톈궁 (미사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톈궁 미사일은 중화민국(대만)에서 개발한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으로, 1979년 미국과의 관계 변화 이후 개발이 시작되었다. 톈궁-1, 톈궁-2, 톈궁-3, 스트롱 보우 등 여러 파생형이 있으며, 탄도 미사일 요격 능력도 갖추고 있다. 톈궁-1은 1980년대에 실전 배치되었으며, 톈궁-2는 1990년대 후반에, 톈궁-3는 2014년부터 생산되었다. 스트롱 보우는 톈궁-3의 사거리 연장형으로 2023년에 개발이 완료되었다. 톈궁 미사일 시스템은 다양한 레이더와 연동되어 운용되며, 대만의 방공 능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대공 미사일 - KN-06
KN-06은 러시아 S-300 기술을 기반으로 북한이 개발한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으로, 2010년 공개되어 2017년 대량 생산 및 전국 배치가 발표되었으며 최대 사거리는 150km이다. - 지대공 미사일 - 재블린 (지대공 미사일)
재블린은 영국에서 개발된 휴대용 대전차 미사일 시스템으로, 발사 후 망각 방식을 통해 운용자의 생존성을 높이고 최대 사거리 2,500미터, 무게 약 22.3킬로그램으로 상부 공격을 통해 적 전차의 취약 부분을 공격하며 여러 국가에서 운용 중이다.
톈궁 (미사일) | |
---|---|
개요 | |
![]() | |
종류 | 지대공 미사일, 탄도탄 요격 미사일 |
개발 국가 | 중화민국 |
개발 | |
개발사 | 국립중산과학연구원 |
개발 시작 | 1980년대 초 |
설명 | |
톈궁 1형 | 호크 기반 사거리 40km 반능동 레이더 유도 |
톈궁 2형 | 패트리어트와 유사 사거리 100km 능동 레이더 유도 |
톈궁 3형 | 탄도탄 요격 가능 사거리 200km |
배치 | |
배치 국가 | 중화민국 |
2. 역사
한국의 천궁(天弓) 지대공 미사일과 한자 이름은 같고, 발음이 다르다.
1979년 미국이 중화민국과의 양자 관계를 종료한 후, 하늘 활(미사일)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2] 첸 추안하오(Chen Chuan-hao) 엔지니어가 제안한 다른 이름으로는 하늘 말(페가수스)과 나는 말 등이 있었으며, 1980년 10월 프로젝트가 정식 승인되면서 하늘 활로 알려지게 되었다.[2]
1981년 중산 과학 기술 연구원(CSIST)에서 하늘 활 1(톈궁 1) 미사일 시스템 개발이 시작되었다.[2] 1984년, 대만은 레이시온과 협력하여 반(半)구식 미사일을 조사했다. CSIST 전문가들은 미국에서 기술을 연구했지만, 조사한 미사일이 오래되었고 손상되었다는 결론을 내렸다.[3]
1986년, 반능동 레이더 호밍 탐색기를 사용한 발사 시험이 시작되었다. 수동 적외선 호밍 종말 탐색기도 TK-1의 보조 탐색기로 개발되어 호크 미사일 표적에 대해 성공적으로 테스트되었지만 생산되지는 않았다. CSIST는 하늘 활(톈궁) 계열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120도의 범위를 갖는 창 바이(긴 흰색)로 알려진 대형 다기능 위상 배열 레이더를 개발했으며, 최대 사거리는 450km이다. 위상 배열 레이더에는 견인식 트레일러 레이더와 고정식 "강화된" 레이더 사이트의 두 가지 버전이 있다.[4][5] 창 바이 레이더 시스템은 록히드 마틴의 ADAR-HP(공중 방어 배열 레이더-고출력) 설계를 기반으로 하며 2–4GHz 범위(S-밴드)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6년에는 최소 7개의 시스템이 사용 중이었다.[4] 1m2 표적에 대한 유효 탐지 거리는 약 400km로 보고되었다.[4]
1990년대 후반에는 4개의 개별 면으로 모든 방향의 레이더 범위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형 위상 배열 레이더가 개발되었지만, 탐지 거리가 크게 감소했다. 이 버전은 한 번만 공개적으로 나타났지만 실제 사용되지는 않았다.
하늘 활 2의 개발은 1986년경에 시작되었으며, 탄뎀 부스터 모터와 능동 레이더 호밍 종말 탐색기가 추가되었다. 하늘 활 2를 지대지 미사일로 개발하자는 제안이 있었고, 확인되지 않은 보도에 따르면 이 미사일은 톈치로 알려져 있다. 하늘 활 2에 대한 수정이 개발되어 단일 단계 로켓으로 변경되었고 단거리 탄도 미사일에 대한 제한된 능력을 제공했으며, 탄도 미사일 표적에 대한 첫 번째 시험 발사는 2008년 9월에 보고되었다.[6] 2006년에는 7개의 포대가 운용되었다.[4] 2010년에는 TK-1/2 SAM이 운용되었으며 펑후 제도, 둥인섬에 배치되었다.[7]
냉전 시대, 대만은 미국이 지원하는 나이키 허큘리스 장거리 대공 미사일을 장비하고 있었지만, 1970년대 말에 미국군에 의해 대부분 퇴역되었다. 하지만, 나이키 허큘리스 미사일은 발사 준비에 시간이 걸리고, 많은 인력을 필요로 했으며, 기술도 시대에 뒤떨어져 있었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 서방 국가에서는 미국 이외의 선진국은 장거리 방공 미사일을 개발하고 있지 않았고, 초기의 패트리어트 미사일은 사정거리가 70킬로미터에 불과했다. 당시 서방 국가에는 소비에트 연방에 도움을 구하지 않는 한, 사용할 수 있는 장거리 방공 미사일은 없었다. 중화인민공화국과 미국의 국교가 시작되었을 당시, 미국 정부는 대만이 최신 대공 미사일을 구입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았다. 그 결과, 국가 중산 과학 연구원(NCSIST)은 황샤오종(黃孝宗) 원장의 지도 아래, 신세대 장거리 방공 미사일 개발에 착수했다.
