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 고대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대 고대사』는 요세푸스가 저술한 유대교와 유대인의 역사를 다룬 20권으로 구성된 책이다. 이 책은 천지창조부터 유대 전쟁까지의 역사를 다루며, 성경 내용을 헬레니즘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윤색하여 헬레니즘 세계에 유대 문화를 소개하고 유대인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유대 고대사》는 예수와 야고보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료적 가치와 한계를 지닌다. 11세기의 그리스어 필사본을 비롯하여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윌리엄 휘스턴의 영어 번역본이 널리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세기 역사책 - 게르만족의 기원과 현황
게르만족의 기원과 현황은 타키투스의 《게르마니아》를 통해 알려져 있으며, 이 기록은 르네상스 시대 재발견 이후 독일 민족주의에 영향을 미쳤지만, 기록의 정확성과 민족주의적 이용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고대사 -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부터 로마에 의한 합병까지의 시기로, 그리스인들의 시야 확장과 새로운 헬레니즘 도시로의 이주, 도시 국가들의 연합 노력, 마케도니아와 후계 왕국들의 패권 다툼, 그리고 로마의 개입과 지배로 특징지어진다. - 고대사 - 전방후원분
전방후원분은 일본에서 야요이 시대 분구묘에서 발전한 고분으로, 전방부와 후원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반도 남부에서도 유사한 형태가 발견되어 고대사 연구에 활용된다. - 이스라엘 - 이스라엘 방위군
이스라엘 방위군은 1948년 창설되어 유대인 준군사 조직을 통합, 이스라엘의 안보와 국토를 수호하며 중동 전쟁과 분쟁에 참여해 온 육군, 공군, 해군으로 구성된 국군으로, 높은 전투력을 유지하나 전쟁범죄 논란과 인권 침해 비판도 존재한다. - 이스라엘 - 하이파
하이파는 이스라엘 북부 지중해 연안의 항구 도시로, 오랜 역사를 거쳐 18세기 이후 성장하여 시오니즘 운동과 이스라엘 건국 후 유대인 이민으로 크게 발전, 현재는 이스라엘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자 산업 및 문화 중심지이며, 바하이교의 세계 중심지로서 다문화 도시의 특징을 갖는다.
유대 고대사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로마자 표기 | Ioudaikē archaiologia |
라틴어 | Antiquitates Iudaicae |
저자 | 플라비우스 요세푸스 |
언어 | 코이네 그리스어 |
장르 | 역사 |
출판년도 | 93/94년 AD |
한국어 번역 | |
번역가 | 토마스 로지 윌리엄 휘스턴 헨리 세인트 존 새커리 랄프 마커스 |
영어 출판일 | 1602년 |
주제 | |
주제 | 유대인 역사 |
2. 구성
『유대 고대사』는 총 2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권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권 | 시작 | 종료 | 기간 |
---|---|---|---|
제1권 | 성경적 창조 | 아브라함의 아들 이삭의 죽음 | 3,833년 |
제2권 | 이삭의 아들들의 역사 | 유대인의 성경적 이집트 탈출 | 250년 |
제3권 | 이집트 탈출 | 광야에서의 40년 중 처음 2년 | 2년 |
제4권 | 광야에서의 나머지 38년 | 모세가 가나안에 도달하여 죽음 | 38년 |
제5권 | 여호수아가 지도자로서 모세의 교체 | 제사장 엘리의 죽음 | 476년 |
제6권 | 언약궤가 블레셋에게 점령됨 | 사울 왕의 죽음 | 32년 |
제7권 | 다윗이 이스라엘 왕국의 왕위에 오름 | 다윗 왕의 죽음 | 40년 |
제8권 | 솔로몬이 이스라엘 왕으로 즉위 | 아합 왕이 시리아 군대와의 전투에서 죽고, 여호사밧이 군대를 구원함 | 163년 |
제9권 | תקופת יהושפט|여호사밧 왕he의 통치 | 사마리아의 몰락 | 157년 |
