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쿠이치포츠 이시카쇼치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쿠이치포츠 이시카쇼치친(Tecuichpotzin)은 아즈텍 황녀로, 스페인 정복 이후 도냐 이사벨(Doña Isabel)로 개명했다. 모테수마 2세의 딸로, 여러 차례 결혼을 거쳐 스페인과 아즈텍 통치의 연속성을 상징했다. 기독교로 개종하고, 막대한 엔코미엔다를 받아 원주민 노예를 소유했으나, 임종 직전 노예를 해방하고 재산을 분배했다. 그녀의 후손들은 스페인 귀족 가문과 결혼하여 메스티소 혈통을 이루었으며, 멕시코와 스페인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테수마가 - 쿠아우테목
쿠아우테목은 아즈텍 제국의 마지막 황제로, 스페인 침략에 맞서 테노치티틀란을 방어했으나 항복 후 처형되었으며, 현재 멕시코에서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존경받고 있다. - 목테수마가 - 쿠이틀라우악
쿠이틀라우악은 아즈텍 제국의 통치자 모크테수마 2세의 동생으로, 1520년 스페인 침략에 저항하다 천연두로 사망했다. - 16세기 멕시코 사람 - 에르난 코르테스
에르난 코르테스는 16세기 스페인의 콘키스타도르로, 멕시코 원정을 통해 아즈텍 제국을 정복했지만, 정복 과정에서의 잔혹 행위와 아즈텍 문명 파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는 인물이다. - 16세기 멕시코 사람 - 후안 벨라스케스 틀라코친
후안 벨라스케스 틀라코친은 아즈텍 귀족으로 모크테수마 2세와 과우테목 통치 기간 시우아코아틀을 지냈으며, 스페인 정복 후 코르테스에 의해 과우테목의 후계자로 임명되어 스페인식 교육과 세례를 받고 돈 후안 벨라스케스라는 이름으로 개명되었으나, 낮은 신분과 취임식 부재로 인해 나우아 백성들에게 임시 통치자로 여겨졌고 코르테스의 원정에 동행하다 사망했다. - 아즈텍 제국 - 아카마피치틀리
아카마피치틀리는 14세기 후반 테노치티틀란의 첫 번째 통치자로서, 도시 발전에 기여하고 아즈텍 최초의 법률 제정에 관여했으며, 동맹과 조공 정책으로 테노치티틀란의 안정적인 성장을 이끌었다. - 아즈텍 제국 - 틀라토아니
아즈텍 사회에서 틀라토아니는 "말하는 자"라는 뜻으로 왕, 군주, 지배자를 지칭하며, 특히 테노치티틀란의 틀라토아니는 아즈텍 제국의 강력한 권력을 가진 후에이 틀라토아니로서 세습 군주제의 형태로 계승되어 신성한 존재로 여겨졌다.
