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우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우벤은 야곱의 아들이자,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 중 하나이다. 르우벤이라는 이름은 히브리어로 "그가 나의 불행을 보셨다"는 뜻과 "그가 나를 사랑할 것이다"라는 두 가지 어원으로 해석된다. 성경에서 르우벤은 아버지 야곱의 첩 빌하와 관계를 맺어 장자권을 잃고, 요셉을 죽이려는 형제들을 말리는 역할을 했다. 르우벤의 무덤은 이슬람교 전승에 따라 나비 루빈 마을에 있었다고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6세기 출생 - 투트모세 1세
투트모세 1세는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로, 아멘호테프 1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라 누비아와 시리아로의 군사 원정으로 이집트의 영향력을 확장하고 카르나크 신전 등 대규모 건축 사업을 통해 이집트의 번영을 이끌었으며, 왕들의 계곡에 묻힌 최초의 파라오로 여겨진다. - 기원전 16세기 출생 - 하트셉수트
하트셉수트는 고대 이집트 제18왕조의 여왕이자 파라오로서, 섭정에서 스스로 파라오가 되어 이집트를 통치하며 무역로 재건, 푼트 원정, 건축물 건설 등 이집트의 번영을 이끌었고, 사후 업적 말소에도 불구하고 현대에 재평가받는 강력한 여성 통치자이다. - 르우벤 지파 - 아비람
- 르우벤 지파 - 헤스본
헤스본은 요르단에 위치한 유적지로, 성경에 기록된 아모리인 왕 시혼의 수도였으며, 이스라엘 민족에게 할당된 후 모압과 암몬의 지배를 거쳐 로마와 비잔틴 시대에 번성하여 중요한 도시로 성장했고, 현재는 고고학 발굴이 진행 중이다. - 성경의 인물 - 바르나바
바르나바는 '위로의 아들'이라는 뜻을 가진 별칭으로,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초기 기독교의 중요 인물이며 바울의 사도적 성장에 기여한 키프로스 출신의 레위인이다. - 성경의 인물 - 구속주
구속주는 구약과 신약성경에서 구원을 가져다주는 존재를 의미하며, 기독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지칭하는 중요한 칭호로, 헬라어 "소테르"는 '구원자'를 의미하며 기독교에서는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에게만 적용되는 칭호로 여겨진다.
르우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르우벤 |
![]() | |
원어 이름 | רְאוּבֵן |
원어 이름 (언어) | 히브리어 |
출생 | 기원전 1569년 (기슬레브월 15일, 창조력 2192년 또는 2193년) |
출생 장소 | 밧단아람 |
사망 | 기원전 1445년 또는 기원전 1444년 (창조력 2317년 또는 2318년, 125세) |
안장 장소 | 르우벤의 무덤, 이스라엘 |
아버지 | 야곱 |
어머니 | 레아 |
배우자 | 엘리아람 |
자녀 | 하녹 발루 헤스론 가르미 |
친척 | 시므온 (동생) 레위 (동생) 유다 (동생) 단 (이복동생) 납달리 (이복동생) 가드 (이복동생) 아셀 (이복동생) 이싸갈 (동생) 스불론 (동생) 디나 (누이) 요셉 (이복동생) 베냐민 (이복동생) 라헬 (고모/계모) |
2. 어원
창세기에는 르우벤이라는 이름의 어원에 대해 두 가지 설명이 전해진다. 하나는 야훼가 야곱에게 덜 사랑받는 레아의 불행을 보았다는 것으로, רָאָה בְּעָנְיִי|그가 나의 불행을 보셨다he에서 유래했음을 암시한다. 다른 하나는 르우벤이 태어나면 야곱이 레아를 사랑하게 될 것이라는 희망을 담아 "그가 나를 사랑할 것이다"라는 의미를 가진다는 것이다.
