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델포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델포이는 그리스 중부 파르나소스 산 기슭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자궁'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다. 델포이는 고대 그리스 세계에서 종교적 중심지이자, 아폴론 신탁으로 유명했으며, 전쟁, 식민지 건설 등 주요 사업 전에 신탁에 자문을 구했다. 델포이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미케네 시대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델포이 신탁은 오이디푸스 전설, 페르시아 전쟁 등 그리스 신화와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아폴론 신전, 극장, 스타디움 등 다양한 유적이 남아있다. 델포이에는 "너 자신을 알라"와 같은 델포이 격언이 전해지며, 198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그리스주의 관광지 - 트라키스
    트라키스는 헤라클레스의 비극적인 최후와 관련된 신화 속 장소로, 고대에 그의 후손들이 정착하고 여러 전쟁에서 요새 및 저항 거점으로 활용되었으며 현재는 농업 공동체 마을로 남아있다.
  • 중앙그리스주의 관광지 - 파르나소스산
    파르나소스산은 그리스 중부에 위치한 높은 산으로, 델포이 근처에 있으며, 그리스 신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현재는 국립공원과 스키 리조트로 활용된다.
  • 포키다현 - 코린토스만
    코린토스만은 그리스에 위치하며, 이오니아해의 만입부로 리오 해협 안쪽에 위치하고, 에게해 판과 유라시아 판의 경계에 있어 지진이 활발하며, 코린토스 운하를 통해 사로니코스만과 연결된다.
  • 포키다현 - 암피사
    암피사는 그리스 포키스 지역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그리스 독립 전쟁을 통해 독립을 쟁취하고 고대 이름인 암피사를 되찾아 현재는 델포이 남쪽에 위치한 다양한 문화 유적을 보유한 도시이다.
델포이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델포이의 톨로스를 포함한 아테나 신전 단지. 배경은 플레이스토스 강 계곡이다.
아테나 신전 단지, 톨로스 포함. 배경은 플레이스토스 강 계곡.
공식 명칭델포이 고고 유적지
위치포키스, 그리스
높이계곡 바닥에서 최대 높이의 절벽 꼭대기
소유그리스 공화국
관리문화체육부
접근유료로 접근 가능
웹사이트델포이 - 그리스 문화체육부
명칭
영어Delphi
프랑스어Delphes
역사
발견알 수 없음
발굴아테네 프랑스 학교
문화고대 그리스
지정WHS
지정 명칭델포이 고고 유적지
지정 연도1987년 (제12차 회의)
지정 번호https://whc.unesco.org/en/list/393 393
지정 기준i, ii, iii, iv, vi
지정 유형문화
지역유럽
설명
유형고대 신성 구역의 유적
세계 유산 정보 (UNESCO)
등재 기준(1), (2), (3), (4), (6)
분류유적
면적51.04 ha (완충 지대 14,313.67 ha)
등록 연도1987년
UNESCO 링크델포이 고고 유적지

2. 명칭

델포이는 그리스어 단어인 `델퓌스/δελφύςgrc`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자궁'을 뜻한다. 델포이는 대지의 여신 가이아 숭배와 관련이 있었다.[135][136]

고대에는 피토(Πυθώ)라고도 불렸는데, 이는 신탁을 담당했던 여사제인 피티아와 델포이 지역의 뱀 또는 용인 파이톤과 관련이 있다.[8] "파이톤"은 동사 πύθω (''pythō'')에서 유래되었으며,[9] "썩다"라는 뜻을 가진다. 호메로스 찬가의 '아폴론에게 바치는 찬가'에 따르면, 아폴론이 파르나소스 산록의 크리사(Crisa)에 신전을 세울때, 암컷 뱀을 죽이고 "썩어 없어지라"는 의미의 퓌테스타이(πύθεσθαι)라고 선언했고, 이에서 피토라는 명칭이 유래했다.[121]

시모니데스는 이 암컷 뱀을 '퓌톤'이라고 칭했지만,[126] 후에는 암컷 뱀(암컷 용)을 '델퓐네', 수컷 뱀(수컷 용)을 '퓌톤'이라 칭하며, 원래 이 곳에서 신탁을 내리던 가이아테미스를 수호했다고 한다.[129][130] 델포이라는 명칭은 아폴론이 쓰러뜨린 '델퓐네'에서 유래했다고도 한다.[131][132]

'아폴론에게 바치는 찬가'에서는 아폴론 숭배를 '델피니오스'('돌고래(델피스, delphis)의 의미) 혹은 '델페이오스'('델포이의' 의미)라고도 기록한다. 돌고래(델피스)는 아폴론이 변신한 모습이라고 하며,[133] 델포이 명칭과 관련된 델피스의 어원은 '자궁'(delphys)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134]

3. 지리

델포이는 그리스 중부 포키스 주, 파르나소스 산 남서쪽 기슭 해발 550-600m 지점에 위치한다.[99][103] 아테네(고명 아테네)에서 북서쪽으로 약 120km 떨어져 있으며,[96] 코린토스 만과 가깝다.[98][104] 플레이스토스 강이 흐르는 계곡에 자리 잡고 있으며, 계곡 서쪽으로는 암피사와 이테아 사이의 남북 계곡과 합류한다.[10]

계곡 합류 지점 북쪽에는 파르나소스 산의 지맥이 솟아 있어 계곡을 좁게 만들며, 한때 계곡 전체를 지배했던 고대 크리사가 자리 잡고 있다. 암피사와 크리사는 ''일리아스''의 선박 목록에 언급되어 있다.[10] 이곳은 미케네 그리스의 요새였다. 계곡의 고고학적 연대는 초기 헬라드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크리사 자체는 중기 헬라드 시대이다.[11]

현대 델피 시는 고대 유적지 위에 있던 카스트리 마을을 철거하고 형성되었다.[110] 현재는 유적 보호를 위해 파르나소스 산 사면과 올리브 밭 일대의 건축이 금지되어 있다.[95] 델피와 고고 유적은 그리스 국도 48호선을 따라 위치하며, 동쪽의 산지 아라호바와 서쪽 해안의 이테아 사이에 위치한다.

4. 역사

델포이 부지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미케네 시대(기원전 1600–1100년)에 광범위한 점유와 사용이 시작되었다. 미케네 시대에 크리사는 그리스의 주요 육상 및 해상 강국이었으며, 키라의 초기 헬라 시대가 믿을 만하다면 아마도 그리스 최초의 강국 중 하나였을 것이다.[71] 고대 자료에 따르면 코린토스 만의 이전 이름은 "크리세안 만"이었다고 한다.[72] 크리사와 마찬가지로 코린토스는 도리아 국가였고, 코린토스 만은 도리아 호수와 같았는데, 특히 기원전 1000년경부터 도리아인들이 펠로폰네소스 반도로 이주하면서 더욱 그러했다. 크리사의 권력은 델포이 접근 문제로 인해 회복된 아이올리아 및 아티카-이오니아어를 사용하는 남부 그리스 국가들에 의해 마침내 무너졌다. 델포이에 관심이 있는 국가들의 조직인 암픽티오닉 동맹이 고전 시대 초기에 이곳에 대한 통제권을 갖게 되었다. 크리사는 오만함 때문에 파괴되었다. 만은 코린토스의 이름을 받았다. 당시 코린토스는 이오니아 국가와 유사하게 화려하고 혁신적이었으며, 도리아의 스파르타 스타일과는 달랐다.

델포이 지역에서는 신석기 시대 (기원전 4000년)의 인류의 흔적이 발견되었다.[110] 델포이의 취락은 기원전 2천년기 중반 (미케네 시대 초기〈기원전 1450년〉[384])에 형성되었고[155], 기원전 12세기의 미케네 시대 말기에 소멸하지만, 기원전 11세기 후반에 새로운 취락이 형성되기 시작하여[351], 기원전 10세기경에는 부흥한 것으로 보인다.[278] 아폴론의 신역에서는 기원전 8세기 초의 봉납물이 발견되어, 그 시대까지 신역이 이미 존재했음이 추정된다.[278]

델포이의 신역은 기원전 8세기 안에 전 그리스의 성역으로 인지되게 된다. 기원전 8세기에 시작된 그리스의 대 식민 시대에 따라 진출에 즈음하여 델포이의 신탁을 묻게 되자[385], 기원전 7세기에 걸쳐 델포이는 올림피아의 신역과 함께 국제적인 신역으로 발전해 갔다.[278]

4. 1. 기원과 초기 역사

땅의 자궁, 게 또는 가이아, 그녀의 가슴을 닮은 두 개의 파이드리아데스가 위에 있다. 이 그림에서 카스트로 마을은 여전히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현대 도로의 발자국은 전경에 있다. 따라서 마을은 완전히 위쪽에 있었다. 도로 아래는 마을 사람들이 구조용 석재를 채굴했던 대리석 채석장, 즉 "Marmoria"가 있다.


''일리아스''에서 아킬레우스는 "바위의 피토"의 "돌 바닥"에 있는 모든 재산을 포함한다 해도 아가멤논의 평화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34] ''오디세이아''에서 아가멤논은 아폴론으로부터 피토에서 예언을 받기 위해 "돌 바닥"을 건넜다.[34] 헤시오도스는 "파르나소스 산의 움푹 들어간 곳"에 있는 피토를 언급한다.[34] 이러한 언급은 오라클의 가장 초기 연대가 기원전 8세기, 즉 호메로스 작품의 추정 작곡 연대임을 시사한다.

