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겔라푸스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라겔라푸스족은 소과에 속하는 영양의 한 족으로, 나선형 뿔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이 족은 암멜라푸스속, 니알라영양속, 스트렙시케로스속, 일런드영양속, 그리고 트라겔라푸스속을 포함하며, 최근의 분자 연구에 따라 분류 체계가 변화하였다. 트라겔라푸스족은 아프리카의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되며, 잎을 주로 먹는 초식 동물이다. 수컷은 뿔을 가지고 있으며, 짝짓기 시기에는 일부다처제 행동을 보인다. 일부 종은 가축화되거나 사냥의 대상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라겔라푸스족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분류 정보 | |
| 이름 | 트라겔라푸스족 |
| 학명 | Tragelaphini |
| 명명자 | Blyth, 1863 sensu Sokolov, 1953 |
| 모식종 | Antilope sylvatica |
| 모식종 명명자 | Pallas, 1766 |
| 속 | |
| 현존 속 | †페라이오스 Kostopoulo & Koufos, 2006 †폰토케로스 Vereshchagin et al., 1971 Taurotragus Wagner, 1855 Tragelaphus Blainville, 1816 |
| 동의어 | |
| 이미지 정보 | |
![]() | |
| 시간적 범위 | |
| 화석 기록 | 중신세 중기 – 현재, |
2. 어원
"Tragelaphini"이라는 종족명은 1863년 영국의 동물학자 에드워드 블라이스에 의해 아과("Tragelaphinae")로 처음 발표되었으며, 1953년 러시아의 동물학자 블라디미르 소콜로프에 의해 족으로 강등되었다.[11][3] 이는 반은 염소, 반은 수사슴으로 상상된 신화 속의 트라겔라프를 가리킨다. 이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τράγος|trágos|트라고스grc는 "수염소"를, έλαφος|élaphos|엘라포스grc는 "수사슴"을 의미한다. 접미사 "-ini"는 족으로서의 지위를 나타낸다.
트라겔라푸스족은 전통적으로 2개 속, 7종으로 분류되었으나, 최근 분자 연구 결과와 2011년 그로브스(Groves)와 그러브(Grubb)의 유제류 분류 재조직에 따라 여러 속으로 세분화되었다.[20][17][2]
또 다른 이름인 "Strepsicerotini"는 1846년 이전에 영국의 동물학자 존 에드워드 그레이에 의해 "Strepsiceriae"로 발표되었다.[3] 이 단어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στρεπτός|streptós|스트렙토스grc는 "꼬인"을, κέρατος|kératos|케라토스grc는 "뿔"을 의미하며, 이 그룹의 뿔 모양을 나타낸다. 그러나 "Strepsiceriae"는 접두사와 접미사가 잘못되었으며, 이는 1945년 미국의 고생물학자 조지 게일로드 심슨에 의해 "Strepsicerotini"로 수정되었다.[4] "Strepsicerotini"라는 이름이 먼저 발표되었지만,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더 널리 사용되는 이름인 "Tragelaphini"를 사용했다.[11][3]
3. 분류
2013년 비비(Bibi)와 배르만(Bärman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 트라겔라푸스족은 소과 소아과에 속하며, 닐가이영양족과 소족과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33][34][35]
3. 1. 하위 분류
전통적으로 트라겔라푸스족은 2개 속, 7종으로 분류되었다.[20]
| 속 | 종 |
|---|---|
