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트라메틸암모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트라메틸암모늄은 해양 생물, 특히 일부 고둥류에서 발견되는 유기 화합물로, 독성학 문헌에서는 "테트라민"으로도 불린다. 트리메틸아민과 메틸 할로겐화물의 반응을 통해 합성할 수 있으며, 약리학적으로는 아세틸콜린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콜리노미메틱으로 작용한다. 테트라메틸암모늄은 섭취 시 구토, 두통, 시야 흐림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치사량은 체중 1kg당 3-4mg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이온 - 양성자
양성자는 양(+) 전하를 띠는 기본 입자이자 원자핵을 구성하는 핵자이며, 수소 원자핵으로 화학에서 수소 이온을 의미하며, 브뢴스테드-로우리 산-염기 이론에서 양성자 주개로 정의된다. - 양이온 - 하이드로늄 이온
하이드로늄 이온(H₃O⁺ )은 수용액에서 자체 이온화되거나 강산 첨가 시 생성되는 이온으로, 삼각뿔 형태의 분자 구조를 가지며 수용액의 산성도 pH 결정 및 성간 매질 분자 구름 내 화학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4차 암모늄 화합물 - 아크리플라빈
아크리플라빈은 파울 에를리히가 개발한 아크리딘 유도체로 살균, 방부, 항균 작용을 하며 의학적 용도 외에도 생화학, 어류 치료, 유전자 돌연변이 유도, 백신 등에 활용되고 퀴닌 내성 말라리아 치료, 감기 바이러스 억제, 항생제 내성 세균 대응 가능성 연구가 진행 중이나 국가별 의약품 규제가 다르다. - 4차 암모늄 화합물 - 아세틸콜린
아세틸콜린은 말초신경계와 중추신경계에서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는 유기 분자로, 콜린 아세틸전이효소에 의해 합성되고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에 의해 분해되며, 1936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헨리 핼릿 데일과 오토 뢰비에 의해 발견 및 확인되었다.
| 테트라메틸암모늄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 일반 정보 | |
![]() | |
![]() | |
![]() | |
| IUPAC 명칭 | N,N,N-트리메틸메탄아민 |
| 다른 이름 | 테트라메틸암모늄 테트라메틸아자늄 테트라민 |
| 식별 | |
| CAS 등록번호 | 51-92-3 |
| ChemSpider ID | 6140 |
| UNII | H0W55235FC |
| ChEMBL | 해당 없음 |
| PubChem CID | 6380 |
| ChEBI | 46020 |
| SMILES | C[N+](C)(C)C |
| InChI | 1S/C4H12N/c1-5(2,3)4/h1-4H3/q+1 |
| InChIKey | QEMXHQIAXOOASZ-UHFFFAOYSA-N |
| 속성 | |
| 화학식 | C₄H₁₂N+ |
| 몰 질량 | 74.14 g/mol |
| 외관 | 해당 없음 |
| 밀도 | 해당 없음 |
| 녹는점 | 해당 없음 |
| 끓는점 | 해당 없음 |
| 용해도 | 해당 없음 |
| 위험성 | |
| 주요 위험 | 해당 없음 |
| 인화점 | 해당 없음 |
| 자연 발화점 | 해당 없음 |
| 관련 화합물 | |
| 다른 작용기 | 네오펜탄 |
| 다른 작용기 설명 | 등전자성 화합물 |
2. 일반명명법
독성학 문헌에서는 천연 테트라메틸암모늄(음이온 불특정)을 "테트라민"이라고도 부른다.[1] 이 비체계적인 명칭은 쥐약 성분인 테트라메틸렌디술포테트라민 등 다른 화학 물질에도 사용된다.[1] 약자 "TMA"는 약학 분야에서 테트라메틸암모늄을 지칭하는데 주로 사용되며, 메스칼린의 구조적 유사체인 3,4,5-트리메톡시암페타민을 지칭하기도 한다.[1] "테트라민"은 열대어 먹이의 상표명으로도 사용되어 주의가 필요하다.