델포이의 주요 신화는 세 개의 문학적 "장소"에서 제시된다.[35] 델포이 학자인 H. W. 파크는 신화가 자기 모순적이라고 주장하며, 이러한 신화가 문자 그대로의 역사적 기록이 아니라 오라클 전통을 설명하기 위한 상징적 이야기라는 플루타르코스적 인식론과 일치한다고 말한다.

호메로스 찬가 3, "아폴론에게"는 기원전 7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아폴론은 델로스에서 태어난 후 오라클을 위한 장소를 찾아 크리사를 선택하고 신전을 짓고 샘을 지키는 뱀을 죽인다. 그 후, 크노소스에서 온 크레타인들이 필로스를 정찰하기 위해 항해하는데, 돌고래로 변신한 아폴론은 갑판에 몸을 던진다. 아폴론은 크레타인들과 함께 신전에 들어가 그들의 사제가 되어 그를 "돌고래의"라는 뜻의 ''델피니우스''로 숭배하게 한다.

고전 시대의 신인 제우스는 "할머니 대지"(가이아)의 중심을 찾으려고 동쪽과 서쪽의 가장자리에서 두 마리의 독수리를 날려 보냈고, 독수리의 경로는 델포이를 가로질렀으며, 그곳에서 옴팔로스, 즉 가이아의 배꼽이 발견되었다.[36][37]

아이스킬로스는 ''에우메니데스''의 서문에서 오라클이 선사 시대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가이아를 숭배했다고 말한다. H. W. 파크는 델포이가 원래 그리스인들이 게 또는 가이아라고 불렀던 대지 여신을 숭배하기 위해 헌정되었고, 그녀의 딸이자 파트너 또는 후계자로 전통적으로 그녀와 연관된 테미스는 실제로 같은 신의 또 다른 화신이라고 설명한다.[38] 이 두 사람의 숭배는 아폴론의 도입으로 대체되었다.[38]

성소의 발견에 대한 한 이야기는 파르나소스 산에서 양떼를 방목하던 양치기가 어느 날 바위 틈에서 양들이 매우 민첩하게 놀고 있는 것을 보았고, 양치기는 틈 위로 머리를 갖다 대자 연기가 뇌로 들어가 이상한 황홀경에 빠졌다는 것이다.[39]

델포이 아폴론 찬가는 이 장소의 고대 이름이 ''크리사''였다고 회상했다.[40] 다른 사람들은 이 장소가 '''피토'''(Πυθώ)라고 불렸고, 오라클 역할을 하는 여사제인 피티아가 신전에서 집전하는 여사제들에 의해 그들 중에서 선택되었다고 말한다. 아폴론은 그곳에 살면서 지구의 가이아의 배꼽을 보호했던 ''드라코''(수컷 뱀 또는 용)인 파이톤을 죽였다고 한다.[8] "피톤"(동사 πύθω (''pythō'')에서 파생됨,[9] "썩다")은 아폴론이 물리친 파이톤을 기념하여 이 장소의 원래 이름이라고 주장한다.

''델피''라는 이름은 δελφύς ''delphys'', "자궁"과 같은 어원에서 유래하며 이 장소에서 가이아를 숭배했던 고대의 흔적을 나타낼 수 있다. 아폴론은 그의 별칭 Δελφίνιος ''델피니오스'', "델피니안"에 의해 이 장소와 연결된다. 이 별칭은 돌고래와 연결되어 있으며(그리스어 δελφίς,-ῖνος) 호메로스 ''아폴론 찬가''(400행)에서 아폴론이 돌고래의 모습으로 처음 델포이에 와서 크레테 사제들을 등에 태운 전설을 이야기한다. 오라클의 호메로스 이름은 ''피토''(Πυθώ)이다.[43] 또 다른 전설에 따르면 아폴론은 북쪽에서 델포이로 걸어와 템페 시, 즉 테살리아에 있는 도시에서 멈춰 그가 신성한 식물로 간주한 월계수(만경이라고도 함)를 골랐다고 한다.

델포이 부지의 점유는 신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미케네 시대(기원전 1600–1100년)에 광범위한 점유와 사용이 시작되었다. 미케네 시대에 크리사는 그리스의 주요 육상 및 해상 강국이었으며, 키라의 초기 헬라 시대가 믿을 만하다면 아마도 그리스 최초의 강국 중 하나였을 것이다.[71] 고대 자료에 따르면 코린토스 만의 이전 이름은 "크리세안 만"이었다고 한다.[72] 크리사의 권력은 델포이 접근 문제로 인해 회복된 아이올리아 및 아티카-이오니아어를 사용하는 남부 그리스 국가들에 의해 마침내 무너졌다. 델포이에 관심이 있는 국가들의 조직인 암픽티오닉 동맹이 고전 시대 초기에 이곳에 대한 통제권을 갖게 되었다. 크리사는 오만함 때문에 파괴되었다. 만은 코린토스의 이름을 받았다.

고대 신화[73][37]에는 피티아 또는 델포이 신탁이 고전 그리스 시대 이전(기원전 1400년경)부터 중요한 신탁의 장소였으며, 기원전 800년경부터 재헌납되어 아폴론 신을 숭배하는 주요 장소로 사용되었다는 전통이 있다.

프랑스 건축가 알베르 투르네르의 고대 델포이에 대한 추정 삽화


델포이는 고대부터 가이아 즉, 다산과 관련된 어머니 여신을 숭배하는 장소였다. 이 도시는 기원전 7세기에 신전이자 신탁으로서 범헬레니즘적 중요성을 얻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인근 키라 (현재 이테아)에 기반을 둔 포키스 정착민의 통제를 받았던 델포이는 아테네에 의해 제1차 신성 전쟁 (기원전 597–585년) 동안 다시 정복되었다. 이 분쟁은 암피크티오니아 동맹#델포이 암피크티오니의 통합으로 이어졌으며, 이 동맹은 아폴론 신전의 보호를 중심으로 군사적 기능과 종교적 기능을 모두 수행했다.

델포이 지역에서는 신석기 시대 (기원전 4000년)의 인류의 흔적이 발견되었다.[110] 델포이의 취락은 기원전 2천년기 중반 (미케네 시대 초기〈기원전 1450년〉[384])에 형성되었고[155], 기원전 12세기의 미케네 시대 말기에 소멸하지만, 기원전 11세기 후반에 새로운 취락이 형성되기 시작하여[351], 기원전 10세기경에는 부흥한 것으로 보인다.[278] 아폴론의 신역에서는 기원전 8세기 초의 봉납물이 발견되어, 그 시대까지 신역이 이미 존재했음이 추정된다.[278]

델포이의 신역은 기원전 8세기 안에 전 그리스의 성역으로 인지되게 된다. 기원전 8세기에 시작된 그리스의 대 식민 시대에 따라 진출에 즈음하여 델포이의 신탁을 묻게 되자[385], 기원전 7세기에 걸쳐 델포이는 올림피아의 신역과 함께 국제적인 신역으로 발전해 갔다.[278]

기원전 7세기[155]에서 기원전 6세기 초의 제1차 신성 전쟁 (기원전 595년 - 586년[386][387])에서 항을 지배하는 에 승리했을 때, 아폴론의 신역을 포괄적으로 관리하는 종교 동맹, 암피크티오니아(Amphiktyoneia[388], 린포 동맹)가 결성되었다[108][389]

4. 2. 번영과 쇠퇴

델포이는 고대 그리스 세계에서 중요한 종교적 중심지였으며, 델포이 신탁은 그리스 전역과 주변 국가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53] 전쟁, 식민지 건설 등 주요 사업 전에 신탁에 자문을 구했으며, 리디아, 카리아, 이집트 등 그리스의 영향을 받은 주변 국가들도 델포이를 존경했다.[53] 초기 로마인들에게도 델포이 신탁은 알려져 있었으며, 로마의 왕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는 신탁에 사절단을 보내기도 했다.[54]

기원전 278년, 트라키아(켈트) 부족이 델포이를 습격하여 신전을 불태우고 성소를 약탈했으며, 같은 해 지진으로 신전이 심하게 손상되어 쇠퇴했다.[55] 신탁의 신뢰성 또한 의심스러운 예측으로 인해 약해졌다.[56]

페르시아 전쟁 (기원전 499-449년) 당시, 기원전 480년에 크세르크세스 1세가 이끄는 페르시아군이 델포이를 침공했지만, 벼락과 바위산 붕괴로 인해 격퇴되었다고 헤로도토스는 기록했다.[392] 기원전 448년에는 제2차 신성 전쟁이 발발하여 포키스인이 델포이를 장악했지만, 기원전 421년까지 포키스인이 성역을 지배했다.[393][394]

기원전 356년, 제3차 신성 전쟁 (기원전 356-346년)이 발발하여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가 개입하여 포키스인을 항복시키고 델포이의 암픽티오니아의 주도권을 획득했다.[395] 이후 마케도니아는 카이로네이아 전투에서 승리하여 그리스를 정복했다.[396]