NCSIST에서 톈궁 미사일을 담당한 것은 제2연구소(미사일·로켓 연구소)였으며, 당시 제2연구소의 연구 개발의 중심은 램제트 엔진이었다. 1979년에 톈궁의 연구 개발 계획이 시동했을 당시, 제2연구소는 이 계획이 완전한 대공 미사일 시스템이 될 것이라고 인식하지 않았다.
국방부 참모 본부의 간부들이 톈궁 미사일 개발을 추진했으며, 1980년 3월 3일 회의에서 쑹창즈(宋長志) 참모총장은 톈궁 계획을 대공 미사일 병기 시스템으로 먼저 개발하기로 결정했다.[37] NCSIST의 상급 관리직은 방공 시스템 개발에 의문을 품고 있었고, 레이시온(Raytheon)이나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의 시스템 개발 협력을 원했다.[38] 참모총장 쑹창즈는 NCSIST가 톈궁 계획을 진지하게 실시하지 않으면 직원을 교체할 수밖에 없다고 발언했고, 톈궁 미사일은 황샤오종으로 담당자가 교체된 후 개발 궤도에 올랐다.
2. 1. 개발 배경
1979년 미국이 중화민국과의 양자 관계를 종료한 후, 하늘 활(미사일)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2] 첸 추안하오(Chen Chuan-hao) 엔지니어는 이 프로젝트에 대해 하늘 말(페가수스)과 나는 말 등의 다른 이름을 제안했다. 1980년 10월 프로젝트가 정식 승인되면서 하늘 활로 알려지게 되었다.[2]냉전 시대에 대만은 미국이 지원하는 나이키 허큘리스 장거리 대공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여러 요인으로 인해 1970년대 말에 미국군에 의해 대부분 퇴역되었고, 외국의 동맹국에서만 사용되었다. 나이키 허큘리스 미사일은 발사 준비에 시간이 걸리고, 발사 부대에 많은 인력을 필요로 했으며, 기술도 시대에 뒤떨어져 대만군은 후속 시스템을 찾고 있었다. 하지만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 서방 국가에서는 미국 이외의 선진국은 장거리 방공 미사일을 개발하고 있지 않았고, 초기의 패트리어트 미사일은 호크 미사일의 후계로 설계되었을 뿐이며, 사정거리는 70km에 불과했다. 소비에트 연방에 도움을 구하지 않는 한, 당시 서방 국가에는 사용할 수 있는 장거리 방공 미사일은 없었다. 패트리어트를 구입하고 싶어도, 중화인민공화국과 미국의 국교가 시작되었을 당시, 미국 정부는 대만이 최신 대공 미사일을 구입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았다. 그 결과, 국가 중산 과학 연구원(NCSIST)은 황샤오종(黃孝宗) 원장의 지도 아래, 신세대 장거리 방공 미사일 개발에 착수했다.
국가 중산 과학 연구원(NCSIST)에서 톈궁 미사일을 담당한 것은 제2연구소(미사일·로켓 연구소)였으며, 당시 제2연구소의 연구 개발 중심은 램제트 엔진이었다. 1979년 톈궁의 연구 개발 계획이 시작되었을 당시, 제2연구소는 이 계획이 완전한 대공 미사일 시스템이 될 것이라고 인식하지 않았다. 당시 소장이었던 탕쥔보(唐君鉑)는 "우선 램제트 엔진을 사용하고, 그 다음에 고성능 방공 미사일을 연구 개발한다"라고 지시했다.
톈궁 미사일 개발을 가장 추진한 것은 국방부 참모 본부의 간부들이었으며, 1980년 3월 3일 회의에서, 당시 쑹창즈(宋長志) 참모총장은, 당시 실시되고 있던 톈궁 계획과 톈마 계획(단거리 탄도 미사일) 중에서, 톈궁 계획을 대공 미사일 병기 시스템으로 먼저 개발하기로 결정하고, 중화민국 71년(1982) 예산안에 기재된 예산은 톈궁 계획 수행을 원칙으로 하기로 결정했다.[37]
하지만, NCSIST의 상급 관리직은 아직 완전한 방공 시스템 개발에 의문을 품고 있었고, 제2연구소의 류위안파(劉元發) 소장은 천촨하오(陳傳鎬) 연구 개발 주임과 내밀하게 논의하여, 레이시온(Raytheon)이나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이 시스템 개발에 협력해 주기를 원했다.[38] NCSIST에서의 브리핑에서, 참모총장 쑹창즈는, 만약 진지하게 실시하지 않는다면, NCSIST는 직원을 바꿀 수밖에 없다(상급 관리직을 해임한다)라고 발언했고, 상층부가 톈궁 계획 담당자를 제2연구소의 마오치쥔(茅奇駿) 부소장으로부터 황샤오종으로 교체한 후, 톈궁 미사일은 서서히 개발 궤도에 올랐다.
