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트리폴리 백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리폴리 백국은 제1차 십자군 이후 레반트 지역에 세워진 십자군 국가이다. 1102년 툴루즈 백작 레몽 4세가 트리폴리를 포위 공격하면서 시작되었고, 1109년 함락 후 수도로 삼았다.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제노바, 베네치아 등과 활발한 무역을 했으며, 주변 십자군 국가들과 연합하여 방어전을 펼쳤다. 1289년 맘루크 왕조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여러 통치자를 거쳤으며, 멸망 이후 명목상의 지위만 유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02년 설립 - 아르투크 왕조
    아르투크 왕조는 11세기 말 아르투크 베이가 건국한 투르크멘 계통의 왕조로, 그의 후손들이 알자지라 지역에서 여러 분파로 나뉘어 할거하며 십자군 전쟁에도 참여했으나, 여러 세력에 밀려 쇠퇴하여 15세기 초 멸망했지만 건축, 문학, 예술 등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 디야르바크르 성벽, 말라바디 다리 등의 유산을 남겼다.
  • 몽골 제국의 조공국 및 봉신국 - 남송
    남송은 정강의 변으로 멸망한 북송을 조구(고종)가 강남에서 재건한 왕조로, 금나라와 대립 후 화의를 통해 안정되었으나, 몽골의 침입과 권신들의 전횡으로 쇠퇴하여 1279년 멸망할 때까지 경제, 사회, 문화적 발전을 이루며 일본과 교류하였다.
  • 몽골 제국의 조공국 및 봉신국 - 룸 술탄국
    룸 술탄국은 1077년부터 1308년까지 소아시아를 중심으로 존속하며 비잔티움 제국과 대립하고 투르크-페르시아 문화와 그리스-로마 문화가 융합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 오스만 제국으로 이어지는 아나톨리아 튀르크 문화의 토대를 마련한 셀주크 투르크 계열의 술탄국이다.
  • 옛 군주국 - 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는 17세기 후반 남슬라브인 왕국 건설을 목표로 시작하여, 유고슬라비아 왕국, 공산주의 정권 수립 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 변화하였으나, 1990년대 초 유고슬라비아 전쟁을 거쳐 구성 공화국들의 독립으로 붕괴되었다.
  • 옛 군주국 - 유고슬라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세르비아 왕국을 중심으로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등을 통합하여 건국되었으나 민족 갈등, 독재,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붕괴된 국가이다.
트리폴리 백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어 이름라틴어: Comitatus Tripolitanus
프로방스어: Comtat de Trípol
일반 명칭트리폴리
시대고중세 시대
지위예루살렘 왕국, 안티오키아 공국, 몽골 제국의 봉신
시작 사건건국
시작 연도1102년
종료 사건칼라운에게 정복당함
종료 연도1289년
이전바누 암마르
파티마 칼리파조
이후맘루크 술탄국
툴루즈-트리폴리 가문의 문장
툴루즈-트리폴리 가문의 문장 (가문 문장에서 유래)
툴루즈-트리폴리 가문의 문장
툴루즈-트리폴리 가문의 문장
트리폴리 백국의 문장
트리폴리 백국의 문장
1135년경의 근동 지도, 트리폴리 백국의 위치
1135년 AD의 근동 국가들, 트리폴리 백국의 위치
수도타르투스 (1102년–1109년)
트리폴리 (1109년–1289년)
공용어라틴어
아람어 (마론파)
고대 프랑스어
오크어
이탈리아어
아랍어
그리스어
사비르어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귀족)
마론파 교회 및 동방 정교회 (일반 대중)
오리엔트 정교회, 이슬람교, 유대교 (소수)
정치 체제봉건 군주제
통치자
초대 백작레몽 1세 (1102년–1105년)
마지막 백작루시아 (1287년–1289년)
직함트리폴리 백작
현재 국가
현재 국가레바논
시리아

2. 역사

제1차 십자군 전쟁 이후, 레몽은 1102년부터 트리폴리를 공격하여 1109년 함락시키고 트리폴리 백국을 세웠다. 트리폴리 백국은 지중해 연안을 따라 위치하여 다른 십자군 국가들에 비해 방어가 쉬웠고, 제노바, 베네치아 등과 교역하며 번성했다.

