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착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착화는 외부의 문화, 언어, 경제 시스템 등을 특정 지역의 환경에 맞게 변화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1951년 인도에서 기독교 선교에 대한 연구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로, 언어, 경제, 사회 복지, 지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난다. 언어의 경우 아프리카 프랑스어처럼 외부 언어가 현지 문화와 융합되는 방식으로 나타나며, 경제 분야에서는 짐바브웨의 토착화 및 경제적 권한 부여법과 같이 자국민의 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한 정책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종교 선교에서는 기독교를 현지 문화에 맞춰 수용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기업 소유에서도 외국 기업의 지분 일부를 자국민에게 할당하는 방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화 동화 - 외래어
외래어는 다른 언어에서 유입되어 특정 언어에 정착한 단어 또는 표현으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발음, 의미, 형태 등이 변화하고 외국어, 차용어, 부분 바꿈, 번역 차용, 신조어, 뜻 차용 등의 형태로 수용되면서 원래 의미와 다르게 사용되기도 하며, 각 언어는 외래어 수용에 대한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외래어 순화 운동을 통해 사용을 제한하기도 한다. - 문화 동화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토착화 | |
---|---|
토착화 (Indigenization) | |
정의 | 특정 장소에 고유한 것이 되거나, 특정 장소에 고유한 특징을 갖게 되는 과정 |
관련 용어 | 지역화 코레니자ציה |
정치/사회적 의미 | |
목표 | 비원주민 기관에 원주민을 더 많이 포함시키고, 그 기관이 원주민의 열망을 충족시키도록 하는 것 |
방법 | 할당제 (예: 공공 서비스) 토착민 기업에 대한 선호도 부여 원주민의 종교적/문화적 관행에 대한 재평가 및 사용 |
국가별 사례 |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말레이시아 |
기타 분야에서의 토착화 | |
심리학 | 심리학적 개념 및 연구 방법을 특정 문화적 맥락에 맞게 적용하는 것 |
교육 | 지역 문화, 가치, 지식을 교육 과정에 통합하는 것 |
신학 | 기독교 신학을 특정 문화에 맞게 해석하고 적용하는 것 |
언어 | 사투리의 보존 및 진흥 |
2. 역사
토착화(Indigenization)는 기독교 선교사들이 기독교와 지역 전통문화의 융합을 시도하여, 기독교에 쉽게 다가설 수 있게 하는 선교 방법을 추구하면서 처음 만든 용어이다.[2] 1951년 인도에서 기독교 선교사에 대해 수행된 연구에 관한 논문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3] 남부 인도에서 교회를 토착화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역사적으로 무언가를 토착화하는 과정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이와 유사하게 무언가를 현지화하는 과정을 묘사하는 다른 단어로는 아프리카화, 현지화, 글로컬리제이션, 미국화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무언가를 토착화하는 과정의 특정 사례를 설명한다. 이러한 다른 용어들이 너무 좁은 범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더 일반적인 용어인 토착화를 선호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독교화는 지역과 집단을 기독교를 따르도록 개종시키는 토착화의 한 형태였다.
2. 1. 용어의 역사
토착화(Indigenization)라는 말은 기독교 선교사들이 기독교와 지역 전통문화의 융합을 시도하여, 기독교에 쉽게 다가설 수 있게 하는 선교 방법을 추구하면서 처음 만든 말이다.[2] 1951년 인도에서 기독교 선교사에 대해 수행된 연구에 관한 논문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3] 남부 인도에서 교회를 토착화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1962년 ''이코노미스트''지에서 관리직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1971년 존 스펜서의 저서 ''서아프리카의 영어''에서는 영어를 채택하는 것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토착화는 19세기와 20세기 초 유럽의 식민주의의 영향으로 인해 아프리카에서 식민주의 문화의 채택을 설명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2]
2. 2. 토착화의 역사적 사례
기독교 선교사들이 기독교와 지역 전통문화의 융화를 시도하여, 기독교에 쉽게 다가설 수 있도록 하는 선교방법을 추구하면서 토착화라는 말을 처음 만들었다.- '''성공회'''
성공회 강화성당과 청주성공회성당은 기와집 교회이다.
- '''가톨릭'''
가톨릭에서는 조각가 오채연 씨가 성모 마리아를 물을 긷는 조선 여인의 모습으로 묘사한 성모상을 제작하였다.
동양화가인 운보 김기창 선생은 예수를 갓을 쓰고 한복을 입은 조선인으로 묘사한 성화를 그렸다.