테트라메틸암모늄은 자포동물, 연체동물 등 해양 생물에서 주로 발견되거나 분리된다. 특히 식용 가능한 소라고둥으로 불리는 매물고둥속(Neptunea)에서 발견된다.[48][49] 식물 중에서는 유일하게 아프리카의 'Courbonia virgata' (풍접초과)에서만 발견되었다.[50] 또한 러시아 한티만시 자치구 고라 야루타 산에서 발견되는 희귀 광물 차레고로드체비테의 결정 구조 내에서도 발견되며, 화학식은 N(CH3)4AlSi5O12이다.[5]
테트라민은 육식성 고둥의 침샘에 들어있는 아민(amine)의 일종이다. 가열해도 파괴되지 않으므로 조리 전 타액선을 제거해야 하고, 조리 후 남아있을 경우에도 제거하고 먹어야 한다.[51] 독성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2개만 먹어도 중독되는 경우가 있으니 섭취를 피해야 한다.[51]
3. 발생
4. 일상에서의 주의사항
또한 독성이 있는 육식성 고둥이 '소라'라는 이름으로 통용되는 경우도 있어, 소라인 줄 알고 먹은 것이 독 있는 고둥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식이 없는 일반인의 경우, 고둥이든 소라이든 조리 전에 반드시 타액선을 제거해야 한다.[51] 먹기 전에도 타액선이 있는지 잘 살펴봐야 한다.
증상은 일반적인 어지러움증, 구토, 시야장애 증상과 유사하여, 중독 시 응급실에 와도 테트라민 중독이라고 진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고둥류 섭취 후 테트라민 중독 증상이 나타나면 응급실에 가서 의사에게 고둥 섭취 사실을 알리는 것이 좋다.[51] 중독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 섭취량에는 개인마다 편차가 있지만, 섭취 이후 증상이 나타나면 지체없이 병원으로 가는 것이 좋다.[52]
테트라메틸암모늄(TMA, 테트라민) 섭취 후 나타나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2]
이러한 증상은 30분 이내에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몇 시간 후에 완전히 회복된다. TMA 섭취(식물 ''Courbonia virgata''에서 기원) 후 인간 사망에 대한 보고는 단 한 건만 기록되었다.[2]
5. 조제, 화학반응, 용해
테트라메틸암모늄 이온을 포함하는 단순염은 트리메틸아민과 메틸 할로겐화물의 반응으로 얻을 수 있다.[53][6][29]
:Me3N + Me−I → Me4N+I−
[14C]-labeled TMA도 이 방법으로 만들어진다.[53][7][29]
복잡한 음이온을 가진 테트라메틸암모늄염은 염치환(salt metathesis) 반응으로 조제된다.[54][8][30] 즉, 테트라메틸암모늄 수소화붕소(tetramethylammonium borohydride)는 테트라메틸암모늄 하이드록시드(tetramethylammonium hydroxide)로부터 만들어졌다.[54][8][30]
:Me4N+[OH]− + Na+[BH4]− → Me4N+[BH4]− + Na+ + HO−
테트라메틸암모늄염은 4차암모늄합성물(quaternary ammonium compounds)을 특성으로 하는 상간이동촉매제(相間移動觸媒劑, phase-transfer catalyst)의 특성 중 일부를 보이지만, 양이온의 높은 친수성(hydrophilicity) 때문에 비정형적으로 작용한다.[55][9][31]
- -|]]|thumb|right|Me4N+는 무색 결정이 된다.]]
테트라메틸암모늄 양이온은 친수성이며,[56][10][32] 옥탄올-물 분배계수(octanol-water partition coefficient) ''P''o-w는 1.2×10-4 (log P≒-3.92)이다.[48][2][25]
테트라메틸암모늄 양이온에서 메틸기들은 질소 원자 주변으로 사면체 형태로 정렬되어 있으며,[57][58][11][12][33][34] 분자모형 측정에서 이온 지름은 0.6nm 이내이다.[59][13][35] 더 정확한 물리화학 측정에서 이온 반경(ionic radius)은 0.322nm이다.[60][61][14][15][36][37] 오에(Aue) 등의 논문은 이온반경이 측정되는 방식에 대해 잘 논의하였다.[48][2][25]
6. 약학
테트라메틸암모늄은 아세틸콜린과 유사한 효과를 가지는 콜리노미메틱이다.[63][17][39] 약학 연구에서는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이오다이드 염을 사용하는데, 이들 음이온이 테트라메틸암모늄 양이온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과거 문헌에는 테트라메틸암모늄 하이드록시드나 테트라메틸암모늄 하이드레이트 사용이 언급되지만, 강한 염기성 때문에 실제 사용되지는 않았다.[64][48][18][40][2][25]
테트라메틸암모늄은 니코틴성 및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작용하여 신경 전달을 자극하고 차단한다. 탈분극을 통해 처음에는 교감 신경계와 부교감 신경계 신경절 내 신경전달을 자극하였다가 후에는 차단한다. 또한 민무늬근, 심근, 외분비선의 무스카린 수용체에 작용제로 작용한다. 골격근에서 테트라메틸암모늄은 니코틴 아세틸콜린 수용체 자극으로 발생한 탈분극의 결과로서 근섬유다발수축을 일으키고, 이후 마비를 일으킨다.[48][2][25]
6. 1. 흡수, 분포, 대사, 배설(ADME)
'''흡수:''' 테트라메틸암모늄(TMA)은 위장관에서 빠르게 흡수된다.[48] 쥐의 빈창자(jejunum) 실험에서 테트라메틸암모늄 흡수는 단순 확산과 운반체 매개 수송이 모두 관여하며, 60-90분 안에 거의 100% 흡수된다. 반면, 테트라에틸암모늄과 테트라프로필암모늄 이온은 최대 30%만 흡수된다.[65]'''분포:''' 쥐에게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테트라메틸암모늄을 복강 내 투여했을 때, 테트라메틸암모늄은 곧바로 신체 모든 부분으로 분포되며, 특히 신장과 간에서 높은 농도를 보인다.[48] 니프(Neef) 등도 쥐를 이용해 유사한 결과를 보고했다.[66]