| 일런드속 (Taurotragus) | |
| 트라겔라푸스속 (Tragelaphus) |
그러나 최근 분자 연구에 따르면, 레서쿠두와 냐알라가 현존하는 종 중에서 가장 기저에 있는 종이다.[17][20]
2011년 Groves와 Grubb의 유제류 분류 재조직에서 ''Tragelaphus''속이 여러 개의 속으로 나뉘었다.[2] 아래는 이 분류를 기반으로 한 대체 분류법이다.[2][1]
| 속 | 종 | 아종 |
|---|---|---|
| Ammelaphus (Ammelaphus) | ||
| 냐알라 (Nyala) | 저지대 냐알라 (Nyala angasii) | |
| 일런드속 (Taurotragus) | ||
| Strepsiceros (Strepsiceros) | ||
| 트라겔라푸스속 (Tragelaphus) |
3. 2. 계통 분류
2013년 비비(Bibi)와 배르만(Bärman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33][34][35]{| class="wikitable"
|-
| 소과
|-
|
{| class="wikitable"
|-
! 소아과
|-
|
{| class="wikitable"
|-
! 닐가이영양족
|-
|
|}
|-
! 트라겔라푸스족
|-
|
{| class="wikitable"
|-
| 암멜라푸스속
|-
|
{| class="wikitable"
|-
| 니알라영양속
|-
|
{| class="wikitable"
|-
|
| 스트렙시케로스속 |
| 일런드영양속 |
|-
| 트라겔라푸스속
|}
|}
|}
|}
|-
! 소족
|-
|
{| class="wikitable"
|-
| 사올라속
|-
|
{| class="wikitable"
|-
|
|-
|
|}
|}
|}
|}
|-
! 영양아과
|}
나선형 뿔 영양은 소족에 속하며, 소족에는 소족에 속하는 황소, 그리고 네뿔영양과 닐가이와 같이 보젤라피니족에 속하는 두 종의 아시아 영양이 있다. 족들 간의 관계는 계통 발생에 관한 연구에 따라 다르다. 대부분의 분자 연구는 소족과 트라겔라푸스족이 소족의 하위 분류군이라는 것을 뒷받침한다.[5][6][1] 또한, 황소가 나선형 뿔 영양과 가장 가까운 현존하는 친척이라는 것에 대한 몇몇 형태학적 증거가 있는데, 특히 두 그룹 모두 뿔 코어가 가지 (두개골에 부착되는 지점)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7]
몇몇 연구에서는 다른 배열을 지지해왔는데,[8][9][10] 그 중 하나는 닐가이와 나선형 뿔 영양 사이의 자매 관계이다. 역사적으로, 닐가이는 일부 과학자들에 의해 트라겔라푸스족으로 분류되기도 했다.[11] Benirschke 외 (1980)는 핵형을 사용하여 작은쿠두를 연구했으며, 이들이 자동염색체 14와 융합된 X 염색체를 닐가이와 공유한다는 것을 발견했다.[21] 또 다른 연구에서는 COII 유전자를 분석하여 닐가이와 작은쿠두가 자매 종임을 발견했다(하지만 지지도는 낮았고 종 표본 추출이 제한적이었다).[12] 다른 대부분의 분자 및 형태학적 연구에서는 닐가이를 트라겔라푸스족에 포함하는 것을 지지하지 않으며, 이는 그들의 데이터 및 결과와 모순된다.[5][7][6]
전통적으로 이 족은 아래와 같이 2개의 속과 7종으로 나뉘었다.[20]
| 트라겔라푸스족 Blyth, 1863 |
|---|
| 속 Taurotragus Wagner, 1855 – 일런드 |
| 속 Tragelaphus de Blainville, 1816 |
최근의 분자 연구는 다른 배열을 보여주었다. 핵 DNA와 미토콘드리아 DNA에 대한 분자 연구에 따르면, 레서 쿠두와 냐알라가 현존하는 종 중에서 가장 기저에 있는 종이다.[17][20] 그 후 약 1,000만 년 전에 숲에 서식하는 가늘고 가는 종과 더 크고 탁 트인 평원에 서식하는 종 사이에서 분화가 일어났다.[17][20] 이는 ''Taurotragus''가 ''Tragelaphus''에 대해 측계통군이 되게 하며, 이는 후자 속을 전자의 속의 하위 동의어로 만들거나 ''Taurotragus''를 유지하기 위해 ''Tragelaphus''를 여러 속으로 나누는 것을 의미한다.