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겔라푸스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라겔라푸스속은 소과 트라겔라피니 족에 속하는 속으로, 1816년 앙리 마리 뒤크로테 드 블레인빌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다. 일반적으로 8종의 영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봉고, 큰쿠두, 임바발라, 케월영양, 작은쿠두, 산니알라영양, 니알라영양, 늪영양 등이 포함된다. 유전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11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트라겔라푸스속에 속하는 종들은 아프리카에 주로 분포하며, 부시벅과 시타퉁가와 같은 아종으로 세분화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트라겔라푸스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속 정보 | |
학명 | Tragelaphus |
명명자 | de Blainville, 1816 |
모식종 | Antilope sylvatica (= Antilope scripta) |
모식종 명명자 | Sparrman, 1780 |
하위 분류 계급 | 종 |
하위 분류 | 니아라 마운틴니아라 봉고 레서쿠두 하네스드부시벅 시타퉁가 큰쿠두 실바티쿠스 |
![]() |
2. 종
트라겔라푸스속은 일반적으로 8종으로 구성되지만, 유전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다른 분류 체계에서는 11종(5그룹)을 인정하기도 한다.[5]
2. 1. 현존하는 종
트라겔라푸스속은 8종으로 이루어져 있다.[10]수컷 | 암컷 | 일반명칭 | 학명 | 분포 |
---|---|---|---|---|
![]() | ![]() | 봉고 | Tragelaphus eurycerus | 케냐, 중앙아프리카 및 서아프리카 |
![]() | ![]() | 큰쿠두 | Tragelaphus strepsiceros | 동아프리카 및 남아프리카 |
![]() | ![]() | 케이프 부시벅 | Tragelaphus sylvaticus | 남아프리카 케이프에서 앙골라와 잠비아, 그리고 아프리카 동부 지역을 거쳐 에티오피아와 소말리아까지. |
![]() | ![]() | 케월영양 | Tragelaphus scriptus | 세네갈과 남부 모리타니에서 사헬을 지나 동쪽으로 에티오피아까지, 그리고 남쪽으로 앙골라와 콩고 민주 공화국 남부까지 분포. |
![]() | ![]() | 작은쿠두 | Tragelaphus imberbis | 에티오피아, 케냐, 소말리아, 남수단, 탄자니아, 우간다 |
![]() | ![]() | 산니알라영양 | Tragelaphus buxtoni | 중앙 에티오피아. |
![]() | ![]() | 니알라영양 | Tragelaphus angasii | 에스와티니, 말라위, 모잠비크, 남아프리카 공화국, 잠비아, 짐바브웨. |
![]() | ![]() | 늪영양 | Tragelaphus spekii | 콩고 민주 공화국, 콩고 공화국, 카메룬, 남수단 일부, 적도 기니, 부룬디, 가나, 보츠와나, 르완다, 잠비아, 가봉,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탄자니아, 우간다 및 케냐. |
일반적으로 8종으로 취급되지만, 유전자 데이터를 통해 11종(5그룹)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5]
2. 2. 부시벅 (Tragelaphus scriptus)의 아종 (논란 중)
트라겔라푸스속은 일반적으로 8종으로 취급되지만, 유전자 데이터를 통해 11종, 다섯 그룹으로 나눌 수도 있다. 부시벅(''Tragelaphus scriptus'')은 중간 크기의 종으로, 수컷은 갈기와 20cm 전후의 뿔을 가진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숲과 덤불에 주로 서식하며, 흰색 세로 줄무늬 무늬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되지만, 여러 설이 있다. 주요 아종은 다음과 같다.[8][9]- ''T. s. phaleratus'' 카빈다 부시벅 (Central bushbuck)
- ''T. s. makalae'' 마칼라 부시벅
- ''T. s. knutsoni'' 카메룬 부시벅
- ''T. s. bor'' 나일 부시벅 (Nile bushbuck)
- ''T. s. decula'' 타나 부시벅 (Abyssinian bushbuck)
- ''T. s. dianae'' 다이아나 부시벅
- ''T. s. scriptus'' 세네갈 부시벅
- ''T. s. fasciatus'' 소말리 부시벅 (Eastern coastal bushbuck)
- ''T. s. delamerei'' 케냐 부시벅
- ''T. s. dama'' 다마 부시벅
- ''T. s. massaicus'' 마사이 부시벅
- ''T. s. ornatus'' 잠비아 부시벅 (Chobe bushbuck)
- ''T. s. roualeyni'' 림포포 부시벅
- ''T. s. sylvaticus'' 케이프 부시벅 (Cape bushbuck)
2. 3. 시타퉁가 (Tragelaphus spekii)의 아종