'''대사 및 배설:''' 쥐에게 방사성 동위원소를 입힌 테트라메틸암모늄 아이오다이드를 비경구 투여했을 때, 대부분 소변으로 배출되며 대사 변형은 일어나지 않는다.[48]
7. 독성학
테트라메틸암모늄(테트라민)은 매물고둥속(Neptunea) 섭취 후 발생하는 중독과 관련하여 연구된다.[48] 증상으로는 구역질, 구토, 두통, 현기증, 시야 흐려짐, 일시적 실명, 복시(diplopia), 눈부심(photophobia), 균형감각 상실, 중독감, 두드러기(urticaria) 등이 있으며, 섭취 후 30분 이내에 발생하지만 몇 시간 후 회복되는 경우가 많다. ''Courbonia virgata'' 섭취로 인한 사망 보고가 있다.[48]
주요 증상은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신경전달 차단으로 발생하지만, 중추 신경계에도 영향을 미친다.[48] 동물 실험에서 매물고둥속 추출물을 쥐, 고양이, 물고기에게 비경구 투여했을 때 골격근에 영향을 미쳐 근섬유다발수축, 경련, 균형감각 상실, 운동마비, 호흡 중지를 유발했다.[48]
사람의 치사량은 체중 1kg당 3–4mg으로 추정된다.[48] 쥐는 경구 투여 시 체중 1kg당 45–50mg, 복강 내 투여 시 최대 15mg이다.[67]
7. 1. 급성 중독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LD50은 쥐 복강 내 투여 시 체중 1kg 당 25mg, 쥐 피하 주사 시 40mg이다.[68][69] 생쥐의 경우 복강 내 투여 시 16mg/kg, 경구 투여 시 24mg/kg이다.[44]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LC50은 96시간 동안 462mg/L (팻헤드 미노우, ''Pimephales promelas'')이다.[45][46]참조
[1]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2]
논문
Tetramine: Occurrence in marine organisms and pharmacology
[3]
논문
Naturally occurring food toxins
[4]
논문
The toxic principle of ''Courbonia virgata'': it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as a tetramethylammonium salt
[5]
논문
Tsaregorodtsevite, N(CH3)4[Si2(SiO5AlO5)O6]2, a new mineral
1993
[6]
서적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7]
논문
The relation between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quaternary ammonium ions in mice and rats. Simple tetraalkylammonium and a series of m-substituted trimethylphenylammonium ions
[8]
논문
Preparation of quaternary ammonium borohydrides from sodium and lithium borohydrides
[9]
논문
Tetramethylammonium salts: highly selective catalysts for the preparation of gem-dichlorocyclopropanes from electrophilic alkenes and chloroform under phase-transfer catalysis conditions
[10]
논문
Is a methyl group always hydrophobic? Hydrophilicity of trimethylamine-N-oxide, tetramethyl urea and tetramethylammonium ion
[11]
논문
Crystal structure of tetramethylammonium fluoride tetrahydrate
[12]
논문
The crystal structure of tetramethylammonium perchlorate
[13]
논문
The Ca channel in skeletal muscle is a large pore
[14]
논문
A thermodynamic analysis of solvation effects on the basicities of alkylamines. An electrostatic analysis of substituent effects
[15]
논문
Competitive absorption of quaternary ammonium and alkali metal cations into a Nafion cation-exchange membrane
[16]
문서
[17]
문서
[18]
논문
The action of certain quaternary ammonium bases
[19]
논문
Intestinal absorption of tetramethylammonium and its derivatives in rats
[20]
논문
Structure-pharmacokinetics relationship of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21]
논문
The toxin tetramine from the "edible" whelk ''Neptunea antiqua''
[22]
문서
[23]
웹사이트
Toxnet Has Moved
http://toxnet.nlm.ni[...]