[17] 2011년 Groves와 Grubb에 의한 유제류의 대규모 분류 재조직에서, 그들은 새로운 cryptic species를 인식하고, 전통적인 종을 여러 지리적 종으로 나누었다.[2] 이는 종 간의 형태학적 비교(특히 두개골 요소의 치수와 피부 착색)를 기반으로 하며, 계통 발생 종 개념을 기반으로 종을 정의했다.[2] Groves와 Grubb (2011)는 또한 ''Tragelaphus''가 측계통군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여러 새로운 속을 설립했다.[2] 그들은 유전학에서 제안한 것보다 ''Tragelaphus'' ''sensu stricto''의 종 배열이 약간 다르다.[2] 다른 과학자들은 이 제안에 대해 혼합된 반응을 보였으며, 일부는 전통적인 종의 수를 7개로 선호하고[18] 다른 일부는 Groves와 Grubb (2011)의 새로운 분류법을 선호했다.[1]
Groves와 Grubb (2011)을 기반으로 한 대체 분류법은 아래와 같으며,[2] 종 및 아종 이름은 ''Bovids of the World''의 Castelló (2016)를 따른다:[1]
{| class="wikitable"
|-
! '''트라겔라푸스족''' Blyth, 1863 ''sensu'' Sokolov, 1953 – 나선 뿔 영양
|-
! 속 ''Ammelaphus'' Heller, 1912 – 레서 쿠두
|-
|
- ''Ammelaphus imberbis'' (Blyth, 1869) – 북부 레서 쿠두
- ''Ammelaphus australis'' Heller, 1913 – 남부 레서 쿠두
|-
! 속 ''냐알라'' Heller, 1912
|-
| ''Nyala angasii'' (Angas, 1849) – 저지대 냐알라
|-
! 속 ''Taurotragus'' Wagner, 1855 – 일런드
|-
|
| Taurotragus derbianus (Gray, 1847) – 자이언트 일런드 |
|-
|
| Taurotragus oryx (Pallas, 1767) – 일런드 |
|-
! 속 ''Strepsiceros'' Hamilton Smith, 1827 – 그레이터 쿠두
|-
|
- ''Strepsiceros strepsiceros'' (Pallas, 1766) – 케이프 그레이터 쿠두
- ''Strepsiceros zambesiensis'' (Lorenz, 1894) – 잠베지 그레이터 쿠두
- ''Strepsiceros chora'' (Cretzschmar, 1826) – 북부 그레이터 쿠두
- ''Strepsiceros cottoni'' (Dollman & Burlace, 1928) – 서부 그레이터 쿠두
|-
! 속 ''Tragelaphus'' de Blainville, 1816
|-
|
| Tragelaphus scriptus (Pallas, 1766) – 서부 부시벅 |
|-
| ''Tragelaphus buxtoni'' (Lydekker, 1910) – 마운틴 냐알라
|-
|
| Tragelaphus euryceros (Ogilby, 1837) – 봉고 |
|-
|
| Tragelaphus spekii group Speke, 1863 – 시타퉁가 |
|}
3. 3. 화석 기록
트라겔라푸스족은 가장 가까운 자매 분류군으로부터 1,500만 년에서 1,800만 년 전에 분기되었다.[20] 한때 나선형 뿔 영양은 아프리카 고유종으로 여겨졌지만, 그리스와 코카서스에서 유라시아 화석이 발견되었다.[13]Kostopoulos와 Koufos (2006)는 그리스 테살리아의 투롤리아 지역에서 발견된 화석을 기반으로 ''페라이오스 크리소말로스''를 기술했다.[13] 이들은 46개의 두개골 특징을 기반으로 ''P. chryssomallos''가 트라겔라핀의 기저부 또는 적어도 이 그룹의 자매 분류군이라는 계통적 증거를 발견했다.[13] 이는 알려진 모든 나선형 뿔 영양 종의 조상이 후기 마이오세 동안 유럽에서 기원했음을 시사한다.[13] 동유럽 속 ''폰토케로스'' 역시 또 다른 예시이며, 이 동물은 미그도니아 분지의 초기 플라이스토세 지층에서 발견되었다.[14] 이는 나선형 뿔 영양이 진화 역사 후기 동안 아프리카에서 유라시아로 이주했음을 시사한다.[14] 또한, 남아시아에서 발견된 미기재 화석이 나선형 뿔 영양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20]
