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투크 왕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투크 왕조는 11세기 오구즈 투르크만족에서 기원하여 아나톨리아 동부와 시리아 북부 지역에서 활동한 왕조이다. 대셀주크 제국의 지배를 받다가 독립하여 디야르바크르를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십자군 전쟁 시기에는 예루살렘을 잃고 여러 분파로 나뉘어 젠기 왕조, 아이유브 왕조 등과 대립하며 세력을 유지했다. 15세기 초 티무르 제국과 카라 코윤루의 압박으로 멸망할 때까지 마르딘을 중심으로 문화적 업적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세기 폐지 - 맘루크 술탄국
맘루크 술탄국은 1250년부터 1517년까지 이집트와 레반트를 통치한 이슬람 왕조로, 노예 출신 군인인 맘루크들이 세웠으며, 바흐리 왕조와 부르지 왕조 시대를 거쳐 강력한 군사력과 행정 시스템을 기반으로 번성했으나, 내부 분쟁과 흑사병, 유럽의 해상 무역 확장으로 쇠퇴하여 오스만 제국에 멸망, 이슬람 문화의 중심지로서 독특한 문화유산을 남겼다.
아르투크 왕조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아르투크 국가 |
일반 명칭 | 아르투크 |
원어 명칭 | Artuklu Beyliği (튀르키예어) |
원어 명칭 (다른 표기) | Artuklular (튀르키예어), Artukoğulları (튀르키예어) |
다른 원어 명칭 | Artykly begligi, Artykogullary (튀르크멘어), Artuklu bəyliyi, Artıqlılar (아제르바이잔어) |
위치 | 시리아, 튀르키예 |
![]() | |
역사 | |
건국 | 1102년 |
멸망 | 1409년 |
주요 사건 | 장기 왕조의 점령 (알레포, 1127년) |
주요 사건 2 | 아이유브 왕조의 종속국 (하산케이프, 1232년) |
주요 사건 3 | 룸 술탄국의 점령 (하르푸트, 1234년) |
주요 사건 4 | 카라 코윤루의 합병 (마르딘) |
정치 | |
정치 체제 | 베이 |
수도 | 하산케이프, 디야르바키르, 하르푸트, 마르딘 (연대순) |
통치 민족 | 되게르족 (튀르크족) |
언어 | |
공용어 | 튀르크어, 아랍어, 시리아어 |
종교 | |
종교 | 수니 이슬람 |
경제 | |
통화 | 디나르 |
이전 국가 | |
이전 | 셀주크 제국 |
이전 2 | 마르완 왕조 (디야르 바크르) |
계승 국가 | |
계승 | 카라 코윤루 |
2. 역사
아르투크 왕조는 오구즈족계 투르크멘 출신의 셀주크 제국계 아타벡 정권으로, 디야르바크르(디야르바크르는 지방명. 오늘날의 디야르바크르 도시는 아미드라고 불렸다) 등 쿠르디스탄 또는 북부 자지라를 11세기부터 15세기까지 지배하였다. 아르투크가 말리크 샤 1세 휘하에서 일하며 남부 쿠르디스탄에 영지를 얻은 이후, 이 지역을 근거지로 하여 사파비 왕조·오스만 제국 시대에 이르는 긴 기간 동안 독립 또는 반독립 왕조를 건설하였다.
초기에 아르투크의 아들 일가지, 수크만은 시리아로 진출하여 한때 알레포를 점령하기도 하였다. 이 시기는 제1차 십자군의 도래와 겹치며, 그들은 각각 십자군과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초기 성전의 영웅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르투크 왕조의 시리아 개입은 12세기 초 약 20년에 불과하며, 대부분의 시대에 아르투크 왕조는 디야르바크르의 소규모 지방 정권이었다. 아나톨리아로 들어가는 관문인 디야르바크르에서 아르투크 왕조의 존재는 투르크멘의 아나톨리아로의 간헐적인 유입에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아나톨리아 동부 산악 지대는 투르크멘 외에도 아르메니아인(비칼케돈파 정교회), 조지아인(그리스 정교회계 정교회) 등의 기독교인, 그리고 쿠르드인 등 종교적·민족적으로 매우 다양한 지역이었지만, 이 지역에서 아르투크 왕조 등 소규모 여러 세력의 흥망이 반복되는 상황이 오랫동안 지속되었던 것이 오늘날까지 이 지역의 특징을 규정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시조 아르투크는 오구즈계 투르크만족의 듀젤족 출신으로, 아나톨리아 동부에 거주하며 초기에는 동로마 제국 황제 미카엘 7세 두카스에게 복속과 대항을 반복했다. 후에 대셀주크 제국의 3대 술탄 말리크 샤 1세의 부하가 되어 여러 작전에 참가했다. 이를 통해 아르투크는 남부 쿠르디스탄의 요충지 할완을 이크타로 받게 되어 아르투크 왕조의 기반이 형성되었다.
