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지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지강은 힌두쿠시 산맥에서 발원하여 타지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의 국경을 따라 흐르는 강이다. 와흐지르 강에서 시작하여 여러 지류와 합류하며, 타지키스탄의 핫론주와 우즈베키스탄의 수르한다리야주 사이를 지나 아무다리야 강으로 합류한다. 판지 강 유역은 2001년 람사르 협약에 등록되었으며, 아프가니스탄과의 수자원 분배 조약이 체결되어 있다. 타지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을 연결하는 여러 다리가 건설되어 있으며, 고대 문명의 유적과 자연 보호 구역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 무르고프
무르고프는 타지키스탄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의 고산 도시로, 소련 붕괴 후 중앙아시아 교역 거점으로 부상하여 파미르 하이웨이의 요충지로서 상업 및 관광 중심지 역할을 하며, 다민족 구성과 경제 발전을 위한 노력을 특징으로 한다. -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 호루그
호로그는 타지키스탄의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에 있는 도시로, 파미르 고원 산악 지대에 위치하며 역사적으로 분쟁 지역이었고 소련 시기 수도였으며, 고산 기후와 교육 및 문화 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최근 치안 불안정으로 여행 주의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 타지키스탄의 강 - 시르다리야강
시르다리야강은 톈산산맥에서 발원하여 아랄해로 흘러드는 중앙아시아의 주요 강으로, 농업 관개에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과도한 물 사용으로 아랄해 축소에 영향을 미쳤다. - 타지키스탄의 강 - 바흐시강
바흐시강은 키르기스스탄에서 발원하여 타지키스탄을 거쳐 아프가니스탄에서 아무다리야강으로 흘러드는 강으로, 타지키스탄 수력 발전의 핵심이며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판지강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판지강 |
다른 이름 | |
로마자 표기 | Panj |
위치 |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국경 |
발원지 | 파미르강과 와칸강 합류점 |
하구 | 아무다리야강 |
람사르 습지 지정 | 하류 지역 (2001년 7월 18일) 지정 번호: 1084 https://rsis.ramsar.org/ris/1084 |
![]() | |
지리 | |
길이 | 921 km |
유역 면적 | 114,000 km² |
평균 방류량 | 1000 m³/s |
프로젝트 정보 | |
프로젝트 | http://www.pyanjriverbasin.org/ |
2. 지리
판지 강은 중앙아시아의 주요 강 중 하나로, 힌두쿠시 산맥에서 발원한다. 이 강은 타지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사이 국경의 상당 부분을 이루며 서쪽으로 흐르다가, 바흐시 강과 합류하여 아무다리야 강을 형성한다.
2. 1. 발원 및 상류

판지 강(Панҷ|판즈tg, پنج|판즈fa)의 발원지는 힌두쿠시 산맥의 와흐지르 고개에서 시작되는 와흐지르 강(Вахҷир|바흐지르tg, واخجیر|와흐지르fa)이다.[11] 이 강에 옥수 강이 합류하여 와한 강(Вахондарё|바혼다료tg, واخان دریا|와한 다리아fa)이 되며, 곧바로 판지 강으로 이름이 바뀐다.[11] '판지'는 페르시아어로 "다섯"을 의미하는데,[11] 이는 파미르 고원의 빙하나 만년설 등에서 흘러나온 네 개의 주요 지류인 파미르 강, 군트 강, 발탄 강, 반지 강이 차례로 합류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11] 판지 강은 타지키스탄의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와 아프가니스탄의 바다흐샨주 사이의 고산 지대를 흐르며 양국의 국경을 이룬다.
2. 2. 중·하류
판지 강은 타지키스탄의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와 아프가니스탄의 바다흐샨주 사이 고산 지대를 서쪽으로 흐르다가, 중간에 북쪽으로 방향을 크게 틀어 긴 거리를 흐른다. 이후 다시 남쪽으로 방향을 바꾸면서 고산 지대를 벗어나 타지키스탄의 핫론주로 들어선다.
핫론주와 우즈베키스탄의 수르한다리야주 사이는 파미르-알라이 산맥에서 남쪽으로 여러 갈래의 지맥이 뻗어 나가고, 그 사이에 분지가 펼쳐지는 복잡한 지형을 이룬다. 이 하류 지역에서 판지 강은 여러 강과 합류하는데, 먼저 북쪽에서 키질수 강이 합류하고, 다음으로 남쪽에서 콕차 강이 합류한다.[11] 이후 북쪽에서 바흐시 강이 합류하면 판지 강은 '''아무다리야 강'''으로 이름이 바뀐다.[11]
판지 강 하류 지역 일대는 2001년 람사르 협약 등록 습지로 지정되었다.[12]
3. 수자원 이용
1946년 소비에트 연방과 아프가니스탄 사이에 체결된 수자원 조약에 따라, 아프가니스탄은 판지강에서 연간 900만 입방미터의 물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다.[3]
현재 아프가니스탄은 이 중 연간 200만 입방미터의 물을 사용하고 있다. 판지 강 유역 프로젝트(Panj River Basin Project)는 아프가니스탄이 조약에서 허용된 양만큼 물을 사용할 경우 환경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4. 교량
- '''아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 다리''': 타지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사이의 니즈니이 판지 강 위에 건설된 고속도로 다리이다. 2005년 5월 계약이 체결되었고, 2006년 1월 건설을 시작하여 2007년 8월에 완공되었다. 미국이 3700만달러를 지원했으며, 미 육군 공병대 소유의 이탈리아 건설회사 리자니 데 에체르 S.p.A.가 건설을 맡았다. 이 다리는 하루에 60대의 차량만 운송할 수 있었고 강의 급류 때문에 연중 많은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없었던 바지선을 대체했다. RAWA는 이 다리가 아프가니스탄 경제의 핵심인 헤로인 거래를 촉진한다고 비판하기도 한다.[4]
- 2003년에는 호로그의 군트 강 합류 지점에도 다리가 건설되었다.