아프리카의 화석은 탄자니아의 올두바이 협곡과 같은 곳에서 발견되었지만, 종종 다리뼈와 뿔의 조각으로 구성되어 있다.[7] 이 종들 중 가장 오래된 종은 ''Tragelaphus moroitu''로, 아프리카의 뿔에 있는 아사 코마, 쿠세랄리, 중부 아와시의 후기 마이오세에서 초기 플라이오세 퇴적층에서 발견되었다.[15][16] 니아라 (''Tragelaphus angasii'')와 외형이 유사한 ''T. moroitu''는 작은 영양이었으며 뿔의 기부에 원시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 아프리카에서 알려진 나선형 뿔 영양 중 가장 원시적인 종이다.[16] 화석의 풍부함을 기반으로 한 나선형 뿔 영양의 진화는 그들이 아프리카에서 가장 흔한 영양 종 중 하나였으며, 진화 과정에서 기후 변화가 발생함에 따라 동물상 교체를 겪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했음을 보여준다.[16]
지금까지 기술된 화석 종들은 다음과 같으며, 알파벳순으로 나열되어 있다:[13][15][16]
| 속 | 종 |
|---|---|
| †페라이오스 | †Pheraios chryssomallos |
| †폰토케로스 | †Pontoceros surprine |
| †Pontoceros ambiguus | |
| 타우로트라구스 | †타우로트라구스 아르켈리 |
| †Taurotragus maroccanus | |
| 트라겔라푸스 | †Tragelaphus algericus |
| †Tragelaphus gaudryi | |
| †Tragelaphus kyaloae | |
| †Tragelaphus lockwoodi | |
| †Tragelaphus moroitu | |
| †Tragelaphus nakuae | |
| †Tragelaphus nkondoensis | |
| †Tragelaphus pricei | |
| †Tragelaphus rastafari | |
| 트라겔라푸스 | †Tragelaphus saraitu |
4. 특징
나선형 뿔 영양은 중간 크기에서 큰 영양으로, 보통 키가 크고 다리가 길다. 모든 종의 수컷은 뿔이 있지만, 암컷은 본고와 엘란드를 제외하고는 뿔이 없다.[19][20][1] 뿔은 영역 다툼 시 흔히 볼 수 있는 방어적인 뿔 싸움, 땅 파기, 성적 과시에 사용된다.[19][20] 나선형 뿔 영양은 극심한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 수컷은 암컷보다 훨씬 크며, 두 성별 모두 털색이 매우 대조적이다.[20] 암컷은 보통 황갈색에서 적갈색을 띤다. 수컷은 암컷보다 더 어두운 색조를 띠며, 나이가 들수록 더 어두워진다.[19] 대부분의 나선형 뿔 영양 종은 흰색 세로 줄무늬(스트라이프 패턴)로 특징적인 파괴적인 색상을 띠며, 반점 패턴도 나타날 수 있다.[19][20] 이 패턴들은 개체별, 지역별로 다양하며, 포식자로부터 빽빽한 초목 속에 숨는 데 도움이 된다.[19][20]
대부분의 종은 눈 사이에 흰색 갈매기 모양 무늬, 볼에 반점, 목에 흰색 반점, 앞다리 위쪽에 어두운 가터가 있다.[19] 니아랄라와 얼룩말영양을 제외한 모든 종은 가슴에 초승달 무늬가 있다.[19] 등 융기, 흰색 엉덩이, 뿔 끝의 흰색과 같은 신체적 특징은 사회적 의사 소통에 사용되며, 동물의 감정을 표현하고 포식자로부터 무리의 구성원에게 경고하는 데 도움이 된다.[19][20] 뒷발의 털 테두리 아래에는 가짜 발굽을 둘러싼 특수 선이 있다.[19]
수컷만 뿔을 가지며, 슈트형으로 여러 번 꼬여 나선형을 이룬다. 뿔 앞면에는 비틀림을 따라 능선이 있고, 마디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암수 간에 체색이 다른 것이 일반적이며, 배 부분은 등보다 어둡고 흰 가로 줄무늬를 가진 종도 있다. 눈 사이에는 초승달 모양의 흰 반점이 있다. 젖꼭지는 4개이다.