아르투크는 1085년, 모술과 알레포를 지배하는 우카일 왕조의 샤라프 앗다울라 무슬림과 동맹하여 독립을 꾀했으나, 1086년 무슬림이 사망하자 투투시 1세에게 재복속하게 되었다. 투투시는 아르투크에게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하는 팔레스타인을 주었다. 1091년경 아르투크가 사망하자, 아들 수크만과 일가지가 뒤를 이었다.
투투시 1세는 말리크 샤 1세 사후인 1092년부터 1095년까지 대셀주크 제국 술탄의 지위를 노리고, 바르키야르크와 무함마드 타파르와 싸웠고, 이와 함께 아르투크 가문 세력을 자지라에 도입했다. 투투시 1세가 죽자, 시리아 셀주크 왕조는 알레포의 리드완과 다마스쿠스의 두카크 형제 간의 싸움이 시작되었는데, 아르투크 가문은 리드완을 지지했다.
2. 1. 초기 역사 (11세기 - 12세기 초)

아르투크 왕조는 오구즈계 투르크멘 출신인 아르투크에 의해 건국되었다. 아르투크는 처음에는 셀주크 제국의 말리크 샤 1세 휘하에서, 그 후에는 다마스쿠스의 셀주크 에미르인 투투시 1세 휘하의 장군으로 활동했다. 1086년, 투투시는 아르투크를 예루살렘 총독으로 임명했다. 1091년 아르투크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인 소크멘과 일가지가 예루살렘을 다스렸다. 그러나 1098년 파티마 왕조의 베지르인 알 아프달 샤한샤에 의해 예루살렘에서 축출되었다. 이듬해 파티마 왕조는 제1차 십자군의 1099년 예루살렘 공성전으로 예루살렘을 잃게 되었다.[4]
소크멘과 일가지는 알자지라의 디야르바크르, 마르딘, 하산케이프에 세력을 구축하여 셀주크 술탄국과 갈등을 빚었다. 1104년, 마르딘의 베이였던 소크멘은 하란 전투에서 십자군을 상대로 승리하였다. 1118년, 일가지는 마르딘에서 소크멘의 뒤를 이었고, 카디인 이븐 알 카샤브의 요청으로 알레포를 장악했다. 1119년, 일가지는 아게르 산귀니스 전투에서 십자군 국가인 안티오키아 공국을 격파했다.[4]

2. 2. 시리아 지역으로의 확장 (12세기 초 - 12세기 중반)
일가지는 1118년 알레포의 카디(재판관)인 이븐 알 카샤브의 요청으로 알레포를 장악했다. 1119년 아게르 산귀니스 전투에서 안티오키아 공국을 패퇴시켰다.[4]일가지는 에데사 백작령을 약탈한 후 십자군과 평화를 맺었다. 1121년 조지아를 침공했지만 조지아의 다비드 4세에게 디드고리 전투에서 패배했다. 1122년 사망했고, 그의 조카 벨렉 가지가 알레포를 명목상 통치했지만, 실제로는 이븐 알 카샤브가 통제했다. 이븐 알 카샤브는 1125년 암살단에 의해 살해되었고, 알레포는 1128년 젠기의 통치하에 들어갔다. 벨렉 가지 사후 아르투크 왕조는 하르푸트, 하산케이프, 마르딘으로 분열되었다.[4]
일가지는 1107년 무함마드 타팔에 의해 남쪽 자지라에서 디야르바크르로 재봉토를 받았고, 1108년에는 조카 이브라힘으로부터 마르딘을 획득했다. 1110년 무함마드 타팔은 아르투크 가문을 비롯한 여러 세력을 통합하여 반 십자군 전쟁을 시도했으나, 일가지와 아흐라트의 수크만 알쿠투비 사이에 불화가 생겨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후 아르투크 왕조는 술탄의 반십자군 전쟁 참가에 신중해졌다.