1289년, 맘루크 왕조의 술탄 카라운은 일 한국의 몽골군과 연합하여 트리폴리를 공격한 것에 대한 복수를 명분으로 트리폴리를 포위, 함락시켰다. 이로써 트리폴리 백국은 멸망했다.[3]

2. 1. 건국과 초기 역사 (1102년 ~ 1109년)

1102년 4월, 제1차 십자군 지도자 중 한 명이자 툴루즈 백작이었던 레몽 4세는 부유한 항구 도시 트리폴리를 차지하기 위해 파티마 왕조의 속국이었던 트리폴리의 번왕 바누 암마르(Banu Ammar)와 전쟁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레몽 4세는 제노바 공화국 함대의 도움을 받아 트리폴리 북쪽의 타르투스주바일을 점령했다. 또한, 1103년에는 트리폴리 바로 앞에 있는 요새를 점령하고 도시를 포위했다.[3] 당시 안티오키아 공국의 확장을 경계하던 동로마 제국 황제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는 레몽 4세를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레몽 4세는 트리폴리에서 약 3km 떨어진 "몽 페레그랭"(Mont Pèlerin, Mount Pilgrim)이라는 언덕에 트리폴리 성채(생질 성)를 건설하여 트리폴리 공략의 거점으로 삼았다.[3] 그러나 1105년 2월 25일 레몽 4세가 사망하면서 트리폴리 점령은 미완으로 남게 되었다. 레몽 4세는 아들 알퐁스 주르당을 상속자로 지명하고, 그의 사촌형인 기욤 주르당을 섭정으로 삼았다.

이후 4년 동안 기욤 주르당은 트리폴리 포위를 계속하며 주변 지역, 특히 아코를 점령했다. 레몽 4세의 서자이자 툴루즈의 섭정이었던 베르트랑이 동방에 도착하면서 기욤 주르당과 레바논의 계승권을 두고 다툼이 벌어졌다. 베르트랑은 제노바 공화국의 함대와 병력을 이끌고 예루살렘 왕국의 보두앵 1세의 지지를 받았고, 기욤 주르당은 탕크레드의 지지를 받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두앵 1세는 분할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에 따라 기욤 주르당은 트리폴리 북부를 소유하고 탕크레드에게 충성을 맹세하며, 베르트랑은 트리폴리 남부를 소유하고 보두앵 1세의 봉신이 되었다.[4] 연합군의 공격으로 1109년 7월 12일 트리폴리가 함락되면서 예루살렘 왕국이 완성되었다.[3] 얼마 후 기욤 주르당이 의문의 죽음을 당하면서(일부는 암살이라고 주장한다), 베르트랑이 트리폴리 백작령 전체를 차지하게 되었다.[7]

2. 2. 베르트랑의 통치와 백국 확장 (1109년 ~ 1112년)

제1차 십자군 지도자였던 레몽 생 질은 1102년 트리폴리를 포위했으나 1105년 사망했다. 이후 그의 아들 알퐁스 주르당과 종형 기욤 주르당이 툴루즈 백국의 상속권을 두고 다투었다.[7] 레몽의 서자 베르트랑은 툴루즈의 섭정이었는데, 동방에 도착하여 기욤과 레바논의 계승권을 두고 경쟁했다.[7]

예루살렘 왕 보두앵 1세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할 조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윌리엄은 트리폴리 북부를 소유하고 탕크레드에게 충성을 맹세해야 했으며, 베르트랑은 보두앵 1세의 봉신으로서 트리폴리 남부를 소유하게 되었다.[4]

제노바 함대의 도움을 받은 베르트랑과 예루살렘 왕 보두앵 1세, 탕크레드 등의 연합군은 1109년 7월 12일 트리폴리를 함락시켰다.[3] 이로써 트리폴리는 트리폴리 백국의 수도가 되었다.[3] 이후 기욤 주르당이 암살되면서, 베르트랑이 트리폴리 백국의 초대 영주가 되었다.[7]

2. 3. 십자군 전쟁과 백국의 방어

1102년 4월, 제1차 십자군 지도자였던 레몽 생 질은 트리폴리를 공격했고, 제노바 공화국 함대의 도움을 받아 타르투스, 주바일을 빼앗고, 1103년에는 트리폴리 정면의 요새를 점령했다.[3] 좁은 해안 평야를 점령했지만, 그 너머의 산맥은 트리폴리 백국의 천연 방어선이었다. 산길을 방어하기 위해 여러 성채가 건설되었다.[9]