5. 분포 및 서식지
모든 트라겔라푸스족 종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대부분 지역에서 열대 우림, 늪, 탁 트인 사바나, 산, 사막과 같은 다양한 삼림 서식지에서 발견된다.[19] 엘란드와 시타퉁가를 제외하면, 꼬인 뿔 영양은 모두 잎을 먹는 동물이다. 모든 종은 신선한 잎을 먹고, 잎을 은신처로 활용한다.[19] 건기 동안에는 관목과 나무의 잎, 새싹, 잔가지, 풀이 주된 식단이다. 우기가 시작되면 과일, 꽃, 신선한 풀을 보충한다. 꼬인 뿔 영양은 빽빽한 덤불 속에서 살아가기 때문에, 덤불을 뛰어넘고, 돌진하고, 식물을 요리조리 피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19] 대부분의 종은 물에 의존하지만, 쿠두와 엘란드는 더 건조한 환경에서 살기 때문에 물에 의존하지 않는다.[19] 대부분의 소과 동물과 달리, 꼬인 뿔 영양은 주로 야행성이지만, 일부 종은 이른 아침과 늦은 오후에 관찰될 수 있다.[19] 다른 모든 영양 종과 마찬가지로, 꼬인 뿔 영양(특히 어린 개체, 노쇠한 개체, 약한 개체)은 사자, 표범, 치타, 점박이하이에나, 아프리카 들개와 같은 아프리카의 주요 포식자에게 취약하다.[19]
6. 생태
모든 트라겔라푸스족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대부분 지역의 열대 우림, 늪, 탁 트인 사바나, 산, 사막 등 다양한 삼림 서식지에서 발견된다.[19] 엘란드와 시타퉁가를 제외한 모든 꼬인 뿔 영양은 잎을 먹는 동물이다. 모든 종은 신선한 잎을 먹고, 잎을 은신처로 활용한다.[19] 건기에는 관목과 나무의 잎, 새싹, 잔가지, 풀이 주된 식단이며, 우기가 시작되면 과일, 꽃, 신선한 풀을 보충한다.[19] 꼬인 뿔 영양은 빽빽한 덤불 속에서 살아가기 때문에, 덤불을 뛰어넘고, 돌진하고, 식물을 요리조리 피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19] 대부분의 종은 물에 의존하지만, 쿠두와 엘란드는 더 건조한 환경에서 살기 때문에 물에 의존하지 않는다.[19] 대부분의 소과 동물과 달리, 꼬인 뿔 영양은 주로 야행성이지만, 일부 종은 이른 아침과 늦은 오후에 관찰될 수 있다.[19] 다른 모든 영양 종과 마찬가지로, 꼬인 뿔 영양(특히 어린 개체, 노쇠한 개체, 약한 개체)은 사자, 표범, 치타, 점박이하이에나, 아프리카들개와 같은 아프리카의 주요 포식자에게 취약하다.[19]
위험을 감지하면 이 소과 동물들은 목을 최대한 높이 든다. 그들은 머리를 쪼는 동작(머리를 앞뒤로 움직임)으로 목을 움직이면서 "염소 같은" 걸음걸이로 움직인다.[19] 포식자를 발견하면 즉시 멈춘다. 궁극적인 대포식자 전략은 빽빽하고 키가 큰 덤불 속에 숨는 것으로, 동물들이 식물에 완벽하게 위장할 수 있을 정도이다. 때로는 다리를 하나 들기도 한다.[19] 만약 그것이 실패하면, 그들은 갑작스러운 도주로 질주할 것이다. 그들은 달리기 지구력이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높이 점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나선형 뿔 영양의 다양한 종을 고려할 때 사회적 조직은 다양하다. 그 스펙트럼의 극단적인 끝은 주로 고독한 부시벅이고, 다른 쪽 끝은 매우 사회적인 자이언트 일런드이다.[19] 일반적으로 나선형 뿔 영양의 무리 크기는 몇 십 마리를 넘는 경우가 드물고, 본질적으로 주로 정착 생활을 하기 때문에 크지 않다.[19][20] 무리 구성은 단성으로, 주로 암컷과 그들의 새끼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은 현재 일부 나선형 뿔 영양들이 포식자로부터 새끼를 보호하기 위한 방어 기제로서 무리를 짓는 이유로 여겨진다.