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라오의 다섯 칭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라오의 다섯 칭호는 고대 이집트 파라오가 사용한 일련의 공식 칭호로, 파라오의 신성한 권위를 나타내고 백성과 신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했다. 이 칭호들은 호루스명, 네브티명, 황금 호루스명, 즉위명, 출생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칭호는 파라오의 권력, 지위, 신성성을 강조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이집트 선사 시대부터 사용된 호루스명을 시작으로, 시대에 따라 칭호의 형태와 의미가 변화했으며, 특히 즉위명과 출생명은 파라오의 정통성을 강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파라오의 다섯 칭호
개요
유형5중 칭호
사용 시기고대 이집트 시대
대상파라오
구성 요소
호루스명파라오의 가장 오래된 칭호
네브티명"두 여인"을 의미
황금 호루스명파라오의 힘과 영원성을 상징
즉위명 (니스وت-비티 이름)파라오가 왕위에 오를 때 받는 이름
탄생명 (사-레 이름)파라오가 태어날 때 받는 이름

2. 기원

파라오의 칭호는 파라오에게 신성한 권위를 부여하고 백성과 신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11][12] 파라오는 이 칭호를 통해 자신의 자질을 나타내고 지상의 왕국과 결부시키는 역할을 했다.[13]

파라오의 다섯 칭호는 수 세기에 걸쳐 발전했는데, 가장 먼저 등장한 것은 호루스명이다.[11][12] 호루스명은 파라오를 호루스 신의 대리자로 칭하는 이름이었다.[13] 선사 시대 이집트부터 사용된 이 칭호는 세레크라는 특수 상형문자로 표기되었는데, 왕궁의 정면을 형상화한 문자 위에 (호루스)를 새기고, 왕궁 기호 안에 국왕의 이름을 표기하는 방식이었다.[16] 이집트 제2왕조세트-페리브센은 호루스 대신 세트를 새겨넣기도 했는데, 이는 당시 이집트 내부의 종교적 분열을 반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카세켐위는 세트신과 호루스신을 모두 새겨넣었으나, 이후 파라오들은 호루스의 형상만을 사용하였다.[16]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는 세레크 없이 호루스명을 표기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제트 파라오의 이름을 새긴 세레크. 루브르 박물관 소장.


두 번째 칭호인 네브티명은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에서 쓰는 왕실 칭호를 통일한 것이었다.[14][13][12] 네크베트 와 우제트라는 두 수호여신의 보호 아래에 있음을 나타냈으며,[14] 이집트 제1왕조 말기에 두 여인 기호와 함께 "상•하 이집트의 주인"임을 나타내면서 쓰이기 시작했다.[12]

이집트 제4왕조부터는 황금 호루스명 (황금 매)이라는 칭호가 등장했으며 전체 칭호 중에서 세 번째에 자리했다.[15] 황금 호루스명은 황금 위나 옆에 놓인 매 (호루스)의 상형문자로 시작되는 칭호였다.

마지막 두 칭호인 즉위명과 출생명은 카르투슈 안에 이름을 새김으로써 나타내었으며, 각각 '왕좌명', '라의 아들명'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이집트 제4왕조부터 파라오가 태양신 의 대리인임을 강조하기 위해 도입되었다.[15]

3. 호루스명

호루스명 (호루스의 이름)은 파라오의 다섯 칭호에서도 가장 오래된 것으로 그 유래는 선사 시대 이집트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때문에 극초창기의 이집트 파라오는 호루스명으로만 알려져 있었다.[16]

호루스명은 세레크 (Serekh)라는 특수 상형문자로 표기되는데, 이 세레크는 왕궁의 정면을 형상화한 문자다. 왕궁 위나 옆에 (호루스)를 함께 새기며, 국왕의 이름은 왕궁 기호 안에 이집트 상형 문자로 표기한다.[16]

이집트 제2왕조의 파라오였던 세트-페리브센은 호루스 대신 세트를 새겨넣었는데, 이는 이 시기 이집트 내부적으로 종교 분열이 벌어진 것을 반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선왕이었던 카세켐위의 경우에는 이름에 세트신과 호루스신을 모두 새겨넣었다.

카세켐위의 호루스 이름. 오른쪽이 세트 동물.
세트-페리브센 이후의 파라오들은 호루스의 형상만을 사용하였다.[16]

신왕국 대에 이르러서는 세레크 없이 그냥 표기하는 경우가 많아졌다.[16]

4. 네브티명



네브티(두 여인)명은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수호신을 하나의 문자로 형상화한 일종의 문장과 같았다.


  • 상이집트 수호신 네크베트 (독수리)
  • 하이집트 수호신 우제트 (코브라)


네브티명은 제1왕조의 파라오 세메르케트가 처음 사용하였으나 제12왕조 시기에만 독자 칭호로 쓰였다.