제10권 | 유대인의 바빌론 유수 | 다니엘과 신아시리아 제국의 멸망 | 182년 |
제11권 | 키루스 대왕의 페르시아 제국 시작 |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죽음 | 253년 |
제12권 |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죽음 | 마카베오 반란과 유다 마카베오의 죽음 | 170년 |
제13권 | 하스몬 왕조의 기원 | 알렉산드라 여왕의 죽음 | 82년 |
제14권 | 알렉산드라 여왕의 죽음 | 안티고누스의 죽음 | 32년 |
제15권 | 헤롯 대왕의 예루살렘 점령 | 헤롯 왕의 헤로데 성전 완성 | 18년 |
제16권 | 헤롯 왕의 성전 완성 | 헤롯의 아들들의 죽음 | 12년 |
제17권 | 헤롯의 아들들의 죽음 | 아르켈라오스 왕의 추방 | 14년 |
제18권 | 헤롯 아르켈라오스 왕의 추방 | 바빌론에 거주하는 유대인의 추방 | 32년 |
제19권 | 바빌론에 거주하는 유대인의 추방 | 유대 속주 총독 쿠스피우스 파두스 | 3년 |
제20권 |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대 | 유대 속주 총독 게시우스 플로루스. 그의 유대인에 대한 적대감은 유대 전쟁으로 이어짐 | 22년 |
2. 1. 제1권
성경적 창조부터 아브라함의 아들 이삭의 죽음까지 3,833년 간의 역사를 다루고 있으며, 전체 2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3] 요세푸스는 유대 역사를 헬레니즘화하여 그리스-로마 독자들에게 더 쉽게 다가가고자 했다. 예를 들어, 모세가 홍해에서 구원받은 후 부른 "바다의 노래"를 생략하고, 모세가 육보격으로 노래를 지었다고 언급했다.[6][7] 또한 아브라함이 과학을 이집트인에게 가르쳤고, 이집트인들이 다시 그리스인에게 가르쳤다고 기록했다.[8]2. 2. 제2권
이삭의 아들들의 역사부터 유대인의 성경적 이집트 탈출까지 250년간의 역사를 다룬다.[3]요세푸스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유대인 노예들에게 피라미드를 짓도록 강요했다고 언급하며, "그들 [이집트 감독관]은 그들로 하여금 피라미드도 짓도록 했다"고 썼다.[9]
또한, 요세푸스는 시나이 산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금송아지를 만든 사건을 의도적으로 생략했다. 이는 알렉산드리아의 반유대주의자들이 유대인이 성전에서 당나귀 머리를 숭배했다는 주장에 신빙성을 부여할 것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8]
2. 3. 제3권
유대인의 성경적 이집트 탈출 이후부터 광야에서의 40년 중 처음 2년 동안 있었던 일을 다룬다.[3]권 | 시작 | 종료 | 연도 |
---|---|---|---|
III | 이집트 탈출 | 광야에서의 40년 중 처음 2년 | 2 |
요세푸스는 유대 서사에서 특정 내용을 생략하기도 했는데, 예를 들어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에서 구원받은 후 부른 "바다의 노래"는 완전히 생략되었다.[6] 그러나 모세가 육보격—고대 히브리어로는 다소 특이한 (그리고 그리스어) 운율—으로 하나님께 노래를 지었다고 언급한다.[7]
또한, 이교도의 반유대주의에 대한 우려 때문에 요세푸스는 시나이 산에 있는 이스라엘인에 대한 기록에서 금송아지 사건 전체를 생략했다. 그는 성경적 기록이 알렉산드리아 반유대주의자들이 유대인이 성전에서 당나귀 머리를 숭배했다는 주장에 신빙성을 부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두려워했을 것이라고 제안되었다.[8]
2. 4. 제4권
요세푸스의 『유대 고대사』 제4권은 광야에서의 나머지 38년과 모세가 가나안에 도달하여 죽음을 맞이하는 과정을 다룬다.[3] 이 기간은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방황한 40년 중 앞선 2년을 제외한 나머지 38년에 해당한다.[3]2. 5. 제5권
여호수아가 모세의 뒤를 이어 지도자가 되었고, 제사장 엘리가 죽기까지 476년 동안의 역사가 기록되어 있다.[3]2. 6. 제6권
중간기 시대와 로마에 대항한 유대 전쟁의 역사에 대한 중요한 자료인[3] 요세푸스의 『유대 고대사』 제6권은 언약궤가 블레셋에게 점령된 사건과 사울 왕의 죽음에 이르는 32년간의 역사를 다룬다.