OED에 기록된 '토착화'라는 단어의 첫 사용은 1951년에 인도에서 기독교 선교사에 대해 수행된 연구에 관한 논문에서였다.[2] 이 단어는 남부 인도에서 교회를 토착화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3] 토착화는 19세기와 20세기 초 유럽의 식민주의의 영향으로 인해 아프리카에서 식민주의 문화의 채택을 설명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2]
역사적으로 무언가를 토착화하는 과정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이와 유사하게 무언가를 현지화하는 과정을 묘사하는 다른 단어로는 아프리카화, 현지화, 글로컬리제이션, 미국화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무언가를 토착화하는 과정의 특정 사례를 설명한다. 이러한 다른 용어들이 너무 좁은 범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더 일반적인 용어인 토착화를 선호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독교화는 지역과 집단을 기독교를 따르도록 개종시키는 토착화의 한 형태였다.
3. 유형
토착화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난다.
- '''언어''': 아프리카에서 사용되는 프랑스어처럼 특정 지역에서 언어가 채택되는 방식을 의미한다.[4] 아프리카 종교 및 문화를 언급하기 위해 아프리카에서 언어가 토착화되어야 했던 과정을 가리키며, 이 과정에서 원래 언어와 도입된 언어의 조합인 메타언어가 생성되기도 한다.[4]
- '''경제''': 외부 자본 및 경제 시스템이 유입되면서 토착 경제 체제와 융합되는 현상을 말한다.[6] 짐바브웨의 토착화 및 경제적 권한 부여법은 흑인들이 경제에서 더 두드러진 위치를 차지하도록 만들었으며,[5] 중국의 개방 정책은 서방 세계에 문을 열어 미시 경제 개혁으로 이어졌다.[6]
- '''사회 복지''': 토착화는 문화적으로 적합한 사회 복지 과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7] 그러나 서구 문화와 비서구 문화 간의 차이로 인해 효과가 다를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8]
- '''지명''': 캐나다 지명 위원회와 같은 기관은 지방 및 지역 당국의 의견과 조치를 통해 기존 지명을 변경할 수 있으며, 사니라작, 킹가이트와 같이 토착 지명이 복원되기도 한다.[9][10][11]
3. 1. 언어
토착화는 아프리카에서 사용되는 프랑스어처럼 특정 지역에서 언어가 채택되는 방식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4] 이 용어는 이전 식민 지배국의 언어가 아프리카 종교 및 문화에 대한 몇 가지 언급을 필요로 했던 아프리카에서 언어가 토착화되어야 했던 과정을 가리킨다.[4] 비록 원래 언어에는 이에 대한 어휘가 없었지만,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일반적으로 원래 언어와 도입된 언어의 조합인 메타언어가 생성된다.[4] 이 언어는 두 문화의 문화적 측면을 공유하여, 외국어를 해당 지역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뚜렷하게 만든다.[4] 때때로 토착화라는 용어는 부정적인 의미가 없고 어떤 숨겨진 의미도 내포하지 않기 때문에 아프리카화와 같은 다른 용어보다 선호된다.[4]3. 2. 경제
토착화는 사회의 경제적 역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6] 외부 자본 및 경제 시스템이 유입되면서 토착 경제 체제와 융합되는 현상이 나타났다.짐바브웨에서는 토착화 및 경제적 권한 부여법(Indigenisation and Economic Empowerment Act) 덕분에 흑인들이 경제에서 더 두드러진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외국인들은 사업의 51%를 흑인에게 양도해야 했다.[5] 2008년 짐바브웨 의회에서 통과된 이 법은 외국 소유 기업이 향후 몇 년 동안 사업의 51%를 짐바브웨 원주민에게 매각하도록 강제한다. 토착화 계획을 제출하지 않거나 원주민을 사업의 명목상 대표로 사용하는 외국인은 5년의 징역형에 처해진다.[5] 이 법의 의도는 짐바브웨 원주민이 경제에서 더 두드러진 역할을 수행하도록 보장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법은 외국인 투자자를 위축시킬 것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었다.[5]
개방 정책(Open Door Policy)은 중국 경제의 토착화에 큰 발걸음으로 여겨지는데, 서방 세계에 문을 열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문화가 서로를 경험할 수 있었고, 중국의 사업을 서방 세계에도 개방하여 중국을 일종의 미시 경제 개혁(Microeconomic reform)으로 이끌었다.[6]
3. 3. 사회 복지
사회 복지는 토착화의 중요한 부분이지만, 사회적 요인이 작용할 때 실제 과정이 무엇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6] 일부에서는 토착화를 동화 과정보다는 문화적으로 적합한 사회 복지 과정으로 본다. 토착화는 표준은 아니었지만, 타인을 주변의 관점에 익숙하게 하는 동시에 그들의 출신과 유산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식이었다.[7] 그러나 일부에서는 사회 복지의 토착화가 서구 문화에 외국인을 들여올 때는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비서구 문화에서는 그렇게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서구 문화가 서구 문화와 외국 문화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과장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8]3. 4. 지명
캐나다 지명 위원회와 같은 연방 정부 기관은 지방 및 지역 당국의 의견과 조치를 통해 기존 지명을 변경할 수 있으며, 대중으로부터 변경 제안을 받기도 한다. 사니라작, 킹가이트, 쿼텟, 하이더 궨, 살리시 해와 같이 토착 지명이 복원되기도 한다.[9][10][11]4. 종교 선교에서의 토착화 (한국)
토착화라는 용어는 기독교 선교사들이 기독교와 지역의 전통문화를 융합하여, 기독교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 선교 방법을 추구하면서 처음 만들었다. 한국 기독교의 토착화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성공회'''
성공회 강화성당과 청주성공회성당은 기와집 교회이다.