기원전 279년, 갈리아인이 발칸반도를 남하하여 델포이를 침공했지만, 이듬해 아이톨리아군(아이톨리아 동맹)이 격퇴했다.[349] 이를 기념하여 ""가 창설되었고,[398][399] 아이톨리아 동맹은 기원전 189년까지 델포이 성역을 지배했다.[400]

기원전 168년, 델포이는 로마의 지배하에 놓였다.[400] 제1차 미트리다테스 전쟁 중 기원전 86년,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가 델포이 성역의 귀금속을 약탈했고,[398] 기원전 83년에는 트라키아 이민족이 성역을 약탈하고 신전에 방화했다. 서기 67년, 네로 황제는 신역의 청동상 약 500체를 약탈했다.[400]

아우구스투스는 델포이의 암피크티오니아를 재편했고,[400] 도미티아누스는 84년에 아폴론 신전을 수리했다.[192]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델포이를 방문하여 신역의 유지 및 부흥을 장려했으며,[184][400] 그의 총신 안티노우스를 애도하며 이 건립되었다.[192]

플루타르코스가 델포이 신탁의 쇠퇴를 한탄한 것처럼, 더 이상 신탁에 중요한 판단을 구하지 않았다.[400] 콘스탄티누스 1세는 성역의 기념물과 헌납물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옮겨갔다.[400][401] 362년, 율리아누스 황제가 신탁 부흥을 시도했지만 실패했고,[188] 결국 392년 테오도시우스 1세의 이교도 금지령으로 델포이 신전은 폐쇄되었다.[402][188]

4. 3. 근대 이후

근대 초기에 델포이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수세기 동안 거의 사람이 살지 않는 곳으로 남아 있었다.[71] 15세기 말 또는 16세기에 정착촌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카스트리 마을이 되었다.[71]

잊혀졌던 델포이를 방문한 최초의 기록은 1436년 3월, 이탈리아의 상인이자 고전학자인 안코나의 키리아쿠스/Cyriacus of Ancona영어의 것이었다.[403] 그는 6일간 체류하며 델포이의 스타디온과 극장, 그리고 아르고스인의 반원형 엑세드라의 유구를 아폴론 신전으로 기록했고, 비문과 조각상에 대해서도 기록했다.[404] 1676년 프랑스의 야코브 스폰/Jacob Spon영어영국의 조지 윌러/George Wheler (travel writer)영어에 의해 다시 발견되었고,[188][405] 이후 여러 탐험가와 학자들이 방문했다. 1766년 딜레탕티 협회가 자금을 지원한 영국 탐험대는 옥스퍼드 비문학자 리처드 챈들러, 건축가 니콜라스 레베트, 화가 윌리엄 파스를 포함했다.[76] 1805년 에드워드 도드웰은 화가 시모네 포마르디와 함께 델포이를 방문했다.[80] 바이런 경은 친구 존 켐 호브하우스와 함께 1809년에 방문했다.[80]

델포이의 고고학 조사는 1840년 독일의 카를 오트프리트 뮐러/Karl Otfried Müller영어와 에른스트 쿠르티우스/Ernst Curtius영어가 부분적으로 착수한 것으로 시작되었다.[188] 1861년에는 그리스 고고학 협회(아테네 고고학 협회/Archaeological Society of Athens영어)가 발굴 조사를 시작했고, 1878년에는 1870년의 지진으로 묻혔던 카스타리아 샘을 발굴했다.[403]

델포이 성역 전체 발굴은 1880년 아테네 프랑스 학교의 베르나르 오수리에/Bernard Haussoullier영어에 의한 예비 조사가 이루어진 후,[408]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유적 위에 있던 카스트리 마을을 1891년 프랑스가 서쪽으로 이주시키는 자금 지원을 약속하면서 델포이의 발굴권을 얻었다.[188][404] 1892년부터 프랑스는 현재 서쪽의 델피 마을로 주민들을 이동시키는 동시에, 대량의 토사를 제거하고 1903년까지 대규모 발굴을 실시했다.[188] 그동안, 1898년-1902년에는 귐나시온에서 아테나 프로나이아 신역 등 하방 유적군을 발굴했다.[404] 이러한 대규모 발굴 사업으로 약 3000개에 달하는 귀중한 비문을 비롯한 웅장한 델포이 고고 유적군이 발견되었다.[110]

다각형 벽, 1902년


대규모 발굴 조사 중에는 5세기 기독교 바실리카의 건축 부재가 발견되었다.[13] 다른 중요한 후기 로마 시대 건물로는 동쪽 목욕탕, 주랑 현관이 있는 집, 로마 아고라, 대형 저수조가 있다.[13] 아폴론 구역의 남동쪽에는 소위 동남쪽 저택이 있었는데, 65미터 길이의 정면, 4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4개의 트리클리니움과 개인 목욕탕이 있었다.[13] 이 저택은 5세기 초에 지어졌으며 580년까지 개인 주택으로 사용되었지만, 이후 도자기 작업장으로 변모했다.[13] 6세기 초에 도시가 쇠퇴하면서 도시의 규모가 축소되고 무역 관계가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14]

오늘날, 그리스 고고학국/Greek Archaeological Service영어과 아테네 프랑스 학교를 주체로, 델포이의 조사·발굴 및 보존이 지속되고 있다.[110] 198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5. 델포이 신탁

아마도 델포이는 그 신탁, 즉 피티아 또는 무녀로 가장 잘 알려져 있을 것이다. 이들은 아폴론 신전의 함몰된 아디톤에 있는 삼각대 위에서 예언을 했다. 피티아는 아폴론의 대변인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녀는 이 지역의 평범한 사람들 중에서 선택된 흠 없는 삶을 산 여성이었다. 밀폐된 내전(고대 그리스어 ''아디톤'' – "출입 금지")에서 그녀는 땅의 구멍("균열") 위에 있는 삼각대 좌석에 앉았다. 전설에 따르면, 아폴론이 파이톤을 죽였을 때, 그의 시신이 이 균열로 떨어졌고, 썩어가는 그의 몸에서 연기가 솟아올랐다. 이 연기에 취한 무녀는 황홀경에 빠져 아폴론이 그녀의 영혼을 지배하도록 했다. 이 상태에서 그녀는 예언을 했다. [44]

균열에서 탄화수소 연기가 방출되었다. 황홀경에 빠진 피티아는 "광란"을 보였는데, 아마도 열광적인 연설의 형태였을 것이며, 그녀의 광란은 신전의 사제들에 의해 우아한 6보격으로 "번역"되었다. 델포이의 사제로 일했던 플루타르크를 포함한 고대 작가들이 예언 효과를 바위의 균열에서 나오는 달콤한 냄새의 ''프뉴마''(고대 그리스어로 숨결, 바람 또는 증기)에 기인한 것은 옳았다는 추측이 있었다. 그 배출물은 알려진 마취제이자 달콤한 냄새가 나는 에틸렌 또는 격렬한 황홀경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에탄과 같은 다른 탄화수소의 농도가 높았을 수 있다.[47][48][49][50][51]

델포이에서 주조된 동전(오볼), 기원전 480년, 앞면: 짧은 삼각대, 뒷면: 원 안의 펠릿(옴팔로스 또는 성찬 그릇)


미켈란젤로가 시스티나 성당에 그린 델포이 무녀의 프레스코화


신들린 델포이의 무녀(델포이의 시빌/Delphic Sibyl영어〈시빌라〉 또는 퓌티아)에 의해 전해지는 신탁은, 신관에 의해 수수께끼 같은 운문시 형태로 바뀌었다.[168] 그 신관에 의해 완성된 신탁은[169], 신의 뜻으로 고대 그리스 안팎에서 존중받았으며[170], 폴리스의 정책 결정에도 영향을 미쳤다.[171][172]

델포이 신탁은 그리스 신화에서 운명을 좌우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162][163][164] 오이디푸스 전설에 따르면, 테베의 왕 라이오스는 아들에게 살해될 것이라는 신탁을 세 번이나 받았지만[162][163], 이를 어기고 아들 오이디푸스에게 살해당했다. 오이디푸스는 델포이 신탁을 통해 자신이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할 운명임을 알게 되었다.[164]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기록된 페르시아 전쟁 (기원전 499년-449년[176]) 당시, 아테네는 델포이 신탁에 따라 "나무 요새"에 의지하라는 신탁을 받았다.[179] 테미스토클레스는 이를 해군력, 즉 군선으로 해석하여[180][181] 살라미스 해전에서 페르시아 군을 격파했다.[182]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원정 전에 델포이를 방문하여 자신을 "무적자"라고 칭하게 했다.[183] 로마 지배 시대에 델포이 신관을 지낸 플루타르코스는 델포이 신탁의 쇠퇴를 한탄하며 『신탁의 쇠퇴에 관하여』 등의 저작을 남겼다.[184][185][186][187] 마지막 신탁은 362년 율리아누스 황제에게 더 이상 샘은 다했다고 전한 것이었다고 한다.[188][189]