2. 7. 제7권
다윗은 이스라엘 왕국의 왕위에 올라 40년간 통치한 후 죽음을 맞이하였다.[3]2. 8. 제8권
솔로몬이 이스라엘 왕으로 즉위하여 아합 왕이 시리아 군대와의 전투에서 죽고, 여호사밧이 군대를 구원하기까지 163년간의 역사를 다룬다.[3]2. 9. 제9권
תקופת יהושפט|여호사밧 왕he의 통치와 사마리아의 몰락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다.[3] 제9권은 아합 왕의 죽음부터 바빌론 유수까지 157년간의 역사를 다룬다.[3]제목 | 시작 | 종료 | 기간 |
---|---|---|---|
제9권 | תקופת יהושפט|여호사밧 왕he의 통치 | 사마리아의 몰락 | 157년 |
2. 10. 제10권
제10권은 다니엘דָּנִיֵּאל|다니엘he과 신아시리아 제국의 멸망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3] 이 시기는 유대인의 바빌론 유수 기간에 해당하며, 총 182년간 지속되었다.[3]2. 11. 제11권
키루스 대왕의 페르시아 제국 시작부터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죽음까지를 다룬다.[3]
2. 12. 제12권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죽음부터 마카베오 반란과 유다 마카베오의 죽음(170년)까지를 다룬다.[3]2. 13. 제13권
하스몬 왕조의 기원에서 알렉산드라 여왕의 죽음까지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총 1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3] 이 시기는 82년간 지속되었다.[3]2. 14. 제14권
알렉산드라 여왕의 죽음부터 안티고누스의 죽음까지 32년간의 역사를 다룬다.[3]2. 15. 제15권
헤롯 대왕이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헤롯 왕이 헤로데 성전을 완성하기까지 18년 동안의 역사를 다룬다.[3]2. 16. 제16권
헤롯 왕이 성전을 완성한 후, 그의 아들들인 알렉산드로스[26]와 아리스토불루스[26]가 죽음을 맞이했다.[26] 이 기간은 12년이었다.[26]2. 17. 제17권
יוסף בן מתתיהו|요세푸스he의 『유대 고대사』 제17권은 헤롯 대왕의 아들들인 알렉산드로스와 아리스토불루스의 죽음부터 시작하여 아르켈라오스의 추방까지의 사건을 다루고 있다.[26] 이 기간은 14년 동안 지속되었다.[3]
2. 18. 제18권
헤롯 아르켈라오스 왕이 추방된 이후부터 파르티아령 바빌로니아에서 유대인들이 수난을 겪기까지 32년간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3]2. 19. 제19권
תקופת בית שני|베트 셰니he 유대인들이 파르티아령 바빌로니아에서 겪었던 수난과 유대 속주의 총독 쿠스피우스 파두스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25]이 시기(기원후 44~46년)는 로마 제국의 직접 통치가 시작되면서 유대 지역에 큰 변화가 있었던 때이다.
2. 20. 제20권
תקופת הבית השני|타쿠파 하바이트 하셰니he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대부터 게시우스 플로루스가 유대 속주 총독으로 재임하던 시기까지를 다룬다. 게시우스 플로루스의 유대인에 대한 적대감은 결국 유대 전쟁으로 이어진다.[3] 이 기간은 22년에 해당한다.[3]3. 내용
요세푸스는 『유대 고대사』를 저술하게 된 동기를 "모든 그리스인들에게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4] 그는 유대 역사와 문화를 헬레니즘 세계에 소개하고, 유대인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고자 했다.