1114년 일가지는 무함마드 타팔 휘하 모술의 통치자 악순쿨 알부르시에 대항하는 투르크멘 부족 연합을 형성하고, 다마스쿠스의 아타베크 투그테킨, 십자군의 안티오키아 공국과 함께 모술 및 무함마드 타팔과 싸웠으며, 이는 1115년 셀주크 군의 대패 원인이 되었다.
1118년 무함마드 타팔의 죽음으로 셀주크 제국의 위협에서 해방된 일가지는 다시 반십자군 전쟁에 나섰다. 알레포의 카디, 이븐 알하샤브의 요청에 따라 남하하여 알레포에 들어가, 리드완의 딸과 결혼하여 미성년 군주 술탄 샤의 후견인으로서 정권을 계승했다.
일가지는 다마스쿠스의 투그테킨과 동맹하여, 1119년 7월 28일, 안티오키아 공국군과 살마다 평야에서 회전하여 대승을 거두었다. 이로 인해 안티오크는 무방비 상태에 놓이지만, 일가지는 십자군을 포함한 조지아, 비잔티움 등 기독교 세력과의 전면적인 대결을 원하지 않고, 안티오크 공략전을 하지 않고 철수했다. 1121년, 조지아와 전쟁 중이던 대셀주크 제국의 술탄 마흐무드 1세는 조지아 침공을 명령했으나, 일가지는 조지아의 다비드 4세와 싸워 대패했고, 셀주크 제국은 티플리스(현재의 트빌리시)를 잃었다. 이때 전공으로 일가지는 디야르바크르에서 마지막 셀주크 제국의 거점인 마야파르킨을 획득했다. 일가지는 1122년, 마야파르킨에서 사망했고, 아들 중 슬라이만이 마야파르킨과 알레포를, 티무르타시가 마르딘을 계승했다.
2. 3. 분열과 쇠퇴 (12세기 중반 - 15세기)
아르투크 왕조는 12세기 중반 벨렉 가지 사후 하르푸트, 하산케이프, 마르딘 분파로 분열되었다. 1144년 하산케이프의 다우드가 사망하고 카라 아슬란이 뒤를 이었다. 카라 아슬란은 에데사의 조슬랭 2세와 동맹을 맺고 젠기 왕조에 대항했으나, 1144년 에데사 공성전에서 젠기 왕조가 승리하면서 누르 앗딘 젠기의 봉신이 되었다.[9]카라 아슬란의 아들 누르 알 딘 무하마드는 룸 술탄국의 킬리지 아르슬란 2세에 대항해 아이유브 왕조의 살라딘과 동맹을 맺었다. 살라딘은 킬리지 아르슬란 2세와의 평화협정에서 아르투크 영토를 장악했지만, 아르투크 왕조는 여전히 모술의 봉신이었다.[9] 1194년 셀주크 제국이 붕괴된 후, 아르투크 왕조는 알자지라를 명목상 통치했지만 아이유브 왕조의 지배하에 점차 세력이 약화되었다.
1198년 하산케이프 분파는 디야르바크르를 정복하고 중심지를 옮겼으나, 1231년 룸 술탄국과 동맹을 맺으려다 아이유브 왕조에 의해 멸망했다. 하르푸트 분파는 아이유브 왕조와 룸 술탄국 사이에서 줄타기 외교를 펼쳤으나 결국 룸 술탄국에 의해 멸망했다. 마르딘 분파는 아이유브 왕조, 룸 술탄국, 일칸국, 티무르 제국의 봉신으로 복속되어 비교적 오랫동안 생존했다.[9] 알 무자파르 파크르 알 딘 카라 아르슬란 (재위 1260-1292)은 몽골의 훌레구에게 복종했다.[9]
1409년, 카라 코윤루가 마르딘을 점령하면서 아르투크 왕조는 완전히 멸망했다.[4]
3. 문화
아르투크 왕조는 끊임없는 전쟁에도 불구하고 건축, 예술,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문화적 유산을 남겼다.