5. 1. 신탁과 관련된 주요 인물 및 사건

델포이 신탁은 그리스 신화에서 운명을 좌우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162][163][164] 오이디푸스 전설에 따르면, 테베의 왕 라이오스는 아들에게 살해될 것이라는 신탁을 세 번이나 받았지만[162][163], 이를 어기고 아들 오이디푸스에게 살해당했다. 오이디푸스는 델포이 신탁을 통해 자신이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할 운명임을 알게 되었다.[164]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기록된 페르시아 전쟁 (기원전 499년-449년[176]) 당시, 아테네는 델포이 신탁에 따라 "나무 요새"에 의지하라는 신탁을 받았다.[179] 테미스토클레스는 이를 해군력, 즉 군선으로 해석하여[180][181] 살라미스 해전에서 페르시아 군을 격파했다.[182] 기원전 480년에 크세르크세스 1세가 이끄는 페르시아군이 델포이를 침공했을 때, 파이드리아데스의 바위산이 무너져 페르시아군을 격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392]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원정 전에 델포이를 방문하여 자신을 "무적자"라고 칭하게 했다.[183] 로마 지배 시대에 델포이 신관을 지낸 플루타르코스는 델포이 신탁의 쇠퇴를 한탄하며 『신탁의 쇠퇴에 관하여』 등의 저작을 남겼다.[184][185][186][187] 마지막 신탁은 362년 율리아누스 황제에게 더 이상 샘은 다했다고 전한 것이었다고 한다.[188][189]

6. 주요 유적

C. D. E. 신역 F. G. 델포이 (현대 도시)로}}]].

델포이 유적은 을 중심으로 한 신역과 (테아톤[212]), , , , 그리고 [213] 신역으로 구성된다.

=== 아폴론 신역 ===

델포이의 아폴론 신역은 기원전 10-8세기 무렵에는 둘러싸인 벽도 없이 소박했지만, 기원전 8세기 중에 델포이의 신탁의 명성이 높아지고 그리스의 중심으로서 정치적 영향력이 강해졌다.[223] 기원전 7세기 초두에는 성역은 신성하고 불가침한 장소로 분리되었다.[223] 아폴론 신역에는, 그리스의 여러 폴리스와 고대 오리엔트 제왕국의 봉납 군상과 기념물 외에, 유력한 도시 국가의 보물창고(트레저리)가 세워졌다.[226] 또한, 유적 발굴에 의해, 수천 개의 비문이 발견되어, 오늘날 대부분이 해독되었다.[227]

[[파일:Plan Delphi Sanctuary of Apollo colored.svg|thumb|upright=1.5|아폴론 신역(평면도)


  • ---

1. 2. (아폴론의 제단) 3. 4. 5. 6. 7. 보물창고[219] 8. 가이아 (가이아와 테미스[220])의 신역 9. 네오프톨레모스의 성소 10. 11. 12. 13. (서주랑) 14. 15. 16. 17. 아이올리스인의 보물창고 18. 19. 20. 코린토스인의 보물창고 21. 키레네인의 보물창고 22. 23. 포티다이아인의 보물창고 24. 25. 26. 27. 28. 기둥 29. 플라타이아의 30. 31. 크라테로스의 봉납물 32. 로도스인의 전차 33. 아르고스 왕족의 엑세드라 34. 에피고노이의 엑세드라 35. 타렌툼인의 봉납군상 36. 아르고스인・아테네인・스파르타인・아르카디아인의 봉납군상 37. 38. 성벽 (성역 벽) 39. 로마 시대의 아고라[221] 40. 성도[222] 41. 로}}]]

오늘날 남아있는 유적의 대부분은 기원전 6세기에 이 지역에서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에 만들어졌다.[17]


  • '''아폴론 신전'''은 스핀타루스, 크세노도로스, 아가톤이 세웠으며, 주랑식 도리아식 건물이다.[19]
  • '''키오스인의 제단'''은 아폴론 신전 앞에 위치한 이 신전의 주요 제단은 키오스 사람들이 비용을 지불하고 건설했다. 기원전 5세기로 추정된다.[20]

  • '''아테네인들의 스토아'''는 스토아는, 열린 공간이 있는 덮인 현관으로, 아폴론 신전이 자리잡은 테라스를 지지하는 다각형 벽의 기저부를 따라 동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타일로베이트의 비문은 기원전 478년 페르시아와의 해상전 승리 이후 아테네인들이 전리품을 보관하기 위해 건설했음을 나타낸다.[20]

아테네 보물고의 모습; 오른쪽에 아테네인들의 스토아가 있다

  • '''시빌의 바위'''는 아테네 보물고와 아테네인들의 스토아 사이, 그리고 델포이 고고학 유적지 내 아폴론 신전으로 이어지는 신성한 길에 있는 설교단 같은 바위 노두이다.[270]

  • '''보물 창고'''는 상부 유적 입구에서 시작하여 신성한 길을 따라 아폴론 신전까지 이어지는 경사로에는 다수의 봉납물 조각상과 소위 보물 창고들이 있다.


=== 기타 유적 ===

델포이에는 아폴론 신전을 중심으로 한 신역 외에도 다양한 유적이 남아 있다.

델포이 극장


델포이 극장은 아폴론 신전 위쪽 언덕에 위치하여 관람객들이 성역 전체와 계곡을 조망할 수 있도록 지어졌다.[21] 기원전 4세기에 처음 건설되었으나, 기원전 160/159년에 페르가몬의 에우메네스 2세에 의해, 그리고 서기 67년 네로 황제의 방문을 기념하여 여러 차례 개조되었다.[22] 산의 경사면에 기대어 지어졌으며, 오케스트라는 처음 지름 7m의 원형이었다. 극장에는 파로도이(측면 복도)를 통해 접근할 수 있었고, 파로도이 지지 벽에는 노예 해방 비문이 새겨져 있다. 코일론(관람석)은 디아조마(복도)를 통해 두 구역으로 나뉘며, 하부 구역에는 27열, 상부 구역에는 8열의 좌석이 있었다. 6개의 방사형 계단이 하부 코일론을 7개 단으로 나누었다. 극장은 약 4,500명의 관람객을 수용할 수 있었다.[23] 네로 황제 방문 시 오케스트라가 포장되고 돌 난간이 설치되었으며, 프로스케니움은 펄피툼(낮은 받침대)으로 대체되어 헤라클레스 신화 장면으로 장식되었다. 2세기에는 헤로데스 아티쿠스의 후원으로 추가 수리 및 변형이 이루어졌다. 고대에는 헬레니즘 말기와 로마 시대 퓨티안 게임의 성악 및 음악 경연 대회에 사용되었으나, 늦은 고대 시대에 성역이 쇠퇴하면서 버려졌다.[24] 1927년과 1930년 델포이 축제 기간 동안 연극 공연이 열렸으며, 최근에는 산사태 위협으로 인해 복원되었다.[25][26]

델포이 스타디움은 극장보다 더 높은 언덕 위에 위치하며, 기원전 5세기에 건설되었으나 이후 여러 세기에 걸쳐 변경되었다. 서기 2세기 헤로데스 아티쿠스의 후원으로 석조 좌석과 아치형 입구가 만들어졌다. 6,500명의 관람객을 수용할 수 있었고, 트랙은 길이 177미터, 폭 25.5미터였다.[28] 4년에 한 번 열리는 피티아 경기 때 운동 경기가 개최되었다.

카스탈리아 샘은 파이드리아데스 협곡에 위치한 델포이의 성스러운 샘이다. 고대 시대와 로마 시대에 걸쳐 두 개의 기념비적인 분수가 있었으며, 후자는 바위에 새겨져 있다.[28] 사제, 관리, 순례자들은 신역에 들어가기 전 이곳에서 몸을 정결하게 했다.

델포이의 고대 김나시온


김나시온은 델포이 청년들이 사용하던 건물로, 두 개 층으로 구성되었다. 위층에는 스토아가, 아래층에는 팔레스트라, 수영장, 욕조가 있었다. 이 수영장과 욕조는 아폴론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한다고 전해졌다.

델포이의 아테나 프로나이아 신전


아테나 프로나이아 신역은 아폴론 신역 남동쪽에 위치하며, 아테나 여신을 모시는 곳이다. 톨로스(원형 건물)가 유명하며, 기원전 380년에서 360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외경 14.76m로 배열된 20개의 도리아식 기둥과 내부에 10개의 코린트식 기둥으로 구성되어 있다. 톨로스는 델포이 주요 유적지에서 약 800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복원된 3개의 도리아식 기둥은 델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사진 촬영 장소이다.[27]

6. 1. 아폴론 신역

델포이의 아폴론 신역은 기원전 10-8세기 무렵에는 둘러싸인 벽도 없이 소박했지만, 기원전 8세기 중에 델포이의 신탁의 명성이 높아지고 그리스의 중심으로서 정치적 영향력이 강해졌다.[223] 기원전 7세기 초두에는 성역은 신성하고 불가침한 장소로 분리되었다.[223] 아폴론 신역에는, 그리스의 여러 폴리스와 고대 오리엔트 제왕국의 봉납 군상과 기념물 외에, 유력한 도시 국가의 보물창고(트레저리)가 세워졌다.[226] 또한, 유적 발굴에 의해, 수천 개의 비문이 발견되어, 오늘날 대부분이 해독되었다.[227]

[[파일:Plan Delphi Sanctuary of Apollo colored.svg|thumb|upright=1.5|아폴론 신역(평면도)