『유대 고대사』는 중간기 시대와 로마에 대항한 유대 전쟁의 역사에 대한 중요한 자료이며,[3] 2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권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권 | 시작 | 종료 | 연도 |
---|---|---|---|
I | 성경적 창조 | 아브라함의 아들 이삭의 죽음 | 3,833 |
II | 이삭의 아들들의 역사 | 유대인의 성경적 이집트 탈출 | 250 |
III | 이집트 탈출 | 광야에서의 40년 중 처음 2년 | 2 |
IV | 광야에서의 나머지 38년 | 모세가 가나안에 도달하여 죽음 | 38 |
V | 여호수아가 지도자로서 모세의 교체 | 제사장 엘리의 죽음 | 476 |
VI | 언약궤가 블레셋에게 점령됨 | 사울 왕의 죽음 | 32 |
VII | 다윗이 이스라엘 왕국의 왕위에 오름 | 다윗 왕의 죽음 | 40 |
VIII | 솔로몬이 이스라엘 왕으로 즉위 | 아합 왕이 시리아 군대와의 전투에서 죽고, 여호사밧이 군대를 구원함 | 163 |
IX | 여호사밧 왕의 통치 | 사마리아의 몰락 | 157 |
X | 유대인의 바빌론 유수 | 다니엘과 신아시리아 제국의 멸망 | 182 |
XI | 키루스 대왕의 페르시아 제국 시작 |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죽음 | 253 |
XII |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죽음 | 마카베오 반란과 유다 마카베오의 죽음 | 170 |
XIII | 하스몬 왕조의 기원 | 알렉산드라 여왕의 죽음 | 82 |
XIV | 알렉산드라 여왕의 죽음 | 안티고누스 2세 마타티아스의 죽음 | 32 |
XV | 헤롯 대왕의 예루살렘 점령 | 헤롯 왕의 예루살렘 성전 완성 | 18 |
XVI | 헤롯 왕의 성전 완성 | 헤롯의 아들들의 죽음 | 12 |
XVII | 헤롯의 아들들의 죽음 | 아르켈라오스 왕의 추방 | 14 |
XVIII | 헤롯 아르켈라오스 왕의 추방 | 바빌론에 거주하는 유대인의 추방 | 32 |
XIX | 바빌론에 거주하는 유대인의 추방 | 쿠스피우스 파두스, 유대 로마 총독 | 3 |
XX |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대 | 게시우스 플로루스, 유대 총독. 그의 유대인에 대한 적대감은 유대 전쟁으로 이어짐 | 22 |
3. 1. 유대인에 대한 오해와 변론
요세푸스 시대에는 유대인에 대한 여러 오해가 널리 퍼져 있었다.[5] 유대인은 훌륭한 역사적 인물이 없고, 역사 기록이 부족하며, 비유대인에게 적대적이고, 충성심, 권위 존경, 자선심이 부족하다는 비난을 받았다.[5] 이러한 비난에 대응하기 위해 요세푸스는 유대 역사를 헬레니즘화된 버전으로 제시하고자 했다.[5] 그는 유대 역사를 긍정적으로 묘사하고, 그리스-로마 독자들에게 친숙한 방식으로 유대 문화를 설명하는 방식으로 유대인에 대한 변론을 시도하였다.예를 들어, 요세푸스는 모세가 육보격(고대 히브리어로는 다소 특이한, 그리고 그리스어 운율)으로 하나님께 노래를 지었다고 언급한다.[7] 또한 아브라함이 과학을 이집트인에게 가르쳤고, 이집트인들이 다시 그리스인에게 가르쳤으며, 모세가 로마처럼 군주제에 저항하는 원로원 제사 귀족을 세웠다고 묘사하였다. 이를 통해 성경 이야기의 위대한 인물들을 그의 그리스-로마 청중에게 유대 역사를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이상적인 철학자-지도자로 제시한다.
이교도의 반유대주의에 대한 우려 때문에 요세푸스는 시나이 산에 있는 이스라엘인에 대한 기록에서 금송아지 사건 전체를 생략했다. 그는 성경적 기록이 알렉산드리아 반유대주의자들이 유대인이 성전에서 당나귀 머리를 숭배했다는 주장에 신빙성을 부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두려워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8]
3. 2. 성경 내용의 재해석과 윤색
요세푸스는 성경 내용을 그대로 따르지 않고 헬레니즘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윤색했다. 예를 들어,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에서 구원받은 후 부른 "바다의 노래"는 완전히 생략했지만,[6] 모세가 육보격(고대 히브리어로는 다소 특이한 그리스어 운율)으로 하나님께 노래를 지었다고 언급한다.[7]또한 아브라함이 과학을 이집트인에게 가르쳤고, 이집트인들이 다시 그리스인에게 가르쳤으며, 모세가 로마처럼 군주제에 저항하는 원로원 제사 귀족을 세웠다고 묘사하여, 성경 이야기의 위대한 인물들을 이상적인 철학자-지도자로 제시해 그리스-로마 청중에게 유대 역사를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했다.
