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트모세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트모세 1세는 제18왕조의 파라오로, 그의 통치 기간은 기원전 1506년부터 기원전 1493년까지 또는 기원전 1526년부터 기원전 1513년까지로 추정된다. 그는 뛰어난 군사적 재능으로 누비아와 시리아 지역에서 원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카르나크 신전을 대대적으로 확장하는 등 건축 사업에도 힘썼다. 투트모세 1세는 왕들의 계곡에 묻힌 최초의 왕이었으며, 그의 미라의 진위 여부에 대한 논쟁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6세기 출생 - 하트셉수트
하트셉수트는 고대 이집트 제18왕조의 여왕이자 파라오로서, 섭정에서 스스로 파라오가 되어 이집트를 통치하며 무역로 재건, 푼트 원정, 건축물 건설 등 이집트의 번영을 이끌었고, 사후 업적 말소에도 불구하고 현대에 재평가받는 강력한 여성 통치자이다. - 기원전 16세기 출생 - 르우벤
르우벤은 창세기에 나오는 야곱와 레아의 첫째 아들이며, 아버지의 첩과의 관계로 장자권을 잃었지만 동생 요셉을 보호하려 했던 인물로, 그의 무덤은 이스라엘에 있다고 전해진다. - 기원전 15세기 파라오 - 투트모세 3세
투트모세 3세는 고대 이집트 제18왕조의 여섯 번째 파라오로, 하트셉수트의 섭정 이후 이집트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정복한 군사적 지도자이며, 메기도 전투를 비롯한 17차례의 원정과 건축물을 통해 광대한 제국을 건설했다. - 기원전 15세기 파라오 - 하트셉수트
하트셉수트는 고대 이집트 제18왕조의 여왕이자 파라오로서, 섭정에서 스스로 파라오가 되어 이집트를 통치하며 무역로 재건, 푼트 원정, 건축물 건설 등 이집트의 번영을 이끌었고, 사후 업적 말소에도 불구하고 현대에 재평가받는 강력한 여성 통치자이다. - 기원전 16세기 파라오 - 에파포스
에파포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와 이오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며, 멤피스 시의 창시자로 여겨지고, 파에톤과 경쟁했으며, 그의 가계는 리비아, 벨루스, 아게노르 등으로 이어지고, 현대적 해석에서는 불평등을 상징하는 인물로 여겨진다. - 기원전 16세기 파라오 - 카모세
카모세는 이집트 제17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힉소스 왕조에 맞서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통일을 시도했으며, 그의 치세는 힉소스 왕조와의 갈등, 누비아 원정, 석비와 유물, 그리고 훼손된 미라를 통해 알려져 있다.
투트모세 1세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투트모세 1세 |
다른 이름 | 투트모시스 투트모세 라틴어화된 그리스어: 토트메스 |
네브티 이름 (두 여신 이름) | 카엠네세레트 아아페흐티 (힘이 센 위대한 우라에우스와 함께 나타나는 자) |
호루스 이름 | 카나크트 메리마아트 (강한 황소, 마아트의 사랑을 받는 자) |
황금 호루스 이름 | 네페르렌푸트 상크 이브 우 (그의 해가 완전하고 아름다우며, 마음을 살리는 자) |
즉위명 | 아아케페르카레 (라의 카의 현현은 위대하다) |
탄생명 | 제후티메스 (토트에게서 태어남) |
탄생명 (다른 이름) | 제후티메스 카미레 (토트에게서 태어났으며, 라처럼 나타남) |
통치 | |
통치 기간 | 기원전 1506년 ~ 기원전 1493년 (낮은 연대기) 기원전 1526년 ~ 기원전 1513년 (높은 연대기) 기원전 1493년 ~ 기원전 1483년 (쿠니) |
선왕 | 아멘호테프 1세 |
후왕 | 투트모세 2세 |
가계 | |
왕조 | 제18왕조 |
아버지 | 불명 (아마도 아흐모세 사파이르) |
어머니 | 센세네브 |
배우자 | 아흐모세 무트노프레트 |
자녀 | 투트모세 2세 하트셰푸트 아멘모세 와드모세 네프루비티 |
사망 및 매장 | |
사망 | 기원전 1493년 |
매장지 | KV20, 이후 KV38 데 이르 엘 바흐리 왕실 은닉처에서 미라 발견 (테베 네크로폴리스) |
기념물 | |
기념물 | 카르나크의 제4, 5 파빌론 두 개의 오벨리스크 하이포스타일 홀 |
2. 출생과 가족
투트모세 1세는 "왕의 아들"이라는 칭호를 사용한 적이 없으며, 센세네브라는 여성과 알려지지 않은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4] 어머니 센세네브는 "왕의 딸" 칭호가 없었기 때문에 왕족 출신이 아니다. 아버지는 타아 2세의 아들이자 이아흐메스 1세의 형제인 이아흐메스 사파이르라는 설이 유력하다.