무슬림 세력은 특히 동쪽 국경을 따라 트리폴리 백국을 공격했다.[5] 1137년, 당시 백작이었던 레이몽 2세는 몽페랑을 잃었다.[3] 1144년, 레이몽 2세는 요한 기사단에 부카이아 평야를 따라 넓은 국경 지대를 할양했다.[10] 여기에는 크라크 데 슈발리에, 아나즈, 텔 칼락, 칼라트 엘 펠리스, 마르다베크 성이 포함되었다.[2] 1150년대에는 해안가의 타르투스에 템플 기사단이 주둔하면서 방어가 더욱 강화되었다.[11][12]

;샤이자르(Shaizar)

예루살렘 왕국의 봉신이었던 트리폴리의 베르트랑은 셀주크 투르크와의 전쟁에 휘말렸다. 1111년, 투르크 군 지도자 마우두드가 안티오크와 에데사를 공격했다. 트리폴리 백작 베르트랑과 예루살렘의 볼드윈 1세는 갈릴리의 탕크레드 공작과 에데사의 볼드윈 2세 백작과 함께 샤이자르 전투에 참여하여 왕국을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합(Hab)

1119년, 셀주크 제국은 다시 안티오크를 공격하여 아게르 상귀니스 전투에서 승리했다. 그러나 트리폴리 백작 퐁스와 볼드윈 2세는 합 전투에서 기독교 세력의 측면을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아자즈(Azaz)

1125년, 트리폴리 백작 퐁스는 아자즈를 포위한 투르크인들을 향해 진군했다. 트리폴리의 퐁스, 볼드윈 2세, 그리고 에데사의 조셀랭 1세 백작은 투르크군을 아자즈에서 유인하여 평원에서 매복시켜 투르크군을 패퇴시켰다.

;1170년 지진

1170년 6월 29일, 이 지역에서 지진이 발생했다. 크라크 데 슈발리에, 샤텔 블랑[10] 그리고 알아리마의 방어 요새들이 피해를 입었다. 트리폴리 시의 성모 마리아 대성당이 파괴되었다.[13] 1170년 지진으로 인해 누르 알딘과 백작령 사이에 짧은 휴전이 이루어졌다.[14]

2. 4. 내부 갈등과 멸망 (12세기 후반 ~ 1289년)

1287년 보에몽 7세가 사망하면서 트리폴리 백국은 권력 공백 상태에 놓였다. 보에몽 7세의 어머니 아르메니아의 시빌라는 트리폴리의 적이었던 토르토사 주교 바르톨로메오와 친분이 있어 계승에서 제외되었다. 보에몽 7세의 여동생 루치아는 성 요한 기사단의 지원을 받아 네핀 요새에 자리를 잡았다.[19]

트리폴리 백국의 영주들은 제노바의 유력 상인 베네데토 1세 자카리아(1235–1307)에게 통치를 제안하기도 했다. 한편, 트리폴리에서는 베네치아 등 이탈리아 해양 공화국 출신 상인들에게 특별한 비귀족적 사회적 지위가 부여되었다.[6] 이들은 바르톨로메오 엠브리아코를 트리폴리 시장으로 선출했고, 그는 제노바와의 무역을 장려했다.

그러나 바르톨로메오 엠브리아코와 코뮌들은 통치에 어려움을 겪었고, 베네데토 1세 자카리아는 백작령을 거절했다. 결국 협상 끝에 루치아가 1288년 트리폴리 백작이 되었다.[19]

한편, 예루살렘 왕국은 끊임없는 내분, 자원 부족, 흉작, 무역로와 지역 경제 변화, 무슬림과 몽골의 군사적 압력으로 쇠퇴하고 있었다.[2] 1280년대에는 예루살렘 왕국의 잔존 세력과 트리폴리 백국만이 남아 있었다.

루치아와 시민, 제노바인 간의 합의는 이 분쟁에 개입하려던 베네치아인과 야심 찬 제노바 시장을 분노케 했다. 그는 맘루크 왕조의 술탄 카라운과 손을 잡고 트리폴리를 공격했다. 마침 일 한국의 몽골 제국 아랍 침략에 트리폴리가 몽골 측에 가담한 것에 대한 복수를 고려하던 카라운의 이해관계와 맞아떨어졌다.