  • ---

1. 2. (아폴론의 제단) 3. 4. 5. 6. 7. 보물창고[219] 8. 가이아 (가이아와 테미스[220])의 신역 9. 네오프톨레모스의 성소 10. 11. 12. 13. (서주랑) 14. 15. 16. 17. 아이올리스인의 보물창고 18. 19. 20. 코린토스인의 보물창고 21. 키레네인의 보물창고 22. 23. 포티다이아인의 보물창고 24. 25. 26. 27. 28. 기둥 29. 플라타이아의 30. 31. 크라테로스의 봉납물 32. 로도스인의 전차 33. 아르고스 왕족의 엑세드라 34. 에피고노이의 엑세드라 35. 타렌툼인의 봉납군상 36. 아르고스인・아테네인・스파르타인・아르카디아인의 봉납군상 37. 38. 성벽 (성역 벽) 39. 로마 시대의 아고라[221] 40. 성도[222] 41. 로}}]]

오늘날 남아있는 유적의 대부분은 기원전 6세기에 이 지역에서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에 만들어졌다.[17]

  • '''아폴론 신전'''은 스핀타루스, 크세노도로스, 아가톤이 세웠으며, 주랑식 도리아식 건물이다.[19]
  • '''키오스인의 제단'''은 아폴론 신전 앞에 위치한 이 신전의 주요 제단은 키오스 사람들이 비용을 지불하고 건설했다. 기원전 5세기로 추정된다.[20]

  • '''아테네인들의 스토아'''는 스토아는, 열린 공간이 있는 덮인 현관으로, 아폴론 신전이 자리잡은 테라스를 지지하는 다각형 벽의 기저부를 따라 동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타일로베이트의 비문은 기원전 478년 페르시아와의 해상전 승리 이후 아테네인들이 전리품을 보관하기 위해 건설했음을 나타낸다.[20]

  • '''시빌의 바위'''는 아테네 보물고와 아테네인들의 스토아 사이, 그리고 델포이 고고학 유적지 내 아폴론 신전으로 이어지는 신성한 길에 있는 설교단 같은 바위 노두이다.[270]

  • '''보물 창고'''는 상부 유적 입구에서 시작하여 신성한 길을 따라 아폴론 신전까지 이어지는 경사로에는 다수의 봉납물 조각상과 소위 보물 창고들이 있다.


6. 2. 기타 유적

델포이에는 아폴론 신전을 중심으로 한 신역과 델포이 극장(테아톤[212]), 델포이 스타디움, 카스탈리아 샘, 델포이 김나시온, 아테나 프로나이아 신전 신역[213] 등 다양한 유적이 남아 있다.

델포이 극장은 아폴론 신전 위쪽 언덕에 위치하여 관람객들이 성역 전체와 계곡을 조망할 수 있도록 지어졌다.[21] 기원전 4세기에 처음 건설되었으나, 기원전 160/159년에 페르가몬의 에우메네스 2세에 의해, 그리고 서기 67년 네로 황제의 방문을 기념하여 여러 차례 개조되었다.[22] 산의 경사면에 기대어 지어졌으며, 오케스트라는 처음 지름 7m의 원형이었다. 극장에는 파로도이(측면 복도)를 통해 접근할 수 있었고, 파로도이 지지 벽에는 노예 해방 비문이 새겨져 있다. 코일론(관람석)은 디아조마(복도)를 통해 두 구역으로 나뉘며, 하부 구역에는 27열, 상부 구역에는 8열의 좌석이 있었다. 6개의 방사형 계단이 하부 코일론을 7개 단으로 나누었다. 극장은 약 4,500명의 관람객을 수용할 수 있었다.[23] 네로 황제 방문 시 오케스트라가 포장되고 돌 난간이 설치되었으며, 프로스케니움은 펄피툼(낮은 받침대)으로 대체되어 헤라클레스 신화 장면으로 장식되었다. 2세기에는 헤로데스 아티쿠스의 후원으로 추가 수리 및 변형이 이루어졌다. 고대에는 헬레니즘 말기와 로마 시대 퓨티안 게임의 성악 및 음악 경연 대회에 사용되었으나, 늦은 고대 시대에 성역이 쇠퇴하면서 버려졌다.[24] 1927년과 1930년 델포이 축제 기간 동안 연극 공연이 열렸으며, 최근에는 산사태 위협으로 인해 복원되었다.[25][26]

델포이 스타디움은 극장보다 더 높은 언덕 위에 위치하며, 기원전 5세기에 건설되었으나 이후 여러 세기에 걸쳐 변경되었다. 서기 2세기 헤로데스 아티쿠스의 후원으로 석조 좌석과 아치형 입구가 만들어졌다. 6,500명의 관람객을 수용할 수 있었고, 트랙은 길이 177미터, 폭 25.5미터였다.[28] 4년에 한 번 열리는 피티아 경기 때 운동 경기가 개최되었다.

카스탈리아 샘은 파이드리아데스 협곡에 위치한 델포이의 성스러운 샘이다. 고대 시대와 로마 시대에 걸쳐 두 개의 기념비적인 분수가 있었으며, 후자는 바위에 새겨져 있다.[28] 사제, 관리, 순례자들은 신역에 들어가기 전 이곳에서 몸을 정결하게 했다.

김나시온은 델포이 청년들이 사용하던 건물로, 두 개 층으로 구성되었다. 위층에는 스토아가, 아래층에는 팔레스트라, 수영장, 욕조가 있었다. 이 수영장과 욕조는 아폴론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한다고 전해졌다.

아테나 프로나이아 신역은 아폴론 신역 남동쪽에 위치하며, 아테나 여신을 모시는 곳이다. 톨로스(원형 건물)가 유명하며, 기원전 380년에서 360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외경 14.76m로 배열된 20개의 도리아식 기둥과 내부에 10개의 코린트식 기둥으로 구성되어 있다. 톨로스는 델포이 주요 유적지에서 약 800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복원된 3개의 도리아식 기둥은 델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사진 촬영 장소이다.[27]

7. 델포이 격언

델포이의 아폴론 신전(Temple of Apollo (Delphi)) 입구(내진 앞 복도 〈프로나오스〉)에는 그리스 여러 나라의 현인(7현인)이 봉납했다고 전해지는 3가지 격언(금언)이 새겨져 있었다고 한다.[194][195][196][197]


  • "너 자신을 알라"[198][199]
  • 그노티 세아우톤/Γνῶθι σεαυτόνgrc[200][201]
  • "무엇이든 지나치지 말라"[198][202]
  • 메덴 아간/Μηδὲν ἄγανgrc[203][204]
  • "무슨 일이든, 정도를 넘지 마라"[205], "과도는 삼가라"[206], "과도함 속에 무(無)가 있다"[207]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다[208])
  • "보증, 그 옆에는 파멸"[209]
  • 엥규에 파라 도 아테/Ἐγγύα πάρα δ᾽ ἄτηgrc[200][201]
  • "보증은 곧, 신체의 파멸"[210], "보증, 그 옆에는 재앙이 있다"[201], "보증인이 되면 파멸이 가깝다"[211] (서약과 파멸은 종이 한 장 차이[207])


소크라테스의 친구 카이레폰은 델포이에서 "소크라테스 이상의 현자는 없다"라는 신탁을 받았다. 소크라테스는 그 신탁에 의문을 품고 당시 현자라고 불리던 사람들을 찾아다녔으나, 결국 모른다고 생각하는 (무지의 지) 점에 있어서 자신이 약간 더 현명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 내용은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변명』에 기록되어 있다.[212]

8. 델포이 고고학 박물관

델포이 고고학 박물관에는 고대 델포이와 관련된 유물들이 소장되어 있다. 여기에는 가장 초기에 알려진 음악 표기법[302], 델포이의 마부[414], 클레오비스와 비톤[242], 신성한 길 아래에서 발견된 금으로 된 보물, 낙소스의 스핑크스[410], 시프노스의 보물고의 부조 조각 등이 포함되어 있다. 출구 바로 옆에는 로마의 총독 갈리오를 언급하는 비문이 있다.[242]

델포이 고고학 박물관


박물관에는 헬레니즘 시대의 "옴팔로스" 복제품[242], 아테네인의 보물 창고 북서쪽에서 발견된[409] "클레오비스와 비톤"의 Kouros영어[242], 높이 11.5미터의 이오니아식 원주 위에 있던 "낙소스의 스핑크스"[410], 보물 창고의 메토프와 프리즈 등의 부조와 여상주(카리아티드)의 일부[411], 아테네 보물 창고의 외벽에 새겨져 있던 "델포이 찬가"의 단편[302], "무희"[412] 군상, 대리석 "안티노우스상"[413] 등의 조상, "델포이의 마부" 청동상[414], 할로스의 성도 아래 매장 장소에서 발견된 "델포이의 크리세레판티노스"(황금 상아상[265])와 "은판 황소"[415] 외에, 신주를 따르는 (libation) 아폴론을 그린 "아폴론의 킬릭스"[416] 등 수많은 유물이 소장 및 전시되어 있다.

9. 세계유산

유네스코의 세계 유산 목록에 1987년 등록되었다.[417] 그 해, 자문 기관인 ICOMOS도 등록을 권고했으며, 권고대로 제11차 세계 유산 위원회에서 등록이 승인되었다.[417] 등록 기준은 (i), (ii), (iii), (iv), (vi)이다.