네브티명은 카르투슈나 세레크에 쓰지는 않았으며, 다만 독수리와 코브라를 두 바구니 위에 올린 형상의 상형문자, '네브티'를 맨 처음에 씀으로서 구분되었다.

5. 황금 호루스명

황금 호루스명은 황금 위나 옆에 놓인 매 (호루스)의 상형문자로 시작되는 칭호였다.

황금 호루스명이 지니는 의미에 대해서는 학계의 논란이 있다. 일설에 의하면 황금 상형문자는 "적보다 우월하다"는 뜻으로 해석되며, 그 위에 호루스를 올려둔 것은 삼촌 세트를 물리친 호루스의 승리를 나타낸다고 본다. 한편 황금은 고대 이집트인의 사상에서 영원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파라오의 호루스명을 영원히 전하고자 쓰였다는 해석도 있다. 호루스의 화신인 왕의 왕권이 영원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영원히 빛나는 태양을 상징하는 색인 황금과 호루스가 조합되었다는 것이다. 금(nbw)은 세트 신의 도시 옴보스를 가리키며, 호루스 신앙이 세트 신앙에 승리를 거두었음을 나타낸다고도 한다.

네브티명과 마찬가지로 카르투슈나 세레크를 따로 사용하지는 않는 이름이다.

6. 즉위명

벌과 파피루스가 새겨진 투트모세 2세카르투슈. 이집트 룩소르 하트셉수트 사원


즉위명(Throne name)은 프레노멘(prenomen) 또는 상·하 이집트의 왕명, 네스(우)트·비트 명, 왕관명(Crown name)이라고도 불린다. 파라오의 다섯 칭호 가운데 네 번째와 다섯 번째 순서에 오는, 카르투슈 안에 표기된 이름 중 하나이다. 즉위명의 맨 처음에는 '네수-비티' (''nsw(t)-bjt(j)'' )라는 상형문자를 우선하였는데, 이는 '과 벌의~'라는 뜻으로,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왕"임을 나타낸다.[17] 풀과 벌은 각각 상이집트 (삼각주 지대)와 하이집트 (계곡지대)를 상징하기 때문이다.[17] 다만 최근 연구에서는 이러한 해석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18][19][20]

이따금씩 표기되는 '넵 투이' (''nb tꜣwy'',)로 읽혀지는 상형문자 역시 '두 대지의 국왕'이라는 뜻으로서 이집트 계곡지대와 삼각주 지대를 아울러 통치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상 이집트를 상징하는 사초와 하 이집트를 상징하는 꿀벌로 구성된다.이집트 제1왕조의 파라오인 덴이 처음 사용했으며 제4왕조 이후 즉위명에 라(Ra)의 이름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라의 사용은 거의 형식적인 것이 되었다.

이집트 중왕국 시대부터 즉위명은 5중 칭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이 되었다. 따라서 비문이나 파피루스 등에서 즉위명만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 어떤 파라오인지 판단하는 증거가 된다. 즉위명은 항상 카르투슈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파편화된 경우에도 읽기 쉽다.

7. 출생명

파라오의 다섯 칭호 가운데 마지막 이름은 파라오가 태어날 때 붙여지는 이름으로서, 이름 앞에는 "의 아들"이라는 칭호를 붙여 나타냈다. 이 때 '라'는 태양신 라를 상징하는 태양 문자로, '아들' (za)은 같은 발음이 나는 오리 상형문자 (''za'')로 표기하였다. 제4왕조부터 처음 도입된 칭호이며, 파라오가 태양신 라의 대리인임을 강조하는 칭호다. 파라오가 여성일 경우에는 '라의 아들' 대신 '라의 딸'로 해석했다. 기원전 2300년경의 제6왕조가 되면, 왕을 절대적인 존재로 하는 왕권이 약화된 대신 태양신 라의 신앙이 성행하게 되었고, 왕은 라의 아들(화신)이라는 생각이 들게 되었다. 이를 받아, 파라오의 탄생명 앞에는, 아들을 의미하는 "zA"와 태양신 "ra"를 조합한 "라의 아들"을 나타내는 이 상형 문자가 붙어, 태양신 라와 파라오의 결합의 강함을 강조했다고 여겨진다. 또한, 왕이 태양신의 모든 땅의 지배자임을 상징한다는 견해도 존재한다.

오늘날 파라오의 이름을 나타낼 때 가장 많이 쓰이는 이름으로, 동명이인의 파라오가 많기 때문에 이집트학자들은 뒤에 서수 (1세, 2세 등)를 붙여 구분하고 있다.

8. 전 칭호 (예시)

8. 1. 세누스레트 1세

이집트 중왕국 시기에는 다섯 가지 칭호를 하나의 카르투슈 안에 넣어 표기하기도 하였다. 베니 하산의 벽면에 새겨진 세누스레트 1세의 전 칭호가 그 예시이다.