1289년 맘루크 군은 트리폴리를 포위했고, 한 달 후 함락되어 파괴와 약탈을 당하며 백작가의 지배는 종말을 맞았다.[3]

3. 역대 통치자

1102년 제1차 십자군의 지도자였던 툴루즈 백작 레몽이 트리폴리를 포위하면서 트리폴리 백국이 시작되었다.[7] 레몽 사후 알퐁스 주르당이 상속자가 되었고, 그의 종형 기욤 주르당이 섭정을 맡았다. 기욤 주르당은 트리폴리 포위를 계속했으며, 아코(아크레)를 점령하기도 했다. 이후 레몽의 서자 베르트랑이 동방에 도착하여 기욤과 계승권을 다투었고, 1109년 트리폴리가 함락되면서 베르트랑이 초대 백작이 되었다.[3]

트리폴리 백국은 해안 국가였기에 방어가 쉬웠고, 레바논 중남부 연안을 지배하며 번성했다. 센달직과 세마이트직 등의 특산물은 제노바, 베네치아와 같은 상업 국가들과의 교역을 촉진했다. 안티오키아 공국과 동군연합 형태로 통치되기도 했다.

안티오키아 공국 멸망 후에도 트리폴리는 존속했지만, 보에몽 7세 사후 후계자 분쟁이 발생했다. 그의 누이 루시아는 제노바의 지원을 받는 시민들과 갈등을 빚었고, 결국 맘루크 왕조의 술탄 카라운과 연합한 세력에 의해 1289년 함락되었다.

이름재위 기간비고
툴루즈 백작 레몽1102년 ~ 1105년제1차 십자군 지도자, 트리폴리 포위
알퐁스 주르당1105년 ~ 1109년섭정 기욤 주르당
베르트랑1109년 ~ 1112년트리폴리 함락 후 초대 백작
퐁스1112년 ~ 1137년
레이몽 2세1137년 ~ 1152년암살자에게 살해됨
레이몽 3세1152년 ~ 1187년
레이몽 4세1187년 ~ 1189년안티오크의 보에몽 3세의 아들
보에몽 4세1189년 ~ 1233년안티오키아 공국 공작 겸임 (1201년 ~ 1216년, 1219년 ~ 1233년)
보에몽 5세1233년 ~ 1252년안티오키아 공국 공작 겸임
보에몽 6세1252년 ~ 1275년안티오키아 공국 공작 겸임 (1251년 ~ 1268년)
보에몽 7세1275년 ~ 1287년
루시아1287년 ~ 1289년맘루크 왕조에 의해 멸망


3. 1. 트리폴리 백작 (1102년 ~ 1289년)


  • 툴루즈 백작 레몽 (1102년 ~ 1105년)[7]
  • 알퐁스 주르당 (1105년 ~ 1109년), 섭정 기욤 주르당[7]
  • 베르트랑 (1109년 ~ 1112년)[7]
  • 퐁스 (1112년 ~ 1137년)
  • 레몽 2세 (1137년 ~ 1152년)
  • 레몽 3세 (1152년 ~ 1187년)
  • 레몽 4세 (1187년 ~ 1189년), 안티오크의 보에몽 3세의 아들
  • 보에몽 4세 (1189년 ~ 1233년, 안티오크 공국 공작 겸임 1201년 ~ 1216년 및 1219년 ~ 1233년)
  • 보에몽 5세 (1233년 ~ 1252년, 안티오크 공작 겸임)
  • 보에몽 6세 (1251년 ~ 1275년, 안티오크 공작 겸임 1251년 ~ 1268년)
  • 보에몽 7세 (1275년 ~ 1287년)
  • 루시아 (1287년 ~ 1289년)

4. 정치와 사회

제1차 십자군 지도자 중 한 명인 레몽은 1102년 트리폴리를 포위했다. 레몽은 제노바 함대의 도움을 받아 트리폴리 북쪽의 타르투스, 주바일을 점령하고 1103년에는 트리폴리 정면 요새를 확보했다. 1105년 레몽 사후, 그의 조카 기욤 주르당이 섭정을 맡아 포위를 이어갔다.

1109년 레몽의 서자 베르트랑이 동방에 도착해 기욤과 계승권을 다투었으나, 예루살렘 왕국 등의 지원으로 7월 12일 트리폴리가 함락되며 베르트랑이 초대 영주가 되었다. 트리폴리 백국은 해안 국가로 방어가 용이했고, 레바논 중, 남부 연안을 지배했다. 센달직, 세마이트직 등 특산물을 바탕으로 제노바, 베네치아와 활발히 교역했다.

트리폴리 백국은 안티오키아 공국과 동군연합 형태로 통치되기도 했다. 안티오키아 공국 멸망 후에도 존속했으나, 보에몽 7세 사후 후계자 분쟁이 발생했다. 보에몽 7세의 누이 루시아는 제노바의 지원을 받는 시민들과 갈등을 빚었고, 결국 맘루크 왕조 술탄 카라운과 연합한 세력에 의해 1289년 함락되어 멸망했다. 카라운은 트리폴리가 일 한국의 몽골 제국 아랍 침략에 가담한 것에 대한 복수를 명분으로 내세웠다.