- 랑가르에도 다리가 있으나, 현재 폐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아가 칸 개발 네트워크는 타지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사이 판지 강에 3개의 다리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5]
5. 교통
판지 강은 소련 시대에 전략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1980년대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군사 전략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판지 강 유역에는 타지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을 잇는 여러 개의 다리가 건설되어 교통의 요지로 기능한다.
이름 | 위치 (타지키스탄 - 아프가니스탄) | 완공/개통 연도 | 비고 |
---|---|---|---|
템-데모간 다리 | 템 - 데모간 | 2002년 11월 | 아가 칸 개발 네트워크 건설[5][6] (에모말리 라흐모노프 타지키스탄 대통령, 헤다야트 아민 아르살라 아프가니스탄 부통령, 아가 칸 4세 참석) |
호로그 다리 | 호로그 (군트 강 합류 지점) | 2003년 | 파미르 고속도로 연결 |
타지크-아프간 친선 다리 | 다르바즈 지역 | 2004년 7월 | 아가 칸 개발 네트워크 건설[7] |
이시카심 다리 | 이시카심 - 이시카심 | 2006년 10월 | 아가 칸 개발 네트워크 건설[8][9] |
아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 다리 | 니즈니이 판지 지역 (셰르한 반다르 연결) | 2007년 8월 | 미국 지원 (3700만달러), 미 육군 공병대 감독, 리자니 데 에체르 S.p.A. 건설. 기존 바지선 대체.[4] 아시아 고속도로 7호선 연결.[13] |
랑가르 다리 | 랑가르 | ? | 상태 불명확 (폐쇄 가능성 있음) |
아가 칸 개발 네트워크는 타지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사이의 판지 강에 템-데모간, 다르바즈, 이시카심 다리 등 총 3개의 다리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5] 니즈니이 판지 지역의 아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 다리는 미국이 3700만달러를 지원하여 2007년 8월 완공되었으며, 기존에 하루 60대의 차량만 운송 가능하고 강의 급류로 인해 운행이 제한적이던 바지선을 대체하였다.[4]
주요 교통 지점으로는 호로그(파미르 고속도로 연결)와 셰르한 반다르(아시아 고속도로 7호선 연결)가 있으며, 이들 지역을 연결하는 다리들은 양국 간 교류 및 물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3]
6. 유적
판지 강 유역에는 다음과 같은 고대 문명의 유적이 남아 있다.
7. 자연 보호
판지강 하류 지역 일대는 2001년 람사르 협약 등록지로 지정되었다. 이 지역에는 Tigrovaya Balka Nature Reserve|티그로바야 발카 자연보호구eng (타지키스탄)가 위치한다.
8. 지류
판지 강의 발원지는 힌두쿠시 산맥의 와흐지르 고개에서 시작하는 와흐지르 강(Вахджир)이다.[11] 이 강이 옥수 강과 합류하여 와한 강(Вахан, 와한다리아)이 되었다가, 곧 판지 강(Пяндж, 피얀지 강)으로 이름이 바뀐다.[11] '판지'는 "다섯"을 의미하는데,[11] 이는 파미르 고원의 빙하나 만년설 등에서 발원한 4개의 주요 지류, 즉 파미르 강, 군트 강, 바르탕 강, 반지 강이 차례로 합류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11]
판지 강은 타지키스탄의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와 아프가니스탄의 바다흐샨주 사이를 흐르면서 여러 지류와 만난다. 북쪽에서 흘러오는 키질수 강과 남쪽에서 흘러오는 콕차 강 등이 합류한다. 마지막으로 북쪽에서 바흐시 강(Vakhsh River, 와흐시 강)이 합류하면, 강은 '''아무다리야 강'''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불리게 된다.[11]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9. 유역의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Lower part of Pyandj River
https://rsis.ramsar.[...]
2018-04-25
[2]
백과사전
Пяндж (река)
http://bse.sci-lib.c[...]
[3]
뉴스
Pyanj River Basin Project
https://web.archive.[...]
Asian Development Bank
2008-12-07
[4]
뉴스
RAWA: U.S. built bridge is windfall for Afghan drug trade
http://www.rawa.org/[...]
[5]
뉴스
Darwaz Bridge to strengthen commercial ties and Tajik-Afghan relations
https://web.archive.[...]
Aga Khan Development Network
2008-12-04
[6]
웹사이트
Press Release: Aga Khan and Tajik and Afghan Leaders Open Bridge into Afghanistan
https://web.archive.[...]
Aga Khan Development Network
2002-11-03
[7]
웹사이트
Press Release: Darwaz Bridge to strengthen commercial ties and Tajik-Afghan relations - AKDN
https://web.archive.[...]
Aga Khan Development Network
2004-07-06
[8]
웹사이트
Remarks by the Aga Khan at the Inauguration of the Ishkashim Bridge - AKDN, October 31, 2006
http://www.akdn.org/[...]
Aga Khan Development Network
2006-10-31
[9]
뉴스
News: Aga Khan and President Rahmonov inaugurate reconstructed bridge in Ishkashim
https://web.archive.[...]
Asia-Plus
2006-10-31
[10]
서적
シルクロードの古代都市
[11]
서적
シルクロードの古代都市
岩波書店
[12]
웹사이트
Lower part of Pyandj River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07
[13]
웹사이트
アジアハイウェイ路線とその現状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4-01-27
[14]
웹사이트
ラピス・ラズリ
http://www.afghanemb[...]
[15]
서적
シルクロードの古代都市
[16]
서적
シルクロードの古代都市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