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틴두프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틴두프 주는 알제리의 주로, 모로코와의 국경 분쟁 지역이며,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다. 자이아니드 시대에 드라 강 지역을 통치하던 셰이크의 지배를 받았으며, 이후 여러 차례 파괴와 재건을 거쳤다. 1963년 모로코와 알제리 간의 모래 전쟁이 발발했고, 서사하라 분쟁으로 인해 많은 난민이 유입되었다. 틴두프는 알제리군 기지가 있으며, 1984년 베샤르 주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틴두프주 - 사하라 난민 캠프
    사하라 난민 캠프는 폴리사리오가 통치하며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의 일부로서 알제리 틴두프 지역에 위치하고 4개의 '윌라야'로 나뉘어 운영되지만, 열악한 환경, 국제 원조 의존, 가족 분리, 난민 수 논쟁, 인권 침해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알제리의 주 - 나마주
    알제리 북서부에 위치한 나마주(州)는 1984년 사이다주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으며 7개의 구와 12개의 코뮌으로 구성되어 있다.
  • 알제리의 주 - 밀라주
    밀라주는 1984년에 알제리의 여러 지역 일부를 통합하여 만들어진 주로서, 13개의 구와 32개의 코뮌으로 구성되어 각 코뮌은 고유한 특색을 지닌다.
틴두프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틴두프주
현지 이름ولاية تندوف
로마자 표기Tindouf
국가알제리
유형
중심 도시틴두프
좌표27°41′N 8°8′W
행정 구역
1개
기초 자치체2개
통계
면적159,000 제곱킬로미터
인구 (2008년)약 160,000명 (논쟁의 여지 있음)
알제리인58,193명
사하라위인약 100,000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기타 정보
시간대CET
UTC 오프셋+01
ISO 3166-2DZ-37
지역 코드+213 (0) 49

2. 역사

자이아니드 시대에 틴두프 주를 둘러싼 드라 지역은 자이아니드의 셰이크가 통치했다.[2] 틴두프 마을은 1852년 타자칸트족에 의해 고립된 사하라 오아시스 근처에 재건되었으나,[3][4] 1895년 레기바트족에 의해 약탈당하고 파괴되었다.[5] 이후 한동안 버려진 상태로 남아 있다가, 1934년 프랑스 군대가 도착하여 이 지역을 프랑스령 알제리 영토에 병합했다.[6]

알제리 독립 이후, 모로코 왕국은 틴두프 지역을 포함한 서부 알제리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7][8] 1963년 모래 전쟁을 일으켰다.[9] 양국 간의 국경 문제는 1972년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의 중재로 합의에 이르렀으나,[10][11] 모로코 내 일부에서는 여전히 이 지역을 역사적 영토로 간주하고 있다.

1974년부터는 인접한 서사하라 지역의 분쟁으로 인해 사하라위인 난민들이 대거 유입되기 시작했다. 특히 1975년 모로코모리타니가 서사하라를 장악하면서 난민 규모가 커졌고, 알제리 정부는 폴리사리오 전선이 틴두프 지역을 기지로 사용하는 것을 허용했다.[12] 이로 인해 틴두프에는 대규모 사하라위 난민 캠프가 조성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으며, 서사하라 전쟁(1975년–1991년) 당시에는 주요 군사 기지로도 활용되었다. 유럽 위원회는 이들 난민의 상황을 "잊혀진 난민"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13]

행정적으로는 1984년에 베샤르주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주가 되었다.

2. 1. 고대 및 중세

자이아니드 시대에 틴두프 주를 둘러싼 드라 지역은 자이아니드의 셰이크가 통치했다.[2]

2. 2. 19세기: 건설과 파괴

틴두프, 1880


틴두프 마을은 1852년 타자칸트 부족 구성원들에 의해 고립된 사하라 오아시스 근처에 재건되었으나,[3][4] 1895년 레기바트 부족에 의해 약탈당하고 파괴되어 버려진 상태로 남게 되었다.[5]

2. 3. 20세기: 프랑스 식민 지배와 알제리 독립



폴리사리오 RASD 박물관


틴두프 마을은 1852년 타자칸트족에 의해 고립된 사하라 오아시스 근처에 세워졌으나,[3][4] 1895년 유목민인 레기바트족에게 약탈당하고 파괴되었다.[5] 이후 한동안 버려진 상태로 남아 있다가, 1934년 프랑스 군대가 도착하여 이 지역을 프랑스령 알제리 영토에 병합했다.[6]