4. 1. 정치 구조

트리폴리 백국은 자치 국가였다.[8] 건국에 기여했음에도 불구하고, 예루살렘 왕 보두앵 1세는 트리폴리 백국을 직접 통치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리폴리 백국은 그에게 봉신 의무(충성)와 봉신 선서(충성 선언)를 했고, 보두앵 1세는 그 대가로 어려움에 처한 백국을 지원했다.[3]

세르다뉴 백작 윌리엄(William-Jordan)은 레이몽 4세의 사촌이자 동료였으며, 갈릴리 공작 탕크레드의 지지를 받았으나, 트리폴리 정복 이후 그의 계승은 레이몽 4세의 서자 베르트랑 드 툴루즈에 의해 도전받았다.[7] 제노바 공화국의 대규모 함대와 상당한 병력을 이끌고 온 베르트랑 드 툴루즈는 예루살렘 왕 보두앵 1세의 지지를 받았다.[3]

볼드윈 1세는 계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할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에 따르면 윌리엄은 트리폴리 북부를 소유하고 탕크레드에게 충성을 맹세해야 했으며, 베르트랑은 볼드윈의 봉신으로 트리폴리 남부를 소유하게 되었다.[4] 연합된 기독교 세력의 공격으로 트리폴리는 1109년 7월 12일에 함락되었고, 이로써 예루살렘 왕국이 완성되었다.[3] 윌리엄이 화살에 맞아 심장에 관통당해 사망하자(일부는 살해라고 주장한다), 베르트랑이 트리폴리 백작이 되었다.[7]

4. 2. 사회 계층

제1차 십자군 이후 레몽이 건국한 트리폴리 백국은 레바논 중, 남부 연안을 지배하며, 지중해 상업 국가들과 활발한 교역을 벌였다. 사회 계층은 귀족, 기사, 성직자, 평민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제노바베네치아 등 이탈리아 해양 도시 출신 상인들은 비귀족임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사회적 지위를 누렸다.[6] 이들의 영향력은 트리폴리 백국의 정치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1287년 보에몽 7세 사후 권력 공백기에 트리폴리 영주들이 제노바 상인 베네데토 1세 자카리아에게 통치를 제안한 것이 그 예이다.[19]

4. 3. 종교

트리폴리 백국은 예루살렘 왕국의 백작령이었지만, 종교 문제에서는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했다. 예루살렘 왕국의 다른 백작령들은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의 지도를 따라야 했지만, 트리폴리 백작 은 안티오크와 동맹을 맺고 안티오크 라틴 총대주교의 권위를 인정했는데, 이는 교황의 반대 칙령에도 불구하고 유지되었다.[3]

5. 경제

트리폴리 백국은 지중해 연안에 위치하여 해상 무역이 발달하였다. 제1차 십자군 원정 이후 제노바베네치아 등 이탈리아 해양 도시 국가들과 활발하게 교역하였다. 특히 제노바는 레몽에게 함대를 지원하여 타르투스, 주바일을 점령하는데 도움을 주었고, 1109년 트리폴리 함락에도 기여하는 등 트리폴리 백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9]

5. 1. 농업

트리폴리 백작령은 최대 영토였을 때 북쪽으로는 마라클레아, 남쪽으로는 베이루트까지 해안선을 장악했다. 내륙으로는 크레 드 슈발리에 요새까지 지배력을 행사했다. 호무스 계곡의 비옥한 내륙 농지는 라 보케(La Bocquée)로 알려져 있었다.[9]

5. 2. 무역

트리폴리 백국은 센달직이나 세마이트직이라 불리는 비단, 면직물, 라샤 등의 특산물이 있어 제노바, 베네치아 등 해양 상업 국가들과 활발하게 교역했다.[9] 제노바는 군사적 원조의 대가로 트리폴리 주변 토지의 약 4분의 1과 주바일을 하사받았으며,[3] 트리폴리 내에서 특별한 사회적 지위를 누렸다.[6]

트리폴리 백작령 주화: 아랍어로 쓰인 금화 베잔트(1270~1300년), 트리폴리 은 그로(1275~1287년). 영국 박물관.

6. 문화

트리폴리 백국의 문화는 십자군 국가로서 서유럽의 영향을 받았지만, 중동 지역의 문화와 융합된 특징을 보였다.