아르투크 통치자들은 백성을 위해 모스크, 바자르, 다리, 병원, 목욕탕과 같은 많은 공공 건물을 건설하여 사회 기반 시설 확충에 힘썼다. 특히, 금속 세공 기술이 뛰어나 키즐레 대 모스크의 문과 문고리와 같은 독특한 예술 작품을 남겼으며, 이는 현재 터키 이스탄불의 터키와 이슬람 미술관에서 볼 수 있다.[11]
알 수피의 천문학 서적 ''고정된 별들의 책'' 사본 제작을 후원하고, 아부 살림 알말티에게 ''약물의 성질에 관하여''의 새로운 아랍어 번역을 의뢰하는 등 아랍어 문학 작품 후원에도 기여했다. 또한, 알자자리의 ''기계 장치 제작 백과사전'' 판본 제작을 의뢰하여 과학 기술 발전에도 영향을 미쳤다.[13][14][15]
3. 1. 건축
아르투크 왕조는 끊임없는 전쟁에도 불구하고 많은 건축물을 남겼다. 아르투크 통치자들은 백성을 위해 모스크, 바자르, 다리, 병원, 목욕탕과 같은 많은 공공 건물을 건설했다. 키즐레 대 모스크의 문과 문고리는 아르투크 금속 세공 기술의 독특한 예시이며, 터키 이스탄불의 터키와 이슬람 미술관에서 볼 수 있다.[11][12]디야르바크르 성벽에 중요한 부분을 추가했는데, 우르파 문은 카라 아르슬란의 아들 무함마드에 의해 재건되었다. 서쪽 벽의 같은 지역, 우르파 문 남쪽에는 울루 베덴과 예디 카르데시라는 두 개의 인상적인 탑이 1208년 아르투크 통치자 나시르 알-딘 마흐무드에 의해 건설되었는데, 그는 예디 카르데시 탑을 직접 설계하고 벽에 아르투크 쌍두 독수리를 새겼다.
마르딘의 대형 카라반사라이와 토목 공학적 업적인 말라바디 다리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부분적으로 남아있는 하산케이프 옛 다리는 1116년 카라 아르슬란에 의해 건설되었다.
마르딘과 실반의 대 모스크는 아마도 12세기 동안 여러 아르투크 통치자들에 의해 기존 셀주크 건물을 기반으로 상당히 발전했을 것이다. 두나이시르(현재 키즐르테페)의 회중 모스크는 율뤼크 아르슬란(1184~1203)이 의뢰하여 1204년 그의 사후에 그의 형제 아르투크 아르슬란(1203~1239)에 의해 완공되었다.
3. 2. 예술

아르투크 왕조는 많은 건축물을 남겼으며, 특히 금속 세공 예술에 뛰어난 업적을 보였다. 아르투크 통치자들은 백성을 위해 모스크, 바자르, 다리, 병원, 목욕탕과 같은 많은 공공 건물을 건설했다.[11]
키즐레 대 모스크의 문과 문고리는 아르투크 금속 세공 기술의 독특한 예시이며, 터키 이스탄불의 터키와 이슬람 미술관에서 볼 수 있다.[11]
이 외에도 마르딘의 대형 카라반사라이와 토목 공학적 업적인 말라바디 다리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부분적으로 남아있는 하산케이프 옛 다리는 1116년 카라 아르슬란에 의해 건설되었다.[11]
마르딘과 실반의 대 모스크는 12세기 동안 여러 아르투크 통치자들에 의해 기존 셀주크 건물을 기반으로 발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두나이시르(현재 키즐르테페)의 회중 모스크는 율뤼크 아르슬란(1184~1203)이 의뢰하여 1204년 그의 사후에 그의 형제 아르투크 아르슬란(1203~1239)에 의해 완공되었다.[11]
3. 3. 문학
아르투크 왕조는 아랍어 문학 작품을 후원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13] 1131년 아르투크 왕조의 마르딘에서는 알 수피의 천문학 서적 ''고정된 별들의 책'' 사본이 제작되었는데, 이 책은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와 아랍 천문학 전통을 종합한 것이다.[13] 카라 아르슬란(1148~1174년)은 아부 살림 알말티에게 ''약물의 성질에 관하여''의 새로운 아랍어 번역을 의뢰하기도 했다.