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튜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튜다는 1세기 유대 지역에서 발생한 반란과 관련된 인물이다. 요세푸스의 기록에 따르면, 튜다는 자신이 예언자라고 주장하며 요르단강을 건너게 할 수 있다고 말하며 추종자들을 모았으나, 로마 총독에 의해 진압되어 참수되었다. 사도행전에는 튜다가 언급되지만, 요세푸스의 기록과 연대기적으로 일치하지 않아 논란이 있다. 이에 대한 해석으로 사도행전 저자의 오류, 다른 튜다의 존재 가능성, 요세푸스의 기록 오류 등이 제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년 미상 - 손니 알리
    손니 알리는 송가이 제국의 군주로서 니제르 강 유역을 장악한 후 팀북투와 젠네를 정복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제국을 확장했으며, 전통 신앙과 이슬람교 조화, 법에 의한 국가 통제, 무역 확립 등 내치에도 힘썼다.
  • 생년 미상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튜다
기본 정보
이름튜다
원어 이름Θεουδᾶς
로마자 표기Theudas
출생 시기기원전 1세기
사망 시기기원후 46년경
활동
직업유대 반란 지도자
상세 정보
관련 인물요세푸스
언급사도행전 5장 36절

2. 반란

요세푸스의 기록에 따르면, 튜다는 쿠스피우스 파두스가 유대의 총독으로 재임하던 시기에 활동했다. 그는 스스로를 예언자라고 칭하며, 자신이 명령하면 요단강이 갈라져 사람들이 쉽게 건널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많은 사람들을 선동했다.[16][3] (유대 고대사 20.97-98)

그러나 로마 총독 파두스는 이를 반란 시도로 간주하고 기병대를 파견하여 진압했다. 로마군은 튜다의 추종자들을 급습하여 많은 사람을 살해하고 생포했으며, 튜다 자신도 사로잡아 참수하고 그의 머리를 예루살렘으로 보냈다.[16][3] 이 사건으로 튜다가 이끌던 운동은 해산되었고, 이후 역사 기록에서 사라졌다.

2. 1. 요세푸스의 기록

요세푸스는 그의 저서 유대 고대사에서 튜다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요세푸스는 쿠스피우스 파두스가 유대의 총독으로 재임하던 시기에 튜다(Theudas, 요세푸스는 '드다'[16] 또는 '테우다스'[3]라는 이름으로도 표기)라는 인물이 나타났다고 전한다. 요세푸스는 그를 "사기꾼"[16] 또는 "돌팔이"[3]로 묘사하며, 튜다가 많은 사람들을 설득하여 자신의 재산을 가지고 요르단강으로 따라오도록 했다고 기록했다.[3][16] 튜다는 자신이 예언자이며, 자신의 명령으로 강을 갈라 쉽게 건너게 해주겠다고 주장하며 많은 이들을 현혹했다.[3][16] (''유대 고대사'' 20.97-98)

그러나 총독 파두스는 이러한 움직임을 용납하지 않고 기병대를 파견하여 진압했다. 기병대는 예상치 못한 공격으로 튜다의 추종자들을 급습하여 많은 사람을 살해하고 다수를 생포했다. 튜다 역시 사로잡혀 참수되었고, 그의 머리는 예루살렘으로 보내졌다.[3][16] 이 사건 이후 튜다의 추종자들은 흩어졌으며, 그의 활동에 대한 기록은 더 이상 찾아볼 수 없다.

요세푸스는 튜다를 따랐던 사람들의 정확한 숫자를 명시하지 않았다. 다만, 사도행전 5장 36절에 언급된 튜다가 요세푸스가 기록한 인물과 동일하다면, 그 추종자는 약 400명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 종교 학자들은 사도행전 5:36–37의 기록과 요세푸스의 기록 사이에 나타나는 명백한 역사적 불일치를 설명하기 위해, 랍비 가말리엘이 언급한 튜다는 요세푸스가 기록한 인물보다 약 40년 전에 활동했던 다른 인물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이 가설은 사도행전에서 튜다의 반란이 갈릴리의 유다의 반란보다 먼저 언급된 이유를 설명할 수 있지만, 명확히 입증된 바는 없다.[4]

2. 2. 반란의 진압

요세푸스의 기록에 따르면, 쿠스피우스 파두스가 유대의 총독으로 있을 당시 튜다의 활동이 시작되었다. 튜다는 자신이 예언자이며 자신의 명령으로 요단강을 갈라 추종자들이 쉽게 건너게 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많은 사람들을 선동했다.[3]