1962년 알제리가 독립한 이후, 모로코 왕국은 1956년부터 틴두프 지역과 서부 알제리가 역사적으로 모로코의 일부였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7] 모로코는 1952년까지 틴두프가 프랑스령 모로코의 일부였으며 아가디르에 행정적으로 속해 있었다는 점, 그리고 알제리 독립 전쟁 중 알제리 민족 해방 전선의 일부 인사들이 했던 약속 등을 근거로 들었다.[8] 그러나 새로 수립된 알제리 공화국은 모로코의 영유권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 갈등은 결국 1963년 틴두프 지역을 포함한 모로코-알제리 국경 지대에서 모래 전쟁으로 이어졌으며, 이 전쟁에는 베샤르주틀렘센주도 관련되었다.[9]

1969년부터 시작된 협상을 통해 1972년 라바트에서 열린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 정상 회담에서,[10] 모로코는 틴두프의 철광석을 공동으로 개발하는 조건으로 알제리와의 국경을 인정했다.[11] 하지만 모로코 사회의 일부와 몇몇 민족주의 정당들은 여전히 틴두프 지역을 역사적인 모로코 영토로 간주하고 있으며, 모로코 의회는 아직 국경 인정을 공식적으로 비준하지 않았다.

1974년부터 분쟁 지역인 스페인령 사하라(현 서사하라)에서 사하라위인 난민들이 틴두프 지역으로 유입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1958년 이프니 전쟁 당시 소요 사태와도 관련이 있었다. 1975년 모로코모리타니가 서사하라 지역을 장악하면서 난민들의 대규모 탈출이 시작되었고, 알제리는 이에 대한 대응으로 민족주의 성향의 사하라위 해방 운동 단체인 폴리사리오 전선이 틴두프 지역을 주요 기지로 사용하는 것을 허용했다.[12] 사하라위 난민 캠프는 1975년에서 1976년 사이에 틴두프에 세워졌으며, 폴리사리오 전선은 현재도 틴두프 시 남쪽에 위치한 대규모 난민 캠프를 운영하며 이 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다. 서사하라 전쟁(1975년–1991년) 중에는 제1차 암갈라 전투(1976)의 기지로 사용되기도 했다. 유럽 위원회는 이들 사하라위 난민을 "잊혀진 난민"이라고 지칭하기도 했다.[13]

이 주는 1984년에 베샤르주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2. 4. 모로코와의 분쟁 (모래 전쟁)



틴두프 주는 알제리 군대의 육군 및 공군 기지가 위치하며, 모로코 국경과 가깝고 4개국 국경이 만나는 지점에 있어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1956년 모로코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이후, 모로코 왕국은 틴두프 지역과 서부 알제리가 역사적으로 모로코의 영토라고 주장하기 시작했다.[7] 이러한 주장은 1952년까지 틴두프가 프랑스령 모로코의 일부였으며 아가디르에 행정적으로 속해 있었다는 점과, 알제리 독립 전쟁 당시 알제리 민족 해방 전선의 일부 인사들이 모로코 측에 영토 반환을 약속했다는 주장에 근거한다.[8]

그러나 1962년 알제리가 독립하면서, 모로코의 이러한 영유권 주장은 새롭게 수립된 알제리 공화국에 의해 거부되었다. 양국 간의 갈등은 결국 1963년, 틴두프 지역을 포함한 국경 지대에서 모래 전쟁으로 이어졌다. 이 전쟁은 틴두프뿐만 아니라 베샤르 주와 틀렘센 주까지 영향을 미쳤다.[9]

1969년부터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 현 아프리카 연합)의 중재 노력이 시작되었고, 1972년 모로코의 수도 라바트에서 열린 OAU 정상 회담에서 양국은 국경 문제에 최종적으로 합의했다.[10] 이 합의에 따라 모로코는 틴두프 지역의 풍부한 철광석 자원을 공동으로 개발하는 조건으로 알제리와의 국경선을 인정했다.[11]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로코 내부의 일부 민족주의 세력과 정당들은 여전히 틴두프 지역이 역사적으로 모로코 영토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으며, 모로코 의회는 아직 이 국경 합의를 공식적으로 비준하지 않은 상태이다.