고전 랍비 문헌에서는 "보라, 아들이여!"라는 의미로 해석하기도 한다. 일부 학자들은 마지막 자음이 원래 고대 히브리 문자의 'n'과 유사한 'l'이었을 수 있다고 보며, 요세푸스는 그 이름을 '르우벨'로 표기했다. 따라서 르우벤의 이름은 "늑대"를 의미하는 아랍어 용어와 같은 어원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7]
2. 1. 레아의 슬픔
레아는 야곱에게 사랑받지 못하는 자신의 슬픔을 하나님이 보셨다는 의미로, "내 슬픔을 보셨다"는 뜻의 라베오니(''raa beonyi'')에서 르우벤의 이름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15][16] 이는 남편에게 더 사랑받는 라헬에 대한 레아의 질투와 슬픔을 보여주는 대목이다.2. 2. 야곱의 사랑에 대한 기대
창세기에는 르우벤이라는 이름에 대한 두 가지 어원이 전해진다. 첫째는 레아가 야곱이 자신보다 라헬을 더 사랑하는 것에 대한 슬픔을 하나님이 알아주었다는 창세기 29장 32절의 내용에서 기인한 것으로, "내 슬픔을 보셨다"는 뜻의 라베오니(''raa beonyi'')에서 왔다는 가설이다. 둘째는 야곱이 자신을 사랑해주리라는 기대에서 기인한 것으로, "나를 사랑하리라"는 뜻의 이하바니(''yeehabani'')에서 왔다는 것이다.[15][16] 이는 레아가 아들을 통해 남편의 사랑을 얻고자 했던 소망을 나타낸다.2. 3. 랍비 문학의 해석
고전 랍비 문학에서는 르우벤의 이름이 "보라, 아들이다"는 의미의 "라아벤('ra'a ben')"에서 기인했다고 설명한다.[15][16] 레아는 이 용어를 통해 르우벤과 그의 삼촌인 에서 사이를 암묵적으로 구분하려 했다고도 전해진다.[13][6]2. 4. 철자 변화 가능성
일부 학자들은 요세푸스의 기록을 인용하며 마지막 자음인 'n'이 원래 히브리어 'l'이었는데 철자의 유사성 때문에 'n'으로 와전되었을 가능성을 지적하며, 르우벤의 이름이 "늑대"를 의미하는 "라아빌('Ra'abil')"에서 왔을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17]3. 성경에서
르우벤은 야곱과 레아 사이에서 태어난 첫째 아들이다. 성경에서 르우벤은 아버지 야곱의 첩 빌하와 간통한 사건으로 인해 장자권을 잃는 인물로 묘사된다.
이복 동생 요셉이 자신의 꿈에 대해 이야기했을 때, 형제들이 요셉을 죽이려 하자 르우벤은 그들을 설득하여 그 생각을 접도록 했다. 그러나 형제들은 르우벤이 없는 사이에 요셉을 이쉬마엘 사람에게 팔아 버렸다. 르우벤은 그 일로 매우 슬퍼했다.
아버지 야곱이 베냐민을 이집트로 보내는 것을 거부했을 때, 르우벤은 자신의 두 아들을 담보로 야곱에게 맡기기도 했다.
이슬람교 전승에는 르우벤의 무덤이 나비 루빈 마을이 있던 곳의 사원에 있다고 전한다. 이 사원은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전에 순례자들의 순례 루트에 있었다.[23]
3. 1. 빌하와의 간통 사건
창세기에 따르면 르우벤은 아버지 야곱의 첩인 빌하와 동침했다.[18] 이 사건은 야곱이 임종 시 자식들을 축복할 때 언급되며, 이로 인해 르우벤은 장자권을 잃는다.[19] 역대기 상 5:1에서도 르우벤이 이 사건으로 장자권을 잃었음을 명시한다. 이후 장자권은 요셉에게 주어졌다.[20]일부 문헌에서는 르우벤이 실제로 빌하와 동침하지 않았다고 전한다. 야곱이 레아보다 빌하를 더 아끼는 것에 분노하여 빌하를 해쳤다는 것이다. 이 문헌에 따르면, 야곱이 가장 사랑하는 아내 라헬이 죽은 후 빌하에게 정실 자리를 주려 하자, 르우벤이 빌하의 침상을 치워버렸다고 한다. 그러나 르우벤은 즉시 자신의 행동을 뉘우치고 고기와 포도주를 멀리하며 참회했다. 이러한 이유로 호세아가 르우벤의 후손 중에서 나왔고, 유대 종말론에서 르우벤 지파가 특별한 보상을 받을 것이라는 유대교 기록이 있다.[15]
3. 2. 장자권 상실과 그 의미
창세기에 따르면 르우벤은 아버지 야곱의 첩인 빌하와 간통한 사건으로 인해 장자권을 잃게 된다.[18] 야곱은 임종 전에 자식들을 축복할 때 이 사건을 언급하며 르우벤의 장자권을 회수한다.[19] 야곱은 르우벤에게 "네가 아버지의 침상에 올라 내 침상을 더럽혔으니, 네가 더 이상 뛰어나지 못할 것이다" (창세기 49:4)라고 말하며, 그의 행동을 "끓는 물"과 같다고 비유한다. 이는 르우벤의 불안정하고 충동적인 성격을 지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역대기 상 5:1에서도 이와 같은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이후 장자권은 요셉에게 주어지며,[20] 랍비 문헌에서는 장자의 권한 중 다른 지파 통치권은 유다에게, 제사권은 레위에게 이양되었다고 해석한다.