중산 과학 기술 연구원(CSIST)에서 1981년 하늘 활 1(톈궁 1) 미사일 시스템 개발을 시작했다.[2] 1984년에 대만은 레이시온과 협력하여 반(半)구식 미사일을 조사했다. CSIST 전문가들은 미국을 방문하여 기술을 연구했지만 질문은 허용되지 않았고, 조사할 수 있었던 많은 미사일이 오래되었고 보관 중에 손상되었다는 결론을 내렸다.[3]
1986년, 반능동 레이더 호밍 탐색기를 사용한 발사 시험이 시작되었다. 수동 적외선 호밍 종말 탐색기도 TK-1의 보조 탐색기로 개발되어 호크 미사일 표적에 대해 성공적으로 테스트되었지만 생산되지는 않았다. CSIST는 또한 하늘 활(톈궁) 계열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120도의 범위를 갖는 창 바이(긴 흰색)로 알려진 대형 다기능 위상 배열 레이더를 개발했으며, 최대 사거리는 450km이다. 위상 배열 레이더에는 견인식 트레일러 레이더와 고정식 "강화된" 레이더 사이트의 두 가지 버전이 있다.[4][5] 창 바이 레이더 시스템은 록히드 마틴의 ADAR-HP(공중 방어 배열 레이더-고출력) 설계를 기반으로 하며 2–4GHz 범위(S-밴드)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6년에는 최소 7개의 시스템이 사용 중이라고 한다.[4] 시스템 성능 사양은 기밀로 유지되지만 1m2 표적에 대한 유효 탐지 거리는 약 400km로 보고되었다.[4]
1990년대 후반에는 4개의 개별 면으로 모든 방향의 레이더 범위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형 위상 배열 레이더가 개발되었지만 탐지 거리가 크게 감소했다. 이 버전은 한 번만 공개적으로 나타났지만 실제 사용되지는 않았다. 하늘 활 2의 개발은 1986년경에 시작되었으며, 탄뎀 부스터 모터와 능동 레이더 호밍 종말 탐색기가 추가되었다. 하늘 활 2를 지대지 미사일로 개발하자는 제안이 있었고, 확인되지 않은 보도에 따르면 이 미사일은 톈치로 알려져 있다. 하늘 활 2에 대한 수정이 개발되어 단일 단계 로켓으로 변경되었고 단거리 탄도 미사일에 대한 제한된 능력을 제공했으며, 탄도 미사일 표적에 대한 첫 번째 시험 발사는 2008년 9월에 보고되었다.[6] 2006년에는 7개의 포대가 운용되었다.[4] 2010년에는 TK-1/2 SAM이 운용되었으며 펑후 제도, 둥인섬에 배치되었다.[7]
2. 2. 개발 과정
1979년 미국이 중화민국과의 양자 관계를 종료한 후, 하늘 활(미사일)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첸 추안하오(Chen Chuan-hao) 엔지니어가 제안한 다른 이름으로는 하늘 말(페가수스)과 나는 말 등이 있었으며, 1980년 10월 프로젝트가 정식 승인되면서 하늘 활로 알려지게 되었다.[2]1981년 중산 과학 기술 연구원(CSIST)에서 하늘 활 1(톈궁 1) 미사일 시스템 개발이 시작되었다.[2] 1984년, 대만은 레이시온과 협력하여 반(半)구식 미사일을 조사했다. CSIST 전문가들은 미국에서 기술을 연구했지만, 조사한 미사일이 오래되었고 손상되었다는 결론을 내렸다.[3]
1986년, 반능동 레이더 호밍 탐색기를 사용한 발사 시험이 시작되었다. 수동 적외선 호밍 종말 탐색기도 TK-1의 보조 탐색기로 개발되어 호크 미사일 표적에 대해 성공적으로 테스트되었지만 생산되지는 않았다. CSIST는 하늘 활(톈궁) 계열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120도의 범위를 갖는 창 바이(긴 흰색)로 알려진 대형 다기능 위상 배열 레이더를 개발했으며, 최대 사거리는 450km이다. 위상 배열 레이더에는 견인식 트레일러 레이더와 고정식 "강화된" 레이더 사이트의 두 가지 버전이 있다.[4][5] 창 바이 레이더 시스템은 록히드 마틴의 ADAR-HP(공중 방어 배열 레이더-고출력) 설계를 기반으로 하며 2–4GHz 범위(S-밴드)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6년에는 최소 7개의 시스템이 사용 중이었다.[4] 1m2 표적에 대한 유효 탐지 거리는 약 400km로 보고되었다.[4]
1990년대 후반에는 4개의 개별 면으로 모든 방향의 레이더 범위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형 위상 배열 레이더가 개발되었지만, 탐지 거리가 크게 감소했다. 이 버전은 한 번만 공개적으로 나타났지만 실제 사용되지는 않았다.
하늘 활 2의 개발은 1986년경에 시작되었으며, 탄뎀 부스터 모터와 능동 레이더 호밍 종말 탐색기가 추가되었다. 하늘 활 2를 지대지 미사일로 개발하자는 제안이 있었고, 확인되지 않은 보도에 따르면 이 미사일은 톈치로 알려져 있다. 하늘 활 2에 대한 수정이 개발되어 단일 단계 로켓으로 변경되었고 단거리 탄도 미사일에 대한 제한된 능력을 제공했으며, 탄도 미사일 표적에 대한 첫 번째 시험 발사는 2008년 9월에 보고되었다.[6] 2006년에는 7개의 포대가 운용되었다.[4] 2010년에는 TK-1/2 SAM이 운용되었으며 펑후 제도, 둥인섬에 배치되었다.[7]
냉전 시대, 대만은 미국이 지원하는 나이키 허큘리스 장거리 대공 미사일을 장비하고 있었지만, 1970년대 말에 미국군에 의해 대부분 퇴역되었다. 하지만, 나이키 허큘리스 미사일은 발사 준비에 시간이 걸리고, 많은 인력을 필요로 했으며, 기술도 시대에 뒤떨어져 있었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 서방 국가에서는 미국 이외의 선진국은 장거리 방공 미사일을 개발하고 있지 않았고, 초기의 패트리어트 미사일은 사정거리가 70킬로미터에 불과했다. 당시 서방 국가에는 소비에트 연방에 도움을 구하지 않는 한, 사용할 수 있는 장거리 방공 미사일은 없었다. 중화인민공화국과 미국의 국교가 시작되었을 당시, 미국 정부는 대만이 최신 대공 미사일을 구입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았다. 그 결과, 국가 중산 과학 연구원(NCSIST)은 황샤오종(黃孝宗) 원장의 지도 아래, 신세대 장거리 방공 미사일 개발에 착수했다.