10.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https://archive.org/[...] Longman
[2] 백과사전 δelphís, Δelphoí, delphýs Carl Winter
[3] 백과사전 Δελφοί https://www.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4] 서적 Luwian Identities: Culture, Language and Religion Between Anatolia and the Aegean Brill
[5] 웹사이트 Suda, pi,3137 https://www.cs.uky.e[...]
[6] 웹사이트 Suda, delta,210 https://www.cs.uky.e[...]
[7] 웹사이트 Archaeological Site of Delphi https://whc.unesco.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22-10-23
[8] 문서 Delphi: the Oracle and its Role in the Political and Social Life of the Ancient Greeks Hannibal Publishing House
[9] 웹사이트 LSJ s.v. πύθω https://www.perseus.[...]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간행물 «Delphes dans l’Antiquité tardive : première approche topographique et céramologique»
[14] 간행물 «Αteliers de potiers protobyzantins à Delphes »
[15] 간행물 «Un exemple d’architecture civile en Grèce: les maisons protobyzantines de Delphes (IVe–VIIe s.)»
[16] 학술지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Hazard in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Sites of the Mediterranean Area: Knowledge, Forecasting, and Mitigation 2012-07
[17] 웹사이트 Delphi Archaeological Site http://www.ancient-g[...] 2020-11-16
[18] 서적 Pindar Oxford University Press
[19] 웹사이트 Temple of Apollo at Delphi http://ancient-greec[...] 2016-11-28
[20] 웹사이트 Delphi http://www.culture.g[...] Hellenic Ministry of Culture
[21] 서적 Guide de Delphes: Le site Laroche, D.
[22] 웹사이트 Delphi Theater http://www.ancient-g[...]
[23] 문서 «Das Theater»
[24] 문서 "Οι πυθικοί αγώνες. Οι μαρτυρίες των επιγραφών" Διάζωμα
[25] 웹사이트 ΑΡΧΑΙΟ ΘΕΑΤΡΟ ΔΕΛΦΩΝ : Παρελθόν - Παρόν - Μέλλον : ΧΟΡΗΓΙΚΟΣ ΦΑΚΕΛΟΣ http://www.diazoma.g[...] 2022-03-05
[26] 문서 «Τεκμηρίωση και αποκατάσταση του αρχαίου θεάτρου Δελφών» Διάζωμα
[27] 웹사이트 Marcus Vitruvius Pollio: de Architectura, Book VII https://penelope.uch[...] 2017-06-14
[28] 웹사이트 Delphi Stadium http://www.ancient-g[...]
[29] 문서 Pindar: Pythian 3
[30] 웹사이트 Hippodrome of ancient Delphi located https://archaeologyn[...] 2018-04-14
[31] 웹사이트 Manumission Wall http://www.coastal.e[...]
[32] 서적 Delphi Spyros Meletzis Archive 2003
[33] 서적 Delphi Clio Editions 1977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The Greek Myths: Complete Edition" Penguin 1993
[37] 문서 2019
[38] 문서 The Delphic Oracle
[39] 서적 Lives of the Necromancers https://archive.org/[...] London, F. J. Mason
[40] 문서 Hymn to Pythian Apollo
[41] 서적 The Delphic Oracle: Its Responses and Operations, with a Catalogue of Responses 1978
[42] 문서 The Cults of the Greek States
[43] 문서 Odyssey
[44] 문서 2007
[45] 간행물 Delphi and Cosmovision: Apollo's absence at the land of the hyperboreans and the time for consulting the oracle
[46] 간행물 Oracular Functioning And Architecture of Five Ancient Apollo Temples Through Archaeoastronomy: Novel Approach And Interpretation
[47] 간행물 The Delphic Oracle: A Multidisciplinary Defense of the Gaseous Vent Theory https://farrington16[...]
[48] 간행물 Delphic Oracle's Lips May Have Been Loosened by Gas Vapors http://news.national[...] 2007-03-08
[49] 간행물 Gaseous emissions at the site of the Delphic Oracle: Assessing the ancient evidence
[50] 간행물 Active faulting at Delphi, Greece: Seismotectonic remarks and a hypothesis for the geologic environment of a myth 2000
[51] 간행물 Scent of a myth: tectonics, geochemistry and geomythology at Delphi (Greece) http://jgs.lyellcoll[...] 2008-01
[52] 간행물 A Bittersweet Story: The True Nature of the Laurel of the Oracle of Delphi https://www.research[...] 2016-11-27
[53] 서적 The City in History Harcourt, Brace & World 1961
[54] 문서 Ab urbe condita
[55] 서적 Dictionary of the Ancient World (Lexiko tou Archaiou Kosmou) Domi Publications 1984
[56] 서적 The road to Delphi : the life and afterlife of oracles Farrar, Straus, and Giroux 2003
[57] 백과사전 Delphi Oxford University Press
[58] 서적 Delphi: A History of the Center of the Ancient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59] 문서 "Computers/Future of Delphi: Technology for Group Dialogue" https://web.archive.[...] 2024-07-13
[60] 서적 Gazing Into the Oracle: The Delphi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Social Policy and Public Health Jessica Kingsley Publishers 1996
[61] 문서 Charmides
[62] 문서 Protagoras https://www.perseus.[...]
[63] 문서 Description of Greece, Phocis and Ozolian Locri https://www.perseus.[...]
[64] 문서 "The Mystery of Apollo's E at Delphi" 1981-01
[65] 서적 The Delphic Oracle Basil Blackwell 1956
[66] 문서
[67] 웹사이트 Dictionary of Classic Antiquities - Delphic Oracle http://www.ancientli[...] 2007-02-02
[68] 서적 A History of Ideas and Images in Italian Art John Murray, London 1983
[69] 서적 Who's Who in Classical Myth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08-02
[70] 서적 "Psyche: The Cult of Souls and the Belief in Immortality among the Greeks" Routledge & Kegan Paul, London 1925
[71] 서적 Kase 1970
[72] 서적 Kase 1970
[73] 문서 Pausanias 10.12.1
[74] 서적 Grecia. Guida d'Europa Touring Club Italiano 1977
[75] 문서 Edward W. Bodnar, ''Later travels'', with Clive Foss
[76] 문서 Chandler, R, Revett, N., Pars, W., Ionian Antiquities, London 1769
[77] 문서 Chandler, R, Revett, N., Pars, W., Inscriptiones antiquae, pleraeque nondum editae, in Asia Minore et Graecia, praesertim Athensis, collectae, Oxford, 1774
[78] 문서 Chandler, R, Revett, N., Pars, W., Travels in Asia Minor, Oxford, 1775.
[79] 문서 Chandler, R, Revett, N., Pars, W., Travels in Greece, Oxford, 1776.
[80] 문서 ''A classical and topographical tour through Greece'', London 1819
[81] 논문 Nikolaos Sophianos's Totius Graeciae Descriptio: The Resources, Diffusion and Function of a Sixteenth-Century Antiquarian Map of Greece https://www.tandfonl[...]
[82] 웹사이트 Tarot of Delphi http://www.aeclectic[...] 2018-04-14
[83] AV media Delphic Sibyl https://commons.wiki[...]