[13]아르투크 왕조의 통치자 나시르 알딘 마흐무드(재위 1201~1222년)는 1206년 4월 알자자리의 ''기계 장치 제작 백과사전'' 판본 제작을 의뢰했다.[14][15] 이 책에 나오는 미니어처는 당시 아르투크 왕실의 여러 모습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4] 알자자리는 12세기 후반기에 아르투크 왕실에 고용되었으며, 이 필사본은 그의 작품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필사본 속 많은 인물들은 긴 코트와 부츠, 그리고 샤르부시 모자를 쓴 투르크식 의상을 하고 있는데, 이 모자는 아르투크 필사본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유형이다.[16]
''하리리의 마카마''의 초기 판본도 아르투크 화파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7]
4. 통치자 목록
아르투크의 아들 일가지는 1104년부터 1122년까지 마르딘을 통치했다.[20] 그의 사후 아들들이 마르딘과 알레포를 나누어 통치하면서, 아르투크 왕조는 여러 분파로 나뉘게 되었다.
{| class="wikitable"
|+ 아르투크 왕조 분파별 통치자 목록
|-
! 하산케이프 분파 !! 하르푸트 분파 !! 마르딘 분파 !! 알레포 분파
|-
|
통치자 | 재위 기간 |
---|---|
석멘 | 1102년 ~ 1104년 |
이브라힘 | 1104년 ~ 1109년 |
다우드 | 1109년 ~ 1144년 |
카라 아르슬란 | 1144년 ~ 1174년 |
무함마드 | 1174년 ~ 1185년 |
석만 2세 | 1185년 ~ 1201년 |
마흐무드 | 1201년 ~ 1222년 |
마우두드 | 1222년 ~ 1232/33년 |
||
통치자 | 재위 기간 |
---|---|
Imad ud-din Abu Bakr|이마드 웃딘 아부 바크르tr | 1185년 ~ 1204년 |
Ibrahim ibn Abu Bakr|이브라힘 이븐 아부 바크르tr | 1203년 ~ 1223년 |
Ahmad Khidr|아흐마드 키드르tr | 1223년 ~ 1234년 |
Artuq Shah|아르투크 샤tr | 1234년 |
||
이름 | 재위 기간 |
---|---|
야쿠티 | 1101년 ~ 1104년 |
알리 이븐 야쿠티 | 1104년 |
석멘 | 1101년 ~ 1104년 |
일가지 | 1107년 ~ 1122년 |
티무르타시 | 1122년 ~ 1154년 |
알피 1세 | 1154년 ~ 1176년 |
일가지 2세 | 1176년 ~ 1184년 |
율룩 아르슬란 | 1184년 ~ 1203년 |
아르투크 아르슬란 | 1203년 ~ 1239년 |
나짐 알딘 가지 1세 | 1239년 ~ 1260년 |
카라 아르슬란 | 1260년 ~ 1292년 |
샴스 알딘 다우드 1세 | 1292년 ~ 1294년 |
나짐 알딘 가지 2세 | 1294년 ~ 1312년 |
알리 알피 2세 | 1312년 |
샴스 알딘 마흐무드 | 1312년 ~ 1364년 |
후삼 알딘 아흐마드 | 1364년 ~ 1367년 |
샴스 알딘 마흐무드 (두 번째 통치) | 1367년 |
파크르 알딘 다우드 2세 | 1367년 ~ 1376년 |
마즈드 알딘 이사 | 1376년 ~ 1407년 |
시하브 알딘 아흐마드 | 1407년 ~ 1409년 |
||
이름 | 재위 기간 |
---|---|
일가지 | 1117년 ~ 1121년 |
술레이만 | 1121년 ~ 1123년 |
벨렉 가지 | 1123년 ~ 1124년 |
티무르타시 | 1124년 ~ 1125년[24] |
알-부르수키 등 | 1125년 ~ 1127년 |
술레이만 (두 번째 통치) | 1127년 ~ 1128년 |
|}
4. 1. 하산케이프 분파
아르투크 왕조는 처음에 하산케이프(Ḥiṣn Kaifā)를 근거지로 삼았다가 1183년에 디야르바키르(아미드)로 수도를 옮겼다.[20] 하산케이프 분파의 통치자들은 다음과 같다.통치자 | 재위 기간 |