[19][20] 봉고와 일런드 종에서는 이것이 강렬한 사회적 계층 순위와 함께 암컷의 더 큰 크기와 뿔의 발달로 이어졌다(이는 더 큰 수컷만이 더 작은 암컷을 지배하는 다른 종에서는 보이지 않는다).[19][20] 어미와 새끼를 제외하고는 무리 내에 강한 사회적 유대가 없다.[19][20][1] 이 무리들은 때때로 매우 개방적이고 느슨하게 정의되어 있으며, 때로는 암컷들이 오고 간다.[19] 무리에서 태어난 수컷은 1차 및 2차 성적 특징을 발달할 때까지 무리에 남아 있을 것이다.[19][1] 일단 이러한 특성이 발달하면 수컷은 무리를 떠나 유목민이 된다.
번식기 동안에만 수컷은 몇 시간 동안 발정에 있는 암컷 주변에 모인다.[19][20][1] 모든 나선형 뿔 영양 종은 일부다처제이다. 종내 경쟁이 발생하지만, 두 성별의 개체 간의 공격성은 매우 낮다. 암컷은 종종 서로 목을 잡고 싸우거나 찌르고 물어뜯는다.[19] 수컷은 얼굴을 공격하려고 하는 레슬링에 뿔을 사용한다.[19] 때로는 암컷이 반격하려고 하기 때문에 수컷이 굴복하도록 설득하기 위한 협박도 있다.[19] 임신 기간은 암컷이 수컷으로부터 성공적으로 수정된 후에 발생한다. 대부분의 종에서 약 7개월 동안 지속되지만, 더 큰 종에서는 8~9개월까지 연장된다.[19][1] 그들은 단 하나의 새끼만 낳는다. 새끼가 태어나면, 대략 5~6개월이 될 때까지 젖을 떼지 않는다.[1] 암컷은 2~3세에 성적으로 성숙하는 반면 수컷은 4~5세이다.[1]
7. 번식
번식기 동안에만 수컷은 몇 시간 동안 발정에 있는 암컷 주변에 모인다.[19][20][1] 모든 나선형 뿔 영양 종은 일부다처제이다. 종내 경쟁이 발생하지만, 두 성별의 개체 간의 공격성은 매우 낮다. 암컷은 종종 서로 목을 잡고 싸우거나 찌르고 물어뜯는다.[19] 수컷은 얼굴을 공격하려고 하는 레슬링에 뿔을 사용한다.[19] 때로는 암컷이 반격하려고 하기 때문에 수컷이 굴복하도록 설득하기 위한 협박도 있다.[19] 임신 기간은 암컷이 수컷으로부터 성공적으로 수정된 후에 발생한다. 대부분의 종에서 약 7개월 동안 지속되지만, 더 큰 종에서는 8~9개월까지 연장된다.[19][1] 그들은 단 하나의 새끼만 낳는다. 새끼가 태어나면, 대략 5~6개월이 될 때까지 젖을 떼지 않는다.[1] 암컷은 2~3세에 성적으로 성숙하는 반면 수컷은 4~5세이다.[1]
다양한 종의 염색체 수는 다양하다. 이는 나선형 뿔 영양의 진화적 관계와 잘 연관된다. 조상의 Y 염색체는 아크로중심체 아래에 있었지만, 작은쿠두와 닐가이가 분리된 후 중심체 주위의 반전이 일어나 아원중심체가 되었다.[21] 고대 잡종 교배 또한 모든 종의 염색체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21] 아래는 이배체 수 2''n''의 목록이다(수컷/암컷):[21][22]
봉고와 시타퉁가 사이의 잡종 교배는 "봉시스"로 알려진 번식 가능한 새끼를 낳으며, 이는 잘 기록되어 있다.[23][24][21][22] 이 잡종 동물은 이배체 수 2''n'' = 33을 가지며, 알려진 모든 경우에서 암컷 동물을 낳았고, 암컷 봉고와 같은 뿔이 발달했으며, 줄무늬 패턴은 봉고와 시타퉁가의 중간 정도였고 전체적으로 주황색을 띠었다.[23][24] 이러한 종들의 잡종 교배는 봉고와 시타퉁가가 서로 가장 가까운 친척이라는 것을 더욱 뒷받침한다.[23][24] 다른 잡종도 기록되었는데, 예를 들어 1970년대 샌디에고 동물원 사파리 공원에서 우연한 교배로 태어난 수컷 큰엘란드 x 큰쿠두가 있다.[25] 주목할 만한 혼합 유전 형질로는 엘란드의 뾰족한 귀가 있었지만 쿠두처럼 약간 넓어졌다. 꼬리는 엘란드의 길이의 절반이었고, 쿠두와 같이 털 뭉치가 달려 있었다.[25] 그러나 이 개체는 무정자증이었는데, 분석 결과 생식 세포가 완전히 결여되어 배우자를 생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5]