아멘호테프 1세의 딸 이아흐메스와 결혼하여 후계자가 되었다는 설이 있었지만, 이아흐메스는 "왕의 딸" 칭호가 없었고, 투트모세 1세가 아멘호테프 1세보다 훨씬 이전부터 후계자로 정해져 있었다는 비문도 발견되어 이 설은 신빙성이 떨어진다.[7]
아흐모세 여왕은 이아흐메스 1세의 딸이자 아멘호테프 1세의 누이로 추정되지만,[5] "왕의 딸"로 불리지 않아 투트모세 1세의 누이로 여겨지기도 한다.[6] 투트모세 1세는 아흐모세와의 사이에서 장남 아멘메세스, 와지모세, 딸 하트셉수트와 네프루비티를 두었다. 아멘메세스는 투트모세 1세 즉위 이전에 태어났을 가능성이 높으며, 재위 4년차에 멤피스 근처에서 사냥하는 모습이 새겨진 비문에 등장한다.[8] 이후 "아버지의 위대한 군대 사령관"이 되었으나, 투트모세 1세보다 먼저 사망했다.[8] 와지모세와 네프루비티 또한 어려서 사망했다.[9]
2. 1. 후계자 문제와 하트셉수트
투트모세 1세는 다른 부인 무트노프레트와의 사이에서 아들을 하나 더 두었는데, 이 아들이 투트모세 2세로 왕위를 계승했다.[10] 투트모세 1세는 자신의 딸 하트셉수트를 투트모세 2세와 결혼시켰다.[9] 훗날 하트셉수트는 투트모세 1세가 자신과 투트모세 2세를 공동 통치자로 지명했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하트셉수트가 권력을 잡은 후 자신의 왕위 계승을 정당화하기 위한 선전으로 여겨진다.[11]3. 통치 기간 및 업적
투트모세 1세의 통치 기간은 기원전 1506년부터 기원전 1493년까지(낮은 연대기) 또는 기원전 1526년부터 기원전 1513년까지(높은 연대기)로 추정된다.[12] 그는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바탕으로 누비아와 시리아 지역에서 성공적인 원정을 이끌었다.
투트모세 1세는 즉위 후 누비아의 반란을 진압하고 직접 누비아 왕을 죽였으며,[16] 통치 3년 차에는 다시 누비아 원정을 떠나 제1폭포의 운하를 준설하여 이집트와 누비아 사이의 이동을 쉽게 했다.[9] 그는 제3폭포 근처 톰보스에 요새를 건설하여 이집트의 군사 주둔지를 확장했고,[19] 통치 4년째에는 누비아의 또 다른 반란에 직면했지만, 그의 영향력은 더욱 남쪽으로 확장되어 쿠르구스에서 그의 치세를 기록한 비문이 발견되었다.[21] 그는 누비아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여러 사업을 시작했고, 500년 동안 누비아의 독립을 종식시켰다.
투트모세 1세는 시리아 원정을 통해 유프라테스 강까지 진출하여 이집트 역사상 가장 북쪽으로 진출한 사례를 남겼다.[20] 시리아 군주들은 그에게 충성을 맹세했으나, 그가 돌아간 후 조공을 중단하고 요새를 건설하며 저항했다.[9] 그는 레반트 지역 원정을 통해 이전에 강력했던 힉소스 세력을 꺾는 데 목표를 두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게제르를 비롯한 레반트 지역의 20개에 달하는 유적지가 이 시기에 파괴되었다.[22]
투트모세 1세는 카르나크 신전 확장 공사를 비롯한 많은 건축 사업을 벌였다.[27] 그는 네 번째 탑문과 다섯 번째 탑문을 건설하고, 삼나무 기둥으로 된 열주실을 건설했으며, 오벨리스크를 세웠다.[28] 그는 아비도스에서 엔네아드 조각상을 만들고, 누비아의 여러 지역에 건물을 확장하는 등 다양한 건축 활동을 펼쳤다. 또한 왕들의 계곡에 묻힌 최초의 왕으로 확인되었다.[21]
그는 아문 신관단의 후원자로 지정되어 카르나크의 아문 대신전 건축을 계속하는 등 종교적으로도 업적을 남겼다.