반유대주의에 대한 우려 때문에, 시나이 산에 있는 이스라엘인에 대한 기록에서 금송아지 사건 전체를 생략했는데, 이는 성경 기록이 알렉산드리아 반유대주의자들이 유대인이 성전에서 당나귀 머리를 숭배했다는 주장에 신빙성을 부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요세푸스가 두려워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8]
3. 3. 예수와 초기 기독교에 대한 언급
이 작품의 현존하는 사본에는 예수와 야고보에 대한 두 구절이 포함되어 있다. 긴 구절은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의 증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두 번째 구절의 진정성에 동의하는 반면, 첫 번째 구절은 진정하지만 기독교적 삽입의 대상이 된 것으로 간주한다.[54][55]; 예수 관련
"플라비우스 증언"(Testimonium Flavianum)이라고 불리는, 예수에 관한 8문장으로 구성된 간결하고 칭찬적인 묘사가 제XVIII권 3장 3절(통산 제63-64절)에 수록되어 있다.
이것의 진위 여부에 대해서는 학자마다 진실성을 인정하는 사람부터 부정하는 사람까지 있으며, 진실로 인정하더라도 후대의 기독교인에 의한 가필이 있었을 것이라고 보는 학자도 있다.[56]
일례로 "예수의 이야기는 원래 있었지만 후반부는 가필"이라는 입장을 취하는 에밀 슐러는 『예수 그리스도 시대의 유대 민족사』의 제2기 제17절 보설 II에서 다음과 같이 해설하고 있다. (이 보설 II 자체는 P. 빈터라는 사람이 발표한 것이지만, 슐러 자신이 죽기 조금 전에 이것을 토대로 개정판을 썼다.)
- 현재 "진리(ΤΑΛΗΘΗ)"로 전해지는 단어는 철자가 비슷한 "상식 밖의 일(ΤΑΑΗΘΗ)"의 오기일 가능성이 있다.
- "크리스토스(그리스도)라고 불린 예수"는 동명의 예수들과 구분하기 위해 이 호칭이 가장 이해하기 쉬웠을 뿐, 요세푸스가 예수를 어떻게 생각했는가와는 관계가 없다. 오히려 후세의 기독교인이 쓴 것이라면 그런 애매한 표현은 하지 않았을 것이다.
- 이 문장에서는 "현자(Σοφός ἀνήρ)"라고 예수를 부르고 있는데, 기독교인들은 이 표현을 잘 사용하지 않는다(예수의 유일성 개념과 모순되므로). 따라서 이 부근은 요세푸스가 썼을 가능성이 높다.
- 반대로 후반부의 "이 자가 그리스도였다"는 복음서에서 보이는 묘사로, "그리스도라고 불렸다"는 앞서 언급한 표현과 어조가 다르므로 후대의 기독교인에 의한 가필 의혹이 강하다.
- 또한 "실제로 그를 사람이라고 부르는 것이 ~"의 부근도 예수의 신성을 전제로 하고 있어서 "현자"와 모순되므로 가필 의혹이 강하다. (이 외에도 "그러자 그는 사흘 만에 ~" 등도 가필이 아니냐고 슐러는 주장했다.)
- 이상을 통해 의심스러운 부분을 제외하면 문맥상 부자연스러운 부분이 있으므로 누락되어 가필로 채워진 부분이 있다고 상상할 수 있으며, 세례자 요한의 이야기에서는 그의 활동에서 처형까지의 내용을 쓰고 있으므로 "예수가 한 일("기적"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일)"과 "예수 처형의 흐름"이 있었을 것이며, 또한 플라비우스 증언에 이어진 통산 제65절(제3장 4절)에서 "끔찍한 일(무슨 일인지 쓰여 있지 않다)이 유대인들 사이에 소란을 일으켰다"는 이야기를 하면서, 즉시 로마에서 동시기에 일어난 스캔들로 넘어가므로, 이 부근(통산 62-65장)에 무슨 일이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유대 전쟁으로 이어지는 이야기를 메인으로 정리한) 『유대 전쟁사』에는 예수에 관한 이야기가 전혀 없다(일부 사본이 있지만 후대의 가필로 여겨진다. 후술할 세례자 요한과 야고보의 이야기도 『유대 전쟁사』에는 없다.)는 점, "현자(Σοφός ἀνήρ)"를 요세푸스는 조롱의 의미로는 거의 사용하지 않으므로, "예수가 폭동을 선동했다"는 묘사가 아니라(이런 인물을 요세푸스는 기본적으로 비난한다), 오히려 요한과 야고보의 처형처럼 "예수가 처형되었다는 행위가 (끔찍한 일이라고) 소란이 일어났다"는 것이 아니냐고 슐러는 결론짓고 있다.[57]
; 세례자 요한, 예수의 형제 야고보
위의 묘사 얼마 후에는 세례자 요한과 그리스도라고 불린 예수의 형제 야고보[58] 등의 이야기가 나온다(제XVIII권 5장 2절과 제XX권 9장 1절).