8. 인간과의 관계
나선 뿔 영양은 전반적으로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있지 않다.[20][1] 대부분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 없음"으로 분류되며, 자이언트 일런드와 산악 냐알라만이 각각 취약[26] 및 위기[27] 등급이다. 그러나 일부 지역 개체군과 아종은 감소하고 있다.[20] 이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주된 요인은 서식지 파괴와 부시미트 사냥이지만, 대부분 농업에 부적합한 곳에 서식한다.[20]
영양은 온순한 성격, 많은 양의 고기, 아프리카 환경에 대한 적응력 덕분에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 소를 대체할 가축으로 주목받고 있다.[28][29][30][31] 2014년 연구에 따르면 수컷 영양 고기는 지방이 적어 건강에 좋지만, 소고기 특유의 질감과 풍미는 부족하다.[31] 영양은 농장에서 사육되거나, 나선형 뿔을 가진 다른 종들과 함께 오락적인 사냥을 위해 전 세계 사설 사냥 보호 구역으로 옮겨지기도 한다.[32][20][1] 하지만 다른 종들은 인간과의 접촉을 피하는 경향이 있어 온순하지 않다.[19][32][20]
8. 1. 보존
나선 뿔 영양은 전체적으로 멸종 위기에 놓인 포유류 집단은 아니다.[20][1] 대부분의 종은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 없음"으로 분류되며, 자이언트 일런드와 산악 냐알라만이 각각 취약[26] 및 위기[27]로 분류된다. 게다가 다른 종의 일부 지역 개체군과 아종도 감소하고 있다.[20] 나선 뿔 영양의 생존에 대한 주요 위협은 서식지 파괴와 부시미트를 위한 사냥이지만, 대부분의 종은 농업에 적합하지 않은 서식지에 살고 있다.[20] 사실, 어떤 경우에는 일부 종의 개체수가 증가할 수도 있다(비록 일부 종의 정확한 개체수 추정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1]8. 2. 가축화
두 종의 영양은 온순한 성격, 많은 양의 고기, 그리고 아프리카의 혹독한 환경에 대한 적응력 때문에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 소의 이상적인 대안이 되어 현재 반(半) 가축화되어 있다.[28][29][30][31] 2014년 영양과 소의 고기 품질을 비교한 결과, 수컷 영양의 고기는 지방이 적고 인간의 영양 건강에 더 유익하지만, 소비자가 소고기에 매력을 느끼게 하는 감각적인 질감과 풍미가 부족하다는 것을 발견했다.[31] 영양은 이국적인 가축으로 농장에 사육될 뿐만 아니라, 나선형 뿔을 가진 다른 종의 영양과 마찬가지로 오락적인 사냥을 위해 전 세계(특히 북아메리카와 아프리카 일부 지역)의 사설 사냥 보호 구역으로 옮겨졌다.[32][20][1] 그러나 영양과 달리, 다른 종의 대부분은 가능한 한 접촉을 피하기 때문에 인간에게 온순하거나 관대하지 않다.[19][32][20]참조
[1]
서적
Bovids of the Wor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서적
Ungulate Taxonom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
논문
Controversial scientific names of African mammals
https://journals.co.[...]