3. 1. 누비아 원정
아흐모세(에바나의 아들)의 묘비문에 따르면, 투트모세 1세는 즉위 후 누비아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나일강을 따라 올라가 전투를 벌였고, 직접 누비아 왕을 죽였다고 한다.[16] 승리한 후, 그는 누비아 왕의 시신을 배 선수에 매달고 테베로 돌아왔다.[16]투트모세 1세는 통치 3년차에 다시 누비아 원정을 떠났고, 이 과정에서 세소스트리스 3세가 건설했던 제1폭포의 운하를 준설하도록 명령했다. 이는 이집트와 누비아 사이의 상류 이동을 쉽게 하여 누비아를 이집트 제국에 통합하는 데 기여했다.[9] 이 원정은 왕의 아들 투레가 새긴 두 개의 비문에 언급되어 있다.[17]
투트모세 1세는 통치 2년차에 톰보스에 석비를 세웠는데, 여기에는 제3폭포 근처 톰보스에 요새를 건설하여 이집트 군사 주둔지를 영구적으로 확장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19] 이전까지 이집트 군사 주둔지는 제2폭포의 부헨에 있었다.
투트모세 1세는 통치 4년째에 누비아의 또 다른 반란에 직면해야 했다.[20] 그러나 그의 영향력은 더욱 남쪽으로 확장되어, 네 번째 폭포 남쪽 쿠르구스에서 그의 치세를 기록한 비문이 발견되었다.[21] 그는 나일강에서 1,200미터 떨어진 하가르 엘-메르와에 여러 지역 비문 위에 커다란 장면을 새겼다.[23] 이곳은 이집트의 존재가 증명된 가장 남쪽 지역이다.[23]
투트모세 1세는 셈나 맞은편 나일강에 있는 세소스트리스 3세와 크눔 신전을 확장했다.[24] 또한 엘-카브의 총독이 왕을 대신하여 누비아 신전에서 수행해야 했던 특정 종교 의식에 대한 기록도 있다.[25] 그는 투레를 쿠시의 총독("쿠시의 왕자")에 임명했다.[26] 왕의 민간 대표가 누비아에 영구적으로 주둔하면서 누비아는 이전처럼 자주 반란을 일으키지 않았고, 이후 이집트 왕들에게 쉽게 통제되었다.[20]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그는 500년 동안 누비아의 독립을 효과적으로 종식시키는 여러 사업을 시작했다.
3. 2. 시리아 원정
뛰어난 군인이었던 투트모세 1세는 시리아와 누비아로의 원정군을 지휘하여 신뢰를 얻었다.[19] 투트모세 1세는 유프라테스 강까지 진출하였는데, 이는 이집트 역사상 가장 북쪽으로 진출한 사례이다. 시리아 군주들은 투트모세 1세에게 충성을 맹세했으나, 그가 돌아간 후 조공을 중단하고 요새를 건설하며 이집트에 저항하였다.3. 3. 레반트 지역 원정과 힉소스 세력 척결
투트모세 1세는 뛰어난 군인으로 시리아와 누비아로 원정군을 지휘하여 신임을 얻었다. 레반트 지역 원정은 이전에 강력했던 힉소스 세력을 꺾는 데 목표를 두었을 가능성이 있다. 게제르를 비롯한 레반트 지역의 20개에 달하는 유적지가 기원전 16세기에 파괴되었는데, 이는 투트모세 1세의 군사 원정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 시기 이집트는 레반트 지역에 영구적인 주둔지를 건설하지 않아, 이 지역을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3. 4. 건축 사업
투트모세 1세는 재위 기간 동안 많은 건축 사업을 벌였는데, 그중 가장 큰 규모는 이네니가 감독한 카르나크 신전 확장 공사였다.[27] 투트모세 이전의 카르나크는 중앙 플랫폼으로 이어지는 긴 길과 길가의 여러 개의 태양 바크 신사로 구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8] 투트모세 1세는 신전의 주요 도로를 따라 다섯 번째 탑문을 건설하고, 내전과 정문의 양쪽에 깃대를 세웠으며, 네 번째 탑문과 또 다른 울타리 벽을 지었다.[28] 그는 네 번째 탑문과 다섯 번째 탑문 사이에 삼나무 기둥으로 된 열주실을 건설했는데, 이는 고대 이집트 사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조로 이집트 창조의 상징인 파피루스 늪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29] 이 방의 가장자리에는 거대한 조각상을 세웠으며, 각 조각상은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의 왕관을 번갈아 착용했다.[28] 네 번째 탑문 밖에는 깃대 4개[28]와 오벨리스크 2개를 세웠다.[27] 투트모세 1세의 열주실에 있는 삼나무 기둥은 나중에 투트모세 3세에 의해 석조 기둥으로 교체되었지만, 북쪽의 두 개는 투트모세 1세가 직접 교체했다.[27] 하트셉수트 또한 투트모세 1세의 열주실 안에 자신의 오벨리스크 2개를 세웠다.[28]투트모세 1세는 카르나크 외에도 아비도스에서 엔네아드 조각상을, 아르만트, 옴보스, 알-히바, 멤피스, 에드푸에 건물을 지었으며, 셈나, 부헨, 아니바, 쿠반과 같은 누비아의 건물도 약간 확장했다.