NCSIST에서 톈궁 미사일을 담당한 것은 제2연구소(미사일·로켓 연구소)였으며, 당시 제2연구소의 연구 개발의 중심은 램제트 엔진이었다. 1979년에 톈궁의 연구 개발 계획이 시동했을 당시, 제2연구소는 이 계획이 완전한 대공 미사일 시스템이 될 것이라고 인식하지 않았다.
국방부 참모 본부의 간부들이 톈궁 미사일 개발을 추진했으며, 1980년 3월 3일 회의에서 쑹창즈(宋長志) 참모총장은 톈궁 계획을 대공 미사일 병기 시스템으로 먼저 개발하기로 결정했다.[37] NCSIST의 상급 관리직은 방공 시스템 개발에 의문을 품고 있었고, 레이시온(Raytheon)이나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의 시스템 개발 협력을 원했다.[38] 참모총장 쑹창즈는 NCSIST가 톈궁 계획을 진지하게 실시하지 않으면 직원을 교체할 수밖에 없다고 발언했고, 톈궁 미사일은 황샤오종으로 담당자가 교체된 후 개발 궤도에 올랐다.
3. 톈궁-1
'''톈궁 I''' ('''TK-1''', 톈궁 이/天弓一중국어)는 중산과학연구원이 개발한 지대공 미사일(SAM) 시스템이다. 1981년 개발을 시작하여 1983년에 실전배치되었다.[8] 톈궁 1호와 혼동될 수 있다.
톈궁-1은 주로 저고도 및 중고도 공격을 목표로 설계되었다. 미사일의 공기역학은 MIM-23 Hawk 미사일을 기반으로 했으며, 초기 설계는 AIM-54 Phoenix를 확대했으나, 이후 재설계되어 MIM-104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유사한 외형을 갖게 되었다.[8] 다만, 미사일 경유 추적 (TVM) 호밍 기능은 없다.[8]
미사일은 종말 단계에서 세미 액티브 레이다 유도 방식을 사용하므로, 지상의 지대공 레이더가 목표물에 강력한 추적 빔을 발사한다.[8] 각 톈궁-1 포대는 탐색 및 표적 추적을 위한 창백 1 (Long White 1) S-밴드 위상 배열 레이더 1개와 종말 단계에 사용되는 X-밴드(18–32 GHz)에서 작동하는 2개의 CS/MPG-25[5] 표적 조명 레이더를 갖추고 있으며, 3개 또는 4개의 4연장 미사일 발사기를 지원한다.[8]
미사일 발사기는 견인 가능한 이동형 버전과 지하 벙커에 보관되는 버전 두 가지가 있다. 톈궁-1은 중화민국 육군에 의해 펑후 및 둥잉 섬에 배치되어 중화인민공화국 푸젠성, 저장성 및 광둥성 일부를 사정권에 두게 되었다.[8]
2006년 8월, 제인스 미사일 앤 로케츠는 톈궁 1 지대공 미사일(SAM) 시스템이 퇴역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TK-1 미사일은 TK-2 미사일 탄약으로 대체될 것이며, 기존의 TK-1 시스템은 톈궁 II 표준으로 레이더 및 훈련 시뮬레이터로 업그레이드될 것이다.[9]
- 주 기능: 지대공 미사일
- 추진체: 단단 이중 추력 고체 연료 로켓 모터
- 발사대: 견인식 4연장 발사대 및 지하 사일로
- 길이: 5.3 m[8]
- 직경: 0.41 m[8]
- 무게: 915 kg[8]
- 최고 속도: 마하 4.0[8]
- 사정거리: 70 km
- 유도 방식: 지상 기반 위상 배열 레이더를 이용한 중간 유도 갱신, 종말 유도를 위한 세미 액티브 레이다 호밍 (SARH)
- 실전 배치: 1986년
4. 톈궁-2
톈궁 II (TK-2, 톈궁얼/天弓二중국어)는 중산 과학 기술 연구원(Chungsh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에서 개발한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이다. 톈궁 II는 X 밴드 액티브 레이다 유도 방식을 사용하며, 28–32 GHz 주파수 범위에서 작동하여 일반적인 항공기 크기의 목표물에 대해 우수한 성능을 제공한다.[11] 1980년대 미국에서 라이센스 받은 레이다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11] 1990년대 후반에 실전 배치된 향상된 창바이 2 (Change Bai 2, 롱화이트 2) 다기능 레이다를 사용한다.[12]
톈궁 II는 톈궁 I 미사일의 개량형으로, 미사일 내부 부품은 현대 전자 기술을 활용하여 소형화되었고, 더 많은 연료와 더 강력한 주 로켓 모터를 탑재하여 사거리가 늘어났다.[15] 톈궁 II는 탄도 미사일에 대한 능력은 제한적이지만, 항공기에 대해서는 매우 효과적이다.[13] 1991년에 톈궁 2형이 발표되었고,[48] 1997년에 양산이 시작되었다.
톈궁 II는 하늘 창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개조되기도 하였으며, 1996년 타이완 해협 미사일 위기 당시 중화민국 국군은 중국 본토에 대한 직접적인 대항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중화민국 국군 참모총장 뤄번리 상장은 톈궁 2형 대공 미사일 4발을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개조할 것을 명령했다.[56]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이 미사일을 "톈지" 미사일이라고 부르지만, 중화민국 정부와 중화민국 군은 톈궁 IIS라고 부르고 있다.