6. 1. 건축

레몽 생 질은 1103년 트리폴리를 점령하기 위해 도시 정면에 요새를 건설하고 포위했다. 이후 "몽 페레그랭"(프랑스어: Mont Pèlerin)이라고 불리는 자연 능선 위에 대규모 요새인 트리폴리 성채를 건설했다. 이 성채는 "생질 성"으로도 알려져 있었다.[9]

좁은 해안 평야를 점령했지만, 산맥은 트리폴리 백국의 천연 방어선이었다. 산길을 방어하기 위해 여러 성채가 건설되었다.[9] 1137년 레이몽 2세는 몽페랑을 잃었다.[3] 1144년에는 요한 기사단에게 크라크 데 슈발리에, 아나즈, 텔 칼락, 칼라트 엘 펠리스, 마르다베크 성을 포함한 넓은 국경 지대를 할양했다.[2][10] 1150년대에는 해안가의 타르투스에 템플 기사단이 주둔하면서 방어가 더욱 강화되었다.[11][12]

1170년 6월 29일 지진으로 크라크 데 슈발리에, 샤텔 블랑[10] 그리고 알아리마의 방어 요새들이 피해를 입었고, 트리폴리 시의 성모 마리아 대성당이 파괴되었다.[13]

7. 트리폴리 백국의 봉신

트리폴리 백작령은 해안 항구를 중심으로 여러 영지로 나뉘었다. 트리폴리 백작은 트리폴리 항구와 그 주변 지역, 그리고 동쪽에 있는 몽페랑을 직접 통치했다.[3] 제노바 공화국은 군사 원조의 대가로 트리폴리 주변 토지의 약 4분의 1을 받았으며, 제노바 제독 구글리엘모 엠브리아코는 주베일을 하사받았다.[3]

산맥은 트리폴리 백국의 천연 방어선 역할을 했다. 1137년, 레이몽 2세는 몽페랑을 잃었다.[3] 1144년, 레이몽 2세는 요한 기사단에 크라크 데 슈발리에를 포함한 넓은 국경 지대를 할양하여 잔기에 대한 방어를 강화했다.[2] 1150년대에는 타르투스에 템플 기사단이 주둔하면서 방어가 더욱 강화되었다.[11][12]

7. 1. 주요 봉신 목록


  • 몽페랑 백작령
  • 베스메딘 영지
  • 보트론 영지
  • 뷔세라 영지
  • 칼몽 영지
  • 샤스텔 블랑 영지
  • 샤스텔 루주 영지
  • 퐁텐 영지
  • 기벨라카르 영지
  • 지벨렛 영지
  • 라 콜레 영지
  • 르 퓌 영지
  • 므와네트르 영지
  • 네핀 영지
  • 라이사지움 몽타네 영지
  • 테라 갈리파 영지
  • 토클레 영지
  • 토르토사 마라클레아 영지
  • 크라크 데 슈발리에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Byzantium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 서적 The Knights Hospitaller in the Levant, c. 1070–1309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3] 서적 God's war – a new history of the crusades http://www.hup.harva[...] Harvard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New Concise History of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5] 서적 Crusader Castl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The Impact of the Crusades on the Near East https://books.google[...] Univ of Wisconsin Press
[7] 서적 The Creation of the Principality of Antioch, 1098–1130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Ltd
[8] 서적 The Leper King and His Heirs: Baldwin IV and the Crusader Kingdom of Jerusale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07-07
[9] 서적 The Tragedy of the Templars: The Rise and Fall of the Crusader States https://archive.org/[...] Profile Books
[10] 서적 Archaeology of the Military Orders: A Survey of the Urban Centres, Rural Settlements and Castles of the Military Orders in the Latin East (c. 1120–1291) https://books.google[...] Routledge
[11] 서적 Crusade of Kings https://books.google[...] Wildside Press LLC
[12] 서적 The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https://books.googl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13] 서적 The Crusader State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4] 서적 Ancient Earthquakes https://books.googl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15] 서적 The Chronicle of William of Puylaurens: The Albigensian Crusade and Its Aftermath https://books.google[...] Boydell Press
[16] 서적 History of the Templars
[17] 서적 Estoire d'Eracles
[18] 서적 From Slave to Sultan: The Career of Al-Manṣūr Qalāwūn and the Consolidation of Mamluk Rule in Egypt and Syria (678–689 A.H./1279–1290 A.D.) https://books.google[...] Franz Steiner Verlag
[19] 서적 Crusader Art in the Holy Land, From the Third Crusade to the Fall of Ac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서적 A History of Byzantium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