투트모세 1세는 왕들의 계곡에 묻힌 최초의 왕으로 확인되었다.[21] 이네니는 이 무덤을 파고, 아마도 그의 장제전을 짓도록 위임받았다.[8] 그의 장제전은 발견되지 않았는데, 아마도 데르 엘-바흐리에 있는 하트셉수트의 장제전을 건설하면서 통합되거나 철거되었기 때문일 것이다.[30] 그의 무덤은 KV38로 확인되었으며, 그 안에서 투트모세 1세의 이름이 새겨진 황색 석영 사르코파구스가 발견되었다.[5]
그는 아메노피스 1세에 의해 아문 신관단의 후원자로 지정되었으며, 카르나크의 아문 대신전 건축을 계속하는 등 종교적으로도 업적을 남겼다.
4. 죽음과 매장
투트모세 1세는 원래 KV20에 묻혔다가 그의 딸 하트셉수트와 함께 이중 매장되었다. 하트셉수트는 아버지 투트모세 1세를 위해 자신의 통치 기간에 만들어진 석영암 석관을 기증했으며, 여기에는 하트셉수트가 아버지에게 베푼 관대함을 기록하는 헌정문이 새겨져 있다.[36]
그러나 투트모세 3세는 할아버지인 투트모세 1세를 위해 KV38을 건설하고 그곳에 재매장하였다.[37] 불행히도 투트모세 1세의 유해는 20왕조 후반에 KV38이 약탈당하면서 훼손되었다.
그의 것으로 추정되는 미라는 데이르 엘-바흐리(묘 번호 DB320 또는 TT320)에서 발견되었으나, 이 미라가 투트모세 1세의 것이 맞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4. 1. 미라 논쟁

투트모세 1세의 미라는 1881년에 데르 엘-바흐리 은닉처의 하트셉수트 장제전 위에 있는 곳에서 발견되었다.[39] 이 미라는 아흐모세 1세, 아멘호테프 1세, 투트모세 2세, 투트모세 3세, 람세스 1세, 세티 1세, 람세스 2세, 람세스 9세 등 18왕조와 19왕조의 지도자들과 파네젬 1세, 파네젬 2세, 사아문 등 21왕조 파라오들의 미라와 함께 매장되었다.
투트모세 1세의 원래 관은 나중에 21왕조의 파라오에게 빼앗겨 재사용되었다. 투트모세 1세의 미라는 분실된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집트학자 가스통 마스페로는 투트모세 2세와 투트모세 3세의 미라와 가족적 유사성을 근거로, 다른 표시가 없는 미라 #5283에서 그의 미라를 찾았다고 믿었다.[39] 이러한 확인은 이후의 검사를 통해 뒷받침되었으며, 사용된 방부 처리 기술이 아흐모세 1세 이후인 18왕조 시기의 것이라는 점이 밝혀졌다.[40]
가스통 마스페로는 이 미라에 대해 "왕은 죽을 당시 이미 나이가 들어 50세 이상이었는데, 이집트 빵에 가득했던 불순물 때문에 마모되고 부식된 앞니로 판단할 수 있다. 몸은 작고 여위었지만, 특이한 근육의 힘을 보여준다. 머리는 대머리이고, 이목구비는 세련되었으며, 입은 여전히 영리함과 교활함의 특징을 나타내는 표정을 띠고 있다."라고 묘사했다.[39]
제임스 해리스와 파우지아 후세인(1991)은 신왕국 왕족 미라에 대한 X선 조사를 실시하고 투트모세 1세의 미라 유해를 검사했다. 이 연구는 투트모세 1세의 미라가 누비아 인구에서 흔히 나타나는 모든 두개안면 특징과 "전형적인 누비아 형태"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41]
자히 하와스가 이끄는 팀이 2020년에 아르마나 왕실 미라에 대해 수행한 유전자 연구에서도 이전에 투트모세 1세로 여겨졌던 미확인 왕실 미라가 대조군 표본으로 포함되었다. 이 연구는 그 미라가 L 하플로그룹에 속한다는 것을 나타냈으며, 이는 주로 남부, 서부 및 중앙 아시아에서 관찰된다(인도 아대륙에서 가장 높음).[42]
그의 미라로 여겨졌던 것은 이집트 박물관(카이로)에서 볼 수 있었다. 그러나 2007년, 하와스는 이전에 투트모세 1세로 여겨졌던 미라가 가슴에 화살을 맞아 사망한 30세 남성의 것이라고 발표했다. 미라의 젊은 나이와 사망 원인으로 인해, 그 미라는 아마도 투트모세 1세의 것이 아닐 것으로 결론 내려졌다.[43] 이 미라는 재고 번호 CG 61065를 가지고 있다.[44] 2021년 4월, 이 미라는 파라오의 황금 퍼레이드라는 행사에서 17명의 왕과 4명의 여왕의 미라와 함께 이집트 문명 국립 박물관으로 옮겨졌다.[45]
하지만 그 미라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크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미라가 왕족 성인 남성 특유의 포즈(가슴 앞에서 팔을 교차)가 아닌, 양손을 아래로 내리고 있다. 양손은 잘려나가 사타구니에 놓여 있었다. (다만, 미라는 제18왕조의 고급스러운 제작물이기 때문에 왕족 중 한 명임은 틀림없다고 여겨진다.)