톈궁 II는 민간 우주 프로그램의 상층 대기 연구를 위한 사운딩 로켓으로도 사용된다.[14] 2003년 12월 24일에 발사된 사운딩 로켓 시험 차량은 최고 고도 270km에 도달했으며, 발사 후 약 8분 만에 태평양으로 142km 떨어진 지점에 떨어졌다.[16]
- 주 기능: 지대공 미사일
- 추진기관: 단단형 2단 추진 로켓 모터
- 발사대: 지하 사일로
- 길이: 5.673 m[18]
- 직경: 0.42 m[18]
- 무게: 1,135 kg[18]
- 최고 속도: 마하 4.5[19]
- 탄두: 90 kg[19]
- 사거리: 150 km (개량형은 200km)
- 유도 방식: 지상 기반 위상 배열 레이더를 이용한 관성 유도 및 중간 유도 갱신, 종말 유도를 위한 액티브 레이다 호밍 (ARH)
- 배치 시기: 1997년



5. 톈궁-3
톈궁-3는 중화민국이 개발한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이다.[20] 1996년 타이완 해협 위기 이후, 대탄도 미사일(ABM) 개발은 최우선 목표가 되었다.[67] 톈궁-3는 기존 톈궁-2 미사일을 기반으로 Ku 밴드 (12–18 GHz) 능동형 레이더 시커, 지향성 파편탄두,[69][21] 및 고속, 저 레이더 단면적 (RCS) 표적을 요격하기 위한 개선된 정밀 제어를 사용한다.[70][22]
톈궁-3는 탄도 미사일에 대한 중간 단계 및 종말 방어가 모두 가능하다.[23] 미사일 노즈 콘은 1,000°C 이상의 온도를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고도의 세라믹과 탄소 섬유를 사용한다.[80][3]
2001년 톈궁-3의 '실증 검증' 단계가 완료되었고, 이후 '층계 계획'이라는 코드명으로 전체 시스템 구성 검증 및 성능 최적화가 진행되었다. 2007년 첫 요격 시험 발사가 실시되었고, 같은 해 중화민국 국경일 열병식에서 공개되었다.[74][75] 2009년부터 운용 시험 평가(OT&E)가 시작되어 고정익기, 순항 미사일, 탄도 미사일 등 다양한 위협에 대한 요격 능력을 검증했다.
2014년, 톈궁 3 SAM의 생산이 시작되어 초기 12개 포대가 생산되었다.[24] 이후 MIM-23 호크를 대체하기 위해 추가 주문이 이루어졌다.[25] 2019년 차이잉원 총통은 톈궁-3의 대량 생산 가속화를 명령했다.[82][27]
톈궁-3는 기존의 창샨 레이더를 개량한 새로운 이동식 위상 배열 레이더를 사용한다. 이 레이더는 AN/MPQ-65와 유사한 C-대역(4–8 GHz) 주파수 범위에서 작동한다.[4]
톈궁-3 시스템은 트레일러 이동식 시스템으로, 위상 배열 레이더 장치, 사격 통제 차량, 통신 중계 차량, 발전기 차량, 레이더 미끼 차량, 4연장 수직 발사대로 구성된다. 1개 중대는 5~8기의 4연장 수직 발사기를 운용한다.
톈궁-3의 함대지 발사형은 마크 41 VLS에 장착 가능하며, 중화민국 해군의 차세대 함정에 배치될 예정이다.[31] 2016년 지상 발사대에서 시험 발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30]
6. 스트롱 보우 (톈궁-3 사거리 연장형)
2023년에 최대 요격 고도 70km의 새로운 탄도 미사일인 스트롱 보우(Strong Bow)의 개발이 완료되었다.[34][35] 스트롱 보우는 TK-3의 사거리 연장형으로 보도되지만, 실제로는 별개의 미사일이다.[34][35] TK-3과의 차이점으로는 동체, 노즈콘(nosecone), 추진 시스템 등이 있다.[34][35] 또한, 자체 생산한 마이크로파 전력 증폭기와 Ka 대역 탐색기를 탑재하고 있다.[34][35]
2014년 말, 중산과학연구원(NCSIST)은 입법원 외교국방위원회의 보고에서 "강궁 계획"이라고 불리는 천궁 Ⅲ 미사일 연장 사정 연구 개발 계획을 언급했고[90], 입법원도 사거리 70km의 신형 탄 개발을 위해 2015년에 5년간 예산 70억 1,872만 달러를 확보했다.[91]
표준적인 천궁 Ⅲ형과 비교하여, 강궁 탄은 대만산 새로운 마이크로파 파워 앰프를 사용하며, 노즈콘, 탄체 구조, 추진 시스템도 갱신되었다. 요격 고도가 대폭 상승하기 때문에, 강궁 탄은 2단식 설계를 채택하고 있다. 제1단의 추진 로켓으로 미사일을 성층권까지 밀어 올리고, 그 후 분리하며, 제2단의 자세 제어 스러스터로 얇은 대기권 내에서의 조종을 가능하게 하고, 종말 유도를 담당하는 Ka 밴드 액티브 레이더 시커도 성층권의 수증기가 적기 때문에 간섭의 영향을 덜 받는다.[95]
Strong Bow I의 장거리 변형으로 요격 고도가 100km 이상인 모델이 개발 중이다.[35] 공군은 2022년 8월 18일에 강궁 계획의 초기 운용 테스트 및 평가(Initial Operational Test & Evaluation, IOT&E)를 실시하고, 이듬해 2월에 사거리 70km급의 강궁Ⅰ의 시험을 완료하고, 이후 양산을 시작하며, 사거리 100km급의 강궁Ⅱ는 계속해서 시험·평가할 것을 발표했다.[94]
대만 국방부가 발표한 최신 "통제 군사 제품 목록"에 따르면, "TK4(천궁 IV)" 미사일용 신형 방공 미사일 발사통도 목록에 올라 있다. 보도에 따르면, "TK4 발사통"은 사거리 70km급의 천궁 Ⅲ형 강궁Ⅰ형 미사일을 의미하며, 발사통의 크기는 7.64m×1.1m×1.1m로, 천궁 Ⅲ형 발사통의 5.5m×0.8m×0.84m보다 크다.[96][97][98]
천궁-3는 MIM-23 호크를 대체하기 위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교체될 예정이었다. 창샨 레이더는 패트리어트 PAC-3의 AN/MPQ-65 레이다와 유사하며, 2016년 중산과학연구원은 구축함용 탄도 미사일 방어용 천궁-3를 지상에서 시험발사했다. 이는 미국 마크 41 VLS에 장착할 수 있으며, 대만의 차기 호위함과 구축함에 사용될 예정이다.