요한 쪽은 헤로데가 그의 아내 파사엘리스의 아버지인 페트라 왕 아레타스와의 전쟁에서 전군이 괴멸되었다는 맥락에서, 그것이 "유대인들 가운데 마음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신의 뜻에 따른 복수극처럼 여겨졌다"는 시작 부분으로, 그 이유로, 요안네스(요한)라는 인망을 모았던 선인이 불온 분자로 여겨져 헤로데에게 처형당한 경위가 기술되어 있다.[59]
야고보 쪽은 유대 총독 페스투스가 급사하고 후임 총독 알비누스가 유대 땅에 오기까지, 취임한 지 얼마 안 된 대제사장 아나노스(동명의 대제사장 2명 중 아들 쪽)가 성급하고 재판에 있어서 냉혹무정했기 때문에 총독 부재의 지금을 절호의 기회로 보고, 야고보를 율법을 어긴 죄로 고소하여 돌로 쳐서 처형했다는 것으로, 훗날 이것을 문제 삼은 공정함과 법률 준수를 중시하는 사람들이 아그리파 2세에게 이것을 밀고하거나, 알렉산드리아에서 오는 도중인 알비누스에게 이것을 연락했으므로, 아나노스는 파면되었다는 결론으로 끝맺고 있다.[60]
4. 사료적 가치와 한계
『유대 고대사』는 중간기 시대와 로마 시대 유대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헬레니즘 국가, 파르티아, 아르메니아, 나바테아 왕국, 로마 제국과의 관계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3] 특히, 헤롯 대왕과 그의 아들에 대한 요세푸스의 기록은 다마스쿠스의 니콜라우스의 저술에 크게 의존한 것으로 보이는데, 니콜라우스는 헤롯의 개인적인 친구였기에 그의 글은 헤롯에게 우호적이었을 가능성이 있다.[10] 요세푸스는 니콜라우스의 저술을 잘 알고 있었지만, 헤롯을 폭군으로 묘사한 자신과 달리 헤롯의 왕위 주장과 자선을 과장한 니콜라우스를 비판하기도 했다.[10]
요세푸스는 유대인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고 유대 역사를 헬레니즘 세계에 알리고자 했다.[4] 그는 유대 역사를 헬레니즘화하여 제시하고, 성경의 내용을 일부 생략하거나 수정하여 그리스-로마 독자들에게 더 쉽게 다가가고자 했다.[5] 예를 들어, 모세가 홍해에서 구원받은 후 부른 "바다의 노래"를 생략하고, 대신 모세가 육보격—고대 히브리어로는 다소 특이한 (그리고 그리스어) 운율—으로 하나님께 노래를 지었다고 기록했다.[6][7] 또한 아브라함이 과학을 이집트인에게 가르쳤고, 이집트인들이 다시 그리스인에게 가르쳤으며, 모세가 로마처럼 군주제에 저항하는 원로원 제사 귀족을 세웠다고 묘사하여 성경 인물들을 이상적인 철학자-지도자로 제시했다. 금송아지 사건과 같은 유대교에 불리한 내용은 의도적으로 생략하여 반유대주의 주장에 이용될 여지를 주지 않으려 했다.[8]
이러한 요세푸스의 친로마적, 헬레니즘적 윤색은 『유대 고대사』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중도진보적 관점에서 볼 때, 『유대 고대사』는 당대 지배층의 시각을 반영하는 자료로, 비판적 독해가 필요하다. 특히 요세푸스의 개인적 배경과 정치적 입장이 그의 역사 서술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5. 필사본 및 번역
《유대 고대사》는 후기 고대 시대에 인기가 많았다. 이후 라틴어 번역본이 등장했는데, 이는 히에로니무스 또는 그의 동시대 인물인 티라니우스 루피누스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중세 유럽에서 "유대 고대사"는 주로 라틴어 번역본으로 널리 유통되었다.[65] 1456년 구텐베르크 성경이 발행된 지 14년 후인 1470년에는 라틴어판 『유대 고대사』가 인쇄 기술로 발간되었고, 그 뒤를 이어 유럽 각지에서 인쇄되면서 널리 보급되었다. 1544년에 처음으로 그리스어판이 인쇄, 발간되자 라틴어판은 차츰 그리스어판으로 대체되었다.[66]
시메온 1세 시대인 10세기 초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고대 불가리아어로 번역되었다. 9~10세기에는 히브리어로 쓰인 이른바 "요시폰"이 이탈리아에서 등장했다. 이 책은 바벨탑 건설 시점부터 서기 70년 로마에 의한 예루살렘 함락까지의 세계 및 유대 역사적 사건들을 서술하고 있다. 본질적으로 이 연대기는 《유대 고대사》와 《유대 전쟁》의 축약 번역본이었지만, 저자는 요셉 벤 고리온으로 표기되었다. 요시폰은 《유대 고대사》만큼 인기를 얻었다. 인쇄술의 등장과 함께, 요세푸스 플라비우스의 저작보다 앞선 1476년에 출판되었다.