- 치아 마모 상태 등으로 볼 때, 이 미라의 사망 추정 연령은 50세 정도이나, 이 미라의 골격은 몇몇(50세로서는) 미발달된 부분이 많다. 투트모세 1세가 신체 장애나 선천적 질병을 앓았다는 자료는 없기 때문에, 이 미라가 그의 미라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 미라가 본인의 것이 아닌 이유는 재장례 시에 바꿔치기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파네젬 1세와 외모가 매우 닮았으며, 바꿔치기했을 가능성이 생겼다.
이 미라 논쟁 이전에도 투트모세 1세의 미라는 혼동된 적이 있었기 때문에, 아직 정확한 답은 나오지 않았다.
연구 결과, 이 미라는 누비아인의 외형적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참조
[1]
서적
Chronicle of the Pharaohs
Thames and Hudson Ltd
2006
[2]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Librairie Arthéme Fayard
1988
[3]
간행물
Ancient Egyptian Chronology
2006
[4]
서적
Hatszepsut. Kobieta która została królem
WAB
2016
[5]
서적
1964
[6]
서적
2000
[7]
서적
1988
[8]
서적
1964
[9]
서적
1942
[10]
서적
2004
[11]
서적
1894
[12]
서적
1988
[13]
서적
1983
[14]
웹사이트
Manetho's Kings
https://web.archive.[...]
2017-06-20
[15]
서적
1997
[16]
서적
1942
[17]
서적
Pyramids, Temples and Tombs of Ancient Egypt
Hermes House
2003
[18]
서적
op. cit.
[19]
서적
1906
[20]
서적
1942
[21]
서적
1995
[22]
논문
The Egyptian Empire in Palestine: A Reassessment
1981
[23]
논문
Nubia in the New Kingdom: the Egyptians at Kurgus.
2017
[24]
서적
1894
[25]
서적
1906
[26]
서적
1906
[27]
서적
1906
[28]
서적
1988
[29]
서적
2003
[30]
서적
1964
[31]
서적
Hatchepsut: The Female Pharaoh
Penguin Books
1996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Tyldesley
[37]
서적
Tyldesley
[38]
웹사이트
Dragging a Statue of Thutmose I
https://www.metmuseu[...]
2021-11-16
[39]
서적
History Of Egypt, Chaldaea, Syria, Babylonia, and Assyria, Volume 4 (of 12)
https://www.gutenber[...]
Project Gutenberg Ebook
2005-12-16
[40]
서적
Smith
2000
[41]
논문
The identification of the Eighteenth Dynasty royal mummies; a biological perspective
1991-09
[42]
간행물
Maternal and Paternal Lineages in King Tutankhamun's Family Guardian of Ancient Egypt: Studies in Honor of Zahi Hawass. Volume I, pp.497–518
https://bia.unibz.it[...]
2020
[43]
뉴스
Mummy awakens new era in Egypt
https://www.chicagot[...]
2007-07-14
[44]
논문
Identifications of ancient Egyptian royal mummies from the 18th Dynasty reconsidered
2016-01-25
[45]
뉴스
22 Ancient Pharaohs Have Been Carried Across Cairo in an Epic 'Golden Parade'
https://www.sciencea[...]
2021-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