- '''가톨릭'''
조각가 오채연은 성모 마리아를 물을 긷는 조선 여인의 모습으로 묘사한 성모상을 제작하였다.
동양화가인 운보 김기창은 예수를 갓을 쓰고 한복을 입은 조선인으로 묘사한 성화를 그렸다.
5. 기업 소유에서의 토착화
짐바브웨에서는 백인 소유의 토지를 흑인에게 재분배하였다.
토착화 및 경제적 권한 부여법은 2008년 짐바브웨 의회에서 통과되었다. 이 법은 외국 소유 기업이 향후 몇 년 동안 사업의 51%를 짐바브웨 원주민에게 매각하도록 강제하는 일련의 기업 규제 조항이다. 토착화 계획을 제출하지 않거나 원주민을 사업의 명목상 대표로 사용하는 외국인은 5년의 징역형에 처해진다.[5] 이 법의 의도는 짐바브웨 원주민이 경제에서 더 두드러진 역할을 수행하도록 보장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법이 외국인 투자자들을 위축시킬 것이라는 반대론자들의 주장도 제기되며 논란이 일었다. 짐바브웨 원주민은 "1980년 4월 18일(짐바브웨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날) 이전에 인종에 따른 불공정한 차별로 인해 불이익을 받은 모든 사람과 그러한 사람의 후손, 그리고 짐바브웨 원주민이 구성원의 다수를 차지하거나 지배적인 지분을 소유하는 회사, 협회, 신디케이트 또는 파트너십"으로 정의된다.[5]
이 조항에 따라 청소년 개발, 토착화 및 경제적 권한 부여부 장관인 세이버 카수쿠웨레는 외국인 투자자가 파트너를 선택할 수 있는 원주민 기업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법이 통과될 당시 짐바브웨의 집권당은 자누-PF였으며, 로버트 무가베 대통령이 이끌었다.[5] 세이버 카수쿠웨레는 이 당의 일원이며, 이 데이터베이스가 당의 동맹에게 가장 좋은 거래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경제학자들의 추측으로 인해 회의론이 일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수쿠웨레는 법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5]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INDIGENIZE
http://www.merriam-w[...]
2016-12-01
[2]
웹사이트
indigenization, n.
https://www.oed.com/[...]
2021-04-28
[3]
논문
The Indian Research Series
http://www.internati[...]
[4]
서적
The African Palimpsest : Indigenization of Language in the West African Europhone Novel
Rodopi
[5]
뉴스
Zimbabwe acts against foreign business owners {{!}} The National
http://www.thenation[...]
2016-11-22
[6]
논문
The Politics of Indigenization: A Case Study of Development of Social Work in China
http://scholarworks.[...]
[7]
논문
Importing Western Values Versus Indigenization: Social work practice with Ethnic Minorities in Hong Kong
[8]
서적
Indigenization Measures and Multinational Corporations in Africa
Oceana Publications
[9]
웹사이트
Renaming places: how Canada is reexamining the map
https://canadiangeog[...]
2022-11-22
[10]
웹사이트
Indigenous Place Names
https://www.nrcan.gc[...]
2022-11-22
[11]
웹사이트
Canada's changing map: Reconciliation renames people, places, things
https://nationalpost[...]
2022-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