시타퉁가(''Tragelaphus spekii'')는 니아라와 비슷하지만, 뻣뻣한 털을 가지고 있으며, 수컷의 뿔은 1회에서 2회 꼬여 있다. 세네갈, 에티오피아, 수단, 탄자니아, 카메룬, 콩고, 짐바브웨, 잠비아 등의 갈대나 파피루스 등이 무성한 늪지에 서식한다. 하렘을 형성하는 경우와 1쌍인 경우가 모두 확인되었으며, 큰 무리는 형성하지 않는다.[8]- '''T. s. gratus''' 가봉시타퉁가 (Western Sitatunga)
중앙아프리카 적도 이북 주변과 일부 감비아 주변에 서식한다. 흰 반점은 개체 차이가 크다. 뒷다리가 길고 등이 굽어 보인다. 뿔은 1~2회 꼬여 있다.[9]
- '''T. s. spekeii''' 니안자시타퉁가 (East African Sitatunga)
남수단~탄자니아에 서식한다. 수컷은 회갈색, 암컷은 선명한 적갈색이다. 발굽이 길고, 뿔은 반~1회 꼬여 있다.[9]
- '''T. s. sylvestris''' 누코시시타퉁가 (Nkosi Island Sitatunga)
니안자시타퉁가와 가까운 아종으로, 빅토리아 호 세세 제도(英語版) 누코시 섬에 서식한다. 식량이 제한되어 있어서인지, 몸과 뿔이 작다.[9]
- '''T. s. selousi''' 잠베지시타퉁가 (Zambezi Sitatunga)
콩고 남부에서 콩고 민주 공화국 중앙부, 잠비아, 탕가니카 호 남단, 나미비아, 보츠와나 북부 등의 습지 환경에 서식한다. 수컷은 갈색이 도는 회색, 암컷은 짙은 갈색이다. 반점은 수컷에게 없고, 암컷은 있어도 희미하다. 뿔은 1~1.5회 꼬여 있다.[9]
3. 계통 분류
다음은 2013년 비비(Bibi)와 배르만(Bärman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11][12][13]
{| class="wikitable"
|-
! 소과
|-
|
{| class="wikitable"
|-
! 소아과
|-
|
{| class="wikitable"
|-
! 닐가이영양족
|-
|
|-
! 트라겔라푸스족
|-
|
{| class="wikitable"
|-
| 암멜라푸스속
|-
|
{| class="wikitable"
|-
| 니알라영양속
|-
|
{| class="wikitable"
|-
|
스트렙시케로스속 |
일런드영양속 |
|-
| '''트라겔라푸스속'''
|}
|}
|}
|-
! 소족
|-
|
{| class="wikitable"
|-
| 사올라속
|-
|
{| class="wikitable"
|-
|
|-
|
|}
|}
|}
|-
! 영양아과
|}
|}
이전 출력물과 비교했을 때 변경된 부분은 없습니다. 모든 지시사항을 이미 준수하고 있었으며, 추가적인 수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특히 하위 섹션과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간결하게 작성된 부분을 유지했습니다.
3. 1. 분자 계통학
다음은 2013년 비비(Bibi)와 배르만(Bärman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11][12][13]{| class="wikitable"
|-
! 소과
|-
|
{| class="wikitable"
|-
! 소아과
|-
|
{| class="wikitable"
|-
! 닐가이영양족
|-
|
|-
! 트라겔라푸스족
|-
|
{| class="wikitable"
|-
| 암멜라푸스속
|-
|
{| class="wikitable"
|-
| 니알라영양속
|-
|
{| class="wikitable"
|-
|
스트렙시케로스속 |
일런드영양속 |
|-
| 트라겔라푸스속
|}
|}
|}
|-
! 소족
|-
|
{| class="wikitable"
|-
| 사올라속
|-
|
{| class="wikitable"
|-
|
|-
|
|}
|}
|}
|-
! 영양아과
|}
|}
참조
[1]
MSW3
[2]
웹사이트
Integrated Taxonomic Information System
https://www.itis.gov[...]
[3]
MSW3
[4]
MerriamWebsterDictionary
Tragelaphus
2016-02-07
[5]
논문
Etude des radiations adaptatives au sein des Antilopinae (Mammalia, Bovidae)
2006
[6]
서적
"Order Artiodactyl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7]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18
[8]
서적
ブッシュバック亜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1988
[9]
서적
"BOVIDS of the World Antelopes, Gazelles, Cattle, Goats, Sheep, and Relativ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AND OXFORD
[10]
웹사이트
Animal Diversity Web
http://animaldiversi[...]
[11]
논문
A multi-calibrated mitochondrial phylogeny of extant Bovidae (Artiodactyla, Ruminantia) and the importance of the fossil record to systematics.
2013
[12]
논문
A revised phylogeny of Antilopini (Bovidae, Artiodactyla) using combined mitochondrial and nuclear genes.
2013
[13]
논문
The polyphyly of Neotragus – Results from genetic and morphometric analyses.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