---|---|
석멘(Sökmen) | 1102년 ~ 1104년 |
이브라힘(Ibrahim) | 1104년 ~ 1109년 |
룩누 알-다울라 다우드(Rukn al-Dawla Dāʾūd) | 1109년 ~ 1144년 |
카라 아르슬란(Kara Arslan) | 1144년 ~ 1174년 |
누르 알-딘 무함마드(Nūr al-Dīn Muḥammad) | 1174년 ~ 1185년 |
석만 2세(Sökmen II) | 1185년 ~ 1201년 |
나시르 알-딘 마흐무드(Nāṣir al-Dīn Maḥmūd) | 1201년 ~ 1222년 |
룩누 알-딘 마우두드(Rukn al-Dīn Mawdūd) | 1222년 ~ 1232/33년 |
룩누 알-딘 마우두드의 통치 이후, 하산케이프 지파 아르투크 왕조의 영토는 아유브 왕조에게 점령당했다.
4. 2. 하르푸트 분파
Imad ud-din Abu Bakrtr (이마드 우드딘 아부 바크르, 1185년–1204년)는 카라 아르슬란의 아들로, 1185년에 하산케이프에서 독립하여 하르푸트 분파를 세웠다.[21] 그의 아들 Ibrahim ibn Abu Bakrtr (이브라힘 이븐 아부 바크르, 1203년-1223년)가 뒤를 이었고, 이브라힘의 아들 Ahmad Khidrtr (아흐마드 키드르, 1223년-1234년), 아흐마드 키드르의 아들 Artuq Shahtr (아르투크 샤, 1234년) 순으로 이어졌다.[21]1234년, 하르푸트는 룸 셀주크의 술탄 카이쿠바드 1세의 아나톨리아 정복 과정에서 점령당했다.[21]
4. 3. 마르딘 분파
아르투크 베이의 아들 알프-야룩의 아들 야쿠티가 1101년부터 1104년까지 통치했다.[20] 야쿠티의 아들 알리 이븐 야쿠티는 1104년에 통치했다.[20] 아르투크의 아들 석멘은 1101년부터 1104년까지 통치했다.[20] 아르투크의 아들 일가지는 1107년부터 1122년까지 통치했다.[20] 일가지의 아들 티무르타시는 1122년부터 1154년까지 통치했다.[20] 티무르타시의 아들 알피 1세는 1154년부터 1176년까지 통치했다.[20] 알피 1세의 아들 일가지 2세는 1176년부터 1184년까지 통치했다.[20] 일가지 2세의 아들 율룩 아르슬란은 1184년부터 1203년까지 통치했다.[20] 율룩 아르슬란의 아들 아르투크 아르슬란은 1203년부터 1239년까지 통치했다.[20] 율룩 아르슬란의 아들 알-사이드 나짐 알-딘 가지 1세는 1239년부터 1260년까지 통치했다.[20] 가지 1세의 아들 알-무자파르 파크르 알-딘 카라 아르슬란은 1260년부터 1292년까지 통치했으며, 훌레구에게 복속했다.[20][4] 알-무자파르 파크르 알-딘 카라 아르슬란의 아들 알-사이드 샴스 알-딘 다우드 1세는 1292년부터 1294년까지 통치했다.[20] 알-무자파르 파크르 알-딘 카라 아르슬란의 아들 알-만수르 나짐 알-딘 가지 2세는 1294년부터 1312년까지 통치했다.[20] 가지 2세의 아들 알리 알피 2세는 1312년에 통치했다.[20] 가지 2세의 아들 아스-살리흐 샴스 알-딘 마흐무드는 1312년부터 1364년까지 통치했다.[20] 마흐무드의 아들 알-만수르 후삼 알-딘 아흐마드는 1364년부터 1367년까지 통치했다.[20] 마흐무드는 1367년에 다시 통치했다.[20] 마흐무드의 아들 알-무자파르 파크르 알-딘 다우드 2세는 1367년부터 1376년까지 통치했다.[20] 다우드 2세의 아들 알-자히르 마즈드 알-딘 이사는 1376년부터 1407년까지 통치했다.[20] 알-자히르 마즈드 알-딘 이사의 아들 알-살리흐 시하브 알-딘 아흐마드는 1407년부터 1409년까지 통치했다.[20]1409년, 마르딘은 카라 코윤루 투르크멘 부족에 의해 정복되었다.[4]
이름 | 재위 기간 |
---|---|
야쿠티 | 1101년 ~ 1104년 |