그러나 로마 총독 파두스는 튜다의 이러한 시도를 용납하지 않았다. 그는 기병대를 파견하여 튜다와 그의 추종자들을 공격하게 했다. 로마 기병대는 예상치 못한 공격을 감행하여 많은 추종자들을 살해하고 나머지는 생포했다. 이 과정에서 튜다 역시 생포되었고, 그의 머리는 베어져 예루살렘으로 보내졌다.[3]

이 진압 작전으로 튜다의 운동은 빠르게 해산되었으며, 이후 역사 기록에서 더 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요세푸스는 튜다의 추종자 수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으나, 만약 사도행전 5장 36절에 언급된 인물과 동일하다면 그 수는 약 400명 정도로 추정된다.[3] 일부 종교 학자들은 사도행전 5:36–37에서 랍비 가말리엘이 언급한 튜다가 요세푸스가 기록한 인물보다 약 40년 전에 활동했던 다른 인물일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이는 사도행전에서 튜다의 반란이 갈릴리의 유다의 반란보다 먼저 일어난 것으로 기록된 이유를 설명하려는 시도이다.[4]

3. 튜다와 관련된 논란

성서학에서는 사도행전에 언급된 튜다와 역사가 요세푸스가 기록한 튜다가 동일 인물일 경우, 두 기록 간의 연대기가 맞지 않는 문제가 제기된다.[5] 사도행전에서는 산헤드린 공의회의 일원인 가말리엘이 갈릴래아의 유다가 퀴리니우스의 인구 조사(서기 6년경) 때 일으킨 반란보다 이전에 튜다의 봉기가 있었다고 언급하는 반면(사도행전 5:36-37), 요세푸스는 튜다의 반란을 서기 45년경의 일로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17][18][6][7][8] 이 연대기적 불일치는 튜다와 관련된 주요 논란거리로, 이에 대한 자세한 기록과 해석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3. 1. 사도행전의 기록

사도행전에서는 산헤드린 공의회의 일원인 가말리엘이 튜다(혹은 데오다[5])를 언급하며 사도들을 변호하는 장면이 나온다. 가말리엘은 연설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말하되 이스라엘 사람들아 너희가 이 사람들에게 대하여 어떻게 하려는지 조심하라. 이 전에 드다가 일어나 스스로 선전하매 사람이 약 사백 명이나 따르더니 그가 죽임을 당하매 따르던 모든 사람들이 흩어져 없어졌고 그 후 호적할 때에 갈릴리의 유다가 일어나 백성을 꾀어 따르게 하다가 그도 망한즉 따르던 모든 사람들이 흩어졌느니라" (사도행전 5:35-37)


가말리엘은 튜다의 사건을 갈릴리 유다가 퀴리니우스의 인구 조사(서기 6년경) 때 일으킨 반란보다 앞선 일로 제시한다.[17][18]

가말리엘의 이 발언은 서기 37년 이전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역사가 요세푸스가 기록한 튜다의 반란 시기(서기 45년경)와 명백히 충돌하는 지점이다.[6][7][8] 요세푸스의 기록에 따르면 튜다의 반란은 가말리엘의 연설 시점보다 나중이며, 갈릴리 유다의 반란보다는 훨씬 뒤의 일이다.[17][18]

이러한 연대기적 불일치를 설명하기 위해 몇 가지 가설이 제시되었다.

1. 사도행전의 저자인 누가가 요세푸스의 기록을 참고하면서, 튜다의 반란 이후 '갈릴리 유다의 자손들'이 처형되었다는 후대의 언급을 보고 유다의 반란이 더 늦게 일어난 것으로 착각했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누가가 요세푸스를 자료로 사용했다는 것은 소수 학자의 견해이다.[9][10]

2. 사도행전에 언급된 튜다는 요세푸스가 기록한 인물과는 다른, 동명이인의 또 다른 인물일 가능성이다.[11][12] 요세푸스 자신도 당시 유대에 "만 건의 혼란"이 있었다고 기록했지만 그중 네 건의 봉기만 상세히 다루었고, '튜다'는 당시 흔한 이름이었기 때문이다.[13] 고대사 및 신약성서 학자인 폴 바넷은 누가가 당시 잘 알려진 인물에 대해 오류를 범했을 가능성은 낮다고 보았다.[14][19]