| 테쿠이치포츠 이시카쇼치친 | |
|---|---|
| 기본 정보 | |
| 출생 정보 | 1510년경 |
| 사망 정보 | 1551년경 (41세) |
| 직업 | 후에이 시우아틀라토아니 아스텍 제국 |
| 배우자 | 아틀릭스카트진 쿠이틀라우악 쿠아우테목 알론소 데 그라도 페드로 가예고 데 안드라데 후안 카노 데 사아베드라 |
| 아버지 | 목테수마 2세 |
| 어머니 | 테오틀랄코 |
| 자녀 | 에르난 코르테스의 사생아 레오노르 코르테스 목테수마 후안 데 안드라데 가예고 목테수마 페드로 카노 데 목테수마 곤살로 카노 데 목테수마 후안 카노 데 목테수마 이사벨 카노 데 목테수마 카탈리나 카노 데 목테수마 |
| 통치 | |
| 재위 기간 | 1520년 - 1521년 |
| 섭정 | 쿠이틀라우악 쿠아우테목 |
| 섭정 유형 | 후에이 틀라토아니 |
| 이름 | |
| 본명 | 테쿠이치포 이시카쇼치친 |
| 스페인어 이름 | 이사벨 목테수마 |
2. 아즈텍 황녀, 테쿠이치포친
2. 1. 가족과 초기 결혼
이사벨 모테수마의 출생명은 테쿠이치포친(Tecuichpotzin)으로, 나와틀어로 "영주의 딸"을 의미한다.[3] 그녀의 어머니는 테오틀랄코 공주였으며, 아버지 모테수마 2세의 여러 딸들 중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테쿠이치포친은 어린 시절 아틀릭스카친과 결혼했으나 1520년경 사별했다.[3] 이후 삼촌 쿠이틀라우악과 재혼했으나, 쿠이틀라우악은 80일 만에 천연두로 사망했다.[3] 쿠아우테목이 황제가 되면서 테쿠이치포친과 결혼했고, 이때 그녀의 나이는 겨우 열한 살에서 열두 살 정도였다.[4]2. 2. 테노치티틀란 정복과 몰락
에르난 코르테스와 스페인 군대는 1519년 11월 8일 테노치티틀란에 도착하여 모테수마 2세의 궁궐에서 지내며 그를 인질로 삼았다.[5] 아즈텍인들은 반란을 일으켜 슬픈 밤(1520년 6월 30일)에 코르테스와 그의 군대를 몰아냈지만, 테쿠이치포츠는 도시에 남겨졌다.[5] 아즈텍 지도자들은 그녀를 쿠이틀라우악과 결혼시켰고, 쿠이틀라우악이 천연두로 사망한 후에는 쿠아우테모크와 결혼시켰다.[5]코르테스는 1521년 틀락스칼라 출신을 포함한 대규모 동맹군을 이끌고 테노치티틀란을 공격했다.[5] 천연두 유행으로 약화된 아즈텍은 패배했고, 쿠아우테모크는 탈출을 시도했으나 붙잡혔다.[5] 쿠아우테모크는 항복하면서 스페인 군대에 테쿠이치포츠를 포함한 자신의 측근 여성들을 존중해 줄 것을 요청했다.[5] 1525년, 코르테스는 쿠아우테모크를 처형했고 테쿠이치포츠는 세 번째 과부가 되었다.

3. 스페인 귀족, 도냐 이사벨
3. 1. 기독교로의 개종과 스페인과의 연합
코르테스는 테쿠이치포츠를 아즈텍과 스페인 통치의 연속성을 보여주는 상징으로 여겼다.[6] 그녀는 기독교를 배우고 1526년경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이사벨이라는 세례명을 받았다.[6] 이사벨은 독실한 가톨릭 신자가 되어 자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아우구스티누스회 수도사들에게 기부 중단 요청을 받을 정도였다.[6] 이사벨은 읽기 교육을 받지 못해 문맹이었다.[7]코르테스는 1526년 6월 이사벨과 알론소 데 그라도의 결혼을 주선했다.[8] 결혼 조건으로 이사벨에게 대규모의 엔코미엔다가 주어졌는데, 이는 테노치티틀란(현재의 멕시코 시티) 서쪽 약 8킬로미터 지점에 있는 타쿠바 시로 구성된 멕시코 계곡에서 가장 큰 엔코미엔다였다.[8] 이는 코르테스가 이사벨에게 부여한 중요성을 보여주는 지표였다.[8] 이사벨의 엔코미엔다는 수세기 동안 지속되었고, 스페인 정부와 멕시코 정부는 1933년까지 이사벨의 후손들에게 연금 형태로 로열티를 지급했다.[9]
3. 2. 엔코미엔다와 노예 제도