가장 유명한 영어 번역은 1737년 윌리엄 위스턴이 번역한 요세푸스 전집이다.[67] 영어권에서는 위스턴 번역본이 널리 알려졌지만, 당시에는 신뢰할 수 있는 그리스어 원본을 구할 수 없었기 때문에 과대평가되었다는 평가도 있다.[68] 보다 최근의 영어 번역으로는 로브 고전총서에 포함된 H. 새커리, 랠프 마커스, 루이스 펠드먼의 번역(새커리 번역: 1-2권, 마커스 번역: 2-7권, 펠드먼 번역: 8-9권) 등이 있다.[69] 1979년부터 1984년에 걸쳐 야마모토 서점에서 하타 고헤이가 번역한 일본어 번역판과, 그 후 간행된 재편판(지쿠마 서방판)이 있다.[70]
5. 1. 필사본
《유대 고대사》 제11권~20권의 가장 오래된 그리스어 필사본은 11세기(Ambrosianus 370 (F 128))에 제작되었으며, 밀라노의 암브로시아나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11] 필사본 전승은 복잡하며 많은 필사본이 불완전하다.[12]히에로니무스 또는 그의 동시대 인물인 티라니우스 루피누스의 작품으로 여겨지는 "유대 고대사"의 라틴어 번역본이 등장했다. 중세 유럽에서 "유대 고대사"는 주로 라틴어 번역본으로 널리 유통되었다 (예: 국립 폴란드 도서관의 1466년판 ''유대 고대사'').[61] 완전한 그리스어 사본으로는 11세기의 것이 있으며, 밀라노의 암브로시아나 도서관에서 Ambrosianus 370 (암브로시우스 사본, F 128)으로 보관되어 있다.[62] 제11권에서 제20권까지의 후반 부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문헌학자들은 다른 사본과의 일치성 등을 근거로 이 암브로시우스 사본을 신뢰할 수 있는 사본으로 간주하고 있다.[61]
5. 2. 번역
1602년 토머스 로지가 《유대 고대사》의 영어 번역본을 출판했다.[13] 가장 잘 알려진 번역본으로는 1737년 윌리엄 휘스턴이 번역한 것이 있으며, 이후로도 계속 인쇄되고 있다.[15] 로브 고전 도서관에서 헨리 세인트 존 새커리와 랠프 마커스가 1926년에 번역한 판을 출판했는데, 학계에서 일반적으로 선호된다.[16][17]한국어 번역본으로는 친강핑(진강평)이 번역한 『유대 고대사』(치쿠마 서방(지쿠마 서방))가 있다.
참조
[1]
간행물
Antiquities
[2]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ayfield
1985
[3]
서적
The Anchor Bible Dictionary
Doubleday
1997, 1992
[4]
문서
Ant. 1.5
1895
[5]
서적
Josephus' Interpretation of the Bible
University of California
1998
[6]
성경
Exodus 15
[7]
문서
Ant. 2:346
[8]
웹사이트
Encyclopedia Judaica: The Golden Calf
https://www.jewishvi[...]
Jewish Virtual Library
2017-11-27
[9]
뉴스
The Pyramids of Ancient Egypt
https://answersingen[...]
Answers in Genesis
2004-09-01
[10]
웹사이트
Nicholas of Damascus (Nicolaus Damascenus)
http://www.jewishenc[...]