알리 이븐 야쿠티 | 1104년 |
석멘 | 1101년 ~ 1104년 |
일가지 | 1107년 ~ 1122년 |
티무르타시 | 1122년 ~ 1154년 |
알피 1세 | 1154년 ~ 1176년 |
일가지 2세 | 1176년 ~ 1184년 |
율룩 아르슬란 | 1184년 ~ 1203년 |
아르투크 아르슬란 | 1203년 ~ 1239년 |
알-사이드 나짐 알-딘 가지 1세 | 1239년 ~ 1260년 |
알-무자파르 파크르 알-딘 카라 아르슬란 | 1260년 ~ 1292년 |
알-사이드 샴스 알-딘 다우드 1세 | 1292년 ~ 1294년 |
알-만수르 나짐 알-딘 가지 2세 | 1294년 ~ 1312년 |
알리 알피 2세 | 1312년 |
아스-살리흐 샴스 알-딘 마흐무드 | 1312년 ~ 1364년 |
알-만수르 후삼 알-딘 아흐마드 | 1364년 ~ 1367년 |
아스-살리흐 샴스 알-딘 마흐무드 (두 번째 통치) | 1367년 |
알-무자파르 파크르 알-딘 다우드 2세 | 1367년 ~ 1376년 |
알-자히르 마즈드 알-딘 이사 | 1376년 ~ 1407년 |
알-살리흐 시하브 알-딘 아흐마드 | 1407년 ~ 1409년 |
4. 4. 알레포 분파
- 일가지(Ilghazi), 아르투크의 아들, 1117년–1121년
- 바드르 아드-다울라 술레이만(Badr ad-Dawlah Süleiman), 아르투크의 아들 아브드 알-자바르의 아들, 1121년–1123년
- 벨렉 가지(Belek Ghazi), 아르투크의 아들 바흐람 이븐 아르투크의 아들, 1123년–1124년
- 티무르타시(Timurtash), 일가지의 아들, 1124년–1125년[24]
- 알-부르수키(al-Bursuqi)와 다른 여러 셀주크 왕조 인물들, 1125년–1127년
- 바드르 아드-다울라 술레이만(Badr ad-Dawlah Süleiman) (두 번째 통치), 1127년–1128년
5. 가계도
6. 평가
아르투크 왕조는 오구즈족계 투르크멘 출신의 셀주크 제국계 아타벡 정권으로, 11세기부터 15세기까지 디야르바크르(오늘날의 디야르바크르 도시는 아르미드라고 불렸다) 등 쿠르디스탄 또는 북부 자지라 지역을 지배하였다.[1] 아르투크 왕조는 시조 아르투크가 남부 쿠르디스탄에 영지를 얻은 이후 이 지역을 근거지로 하여 사파비 왕조와 오스만 제국 시대까지 독립 또는 반독립 왕조를 유지하였다.[1]
초기에 아르투크의 아들 일가지, 수크만, 바라크는 시리아로 진출하여 알레포를 점령하기도 하였는데, 이 시기는 제1차 십자군의 도래와 겹치며, 이들은 십자군과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초기 성전의 영웅으로 알려졌다.[1]
그러나 아르투크 왕조의 시리아 개입은 12세기 초 약 20년에 불과하며, 대부분의 기간 동안 아르투크 왕조는 디야르바크르의 소규모 지방 정권이었다.[1] 아나톨리아로 들어가는 관문인 디야르바크르에서 아르투크 왕조의 존재는 투르크멘의 아나톨리아 유입에 큰 영향을 주었다.[1] 아나톨리아 동부 산악 지대는 아르메니아인(비칼케돈파 정교회), 조지아인(그리스 정교회계 정교회) 등 기독교인과 쿠르드인 등 다양한 종교와 민족이 섞여 있는 지역이었지만, 이 지역에서 아르투크 왕조를 비롯한 소규모 세력들이 흥망을 반복하는 상황이 오랫동안 지속되면서 오늘날까지 이 지역의 특징을 규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1]
참조
[1]
서적
The Mediaeval Islamic Underworld: The Banū Sāsān in Arabic life and lore
E.J. Brill
1976
[2]
서적
Islamic Desk Reference
Brill
1994
[3]
웹사이트
Артук Гази, артукиды и их первые тюркские бейлики в Анатолии
https://www.trt.net.[...]