[84] AV media The Priestess of Delphi
[85] AV media Consulting the Oracle http://www.jwwaterho[...]
[86] AV media The Oracle of Delphi https://theshapeshif[...] 2013-01-22
[87] 웹사이트 Delphic Spirit by Aristides Patsoglou - theDelphiGuide.com https://thedelphigui[...] 2024-08-16
[88] 웹사이트 Lecture on Seferis at the Hellenic Culture Foundation https://www.greeknew[...] 2003-10-06
[89] 서적 トゥーキュディデース 筑摩書房
[90] 문서 ベルフィオール (2020)
[91] 문서 周藤、澤田 (2004)
[92] 문서 「アポローンへの讃歌」285-295
[93] 웹사이트 Hymn 3 to Apollo; 267-304 https://www.perseus.[...] 2024-10-19
[94] 문서 周藤、澤田 (2004)
[95] 웹사이트 Archaeological Site of Delphi https://whc.unesco.o[...] 2024-10-19
[96] 서적 21世紀 世界遺産の旅 小学館
[97] 문서 高野 (2002)
[98] 문서 周藤、澤田 (2004)
[99] 문서 フラスリエール (1963)
[100] 웹사이트 Delphes https://www.larousse[...] 2024-10-19
[101] 문서 周藤、澤田 (2004)
[102] 문서 村川、中山 (1981)
[103] 문서 伊藤 (2002)
[104] 문서 伊藤 (2002)
[105] 문서 周藤、澤田 (2004)
[106] 논문 紀元前五百年頃までのアテナイの支配体制 https://keisen.repo.[...] 恵泉女学園大学 1992-01-01
[107] 서적 ギリシア神話を学ぶ人のために https://ndlsearch.nd[...] 世界思想社
[108] 문서 桜井 (2005)、59頁
[109] 문서 周藤、澤田 (2004)、126頁
[110] 웹사이트 Delphi: History http://odysseus.cult[...] Ministry of Culture and Sports 2024-10-19
[111] 웹사이트 Charming Mountainous Villages in the Greek Countryside https://www.visitgre[...] Greek National Tourism Organisation 2024-10-19
[112] 웹사이트 Arachova https://www.slidesha[...] 2016-05-22
[113] 문서 フラスリエール (1963)、60頁
[114] 문서 逸身、片山訳 「アポローンへの讃歌」 (1985)、68・85・199頁
[115] 문서 逸身、片山訳 「アポローンへの讃歌」 (1985)、206頁
[116] 문서 村川、中山 (1981)、54頁
[117] 문서 安村 (1998)、2・4頁
[118] 문서 馬場訳注 『ギリシア案内記 下』 (1992)、196・391頁
[119] 서적 Sisters of Fate: The Myths that Speak Themselves https://dokumen.pub/[...]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24-10-19
[120] 문서 逸身、片山訳 「アポローンへの讃歌」 (1985)、205-206頁
[121] 웹사이트 Hymn 3 to Apollo; 349-396 https://www.perseus.[...] 2024-10-19
[122] 문서 逸身、片山訳 「アポローンへの讃歌」 (1985)、79・84-85・205-206頁
[123] 문서 村川、中山 (1981)、38頁
[124] 문서 安村 (1998)、1頁
[125] 문서 白石 (1998)、54頁
[126] 문서 安村 (1998)、4頁
[127] 문서 馬場訳注 『ギリシア案内記 下』 (1992)、191・390頁
[128] 문서 松平 (2005)、127頁
[129] 문서 村川、中山 (1981)、38-39頁
[130] 문서 逸身、片山訳 「アポローンへの讃歌」 (1985)、202頁
[131] 서적 幻想動物事典 新紀元社
[132] 웹사이트 Search results for pi,3137 in Adler number https://www.cs.uky.e[...] University of Kentucky,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2024-10-19
[133] 문서 逸身、片山訳 「アポローンへの讃歌」 (1985)、95・207-208頁
[134] 웹사이트 Delphi https://www.etymonli[...] 2024-10-19
[135] 웹사이트 delphys 2024-10-19
[136] 웹사이트 dolphin (n.) https://www.etymonli[...] 2024-10-19
[137] 웹사이트 Search results for delta,210 in Adler number https://www.cs.uky.e[...] University of Kentucky,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2024-10-19
[138] 서적 ヨーロッパ文明の起源 - 聖書が伝えるオリエントの世界 筑摩書房
[139] 문서 『ビブリオテーケー』、第1巻、VII. 2
[140] 웹사이트 Apollodorus, Library; 1.7.2 https://www.perseus.[...] 2024-10-19
[141] 문서 村川、中山 (1981)
[142] 간행물 『ビブリオテーケー』、第1巻、VII. 3
[143] 웹사이트 Apollodorus, Library; 1.7.3 https://www.perseus.[...] 2024-10-19
[144] 문서 周藤、村田 (2000)
[145] 웹사이트 Hellen https://www.britanni[...] 2024-10-19
[146] 문서 ベルフィオール (2020)
[147] 문서 本村 (2024)
[148] 문서 村川、中山 (1981)
[149] 문서 ベルフィオール (2020)
[150] 문서 松平 (2005)
[151] 문서 山川廣司 「古代ギリシア・デルフォイの神託と情報伝達」 (2008)
[152] 문서 山川 (2010)
[153] 문서 ベルフィオール (2020)
[154] 문서 ベルフィオール (2020)
[155] 문서 村川、中山 (1981)
[156] 문서 山川 (2010)
[157] 문서 フラスリエール (1963)
[158] 문서 ホメーロス『オデュッセイア』、第8歌、79-81行
[159] 문서 ベルフィオール (2020)
[160] 문서 周藤、澤田 (2004)
[161] 문서 フラスリエール (1963)
[162] 문서 アイスキュロス『テーバイ攻めの七将』、742-752行
[163] 서적 ギリシア悲劇 I アイスキュロス 筑摩書房
[164] 문서 ソポクレース『オイディプース王』
[165] 문서 村川、中山 (1981)
[166] 문서 フラスリエール (1963)
[167] 문서 村川、中山 (1981)
[168] 문서 周藤、澤田 (2004)
[169] 문서 フラスリエール (1963)
[170] 문서 山川廣司 「古代ギリシア・デルフォイの神託と情報伝達」 (2008)
[171] 문서 山川 (2010)
[172] 문서 本村 (2024)
[173] 문서 フラスリエール (1963)
[174] 문서 松平訳 『ヘロドトス 歴史 下』 (2007)
[175] 문서 フラスリエール (1963)
[176] 문서 桜井 (2005)
[177] 서적 歴史
[178] 문서 松平訳注 『ヘロドトス 歴史 下』 (2007)
[179] 문서 松平訳 『ヘロドトス 歴史 下』 (2007)
[180] 문서 本村 (2024)
[181] 서적 歴史
[182] 문서 本村 (2024)
[183] 문서 フラスリエール (1963)
[184] 문서 村川、中山 (1981)
[185] 서적 ギリシア・ローマの盛衰 講談社
[186] 문서 周藤、澤田 (2004)
[187] 문서 小堀 (2018)
[188] 문서 周藤、澤田 (2004)
[189] 문서 Parke (1978)
[190] 문서 周藤、澤田 (2004)
[191] 문서 高津 (1960)
[192] 문서 Konstantinou (2024)
[193] 문서 馬場訳注 『ギリシア案内記 下』 (1992)
[194] 문서 中務 (2013)
[195] 문서 カルミデース
[196] 웹사이트 フーコーの『主体と解釈学』読解: 新しい出発点 - 自己の配慮 http://polylogos.org[...] 2024-10-19
[197] 문서 馬場訳注 『ギリシア案内記 下』 (1992)
[198] 문서 中務 (2013)
[199] 문서 中務 (2013)
[200] 문서 松平訳 『ホメロス オデュッセイア 上』 (1994)
[201] 문서 中務 (2013)
[202] 문서 中務 (2013)
[203] 문서 馬場訳 『ギリシア案内記 下』 (1992)
[204] 문서 本村 (2024)
[205] 문서 中務 (2013)
[206] 문서 小堀 (2018)
[207] 문서 フラスリエール (1963)
[208] 문서 中務 (2013)
[209] 문서 本村 (2024)
[210] 서적 ギリシア・ローマ名言集 岩波書店
[211] 서적 ソークラテースの弁明
[212] 서적 周藤、村田 (2000)
[213] 서적 フラスリエール (1963)
[214] 서적 桜井 (2005)
[215] 서적 橋場弦 「ギリシアとヘレニズム」 (2023)
[216] 서적 橋場弦 「ギリシアとヘレニズム」 (2023)
[217] 서적 佐藤昇 「古代ギリシアのポリス」 (2023)
[218] 서적 橋場弦 「ギリシアとヘレニズム」 (2023)
[219] 서적 福部 (1987)
[220] 서적 周藤、澤田 (2004)
[221] 서적 村川、中山 (1981)
[222] 서적 周藤、澤田 (2004)
[223] 서적 村川、中山 (1981)
[224] 서적 馬場訳注 『ギリシア案内記 下』 (1992)
[225] 서적 周藤、澤田 (2004)
[226] 서적 周藤、澤田 (2004)
[227] 서적 村川、中山 (1981)
[228] 서적 高津 (1960)
[229] 서적 Konstantinou (2024)
[230] 서적 馬場訳注 『ギリシア案内記 下』 (1992)
[231] 서적 周藤、澤田 (2004)
[232] 서적 村川、中山 (1981)
[233] 서적 中務 (2013)
[234] 서적 周藤、澤田 (2004)
[235] 서적 馬場訳注 『ギリシア案内記 下』 (1992)
[236] 서적 Konstantinou (2024)
[237] 서적 周藤、澤田 (2004)
[238] 서적 周藤、澤田 (2004)
[239] 서적 Konstantinou (2024)
[240] 서적 馬場訳注 『ギリシア案内記 下』 (1992)
[241] 서적 村川、中山 (1981)
[242] 서적 Konstantinou (2024)
[243] 서적 周藤、澤田 (2004)
[244] 웹사이트 Manumission Wall http://www.coastal.e[...] Coastal Carolina University 2024-10-19
[245] 웹사이트 Translations of Hellenistic Inscriptions: 24 - Manumission of female slaves at Delphi https://www.attalus.[...] attalus.org 2024-10-19
[246] 서적 馬場訳注 『ギリシア案内記 下』 (1992)
[247] 서적 高津 (1960)
[248] 서적 パーカー (2024)
[249] 서적 Konstantinou (2024)