세누스레트 1세의 다섯 칭호

8. 2. 하트셉수트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 하트셉수트는 여왕이었던 만큼 다른 남자 파라오의 호칭과는 차이점을 보인다.

  • 호루스명: 웨스렛카우 ''Wesretkau'', "카스의 강자"
  • 네브티명: 와지렌푸트 ''Wadjrenput'', "태평성대, 두 여인의 여왕"
  • 황금 호루스명: 넷제렛카우 ''Netjeretkhau'', "신성한 외관" (''신성한''이란 뜻의 남성형 netery의 여성형 netjeret와 '외관'이란 뜻의 khau를 합쳤다)
  • 즉위명: 마앗카레 ''Maatkare'', "진리는 카의 레"
  • 출생명: 크눔트-아문 하트셉수트 ''Khnumt-Amun Hatshepsut'', "아문과 한몸이자 고귀한 여인 가운데 으뜸"


이집트 제18왕조 파라오 하트셉수트의 완전한 호칭은 다음과 같으며, 여성이라는 점 때문에 나타나는 차이점을 보여준다.

8. 3. 투트모세 3세

이집트 제18왕조 파라오 투트모세 3세의 전 칭호는 다음과 같다.

  • 호루스명: 카나크트 카엠와세트 ''Kanakht Khaemwaset'', "테베에서 일어난 신성한 황소의 호루스"
  • 네브티명: 와흐네싯미레엠페트 ''Wahnesytmireempet'', "천상의 레처럼 왕권을 지속하는 두 여인의 국왕"
  • 황금 호루스명: 세켐파흐티제세르카우 ''Sekhempahtydjeserkhaw'', "강한 위력과 신성한 외모의 황금 호루스"
  • 즉위명: 멘케페레 ''Menkheperre'', " 레의 형상을 이어가는 의 국왕"
  • 출생명: 투트모세 네페르케페루 Thutmose Neferkheperu, "아름다운 형상, 라의 아들 투트모세"


투트모세 3세의 완전한 칭호는 다음과 같으며, 발음과 그에 상응하는 의미를 안내한다.

  • 호루스 이름: ''카나크트 카엠와세트''(Kanakht Khaemwaset), "호루스, 강력한 황소, 테베에서 일어남"
  • 넵티 이름: ''와흐네시트미레엠페트''(Wahnesytmireempet), "두 여인의, 하늘의 레처럼 왕위에 영원히 존재"
  • 황금 호루스: ''세켐파흐티드제르카우''(Sekhempahtydjeserkhaw), "힘이 강하고, 외모가 신성한 금의 호루스"
  • 프레노멘: ''멘케페르레''(Menkheperre), "형태가 영원한 레, 파피루스의"
  • 노멘: ''투트모세 네페르케페루''(Thutmose Neferkheperu), "라의 아들, 투트모세, 아름다운 형태"

9. 현대적 관점

참조

[1] 서적 Early Dynastic Egyp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09-11
[2] 서적 The Great Name: Ancient Egyptian Royal Titulary https://books.google[...] SBL Press 2013-04-30
[3] 서적 A History of the Ptolemaic Empi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2-01
[4] 서적 Deciphering the Proto-Sinaitic Script: Making Sense of the Wadi el-Hol and Serabit el-Khadim Early Alphabetic Inscriptions https://books.google[...] Subclass Press 2017-12-01
[5] 서적 Middle Egyptian: An Introduction to the Language and Culture of Hieroglyph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6] 서적 Early Dynastic Egypt Routledge, London/New York 1999
[7] 논문 "Das Wort für König von Oberägypten" 1911
[8] 서적 Creation Stories of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2000
[9] 간행물 "Zur Bedeutung und Etymologie von ''nzw'' ‘König’" 2007
[10] 간행물 "Das Wort für König (von Oberägypten)" 1986
[11] 서적 Early Dynastic Egyp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09-11
[12] 서적 The Great Name: Ancient Egyptian Royal Titulary https://books.google[...] SBL Press 2013-04-30
[13] 서적 A History of the Ptolemaic Empi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2-01
[14] 서적 Deciphering the Proto-Sinaitic Script: Making Sense of the Wadi el-Hol and Serabit el-Khadim Early Alphabetic Inscriptions https://books.google[...] Subclass Press 2017-12-01
[15] 서적 Middle Egyptian: An Introduction to the Language and Culture of Hieroglyph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6] 서적 Early Dynastic Egypt Routledge, London/New York 1999
[17] 서적 Creation Stories of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2000
[18] 논문 "Das Wort für König von Oberägypten" 1911
[19] 간행물 "Zur Bedeutung und Etymologie von ''nzw'' ‘König’" 2007
[20] 간행물 "Das Wort für König (von Oberägypten)" 19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