- '''주요 기능:''' 지대공 미사일
- '''엔진:''' 고체 연료 로켓 모터
- '''발사 장치:''' 견인식 4연장 발사기
- '''길이:''' 5.498 m[99]
- '''직경:''' 0.4 m
- '''중량:''' 870 kg
- '''유도:''' 중간 항정: 관성/지령 유도. 종말 유도: 능동 레이다 호밍.
- '''최대 속도:''' 마하 7.0[100]
- '''최대 G:''' 35G
- '''사정 거리:''' 200 km[101]
- '''사정 고도:''' 45km (기본형), 70km (강궁 I), 100km (강궁 II)
7. 레이더
CS/MPG-25 X밴드 표적 조명 레이더는 1980년대 후반에 실전 배치되었다. 최대 사거리는 222km, 고도는 30,480m이다.[10][44] CS/MPG-25는 중산과학연구원(CSIST)에서 자체 개발한 연속파 디스크 안테나 조명 레이더로, AN/MPQ-46 고출력 조명기(HPI) 레이더에서 파생되었지만 출력에서 60% 더 강력하고 전자전(EW), ECM, IFF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추정된다.[8][45] 이 레이더는 미국 해군의 이지스(AEGIS) 방공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시간 분할 방식을 사용하여 주 위상 배열 레이더에 연결되어, TK-1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이 여러 표적을 교전할 수 있도록 한다.[4][46]
톈궁 III형 방공 미사일 시스템의 기동형 중거리 3차원(3D) 사격 통제 위상 배열 레이더(Mobile 3D ADFCPAR)는 S-밴드의 PESA 레이더[102][103]로, 안테나 면에서 120도, 피치에서 90도의 탐지 범위를 가지며, 400km 거리에서 탐지할 수 있다.[104] 메인 안테나에는 총 3,488개의 송수신 소자가 있으며,[105] Mobile 3D ADFCPAR는 미사일에 양방향 데이터 링크를 제공한다.[106]
모바일 3D ADFCPAR 레이더 외에도 톈궁 III형 방공 미사일 시스템은 1,000km의 탐색 범위를 가진 창산 AESA 레이더에도 연결할 수 있다. 강궁 계획의 개발을 지원하고, 동(東)타이완의 대전술 탄도 미사일 전력을 강화하기 위해, 중산과학연구원(NCSIST)은 창산 레이더를 재가동하고 업그레이드했다. 이 레이더는 톈궁 III형 방공 미사일 시스템에 조기 경보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대탄도 미사일 능력의 강화를 가능하게 한다.[107] 현재, 타이완 공군은 창산 AESA 레이더의 첫 번째 세트를 수령하여 동(東)타이완에 배치했으며, 「천궁 3형 대전술 탄도 요격 미사일 지령 통제 절차」를 수립 중이다.[108]
8. 중화민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와 톈궁 미사일
9. 대한민국과의 관계
참조
[1]
뉴스
Taiwan test fires Sky Bow air defense missiles amid tensions with Beijing
http://www.taiwannew[...]
2017-02-10
[2]
뉴스
Taiwan in Time: The homegrown 'sky bow' project
https://www.taipeiti[...]
2023-10-29
[3]
웹사이트
Foreign arms buyers show interest in Taiwan's Sky Bow III missile
https://www.taiwanne[...]
Taiwan News
2019-12-03
[4]
간행물
Medium Range Air Defense Radar
Taiwan Defense Review
2006-06-19
[5]
웹사이트
Tien Kung Weapon System
http://cs.mnd.gov.tw[...]
Chungsh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6]
간행물
Taiwan Tests TK-2A ATBM
Taiwan Defense Review
1998-09-18
[7]
웹사이트
The Balance of Air Power in the Taiwan Strait
http://www.us-taiwan[...]
US-Taiwan Business Council
2010-05
[8]
서적
Tien Kung I low-to-medium-altitude surface-to-air-missile system, pages 299-300
Jane's Land-Based Air Defense
2002-2003
[9]
간행물
Taiwan switches from Tien Kung I to Tien Kung II
Jane's Missiles and Rockets
2006-08
[10]
웹사이트
CS/MPG-25 (Sky Bow Illuminator)
http://cmano-db.com/[...]
CMANO
2019-08-01
[11]
간행물
CSIST Seeks New Seeker
Taiwan Defense Review
2002-01-15
[12]
웹사이트
Long White 2 (Sky Bow 2 MFR)
http://cmano-db.com/[...]
CMANO
2019-08-01
[13]
웹사이트
Taiwan: U.S. Ties Squeeze Missile Development
https://worldview.st[...]
STRATFOR
2019-08-08
[14]
논문
Suborbital and low-thermospheric experiments using sounding rockets in Taiwan
2012
[15]
간행물
Taiwan Forming Missile Command
Taiwan Defense Review
2004-02-16
[16]
간행물
Satellite Prospects
Taiwan Defense Review
2004-10-20
[17]
웹사이트
New missiles can travel 2,000km: source
https://www.taipeiti[...]
Taipei Times
2023-11-16
[18]
간행물
More Sounding Rocket Missions
Taiwan Defense Review
2003-02-11
[19]
서적
Tien Kung II, pages 298-299
Jane's Land-Based Air Defense
2002-2003
[20]
웹사이트
Taiwan's Security - Beyond the Special Budget
http://www.aei.org/o[...]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2006-03
[21]
간행물
Retaining Missile Defense Focus
Taiwan Defense Review
2006-03-27
[22]
뉴스
Taiwan Proceeds on LACM
Defense News
2008-09-15
[23]
논문
China's Next Generation Missile: The DF-17 in Pacific Conflict and Great Power Competition
https://indsr.org.tw[...]
2020-02-17
[24]
웹사이트
國軍將採購12套天弓三飛彈
https://www.chinatim[...]