일부 문헌에서는 르우벤이 실제로 빌하와 간통한 것이 아니라, 야곱이 레아보다 빌하를 아끼는 것에 분노하여 빌하를 해쳤다고 전한다. 이 문헌에 따르면, 야곱이 가장 사랑하는 부인인 라헬의 죽음 이후 정실 자리를 빌하에게 넘겨주려고 하자, 분노한 르우벤이 빌하의 침상을 치워버렸다는 것이다. 그러나 르우벤은 자신의 행동을 즉시 뉘우치며 고기와 포도주를 멀리하며 참회했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호세아가 그의 후손 중에서 나왔고, 말세에도 르우벤 지파는 특별한 보상을 받을 것이라는 유대교 기록이 있다.[15]
3. 3. 요셉을 보호하려 한 노력
요셉을 해치려는 음모가 있었지만, 르우벤은 다른 형제들을 설득하여 요셉을 죽이지 않도록 했다.[8] 르우벤은 요셉을 구덩이에 던져 넣은 후 몰래 구출하려 했으나, 형제들이 먼저 요셉을 미디안 사람들에게 팔아버렸다. 르우벤은 나중에 형제들이 이집트에서 겪는 어려움이 이 음모에 대한 하나님의 처벌이라고 결론짓는다.[9] 창세기 42장 22절에서 르우벤은 요셉을 구하려 했던 자신의 노력을 다시 언급하며, 형제들이 요셉에게 저지른 잘못에 대해 슬퍼한다. 고전 랍비 문학에서 르우벤은 (장자였기 때문에) 형제들에 대한 책임감을 느꼈고, 요셉이 형제들에게 이스마엘 사람들에게 팔린 후[10] 또는 요셉이 미디안 사람들에게 발견되어 잡혀간 것을 알고 분노했다고 묘사된다.[12] 랍비 자료에서는 르우벤의 이름을 딴 르우벤 지파의 영토에 최초의 도피성이 위치했는데, 그 이유는 그들의 조상이 형제들의 폭도로부터 요셉을 구하려 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13]4. 르우벤에 대한 다양한 해석
현재까지 르우벤에 대한 별도의 해석은 알려진 바가 없다.
5. 가족
창세기 46장 9절에 의하면, 르우벤은 하녹, 발루, 헤스론, 가르미의 네 아들을 두었다.[1] -- 야곱과 레아 사이에서 태어난 첫째 아들이다.
이복 동생 요셉이 자신의 꿈에 대해 이야기했을 때, 형제들이 요셉을 죽이려 하자 르우벤은 설득하여 그 생각을 접도록 했다. 그러나 형제들은 르우벤이 없는 사이에 요셉을 이쉬마엘 사람에게 팔아 버렸다. 르우벤은 그 일로 매우 슬퍼했다.
아버지 야곱이 베냐민을 이집트로 보내는 것을 거부했을 때, 르우벤은 자신의 네 자녀 중 두 명을 담보로 야곱에게 맡겼다.
그러나 야곱의 첩 빌하와 간통한 사실이 발각되었다. 아버지 야곱의 유언에 따르면, 르우벤은 장자였지만, 그의 방탕함 때문에 장자의 권리를 잃을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요셉이 장자의 권리를 갖게 되었다 (창세기 35:22, 49:3).
5. 1. 보한의 돌
여호수아기 15장 6절에서는 르우벤의 아들 보한이 세운 바위가 유다 지파와의 경계를 이룬다고 기록한다.6. 가계도
레아 |
---|
르우벤 |
7. 이슬람교 전승과 르우벤의 무덤
이슬람교 전승에 따르면 르우벤의 무덤은 나비 루빈 마을이 있던 곳의 사원에 있다고 전해진다.[23] 이 사원은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전에 순례자들의 순례 루트에 있었다.[14]
7. 1. 나비 루빈과 순례
이슬람교 전승에 따르면 르우벤의 무덤은 나비 루빈 마을이 있던 곳의 사원에 있다고 전해진다. 이 사원은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전에 순례자들의 순례 루트에 있었다.[23] 1948년 이스라엘 독립 선언 이전에는 르우벤이 옛 나비 루빈 마을의 신사에 묻혔다는 전통이 있었으며, 그곳은 순례 장소이자 연례 축제가 열리는 곳이었다.[14]

오늘날 버려진 르우벤의 무덤과 인접한 모스크의 유적은 현재 팔마힘 해변, 즉 이스라엘 국립 공원의 일부이다.
참조
[1]
성경
Genesis
[2]
서적
Sacred Landscape: The Buried History of the Holy Land since 194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
[3]
성경
Genesis
[4]
서적
The Tiberian Pronunciation Tradition of Biblical Hebrew, Volume 1.
Open Book Publishers
[5]
성경
New American Bible
[6]
Talmud
Berakhot
[7]
백과사전
Encyclopedia Biblica
[8]
성경
Genesis
[9]
성경
Genesis
[10]
성경
Genesis
[11]
웹사이트
Joseph
http://www.jewishenc[...]
2018-10-19
[12]
성경
Genesis
[13]
웹사이트
Reuben
http://www.jewishenc[...]
2018-10-19
[14]
웹사이트
TOMBS OF THE SONS OF JACOB
https://thecompletep[...]
2014-08-08
[15]
웹사이트
Reuben
http://www.jewishenc[...]
2018-10-19
[16]
Talmud
Berakhot
[17]
백과사전
Encyclopedia Biblica
[18]
성경
창세기 35장 22절
[19]
성경
창세기 49장 4절
[20]
성경
역대기상 5장 1절
[21]
성경
창세기 37장 18~22절
[22]
성경
창세기 42장 22절
[23]
웹인용
TOMBS OF THE SONS OF JACOB
https://thecompletep[...]
2019-07-06
[24]
성경
창세기 20장 12절
[25]
성경
창세기 22장 21~22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