[250] 웹사이트 Stepterion https://www.britanni[...] 2024-10-19
[251] 서적 福部 (1987)
[252] 서적 福部 (1987)
[253] 서적 高津 (1960)
[254] 서적 フラスリエール (1963)
[255] 서적 ギリシア案内記
[256] 서적 Konstantinou (2024)
[257] 서적 Konstantinou (2024)
[258] 서적 桜井 (2005)
[259] 서적 Konstantinou (2024)
[260] 서적 歴史
[261] 서적 馬場訳注 『ギリシア案内記 下』 (1992)
[262] 서적 岩波 西洋人名辞典 岩波書店
[263] 서적 村川、中山 (1981)
[264] 서적 周藤、澤田 (2004)
[265] 서적 福部 (1987)
[266] 서적 Konstantinou (2024)
[267] 서적 村川、中山 (1981)
[268] 서적 Konstantinou (2024)
[269] 서적 福部 (1987)
[270] 서적 馬場訳注 『ギリシア案内記 下』 (1992)
[271] 서적 周藤、澤田 (2004)
[272] 서적 ギリシア案内記
[273] 서적 高津 (1960)
[274] 서적 フラスリエール (1963)
[275] 서적 ギリシア案内記
[276] 서적 村川、中山 (1981)
[277] 서적 Konstantinou (2024)
[278] 서적 周藤、澤田 (2004)
[279] 웹사이트 Delphi, Treasury of the Corinthians, Remains https://www.livius.o[...] Livius.org 2020-04-03
[280] 서적 ベルフィオール (2020)
[281] 웹사이트 Cypselus https://www.britanni[...] 2024-11-16
[282] 문서 村川、中山 (1981)、107頁
[283] 문서 周藤、澤田 (2004)、124・139頁
[284] 문서 Panagiotopoulou (2023), p. 86
[285] 문서 Panagiotopoulou (2023), pp. 86 176
[286] 문서 Konstantinou (2024), p. 30
[287] 문서 Konstantinou (2024), p. 29
[288] 문서 周藤、澤田 (2004)、124・137頁
[289] 웹사이트 Treasury of Cnidian. https://libraryimage[...] National Gallery of Art 2024-10-19
[290] 서적 L'Homme et la Terre https://fr.wikisourc[...] Librairie Universelle 2024-10-19
[291] 문서 周藤、澤田 (2004)、139頁
[292] 웹사이트 Gyges of Lydia https://www.livius.o[...] Livius.org 2024-10-19
[293] 문서 ヘーロドトス 『歴史』、巻1、50
[294] 문서 Konstantinou (2024), pp. 31 34
[295] 웹사이트 The Sicyonian Treasury https://delphi.cultu[...] 2024-10-19
[296] 문서 福部 (1987)、117頁
[297] 문서 馬場訳注 『ギリシア案内記 下』 (1992)、401頁
[298] 웹사이트 Sicyonian Treasury at Delphi, metopes https://museum.class[...] ケンブリッジ大学 2024-10-19
[299] 간행물 Doris and Caria, Archaic Sculpture http://www.ehw.gr/l.[...] Foundation of the Hellenic World 2024-10-19
[300] 문서 馬場訳注 『ギリシア案内記 下』 (1992)、403頁
[301] 문서 周藤、澤田 (2004)、137頁
[302] 문서 周藤、澤田 (2004)、138頁
[303] 문서 村川、中山 (1981)、97頁
[304] 문서 馬場訳注 『ギリシア案内記 下』 (1992)、217・401頁
[305] 웹사이트 Delphi, Greece, May 2018 https://www.icomos.o[...] International Council on Monuments and Sites 2024-10-19
[306] 문서 Konstantinou (2024), p. 25
[307] 웹사이트 Treasury of the Athenians http://odysseus.cult[...] Ministry of Culture and Sports 2024-10-19
[308] 문서 Konstantinou (2024), p. 72
[309] 문서 桜井 (2005)、67頁
[310] 문서 村川、中山 (1981)、110・146頁
[311] 문서 馬場訳注 『ギリシア案内記 下』 (1992)、219・403頁
[312] 문서 村川、中山 (1981)、110頁
[313] 문서 福部 (1987)、118頁
[314] 웹사이트 The Megarian Treasury https://delphi.cultu[...] 2024-10-19
[315] 웹사이트 The Theban Treasury https://delphi.cultu[...] 2024-10-19
[316] 웹사이트 Boeotian Treasury https://historygreek[...] 2024-10-19
[317] 서적 福部 (1987)
[318] 서적 福部 (1987)
[319] 서적 中村 (2015)
[320] 서적 福部 (1987)
[321] 서적 周藤、澤田 (2004)
[322] 서적 周藤、澤田 (2004)
[323] 서적 福部 (1987)
[324] 서적 福部 (1987)
[325] 서적 村川、中山 (1981)
[326] 서적 福部 (1987)
[327] 서적 村川、中山 (1981)
[328] 서적 福部 (1987)
[329] 서적 ベルフィオール (2020)
[330] 서적 福部 (1987)
[331] 서적 周藤、澤田 (2004)
[332] 서적 Konstantinou (2024)
[333] 서적 岡 (1976)
[334] 서적 ギリシア案内記
[335] 서적 馬場訳注 『ギリシア案内記 下』 (1992)
[336] 웹사이트 Ancient theatre of Delphi http://odysseus.cult[...] Ministry of Culture and Sports 2024-10-19
[337] 서적 周藤、澤田 (2004)
[338] 서적 福部 (1987)
[339] 서적 Konstantinou (2024)
[340] 서적 村川、中山 (1981)
[341] 서적 福部 (1987)
[342] 서적 Konstantinou (2024)
[343] 서적 周藤、澤田 (2004)
[344] 서적 村川、中山 (1981)
[345] 서적 Konstantinou (2024)
[346] 서적 Konstantinou (2024)
[347] 서적 福部 (1987)
[348] 웹사이트 The Aetolians and Delphi https://thedelphigui[...] 2024-10-19
[349] 서적 村川、中山 (1981)
[350] 서적 村川、中山 (1981)
[351] 문서 Konstantinou (2024)
[352] 문서 Konstantinou (2024)
[353] 문서 Konstantinou (2024)
[354] 문서 ‘Κασταλία Πηγή ・ The Kastaloan Spring ・ La fontaine Castalie’(現地案内板)
[355] 문서 福部 (1987)
[356] 문서 Konstantinou (2024)
[357] 문서 福部 (1987)
[358] 웹사이트 Pianta delle fabbriche esistenti nella Villa Adriana, con dedica a S. M. Stanislao Augusto Re di Polonia, in sei tavole riunibili, con indici riportati ciascuna nelle dimensioni di 52 x 82 (inc. F. Piranesi). https://da.dl.itc.u-[...] 東京大学 2024-10-19
[359] 문서 Konstantinou (2024)
[360] 문서 Konstantinou (2024)
[361] 문서 周藤、澤田 (2004)
[362] 문서 福部 (1987)
[363] 문서 馬場訳注 『ギリシア案内記 下』 (1992)
[364] 문서 村川、中山 (1981)
[365] 문서 周藤、澤田 (2004)
[366] 문서 Konstantinou (2024)
[367] 문서 Konstantinou (2024)
[368] 문서 周藤、澤田 (2004)
[369] 문서 馬場訳注 『ギリシア案内記 下』 (1992)
[370] 문서 福部 (1987)
[371] 문서 ヘーロドトス『歴史』
[372] 문서 周藤、澤田 (2004)
[373] 문서 福部 (1987)
[374] 문서 パーカー (2024)
[375] 문서 Konstantinou (2024)
[376] 문서 高津 (1960)
[377] 문서 ヘーロドトス『歴史』
[378] 문서 福部 (1987)
[379] 문서 周藤、澤田 (2004)
[380] 문서 パウサニアース 『ギリシア案内記』
[381] 문서 村川、中山 (1981)
[382] 문서 Konstantinou (2024)
[383] 웹사이트 The Treasury of the Massaliots https://delphi.cultu[...] 2024-10-19
[384] 문서 Konstantinou (2024)
[385] 문서 桜井 (2005)
[386] 문서 村川、中山 (1981)
[387] 문서 平山 (2014)
[388] 문서 高津 (1960)
[389] 문서 周藤、澤田 (2004)
[390] 문서 ベルフィオール (2020)
[391] 문서 ベルフィオール (2020)
[392] 서적 ヘーロドトス『歴史』
[393] 문서 桜井 (2005)
[394] 문서 村川、中山 (1981)
[395] 문서 周藤、澤田 (2004)
[396] 문서 桜井 (2005)
[397] 문서 桜井 (2005)
[398] 문서 Konstantinou (2024)
[399] 문서 パーカー (2024)
[400] 문서 周藤、澤田 (2004)
[401] 문서 村川、中山 (1981)
[402] 문서 山川 (2010)
[403] 문서 Konstantinou (2024)
[404]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and Rome - Vol. 1-7 https://books.google[...] オックスフォード大学出版局 2024-10-19
[405] 간행물 Якоб Спон и неговото пътешествие към Античността https://www.academia[...] 2024-10-19
[406] 문서 Lawton (1889)
[407] 문서 Parke (1978)
[408] 웹사이트 What was the Oracle of Delphi? https://worldhistory[...] 2024-04-30
[409] 문서 福部 (1987)
[410] 문서 福部 (1987)
[411] 문서 Konstantinou (2024)
[412] 문서 福部 (1987)
[413] 문서 Konstantinou (2024)
[414] 문서 福部 (1987)
[415] 문서 Konstantinou (2024)
[416] 문서 Konstantinou (2024)
[417] 웹사이트 ICOMOS: World Heritage List No 393 https://whc.unesco.o[...] 世界遺産センター 1987-10
[418] 문서 Miller
[419] 기타 Hymn to Pythian Apollo
[420] 문서 Mill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