TRT Russian
2016-12-22
[4]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Edinburg University Press
2019-06-01
[5]
웹사이트
The Islamic-Byzantine Frontier: Interaction and Exchange Among Muslim and Christian Communiti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4-11-18
[6]
서적
The assemblies of al-Hariri : fifty encounters with the Shaykh Abu Zayd of Seruj
https://archive.org/[...]
London : Octagon Press
1980
[7]
학술지
Automated Slaves, Ambivalent Images, and Noneffective Machines in al-Jazari's Compendium of the Mechanical Arts, 1206.
https://journals.ub.[...]
2022-12-19
[8]
서적
A world of beasts: a thirteenth-century illustrated Arabic book on animals (the Kitāb Na't al-Ḥayawān) in the Ibn Bakhtīshū' tradition
Brill
2012
[9]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9-06-01
[10]
논문
The History of the Jazīra 1100-1150: the contribution of Ibn Al-Azraq al-Fāriqī
University of Edinburgh
1979
[11]
서적
Court and Cosmos: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 MetPublications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
[12]
서적
Court and Cosmos: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 MetPublications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
[13]
서적
Artistic Aspects of Sultan Bayezid II's Book Treasury Collection: Extant Volumes Preserved at the Topkapı Palace Museum Library (Treasures of Knowledge: An Inventory of the Ottoman Palace Library (1502/3-1503/4) (2 vols))
Brill
2019-08-01
[14]
학술지
Automated Slaves, Ambivalent Images, and Noneffective Machines in al-Jazari's Compendium of the Mechanical Arts, 1206.
https://journals.ub.[...]
2022-12-19
[15]
학술지
Evidence for a School of Painting at the Artuqid Court
https://www.academia[...]
1985-01-01
[16]
학술지
Evidence for a School of Painting at the Artuqid Court
https://www.academia[...]
1985-01-01
[17]
학술지
Evidence for a School of Painting at the Artuqid Court
https://www.academia[...]
1985-01-01
[18]
서적
Artistic Aspects of Sultan Bayezid II's Book Treasury Collection: Extant Volumes Preserved at the Topkapı Palace Museum Library (Treasures of Knowledge: An Inventory of the Ottoman Palace Library (1502/3-1503/4) (2 vols))
Brill
2019-08-01
[19]
학술지
Automated Slaves, Ambivalent Images, and Noneffective Machines in al-Jazari's Compendium of the Mechanical Arts, 1206.
https://journals.ub.[...]
2022-12-19
[20]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6
[21]
서적
Devletler ve Hanedanlar
Kültür Bakanlığı Yayınları
1996
[22]
서적
Turkoman Figural Bronze Coins and Their Iconography: The Artuquids
https://books.google[...]
Clio's Cabinet
1992
[23]
서적
Künker Auktion 137 - The De Wit Collection of Medieval Coins, 1000 Years of European Coinage, Part III: England, Ireland, Scotland, Spain, Portugal, Italy, Balkan, the Middle East, Crusader States, Jetons und Weights
https://books.google[...]
Numismatischer Verlag Künker
[24]
서적
Devletler ve Hanedanlar
Kültür Bakanlığı Yayınları
1996
[25]
서적
The Mediaeval Islamic Underworld: The Banū Sāsān in Arabic life and lore
E.J. Brill
1976
[26]
서적
Islamic Desk Reference
Brill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