[4]
논문
The principles of classification and a classification of mammals
[5]
서적
The Evolution of Artiodactyl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the subfamily Bovinae (Mammalia: Artiodactyla) based on ribosomal DNA.
[7]
서적
The Evolution of Artiodactyl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8]
논문
DNA systematics and evolution of the artiodactyl family Bovidae.
[9]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the subfamily Bovinae (Mammalia: Artiodactyla) based on ribosomal DNA.
[10]
논문
Evolutionary affinities of the enigmatic saola (''Pseudoryx nghetinhensis'') in the context of the molecular phylogeny of Bovidae
1999
[11]
논문
Review of family-group names of living bovids.
http://www.bioone.or[...]
[12]
논문
Mitochondrial gene sequences and the molecular systematics of the artiodactyl subfamily Bovinae.
[13]
논문
" Pheraios chryssomallos'', gen. et sp. nov. (Mammalia, Bovidae, Tragelaphini), from the Late Miocene of Thessaly (Greece): Implications for tragelaphin biogeography."
https://www.research[...]
[14]
서적
Mammoths, sabertooths, and hominids: 65 million years of mammalian evolution in Europe.
Columbia University Press
[15]
서적
"Ardipithecus kadabba'': Late Miocene Evidence from the Middle Awash, Ethiopi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6]
논문
"Tragelaphus nakuae'': evolutionary change, biochronology, and turnover in the African Plio-Pleistocene.
[17]
논문
Utility of nuclear DNA intron markers at lower taxonomic levels: Phylogenetic resolution among nine ''Tragelaphus'' spp.
[18]
논문
Are there really twice as many bovid species as we thought?.
[19]
서적
The Behaviour Guide to African Mammals: Including Hoofed Mammals, Carnivores, Primates.
Johannesburg: Russell Friedman Books CC
[20]
서적
The Kingdon Field Guide to African Mammal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1]
논문
The unusual karyotype of the lesser kudu, ''Tragelaphus imberbis''
[22]
논문
The chromosomes of the bongo, ''Taurotragus'' (''Boocerus'') ''eurycerus''.
[23]
논문
Preliminary notes on the F1 Bongo antelope x sitatunga hybrids ''Taurotragus eurycerus'' x ''Tragelaphus spekei'' at Antwerp Zoo.
[24]
논문
Chromosome studies of a fertile mammalian hybrid: the offspring of the cross bongo × sitatunga (Bovoidea).
[25]
논문
Studies on a male eland× kudu hybrid.
http://www.reproduct[...]
[26]
논문
Tragelaphus derbianus
2017
[27]
논문
Tragelaphus buxtoni
[28]
논문
The domestication of the Eland.
https://www.cabdirec[...]
[29]
논문
Eland (''Taurotragus oryx'') as a ranching animal complementary to cattle in Rhodesia. 1. Environmental adaptation
https://www.scopus.c[...]
[30]
논문
Eland (''Taurotragus oryx'') as a ranching animal complementary to cattle in Rhodesia. 2. Habitat and diet selection
https://www.scopus.c[...]
[31]
논문
Comparison of meat quality between elands (''Taurotragus oryx'') and cattle (''Bos taurus'') raised under similar conditions.
[32]
서적
Exotic animal field guide: nonnative hoofed mammals in the United States.
Texas A&M University Press.
[33]
간행물
A multi-calibrated mitochondrial phylogeny of extant Bovidae (Artiodactyla, Ruminantia) and the importance of the fossil record to systematics.
[34]
간행물
A revised phylogeny of Antilopini (Bovidae, Artiodactyla) using combined mitochondrial and nuclear genes.
[35]
간행물
The polyphyly of Neotragus – Results from genetic and morphometric analys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