코르테스는 이사벨에게 대규모의 엔코미엔다를 부여했다.[10][11] 이사벨은 원주민 귀족으로서 정복 이전부터 노예를 소유할 수 있는 특권을 가졌으며, 엔코미엔다 영토 내에서 규칙을 조정할 수 있는 제한된 권한도 행사했다.[12] 그녀는 이 특권을 이용하여 많은 수의 원주민 노예를 소유했으나, 임종 직전 유언을 통해 모든 노예를 해방하고 그들의 생계를 지원했다.[12][14] 이는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조치였으며, 최근에는 그녀를 반노예제 "활동가"이자 원주민 독립의 어머니로 묘사하는 근거로 제시되기도 한다.[13] 이사벨의 남편인 알론소 데 그라도는 "비시타도르 레알" 직책을 통해 부르고스 법 준수 여부를 감시하고 불법적인 노예화를 처벌하는 임무를 수행했다.[10]3. 3. 코르테스와의 관계, 그리고 이후의 결혼
도냐 이사벨은 "인디언 여성치고 매우 예쁜 여성이었다."라고 묘사될 정도로 "매우 아름다웠다".[15] 그녀의 네 번째 남편인 알론소 데 그라도가 사망한 후, 약 17세의 나이로 네 번째 과부가 된 이사벨은 코르테스의 집에 머물게 되었고, 곧 임신하게 되었다. 코르테스는 그녀를 페드로 가예고 데 안드라데와 급하게 결혼시켰고, 몇 달 뒤 레오노르 코르테스 모크테주마가 태어났다. 스페인 자료에 따르면, 이사벨은 아이를 알아보기를 거부했고, 아이는 코르테스의 측근인 후안 구티에레스 데 알타미라노의 보살핌을 받았다. 그러나 코르테스는 아이를 자신의 아이로 받아들여 잘 양육하고 자신의 재산과 도냐 이사벨의 재산으로부터 상속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16]이사벨은 가예고와의 사이에서 아들 후안 데 안드라데 가예고 모크테주마를 낳았으나, 가예고는 곧 사망했다. 1532년, 이사벨은 여섯 번째 남편인 후안 카노 데 사아베드라와 결혼하여 페드로, 곤살로, 후안, 이사벨, 카탈리나 카노 데 모크테주마 등 세 아들과 두 딸을 두었다. 이사벨과 카탈리나는 아메리카 대륙 최초의 수녀원인 엘 콘벤토 데 라 콘셉시온 데 라 마드레 데 디오스에서 수녀가 되었다. 두 딸은 물론 아들들도 교육을 잘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17]
4. 죽음과 유산
4. 1. 상속 분쟁과 후손
도냐 이사벨은 1550년 또는 1551년에 사망했다.[18] 그녀는 엔코미엔다 뿐만 아니라 스페인인과의 결혼 생활 동안 획득한 개인 소유물 등 막대한 재산을 남겼다.[18] 그녀는 인디언 노예들을 해방하고, 재산의 5분의 1을 가톨릭 교회에 기증하며, 하인에게 지급해야 할 임금을 포함한 모든 미결 채무를 지불하도록 지시했다.[18] 또한 보석과 기타 사치품을 딸들에게 주고, 다른 재산을 매각하여 그 수익의 3분의 1을 딸들에게 주라고 요청했으며, 죽음을 앞두고 재산의 20%를 코르테스와의 사생아인 레오노르에게 지참금으로 주도록 했다.[18]이사벨은 엔코미엔다의 대부분을 장남인 후안 데 안드라데에게 유증했지만, 그의 ''엔코미엔다'' 상속은 그녀의 과부인 후안 카노와 레오노르(마리아나) 몬테수마의 사위인 디에고 아리아스 데 소텔로에 의해 다툼의 대상이 되었다.[19] 디에고 아리아스 데 소텔로는 레오노르가 몬테수마의 진정한 상속인이라고 주장했다.[19] 수년간의 소송 끝에 아리아스 데 소텔로의 주장은 기각되었고, 타쿠바는 카노와 안드라데 사이에서 분할되었다.[19]
4. 2. 현대의 후손들
이사벨의 메스티소 혈통은 스페인 귀족 가문으로 이어졌다.[20] 이사벨의 아들 후안 데 안드라데에서 미라발레 가문의 스페인 귀족 계보가 시작되었고, 아들 페드로와 곤살로 카노는 멕시코시티의 저명한 시민이 되었다. 그녀의 아들 후안 카노 모크테수마는 스페인 카세레스에 팔라시오 데 톨레도-모크테수마가 남아있는 저명한 가문과 결혼했다.[20] 이사벨의 마지막 남편 후안 카노는 1572년 세비야에서 사망했다.개종한 원주민 귀족은 스페인인에 의해 스페인 귀족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아즈텍 귀족의 혈통은 매우 존경받았고, 이사벨과 레오노르의 후손들은 에스트레마두라의 가장 중요한 가문과 빠르게 결혼했다. 이사벨은 현재 스페인에만 약 2000명의 후손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21] 미라발레 백작, 라 엔레하 백작, 아후마다 공작, 아브란테스 공작, 그리고 몬테수마 공작의 귀족 지위는 그녀와 그녀의 자매에게서 직접적으로 비롯되었다. 이사벨은 프레스라프 공작 키릴의 아내인 로사리오 나달, 알바 공작 카를로스 피츠제임스 스튜어트, 오를레앙의 '''외드''' 티보 조셉 마리 공자, 그리고 세고르베 공작 이그나시오 메디나 이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의 조상이며, 세고르베 공작은 유고슬라비아 왕세자 알렉산더의 전 부인인 마리아 다 글로리아 공주와 결혼했다.
