW | 18 | Manoa Flores | Manoa Flores|마노아 플로레스프랑스어 | 0 | 0 | 베뉘스 | |
FW | 21 | Matéo Degrumelle | Matéo Degrumelle|마테오 데그뤼멜프랑스어 | 11 | 3 | 퀘빌리-루앙 |
선수들의 출전 경기 수와 득점 수는 2024년 11월 18일 바누아투전 이후 기준으로 정정되었다.[18]
5. 2. 주요 선수
순위 | 선수 | 출전 | 득점 | 활동 기간 |
---|---|---|---|---|
1 | 테아누이 테하우 | 48 | 31 | 2011년–현재 |
2 | 앙젤로 쳉 | 34 | 1 | 2001년–2018년 |
3 | 헤이마노 부레바레 | 30 | 1 | 2010년–현재 |
4 | 알뱅 테하우 | 29 | 9 | 2010년–현재 |
5 | 스티비 촐 휴 | 28 | 8 | 2010년–2016년 |
자비에르 사민 | 28 | 0 | 2001년–2013년 | |
7 | 조나단 테하우 | 25 | 5 | 2011년–2017년 |
뱅상 시몽 | 25 | 1 | 2004년–2016년 | |
9 | 스탕레 아타니 | 24 | 6 | 2010년–2019년 |
10 | 펠릭스 타가와 | 22 | 14 | 2000년–2004년 |
6. 역대 감독
순서 | 이름 | 재임 기간 |
---|---|---|
1 | 프레디 베르노동 | 1973 |
2 | 리샤르 반삼 | 1980 |
3 | 프랑수아 페레스 | 1992 |
4 | 베르나르 바히루아 | 1992 |
5 | 움베르토 모티니|움베르토 모티니it | 1995–1996 |
6 | 제라르 카우타이 | 1996 |
7 | 리샤르 반삼 | 1997 |
8 | 알랭 루소 | 1998 |
9 | 레온 가르디키오티스 | 1999–2000 |
10 | 파트릭 자크메 | 2001–2003 |
11 | 제라르 카우타이 | 2004–2007 |
12 | 에디 에타에타 | 2010–2015 |
13 | 뤼도빅 그로그나르 | 2015–2018 |
14 | 나에 베넷 | 2018–2019 |
15 | 사무엘 가르시아 | 2019–현재 |
참조
[1]
웹사이트
Sélection de Tahiti: Samuel Garcia est le nouvel entreineur
https://www.ftf.pf/f[...]
FTF
2018-05-21
[2]
뉴스
Trophies in paradise
http://www.thefootba[...]
2012-10-02
[3]
뉴스
Tahiti ready for Confederations Cup
http://www.scotsman.[...]
2013-06-09
[4]
뉴스
IN THE LAND OF GIANTS – Tahiti set for Confederations Cup adventure
http://footballrepub[...]
2013-06-14
[5]
웹사이트
Tahiti national football team
http://www.roadtobra[...]
[6]
웹사이트
Tahiti International Matches
https://www.rsssf.or[...]
[7]
웹사이트
England's matches: unofficial 1946 onwards
http://www.englandfo[...]
England Football Online
[8]
웹사이트
Glorious Tahiti claim maiden Oceania crown
https://www.fifa.com[...]
FIFA
2012-06-10
[9]
웹사이트
Proud Tahiti No1 aims to enjoy Brazil challenge
https://www.fifa.com[...]
FIFA
2013-03-14
[10]
웹사이트
Nigeria 6−1 Tahiti
https://www.bbc.co.u[...]
BBC
2013-06-17
[11]
웹사이트
Spain 10−0 Tahiti
https://www.bbc.co.u[...]
BBC
2013-06-20
[12]
웹사이트
Uruguay 8−0 Tahiti
https://www.bbc.co.u[...]
BBC
2013-06-23
[13]
웹사이트
FIFA Confederations Cup Brazil 2013 - Statistics - Teams - Top goals
https://www.fifa.com[...]
FIFA
2013-07-01
[14]
뉴스
Técnico confirma 'carisma' do Taiti e cumprimenta jornalistas na despedida
http://copadomundo.u[...]
2013-06-23
[15]
뉴스
Nada de pancadaria: 'fair play' do Taiti em goleada arranca elogios da Fúria
http://globoesporte.[...]
2013-06-21
[16]
웹사이트
Qatar 2022 : Tahiti s'incline 3-1 face à Salomon
https://www.tntv.pf/[...]
TNTV
2022-03-24
[17]
웹사이트
New Caledonia
https://www.football[...]
[18]
웹사이트
La liste officielle
https://www.ftf.pf/t[...]
[19]
웹사이트
Tahiti
https://www.national[...]
[20]
웹사이트
FOOTBALL IN TAHITI
https://anotandofutb[...]
2023
[21]
웹사이트
2000
https://www.youtube.[...]
2016-06-24
[22]
웹사이트
2002
https://www.gettyima[...]
2002-07-11
[23]
웹사이트
2004
https://www.gettyima[...]
2004-05-31
[24]
웹사이트
2007
https://www.youtube.[...]
2017-04-19
[25]
웹사이트
2012 (OFC Nations Cup edition)
https://www.youtube.[...]
2012-06
[26]
웹사이트
2012
https://www.photospo[...]
[27]
웹사이트
2012
https://www.siff.com[...]
2012-09-07
[28]
웹사이트
2022 Home
https://store.fifa.c[...]
[29]
웹사이트
2022 Away
https://store.fifa.c[...]
[30]
뉴스
Glorious Tahiti claim maiden Oceania crown
http://www.fifa.com/[...]
2012-06-10
[31]
뉴스
Tahiti feeling at home in Brazil
http://www.fifa.com/[...]
2013-06-22
[32]
뉴스
タヒチの姿勢にF・トーレスも感銘 「模範だ」
http://www.goal.com/[...]
2013-06-21
[33]
뉴스
歴史的初ゴールにタヒチ協会「全てのオセアニアの国のゴールだ!」
http://www.soccer-ki[...]
ワールドサッカーキング
2013-06-20
[34]
기타
[35]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