2021-12-03
[11]
서적
"Echo of a Whisper": The Uncertain Authenticity of Josephus' Witness to John the Baptist
Walter de Gruyter
2011
[12]
웹사이트
Josephus: the Main Manuscripts of "Antiquities"
http://www.tertullia[...]
[13]
서적
The Literary Career and Legacy of Elizabeth Cary, 1613-1680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6-12-25
[14]
웹사이트
Иосиф Флавий. Иудейские древности. Предисловие к русскому изданию.
http://www.vehi.net/[...]
[15]
문서
A new updated version of Whiston's translation was published by Hendrickson Publishers in 1987.
[16]
서적
The Comprehensive New Testament
Cornerstone Publications
2008
[17]
웹사이트
New Release: Comprehensive Bible Cross Reference
http://www.accordanc[...]
2011-11-30
[18]
서적
1999
[19]
서적
1999
[20]
서적
The Anchor Bible Dictionary
Doubleday
1997, 1992
[21]
서적
1999
[22]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ayfield
1985
[23]
문서
[24]
서적
1999
[25]
문서
「荒野の40年」の始まり。
[26]
문서
全てヘロデ大王の息子。
[27]
서적
1999
[28]
웹사이트
書籍目録
http://www2.odn.ne.j[...]
山本書店
2023-02-05
[29]
웹사이트
「L・H・フェルトマン」に一致する資料: 26件中1から9件目
https://iss.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23-02-05
[30]
서적
Josephus's Interpretation of the Bib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9-01
[31]
학술
出エジプト記32章金の子牛像事件解釈に見る、古代・中世初期のユダヤ教とシリア-キリスト教の比較分析
京都大学
2016-03-23
[32]
서적
Studies in the Book of Exodus
Leuven University Press
1996-12-31
[33]
서적
1999
[34]
서적
2000
[35]
성경
出エジプト記 第15章
[36]
서적
Ant. 2:346
1895
[37]
문서
秦 (1999)、240頁。
[38]
웹사이트
Encyclopedia Judaica:The Golden Calf
https://www.jewishvi[...]
2016-11-27
[39]
문서
秦 (2010)、P212-216。
[40]
논문
Philo’s Account of the Golden Calf Incident
[41]
문서
秦 (2017)P945註。
[42]
문서
秦 (2000)、321頁。
[43]
문서
秦 (2000)、341-342頁。
[44]
문서
秦 (2000)、318-319頁。
[45]
문서
秦 (2000)、319頁。
[46]
문서
秦 (2000)、336頁。
[47]
서적
イエス・キリスト時代のユダヤ民族史 I
株式会社教文館
[48]
문서
秦 (2000)、320-321頁。
[49]
문서
秦 (2000)、325-326頁。
[50]
문서
秦 (2000)、317-318頁。
[51]
문서
秦 (2000)、318頁。
[52]
문서
秦 (2000)、324-325頁。
[53]
문서
國原 (2012)、500頁。
[54]
문서
秦 (2000)、345-350頁。
[55]
논문
フラウィウス・ヨセフス考 : 現代の視点からのキリスト教考察
[56]
문서
秦 (2000)、P34。
[57]
서적
イエス・キリスト時代のユダヤ民族史 II
株式会社教文館
[58]
문서
原文はギリシャ読みの「洗礼者と呼ばれたヨアンネス」と「クリストスと呼ばれたイエススの兄弟ヤコボス」。
[59]
문서
秦 (2000)、P50-51。
[60]
문서
秦 (2000)、P291-292。
[61]
문서
秦 (2000)、353, 355頁。
[62]
서적
"Echo of a Whisper": The Uncertain Authenticity of Josephus' Witness to John the Baptist
Walter de Gruyter
[63]
문서
秦 (2000)、353-354頁。
[64]
문서
秦 (2000)、356頁。
[65]
문서
秦 (2000)、350-351頁。
[66]
문서
秦 (2000)、357-358頁。
[67]
문서
A new updated version of Whiston's translation was published by Hendrickson Publishers in 1987.
[68]
웹사이트
ヨセフスの近代語訳に見られるキリスト教的反ユダヤ主義
https://kaken.nii.ac[...]
科学研究費助成事業データベース
2016-11-27
[69]
웹사이트
Jewish antiquities
http://www.worldcat.[...]
WorldCat
2016-11-27
[70]
문서
秦 (1999)、447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