3. 요세푸스 자신이 기록 과정에서 연대를 혼동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설교집 해설 등에서는 당시 수많은 반란이 있었음을 고려할 때 요세푸스가 튜다 사건의 시기를 잘못 기록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15]

3. 2. 연대기적 문제와 해석

성서학에서는 튜다가 한 번만 언급되기 때문에,[5] 만약 사도행전과 요세푸스가 동일 인물에 대해 언급하고 있고 요세푸스의 기록이 정확하다고 가정한다면 연대기적 문제가 발생한다. 사도행전에서는 산헤드린의 구성원인 가말리엘이 사도들을 변호하며 튜다를 언급한다. 서기 37년 이전에 연설한 것으로 보이는 가말리엘은 튜다의 반란을 먼저 언급하고, 그 후에 서기 6년 퀴리니우스의 인구 조사 시기에 일어난 갈릴래아의 유다의 반란을 언급하는 순서로 말한다. (사도행전 5:36-37)[17][18][6][7][8]

그러나 요세푸스는 튜다의 반란이 가말리엘의 연설 이후이자 갈릴래아 유다의 활동 시기보다 훨씬 뒤인 서기 45년경에 일어났다고 명확히 기록하고 있다.[17][18][6][7][8]

이러한 연대기적 불일치에 대해 여러 해석이 제시되었다.

  • 사도행전의 저자가 요세푸스를 자료로 사용하다가, 본문에 튜다의 반란 이후 '갈릴래아 유다의 아들들'이 처형되었다는 후대의 언급을 보고 유다의 반란이 더 늦게 일어난 것으로 착각했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누가(사도행전의 저자)가 요세푸스를 사용했다는 것은 소수 견해이다.[9][10]
  • 사도행전의 언급은 알려지지 않은 다른 튜다의 다른 반란을 가리킨다는 주장도 있다.[11][12] 요세푸스 자신이 "만 건의 소동"이 있었다고 언급했듯이 수많은 봉기가 있었고, 그중 네 건만 상세히 기록했으며, 튜다는 흔한 이름이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13]
  • 요세푸스 자신이 실수를 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설교집 해설은 헤롯 대왕의 죽음부터 예루살렘 멸망까지 유대에서 수많은 반란이 일어났음을 고려할 때, 요세푸스가 실수로 튜다 사건의 시기를 잘못 배치했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지적한다.[15]


고대 역사 학자이자 신약학 학자인 폴 바넷(Paul Barnett)은 "누가가 악명 높은 동시대 인물에 대해 실수를 저질렀을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평가한다.[19][14]

참조

[1] 서적 The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in the Age of Jesus Christ, Volume I T&T Clark
[2] 웹사이트 Hitchcock's Bible Names Dictionary http://www.ccel.org/[...] A.J. Johnson 2007-04-16
[3] 서적 The Genuine Works of Flavius Josephus: Containing four books of the Antiquities of the Jews. With the life of Josephus https://archive.org/[...] W. Borradaile
[4] 간행물 Revolutionary Movements, 3.1.2: Theudas InterVarsity Press
[5] 서적 Reading Lucke-Acts in Its Mediterranean Milieu https://books.google[...] BRILL 2003-01-01
[6] 문서 Jewish Life and Thought among Greeks and Romans: Primary Readings A&C Black
[7] 문서 Reading Luke-Acts in Its Mediterranean Milieu Brill
[8] 웹사이트 Gamaliel And The Revolt Of Theudas https://bismikaallah[...] 2005-10-15
[9] 서적 New Light on Luke: Its Purpose, Sources and Literary Contex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4-07-09
[10] 서적 The Acts of the Apostles: The Greek Text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1990-12-01
[11] 문서 The book of Acts in the setting of Hellenistic history Mohr Siebeck
[12] 문서 Nelson's Illustrated Bible Dictionary Thomas F. Nelson
[13] 서적 Acts (Understanding the Bible Commentary Series) https://books.google[...] Baker Books 2011-08-01
[14] 서적 The Birth of Christianity: The First Twenty Years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05-03-29
[15] 문서 On "Acts 5" http://biblehub.com/[...] The [[Pulpit Commentary]]
[16] 서적 https://books.google[...]
[17] 문서 Jewish Life and Thought among Greeks and Romans: Primary Readings A&C Black
[18] 문서 Reading Luke-Acts in Its Mediterranean Milieu Brill
[19] 서적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