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탁발수도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탁발수도사는 청빈, 정결, 순명의 서약을 통해 사회 봉사에 헌신하는 수도자이다. 자급자족하는 수도승과 달리 평신도들 사이에서 활동하며 기부나 자선 지원을 받는다. 영어 단어 "프라이어"는 라틴어 "프라테르"에서 유래되었으며, 스페인 및 과거 스페인 식민지에서는 "프레이"라는 칭호로 사용되기도 한다. 로마 가톨릭 교회에는 가르멜회, 프란체스코회, 도미니코회, 아우구스티노회 등 4대 주요 탁발 수도회와 삼위일체회, 메르세데리안 등 작은 수도회가 있다. 몰타 기사단에서는 서약한 기사에게 "Fra"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루터교, 성공회 등 다른 기독교 전통에도 탁발 수도회가 존재한다. 일부 학교와 스포츠 팀에서 탁발 수도사를 마스코트로 사용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탁발수도사
탁발 수도사
다양한 탁발 수도회의 수도복을 묘사한 19세기 그림. 왼쪽부터 도미니코회, 프란치스코회, 카르멜회, 아우구스티노회 수도사.
다양한 탁발 수도회의 수도복을 묘사한 19세기 그림. 왼쪽부터 도미니코회, 프란치스코회, 카르멜회, 아우구스티노회 수도사.
일반 정보
유형종교적 질서
종교기독교
소속가톨릭 교회
목표복음 전파
가난한 자들을 섬김
교육
역사적 배경
창립 시기13세기
주요 창립자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성 도미니코
발전 배경도시화와 사회 변화에 대한 대응
주요 탁발 수도회
특징
주요 특징개인 및 공동 재산 소유 금지
구걸 또는 노동을 통한 생계 유지
도시 중심의 활동
설교와 교육을 통한 복음 전파
서약청빈
정결
순명
생활 방식공동 기도
개인 기도
노동
자선 활동
영향
영향가톨릭 교회 쇄신
중세 후기 사회 및 문화 발전 기여
교육 및 학문 발전에 기여
빈민 구제 및 사회 복지 활동
관련 용어
관련 용어수도회
수도사
청빈
구걸
추가 정보
관련 링크가톨릭 백과사전의 탁발 수도사 항목 (영어)

2. 정의 및 어원

탁발수도사는 복음적 권고(청빈, 정결, 순명의 서약)를 사회 봉사에 헌신하기 위해 부름받았다는 점에서 수도승과 다르다. 수도승은 자급자족하는 공동체에서 생활하는 반면, 탁발수도사는 평신도들 사이에서 활동하며 기부나 다른 자선 지원을 받는다.[2] 수도승이나 수녀는 서약을 하고 특정 장소의 특정 공동체에 헌신하지만, 탁발수도사는 관구로 알려진 더 넓은 지리적 영역에 걸쳐 있는 공동체에 헌신하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관구 내의 다른 공동체에서 시간을 보내면서 이동하게 된다.

영어 단어 "프라이어"(friar, 탁발 수도사)는 앵글로노르만어의 "프레르"(frere, 형제)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다시 라틴어 "프라테르"(frater, 형제)에서 비롯되었다. 라틴어 "프라테르"는 라틴어 신약성경에서 기독교 공동체의 구성원을 지칭하는 데 널리 사용되었다. "프레이"(Fray)는 필리핀이나 미국 남서부와 같은 스페인 및 과거 스페인 식민지에서 후안 데 토르케마다와 같이 칭호로 사용되기도 한다.

2. 1. 정의

수도자들은 복음적 권고(청빈, 정결, 순명의 서약)를 사회 봉사에 헌신하기 위해 부름받았다는 점에서 수도승과 다르다. 수도승들이 자급자족하는 공동체에서 생활하는 반면, 수도자들은 평신도들 사이에서 활동하며 기부나 다른 자선 지원을 받는다.[2] 수도승이나 수녀는 서약을 하고 특정 장소의 특정 공동체에 헌신한다. 수도자들은 관구로 알려진 더 넓은 지리적 영역에 걸쳐 있는 공동체에 헌신하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관구 내의 다른 공동체에서 시간을 보내면서 이동하게 된다.

2. 2. 어원

영어 단어 "프라이어"(friar, 탁발 수도사)는 앵글로노르만어의 "프레르"(frere, 형제)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다시 라틴어 "프라테르"(frater, 형제)에서 비롯되었다. 라틴어 "프라테르"는 라틴어 신약성경에서 기독교 공동체의 구성원을 지칭하는 데 널리 사용되었다. "프레이"(Fray)는 필리핀이나 미국 남서부와 같은 스페인 및 과거 스페인 식민지에서 후안 데 토르케마다와 같이 칭호로 사용되기도 한다.

3. 가톨릭 교회의 주요 탁발 수도회

로마 가톨릭 교회에는 탁발 수도회라고 알려진 두 종류의 수도회가 있는데, 4대 주요 수도회와 작은 수도회들이 있다.