5. 역사적 의의
도냐 이사벨은 아즈텍 공주에서 스페인 도냐로의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룬 인물이다.[22] 그녀의 후손들은 스페인과 멕시코 원주민 조상의 융합인 메스티사헤의 가장 두드러진 사례로, 이는 멕시코의 미래를 특징짓는 것이었다.[22] 스페인인들은 원주민들에게 "스페인의 경제적, 종교적, 문화적 지향"을 주입하고자 했으며,[22] 이사벨은 욕망에 의해서든 필요에 의해서든, 스페인과 멕시코 원주민 동화의 첫 번째 큰 성공 사례였다.[22]
도냐 이사벨 모테수마는 아즈텍 제국의 멸망과 스페인의 식민 지배라는 역사적 격변기 속에서, 두 문화의 융합을 상징하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녀의 삶은 원주민과 스페인 문화의 만남, 그리고 새로운 멕시코 사회의 탄생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참조
[1]
서적
Chimalpahin's Conquest: A Nahua Historian's Rewriting of Francisco Lopez de Gomara's La conquista de Mexico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
[2]
간행물
[3]
서적
Handbook to Life in the Aztec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4]
간행물
[5]
웹사이트
Sagaon Infante
http://www.juridicas[...]
2010-12-30
[6]
서적
The Aztecs Under Spanish Rule: A History of the Indians of the Valley of Mexico, 1519–1810
Stanford U Press
1964
[7]
웹사이트
“The Household and Estate of a Mexica Lord: ‘Información de Doña Isabel de Moctezuma’’’
http://www.famsi.org[...]
2010-12-30
[8]
웹사이트
"Testamento de Isabel Moctezuma"
http://www.juridicas[...]
2010-12-30
[9]
웹사이트
“Los Herederos de Moctezuma.”
http://dialnet.uniri[...]
2010-12-30
[10]
간행물
Doña Isabel de Monktezuma, Tecuichpozin (1509-1551)
http://www.revistade[...]
[11]
서적
Imperiofobia y leyenda negra
Editorial Siruela
2016
[12]
서적
Hernán Cortés
FCE, VN.
1990
[13]
웹사이트
Isabel Tecuichpo, la verdadera madre de la patria en México
https://matadornetwo[...]
[14]
간행물
Testamento de Isabel Moctezuma
[15]
간행물
[16]
웹사이트
“Testamento de Isabel Moctezuma.”
http://www.juridicas[...]
2010-12-25
[17]
웹사이트
“Testamento de Isabel Moctezuma.”
http://www.juridicas[...]
2010-12-25
[18]
간행물
[19]
간행물
[20]
웹사이트
"Testamento de Isabel Moctezuma"
http://www.juridicas[...]
2010-12-30
[21]
서적
Moctezuma
Espasa Calpe
2004
[22]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