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리스토보기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톨리스토보기이족은 켈트족의 한 부족으로, 톨리스토보기이족이라는 명칭은 켈트조어 어근의 합성어로 추정된다. 기원전 279년 델포이를 약탈한 브렌누스의 군대에 속해 있었으며, 이후 비티니아의 용병으로 활동하며 아나톨리아 지역을 약탈했다. 현재 앙카라 서쪽에 위치한 에스키셰히르 주 일대에 주로 거주했으며, 로마에 대항하여 세력을 확장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이족 - 바이에른주
바이에른주는 독일 남부에 위치하며, 오랜 역사와 독자적인 문화를 통해 발전해왔고, 현재는 독일 경제를 이끄는 주요 주 중 하나이다. - 보이족 - 오스트리아인
오스트리아인은 오스트리아 국적을 가진 사람들이나 오스트리아의 전통 문화와 풍습을 계승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며, 독일계 오스트리아인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합스부르크 제국 몰락 후 독립적인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여 오늘날 다문화 사회를 이루고 있다. - 갈라티아 - 텍토사게스족
텍토사게스족은 기원전 3세기 갈리아 툴루즈 지역에서 기원한 켈트족의 일파로, 발칸 반도 침략 후 소아시아로 이동하여 갈라티아인을 형성하고 앙키라를 중심으로 갈라티아 영토의 중심부를 차지했다. - 갈라티아 - 투즈호
투즈 호는 터키 중앙 고원에 위치한 염호로, 터키 소금 생산량의 63%를 차지하며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로서 특별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 갈리아인 - 보이족
보이족은 기원전 3세기부터 서기 1세기경 중부 유럽과 북부 이탈리아에 거주했던 켈트족의 일파로, 그 이름은 '소' 또는 '전사'를 의미하는 켈트어 'boio-'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로마와 대립하거나 한니발에게 길을 안내하는 등 역사 속 역할을 했고, 보헤미아 지명이나 바이에른 어원 등에 흔적이 남아있다. - 갈리아인 - 텍토사게스족
텍토사게스족은 기원전 3세기 갈리아 툴루즈 지역에서 기원한 켈트족의 일파로, 발칸 반도 침략 후 소아시아로 이동하여 갈라티아인을 형성하고 앙키라를 중심으로 갈라티아 영토의 중심부를 차지했다.
톨리스토보기이족 | |
---|---|
기본 정보 | |
민족명 | 톨리스토보기이족 |
언어 | 갈라디아어 |
위치 | 갈라디아 서부 |
역사 | |
기원 | 기원전 3세기 |
민족 이동 | 골족에서 분리, 아나톨리아로 이동 |
주요 활동 | 로마 공화정과 갈등, 이후 로마 제국에 통합 |
문화 | |
종교 | 켈트 신화 기반의 토착 신앙 |
사회 구조 | 부족 중심 사회, 드루이드 계층 존재 |
기타 | |
특징 | 용맹한 전사, 뛰어난 기마술 |
2. 어원과 정체성
톨리스토보기이족의 명칭은 켈트조어 어근 두 개의 동격한정복합어로 추정된다. 첫 번째 어근인 톨리스토(*tolisto-)는 “소망, 욕망”을 뜻하는 고대 아일랜드어 단어 톨(tol)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이나, 그 의미는 확실하지 않다.[8] 언어학자 뤼베카일(Rübekeil)은 이 명칭이 켈트어 어근 텔(*tel-)에서 유래했다고 추측하며, “가장 오래 지속되는, 가장 단단한”이라고 잠정적으로 해석한다.[9] 톨리스토 어근은 비켈트어족에서 기원했을 가능성도 있다.[10] 두 번째 어근인 볼리오(*bogio-)는 “때리다, 치다”를 뜻하며, 켈트어 인명에서 흔히 나타난다. (예: 갈리아 인명 Andecombogius, Combogiomārus, Namantobogius, Uercombogius, “연타하다”라는 뜻의 고대 아일랜드어 bong, Rhonabwy 및 Iunabwy와 같은 인명에 쓰인 웨일스어 -abwy [켈트조어 *adbogio-]).[11]
톨리스토보기이족이 갈라티아에서 수 세기 동안 거주했던 지역 대부분은 오늘날 앙카라 바로 서쪽에 있는 에스키셰히르 주에 위치했다.[1]
톨리스토보기이족은 기원전 279년 그리스의 델포이를 약탈하러 온 브렌누스의 군대 중 일부였다. 다르다니아에서 레온니누스와 루타리우스가 이끄는 20,000명의 톨리스토보기이족은 브렌누스의 군대에서 갈라져 트라키아로 들어갔고, 비잔티움을 포함한 그 지역들로부터 공물을 받았다. 이후 이들은 비티니아의 니코메데스 1세의 용병으로 활동하기 위해 헬레스폰트를 건넜고, 비티니아를 떠나 아나톨리아 지역을 약탈했다. 톨리스토보기이족은 아이올리아와 이오니아를 영토로 받았다.[6]
3. 지리
4. 역사
4. 1. 키오마라
기원전 279년, 델포이를 약탈하기 위해 이동하던 브렌누스의 군대에 톨리스토보기이족이 병력으로 처음 등장한다. 다르다니아에서 레오노리우스와 루타리우스 휘하의 약 2만 명이 브렌누스에게서 이탈하여 트라키아로 진입, 비잔티움을 포함한 이 지역에서 조공을 징수했다.[6] 그 후, 헬레스폰트를 건너 비티니아의 니코메데스 1세를 위해 용병으로 싸웠고, 이후 비티니아를 떠나 아나톨리아를 약탈했다.[6] 톨리스토보기이족은 아이올리아와 이오니아를 영토로 받았다.[6]
플루타르크에 따르면, 역사가 폴리비우스는 기원전 189년 로마에 대항하여 톨리스토보기이족을 강력한 국가로 통합한 족장 오르타기온의 아내 키오마라를 만나 대화했다.[6] 키오마라는 백부장에게 붙잡혀 강간당했는데, 그녀의 신분을 알게 된 백부장은 오르타기온에게 몸값을 요구했다.[6] 몸값을 전달하는 동안 키오마라는 백부장의 목을 베어 남편에게 가져갔다.[6]
참조
[1]
서적
Commentarius in Epistulam ad Galatas
[2]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Editions Errance
2003
[3]
서적
Diachrone Studien zur Kontaktzone zwischen Kelten und Germanen
2002
[4]
백과사전
Tolistobogioi
http://cadair.aber.a[...]
Aberystwyth University
2009-05-09
[5]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Editions Errance
2003
[6]
서적
The Druids
Robinson
1994
[7]
서적
Commentarius in Epistulam ad Galatas
[8]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Editions Errance
2003
[9]
서적
Diachrone Studien zur Kontaktzone zwischen Kelten und Germanen
2002
[10]
백과사전
Tolistobogioi
http://cadair.aber.a[...]
Aberystwyth University
2009-05-09
[11]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Editions Errance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