한편, 1974년부터는 분쟁 지역인 스페인령 사하라(현재의 서사하라)에서 사하라위인 난민들이 틴두프 지역으로 유입되기 시작했다. 이는 1958년 이프니 전쟁 이후 지속된 불안정한 상황과 연관이 있다. 특히 1975년 모로코모리타니가 서사하라 지역을 사실상 분할 점령하면서 대규모 난민 탈출 사태가 발생했다. 이에 알제리 정부는 민족 자결권을 지지하는 입장에서 사하라위 민족 해방 운동 단체인 폴리사리오 전선이 틴두프 지역을 주요 활동 기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12] 1975년과 1976년 사이에 틴두프에는 스마라 난민 캠프, 엘 아이운 난민 캠프 등 대규모 사하라위 난민 캠프가 건설되었다. 폴리사리오 전선은 현재까지도 틴두프 시 남쪽에 위치한 이 난민 캠프들을 운영하며 서사하라 독립 운동을 이어가고 있다. 유럽 위원회는 이들 사하라위 난민의 어려운 상황을 지적하며 "잊혀진 난민"이라고 부르기도 했다.[13]

틴두프 지역은 서사하라 전쟁(1975년–1991년) 중에는 제1차 암갈라 전투(1976년) 당시 폴리사리오 전선의 주요 기지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2. 5. 서사하라 분쟁과 난민 유입

1974년부터 분쟁 지역인 스페인령 사하라(현재의 서사하라)에서 사하라위인 난민들이 틴두프 지역으로 유입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앞서 1958년 소요로 인한 것이었다. 1975년 모로코모리타니가 당시 서사하라로 불리던 지역을 장악하면서 대규모 탈출이 시작되었고, 이에 알제리는 민족주의 성향의 사하라위 해방 운동 단체인 폴리사리오 전선이 이 지역을 주요 기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12]

1975년부터 1976년 사이에 틴두프에는 스마라 난민 캠프와 엘 아이운 난민 캠프와 같은 사하라위 난민 캠프가 설립되었다. 폴리사리오 전선은 여전히 틴두프 시 남쪽에 위치한 대규모 난민 캠프를 운영하며 이 주에 남아 있다.

서사하라 전쟁(1975년–1991년) 중에는 제1차 암갈라 전투 (1976)의 기지가 되기도 했다. 현재 틴두프 주 내에는 서사하라에서 탈출해 온 사하라위인 난민 캠프가 존재한다. 유럽 위원회는 사하라위 난민을 "잊혀진 난민"이라고 부르기도 했다.[13]

3. 지리

지리적으로는 불모지이지만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말리와의 국경 부근에 다량의 철광석이 존재한다.

4. 전략적 중요성

3개국이 접경하는 틴두프 주에는 알제리 육군공군 기지가 존재한다.

5. 행정 구역

틴두프주는 1개의 ''다이라''(알제리의 구)인 '''틴두프 구'''로 구성되며, 이 구의 행정 구역은 주 전체와 일치한다. 틴두프주와 틴두프 구의 인구는 58,193명이다.[1] 틴두프 구는 2개의 ''코뮌''(지방 자치구)인 '''틴두프'''와 움 엘 아셀로 나뉜다. 틴두프주는 알제리에서 다이라가 1개뿐인 3개 주 중 하나이며, 보르지 바지 모크타르 주, 자네트 주, 인 게잠 주와 함께 코뮌 수가 2개로 가장 적은 주에 속한다.

코뮌아랍어
틴두프 구틴두프تندوف
움 엘 아셀أم العسل


참조

[1] 간행물 Office National des Statistiques, Recensement General de la Population et de l’Habitat 2008 http://rgph2008.ons.[...] 2008-07-02
[2] 서적 Histoire es berbères, 4: et des dynasties musulmanes de l'afrique septentrionale https://books.google[...] Imprimerie du Gouvernement
[3] 서적 Resistance in the Desert: Moroccan Responses to French Imperialism 1881-1912 https://books.google[...] Croom Helm 2012-07-22
[4] 서적 Hespéris: archives berbères et bulletin de l'Institut des hautes-études marocaines https://books.google[...] Emile Larose 2012-07-22
[5] 서적 Morocco's Saharan Frontiers https://books.google[...] Librairie Droz 2012-07-22
[6] 서적 Morocco's Saharan Frontiers https://books.google[...] Librairie Droz 2012-07-22
[7] 서적 A Tragedy of Arms: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 the Maghreb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2-07-22
[8] 서적 Contemporary North Africa: Issues of Development and Integration https://books.google[...] Croom Helm 2012-07-22
[9] 서적 North Africa: Politics, Region, and the Limits of Transformat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8-03-27
[10] 서적 Organization of African Unity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2012-07-22
[11] 서적 Reports of Judgments Advisory Opinions and Orders: 2001 Bound Volume https://books.google[...] United Nations Publications 2004-05-30
[12] 서적 Foreign affairs https://books.google[...]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12-07-22
[13] 웹사이트 Algeria http://ec.europa.eu/[...] 2013-10-03
[14] 간행물 Office National des Statistiques, Recensement General de la Population et de l’Habitat 2008 http://rgph2008.ons.[...] 2008-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