2023-12-20
[25]
웹사이트
DEFENSE/Taiwan to build 12 new domestic TK III missile sites by 2026
https://focustaiwan.[...]
2023-12-20
[26]
뉴스
Taiwan Retires Hawk Missiles
http://www.defensene[...]
2014-09-15
[27]
웹사이트
Taiwan president urges faster mass production of missiles
http://m.focustaiwan[...]
Focus Taiwan
2019-05-18
[28]
웹사이트
Sky Bow III missiles completed ahead of schedule: Taiwan's defense ministry
https://www.taiwanne[...]
Taiwan News
2021-05-30
[29]
웹사이트
Taiwan to station Sky Bow III missiles at 12 new bases
https://www.taiwanne[...]
Taiwan News
2024-04-29
[30]
웹사이트
Taiwan's NCSIST Successfully Tested a Ship-based Variant of Tien Kung III BMD Interceptor
http://navyrecogniti[...]
2017-01-02
[31]
웹사이트
Taiwan Navy Emphasizing Domestic Shipbuilding Program in Ongoing Maritime Restructure
https://news.usni.or[...]
USNI
2019-12-03
[32]
웹사이트
tw.news
https://tw.news.yaho[...]
2019-04-17
[33]
웹사이트
Tien-Kung III (Sky Bow III) Surface-to-Air Missile System
https://www.army-tec[...]
2019-04-17
[34]
웹사이트
【獨家】攔截軍機繞台及東風21型飛彈 弓三增程型飛彈完成驗證提早部署
https://www.upmedia.[...]
2023-08-30
[35]
웹사이트
New missile bolsters air defense: MND
https://www.taipeiti[...]
2023-04-28
[36]
뉴스
Taiwan test fires Sky Bow air defense missiles amid tensions with Beijing
http://www.taiwannew[...]
2017-02-10
[37]
서적
天弓-我們向世界之最挑戰
科技圖書出版有限公司
2014-03
[38]
서적
天弓-我們向世界之最挑戰
科技圖書出版有限公司
2014-03
[39]
간행물
Tien Kung I low-to-medium-altitude surface-to-air-missile system, pages 299-300
2002-2003
[40]
웹사이트
Tien Kung Weapon System
http://cs.mnd.gov.tw[...]
[41]
간행물
Tien Kung I low-to-medium-altitude surface-to-air-missile system, pages 299-300
2002-2003
[42]
간행물
Tien Kung I low-to-medium-altitude surface-to-air-missile system, pages 299-300
2002-2003
[43]
간행물
Taiwan switches from Tien Kung I to Tien Kung II
2006-08
[44]
웹사이트
CS/MPG-25 (Sky Bow Illuminator)
http://cmano-db.com/[...]
CMANO
2019-08-01
[45]
간행물
Tien Kung I low-to-medium-altitude surface-to-air-missile system, pages 299-300
2002-2003
[46]
간행물
Medium Range Air Defense Radar
2006-06-19
[47]
간행물
Tien Kung I low-to-medium-altitude surface-to-air-missile system, pages 299-300
2002-2003
[48]
웹사이트
如果敵機來襲……
https://www.taiwan-p[...]
1991-04
[49]
웹사이트
Taiwan: U.S. Ties Squeeze Missile Development
https://worldview.st[...]
STRATFOR
2019-08-08
[50]
뉴스
台灣試射自製天弓二型導彈
http://news.bbc.co.u[...]
2002-05-10
[51]
뉴스
關鍵美制零件斷貨 台灣自行研製天弓導彈停產
http://www.southcn.c[...]
2002-08-24
[52]
웹사이트
弓二試射精準截敵
https://www.ncsist.o[...]
2024-06-17
[53]
웹사이트
空中威脅嚴峻 國防部擬增12處天弓三型飛彈陣地
https://www.cna.com.[...]
2024-06-17
[54]
뉴스
首見愛國者攔截天弓飛彈 「顯示天弓具備導彈對地攻擊能力」
http://www.storm.mg/[...]
2016-10-12
[55]
웹사이트
天弓二型飛彈試射 緊急喊卡 國防部:發現中共海警船 避免參數外洩 國防部:發現中共海警船 避免參數外洩
https://www.chinatim[...]
chinatimes
2016-10-06
[56]
웹사이트
台海危機坐鎮指揮 前參謀總長羅本立辭世 享壽92歲
https://udn.com/news[...]
2019-01-15
[57]
웹사이트
空軍檢整驗證部署18年「地對地」雄昇攻陸飛彈
https://udn.com/news[...]
2020-04-16
[58]
웹사이트
Missile Threat:Tien Chi
https://missilethrea[...]
2019-01-15
[59]
웹사이트
天弓2B佈署澎湖 射程可毀陸基地
https://tw.news.yaho[...]
2024-06-17
[60]
웹사이트
【獨家】天弓二B短程地對地飛彈性能提升 中科院啟動代號「天鶚計畫」 -- 上報 / 要聞
https://www.upmedia.[...]
2024-06-17
[61]
웹사이트
傳中科院啟動「天鶚計畫」天弓二B型飛彈變更強、更準
https://news.ltn.com[...]
2019-03-07
[62]
웹사이트
部署我初代短程地對地飛彈 東引威龍陣地首曝光
https://udn.com/news[...]
2022-11-24
[63]
간행물
Taiwan Forming Missile Command
2004-02-16
[64]
간행물
Satellite Prospects
2004-10-20
[65]
간행물
More Sounding Rocket Missions
2003-02-11
[66]
간행물
Tien Kung II, pages 298-299
2002-2003
[67]
웹사이트
台湾武器装备未来发展趋势
http://www.defenseon[...]
国防在线
2024-06-17
[68]
웹사이트
天弓三型地對空武器系統
https://www.ncsist.o[...]
國家中山科學研究院
2022-05-28
[69]
간행물
Retaining Missile Defense Focus
2006-03-27
[70]
간행물
Taiwan Proceeds on LACM
2008-09-15
[71]
이미지
http://i1010.photobu[...]