[24]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25]
웹사이트
自然毒のリスクプロファイル:巻貝:唾液腺毒|厚生労働省
https://www.mhlw.go.[...]
2021-09-05
[26]
논문
Tetramine: Occurrence in marine organisms and pharmacology
[27]
논문
Naturally occurring food toxins
[28]
논문
The toxic principle of ''Courbonia virgata'': it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as a tetramethylammonium salt
[29]
논문
The relation between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quaternary ammonium ions in mice and rats. Simple tetraalkylammonium and a series of m-substituted trimethylphenylammonium ions
[30]
논문
Preparation of quaternary ammonium borohydrides from sodium and lithium borohydrides
[31]
논문
Tetramethylammonium salts: highly selective catalysts for the preparation of gem-dichlorocyclopropanes from electrophilic alkenes and chloroform under phase-transfer catalysis conditions
[32]
논문
Is a methyl group always hydrophobic? Hydrophilicity of trimethylamine-N-oxide, tetramethyl urea and tetramethylammonium ion
[33]
논문
Crystal structure of tetramethylammonium fluoride tetrahydrate
[34]
논문
The crystal structure of tetramethylammonium perchlorate
[35]
논문
The Ca channel in skeletal muscle is a large pore
[36]
논문
A thermodynamic analysis of solvation effects on the basicities of alkylamines. An electrostatic analysis of substituent effects
[37]
논문
Competitive absorption of quaternary ammonium and alkali metal cations into a Nafion cation-exchange membrane
[38]
문서
[39]
서적
Drill's Pharmacology in Medicine, 4th Ed.
McGraw-Hill
[40]
논문
The action of certain quaternary ammonium bases
[41]
논문
Intestinal absorption of tetramethylammonium and its derivatives in rats
[42]
논문
Structure-pharmacokinetics relationship of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43]
논문
The toxin tetramine from the "edible" whelk Neptunea antiqua
[44]
논문
Acute toxicity and rapid excretion in urine of tetramethylarsonium salts found in some marine animals
https://onlinelibrar[...]
1988
[45]
서적
Sax's Dangerous Properties of Industrial Materials, 11th Ed.
Wiley-Interscience, Wiley & Sons, Inc.
[46]
웹사이트
http://toxnet.nlm.ni[...]
[47]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48]
논문
Tetramine: Occurrence in marine organisms and pharmacology
[49]
논문
Naturally occurring food toxins
[50]
논문
The toxic principle of Courbonia virgata: it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as a tetramethylammonium salt
[51]
뉴스
'[의료칼럼] 고둥의 독소 ‘테트라민’'
http://m.knnews.co.k[...]
경남일보
2021-01-25
[52]
웹사이트
https://www.kyongbuk[...]
[53]
논문
The relation between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quaternary ammonium ions in mice and rats. Simple tetraalkylammonium and a series of m-substituted trimethylphenylammonium ions
[54]
논문
Preparation of quaternary ammonium borohydrides from sodium and lithium borohydrides
[55]
논문
Tetramethylammonium salts: highly selective catalysts for the preparation of gem-dichlorocyclopropanes from electrophilic alkenes and chloroform under phase-transfer catalysis conditions
[56]
논문
Is a methyl group always hydrophobic? Hydrophilicity of trimethylamine-N-oxide, tetramethyl urea and tetramethylammonium ion
[57]
논문
Crystal structure of tetramethylammonium fluoride tetrahydrate
[58]
논문
The crystal structure of tetramethylammonium perchlorate
[59]
논문
The Ca channel in skeletal muscle is a large pore
[60]
논문
A thermodynamic analysis of solvation effects on the basicities of alkylamines. An electrostatic analysis of substituent effects
[61]
논문
Competitive absorption of quaternary ammonium and alkali metal cations into a Nafion cation-exchange membrane
[62]
문서
[63]
서적
Drill's Pharmacology in Medicine, 4th Ed.
McGraw-Hill
[64]
논문
The action of certain quaternary ammonium bases
[65]
논문
Intestinal absorption of tetramethylammonium and its derivatives in rats
[66]
논문
Structure-pharmacokinetics relationship of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67]
논문
The toxin tetramine from the "edible" whelk Neptunea antiqua
[68]
서적
Sax's Dangerous Properties of Industrial Materials, 11th Ed.
Wiley-Interscience, Wiley & Sons, Inc.
[69]
웹사이트
http://toxnet.nlm.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