3. 1. 4대 주요 수도회

다양한 회색 수도복을 입은 관상 프란체스코회

  • 가르멜회는 1155년경 설립되었다.[3] 갈색 수도복 위에 흰색 망토를 걸쳐 백색 수도사로도 알려져 있다. 1226년 교황 호노리오 3세에게 교황 승인을 받았고, 1247년 교황 인노첸시오 4세에게 승인받았다. 처음에는 순전히 관상 수도회였으나 1245년에 탁발 수도회가 되었다. 맨발 가르멜회(OCD)와 고대 관상회(OCarm) 두 종류가 있다.
  • 프란체스코회는 1209년에 설립되었다. 작은 형제회로도 알려져 있다. 아시시의 프란치스코가 설립했으며, 1209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에게 구두 승인을, 1223년 교황 호노리오 3세에게 공식 인가를 받았다. 오늘날 작은 형제회, 카푸친 작은 형제회(길고 뾰족한 후드를 가진 갈색 수도사), 관상 프란체스코회(회색 또는 검은색 수도복)의 세 분파로 구성되어 있다. 프란체스코회 수도사는 서품된 사제이거나 종교 형제일 수 있다.[4]
  • 도미니코회는 1216년경 설립되었다. 설교 형제회 또는 흰색 수도복 위에 검은색 망토(cappa)를 입어 검은 형제회로도 알려져 있다. 성 도미니코가 설립했으며, 성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에 따라 1216년 교황 호노리오 3세에게 오르도 프라에디카토룸으로 교황 승인을 받았다. 1221년에 탁발 수도회가 되었다. 그리스도의 구원회와 같이 성공회 내에도 도미니코회가 있다.[5]
  • 아우구스티노회는 1244년("리틀 유니온") 및 1256년("그랜드 유니온")에 설립되었다. 성 아우구스티누스 은수자 또는 오스틴 형제로도 알려져 있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작을 규칙으로 한다. 1244년 교황 인노첸시오 4세가 다양한 은수자 그룹을 탁발 수도회로 묶었고(리틀 유니온), 1256년 교황 알렉산데르 4세가 추가 그룹을 추가했다(그랜드 유니온).

3. 2. 작은 수도회

수도회설립 연도
삼위일체회1198년
메르세데리안1218년
세르비테스1240년
미니미회1474년
성 프란치스코 제3회 정규 수도회 (성 프란치스코 제3회의 분파)1447년
맨발의 카르멜회1568년
아우구스티누스 재수도회 (톨레도 총회를 통해 설립)1598년
맨발의 삼위일체회1599년
참회 수도회1781년


4. 몰타 기사단

몰타 기사단에서 'Fra'(라틴어 단어 "frater"의 약자로 "형제"를 의미함)라는 용어는 서약을 한 정의의 기사에게 경칭으로 사용된다.

5. 다른 기독교 전통의 탁발 수도회

루터교 프란체스코회, 에큐메니컬 프란체스코회, 작은 형제 자매 수도회 등 다른 기독교 전통에도 탁발 수도회가 존재한다.[6] 성공회 공동체에도 성공회 설교 수도사, 성 프란치스코회와 같은 탁발 수도회 단체들이 있다.[7]

6. 기타 용례

몇몇 고등학교와 프로비던스 칼리지는 탁발 수도사를 학교 마스코트로 사용한다.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팀인 샌디에이고 파드레스는 스윙잉 프라이어를 마스코트로 사용한다("파드레"는 사제 칭호인 "아버지"를 뜻하는 스페인어이기도 하다. 1769년 샌디에이고는 스페인 프란체스코회 수도사 후니페로 세라에 의해 설립되었다).

미시간 대학교의 가장 오래된 아카펠라 그룹은 프라이어스(The Friars)라고 알려진 남성 8중창단이다.[8]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는 프라이어스(Friars)라고 불리는 4학년 명예 학회가 있다. 섬에 있는 파더 듀에냐스 기념 학교의 스포츠 팀은 프라이어스(Friars)라고 불린다.

참조

[1] 서적 Catholic Dictionary, Revised Our Friday Visitor 2002
[2] 문서 Catholic encyclopedia entry for "friar"
[3] 웹사이트 The Carmelite Order http://www.newadvent[...]
[4] 웹사이트 "Is a Friar a Priest or a Brother?" https://sbfranciscan[...] Franciscan Friars, Province of Saint Barbara
[5] 웹사이트 Communities https://www.naecc.ne[...] 2024-02-08
[6] 웹사이트 Order of Lesser Sisters and Brothers http://orderoflesser[...]
[7] 웹사이트 Order of St Francis http://osffranciscan[...] 2017-07-02
[8] 웹사이트 The University of Michigan Friars :: History http://www.ummgc.org[...] University of Michigan Friars 2010-10-01
[9] 문서 Catholic encyclopedia entry for "friar"
[10] 서적 Catholic Dictionary, Revised https://archive.org/[...] Our Friday Visitor 2002-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