[72]
간행물
Medium Range Air Defense Radar
Taiwan Defense Review
2006-06-19
[73]
학술지
中科院秘密武器 單元2 弓三現身
http://www.diic.com.[...]
軍事家—全球防衛雜誌社
2007-11-04
[74]
웹사이트
天弓三型地對空武器系統
https://www.ncsist.o[...]
國家中山科學研究院
2022-05-28
[75]
학술지
閱兵重現台北城 同慶操演慶雙十:2007年國慶日國防表演特報
軍事家—全球防衛雜誌社
2007-11-01
[76]
웹사이트
國軍將採購12套天弓三飛彈
https://www.chinatim[...]
中時新聞網
2014-12-03
[77]
웹사이트
天弓三vs.愛三 土洋價錢差6倍
https://www.chinatim[...]
中時新聞網
2023-05-13
[78]
웹사이트
宋兆文/增程弓三、雲峰飛彈戰測 欣見國防戰力持續精進
https://forum.ettoda[...]
ETtoday雲論
2022-05-28
[79]
웹사이트
台灣防空飛彈接戰愛三、弓三孰優先?專家給出答案
https://udn.com/news[...]
聯合新聞網
2022-05-27
[80]
웹사이트
Foreign arms buyers show interest in Taiwan’s Sky Bow III missile
https://www.taiwanne[...]
Taiwan News
2019-12-03
[81]
뉴스
Taiwan Retires Hawk Missiles
http://www.defensene[...]
Defensenews.com
2014-09-15
[82]
웹사이트
Taiwan president urges faster mass production of missiles
http://m.focustaiwan[...]
Focus Taiwan
2019-05-18
[83]
웹사이트
海弓三飛彈垂射成功,填補海軍「抗飽和」戰術缺口
https://opinion.udn.[...]
UDN鳴人堂
2022-05-29
[84]
학술지
後端環形點火器技術
國家中山科學研究院
[85]
웹사이트
中科院艦射「天弓三型」防空飛彈 首度試射成功
https://news.ltn.com[...]
自由時報
2022-05-29
[86]
웹사이트
海弓三防空飛彈今年登上「高雄號」 首次進行海上垂直發射驗證
https://www.upmedia.[...]
上報
2022-05-29
[87]
웹사이트
迅聯專案防空第一階段測試完成! 海弓三飛彈首度完成MK41垂直發射系統海測
https://www.upmedia.[...]
上報
2022-05-29
[88]
웹사이트
海劍二、海弓三順利通過「華陽」垂發測試 海軍新艦獲戰力提升
https://def.ltn.com.[...]
自由時報
2024-06-24
[89]
웹사이트
「華陽」垂發系統+海弓三通過測評 這原因卻讓中科院嘔死了
https://def.ltn.com.[...]
自由時報
2024-06-24
[90]
웹사이트
中科院證實天弓三型增程 攔截中國導彈-風傳媒
https://www.storm.mg[...]
2022-07-06
[91]
웹사이트
【獨家】攔截軍機繞台及東風21型飛彈 弓三增程型飛彈完成驗證提早部署 -- 上報 / 調查
https://www.upmedia.[...]
2022-07-06
[92]
웹사이트
中科院今晚台東試射飛彈 外界研判應是驗證「強弓專案」 -- 上報 / 焦點
https://www.upmedia.[...]
2022-07-06
[93]
웹사이트
中科院疑試射「台版薩德」天弓三增程飛彈 大陸情報船現蹤 - 政治
https://www.chinatim[...]
2022-07-06
[94]
웹사이트
獨家》射高70公里「強弓」飛彈通過戰測 國防部:空軍啟動量產規劃 - 自由軍武頻道
https://def.ltn.com.[...]
2023-04-29
[95]
웹사이트
中科院疑試射「台版薩德」天弓三增程飛彈 大陸情報船現蹤 - 政治
https://www.chinatim[...]
2022-07-06
[96]
웹사이트
「強弓飛彈」攔截高度達到70公里 「 TK4型」彈箱尺寸曝光超驚人
https://opinion.udn.[...]
自由時報
2024-08-01
[97]
웹사이트
官洩天弓4型反彈道防空飛彈 實測完成雙彈攔截彈道飛彈
https://udn.com/news[...]
2024-08-04
[98]
웹사이트
中科院傳小批量產射高70公里「強弓飛彈」 「 TK4型」彈箱尺寸曝光|壹蘋新聞網
https://tw.nextapple[...]
2024-08-04
[99]
서적
Tien Kung I low-to-medium-altitude surface-to-air-missile system, pages 299-300
Jane's Land-Based Air Defense
2002
[100]
뉴스
「天弓三」突神秘發射 反制共軍威脅
https://tw.news.yaho[...]
三立新聞網
2018-12-06
[101]
뉴스
Tien-Kung III (Sky Bow III) Surface-to-Air Missile System
https://www.army-tec[...]
Army Technology
[102]
학술지
專訪中科院前副院長 古錦安:國產相列雷達研發先鋒
http://temiac.ee.ntu[...]
臺灣電磁產學聯盟
2023-02-26
[103]
학술지
回顧與展望—前副院長古錦安博士在本院服務三十九年紀要
國家中山科學研究院
2023-07-01
[104]
웹사이트
大型陣列天線之發展與應用
http://mobilerf.ntus[...]
國家中山科學研究院 電子系統研究所
2016-09-12
[105]
학술지
空間饋電式陶磁相列天線之研製
國家中山科學研究院
2009-07
[106]
웹사이트
天弓三型飛彈
https://www.ncsist.o[...]
國家中山科學研究院
2024-06-24
[107]
웹사이트
立法院議案關係文書 院總第 31 號 政府提案第 10036296 號
https://ppg.ly.gov.t[...]
中華民國立法院
2023-04-07
[108]
웹사이트
中科院強弓專案 雷達系統先上
https://udn.com/news[...]
聯合新聞網
2023-08-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