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팔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레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도시로, 동서양의 교차로에 위치하여 중세 시대부터 무역 중심지 역할을 했다. 14세기에는 파블로비치 가문의 영토였으며, 오스만 제국 통치 시기에는 "파블리 Vilayet"으로 불리며 19세기까지 그 이름을 유지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통치 하에 철도 건설과 제재소 설립 등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파괴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기 다시 성장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점령당했다. 보스니아 전쟁 중에는 스릅스카 공화국의 행정 중심지였으며, 데이턴 협정 이후 세르비아 공화국에 속하게 되었다. 현재 팔레는 관광 산업과 임업이 발달했으며, 야호리나 스키 리조트, 사냥터, 오를로바차 동굴 등이 주요 관광 자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나르알프스산맥 - 복류수
    복류수는 얕은 투수층의 모래 자갈층을 흐르는 지하수로, 산악 지형에서 흔히 발견되며 상수원으로 활용되지만 오염 사례도 보고된다.
  • 디나르알프스산맥 - 크르카강
    크르카강은 크로아티아 디나라 산맥에서 발원하여 아드리아 해로 흐르는 강으로, 석회암 지형에 아름다운 폭포와 협곡을 만들어 크르카 국립공원의 핵심을 이루며, 역사적 문화 유적지와 유고슬라비아 전쟁 당시 지뢰 매설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 스릅스카 공화국의 도시 - 즈보르니크
    즈보르니크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동부, 드리나 강변에 위치하여 세르비아와 국경을 접하며, 교역 요충지이자 즈보르니크 산자크의 중심지였고, 현재는 난민 귀환이 진행 중이며 제조업, 도소매업, 운송업이 주요 산업인 도시이다.
  • 스릅스카 공화국의 도시 - 비셰그라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비셰그라드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드리나 강과 르자프 강 합류 지점에 자리하며, "상부 도시/성/요새"를 뜻하는 남슬라브어 지명에서 유래했고, 온대 기후를 띠며,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 다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랜드마크이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도시 - 사라예보
    사라예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이자 연방 수도로, 터키어에서 유래한 지명을 가지며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 원인이 된 사라예보 사건과 보스니아 전쟁의 장기 포위 공격을 겪었으며, 다양한 문화와 종교가 공존하는 다문화 도시이자 1984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이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도시 - 투즐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동부에 위치한 투즐라는 6,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정착지 중 하나로, 소금 매장지로 번성했으나 지반 침하 문제를 겪었고, 여러 제국을 거쳐 보스니아 전쟁의 아픔을 겪었으며, 현재는 산업 및 문화 중심지이자 염호 관광지로 발전하고 있다.
팔레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파레
현지 명칭

국가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엔티티스릅스카 공화국
도시이스트 사라예보
팔레 전경
팔레 전경
팔레의 모습
팔레의 모습
팔레
팔레
행정
시장데얀 코이치
시장 소속 정당DEMOS
지리
면적 (시)해당 없음
면적 (지방 자치체)492.8 제곱킬로미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 팔레 위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 팔레 위치
팔레
팔레
거리시는 사라예보에서 약 15km 떨어져 있음.
인구
인구 (시, 2013년)13883명
인구 밀도 (시, 2013년)자동 계산
인구 (지방 자치체, 2013년)22282명
인구 밀도 (지방 자치체, 2013년)자동 계산
시간대
시간대CET
협정 세계시 (UTC) 오프셋+1
하계 시간CEST
하계 시간 (UTC) 오프셋+2
기타 정보
지역 번호57
웹사이트해당 없음

2. 역사

팔레는 사라예보 계곡과 드리나 강 유역이 만나는 동서양의 중요한 교차로에 위치해 있다. 인근 마을인 미오시치와 일리약에는 로마 시대의 도로와 건물 유적이 남아 있어, 이 지역이 초기부터 무역의 장소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1]

14세기 말과 15세기 초, 팔레 주변 지역은 파블로비치 가문이라는 봉건 영주 가문이 다스렸다. 이들은 프라차 강변의 파블로바츠, 상 팔레의 그라디나, 밀랴츠카 강 합류 지점 위에 있는 호디제드 등 여러 요새 정착지를 소유했으며, 특히 호디제드는 주변 지역의 행정 중심지였다.[1]

파블로비치 가문의 문장


파블로비치 가문은 보스니아 귀족의 상류층으로, 브르흐보스나(오늘날의 사라예보)에서 동쪽의 도브룬까지 넓은 영토를 가졌다. 창시자인 파블레 라데노비치는 파레 주변의 조상 영토 외에도 올로보의 광산, 트레비니예 시, 코나블레와 차프타트의 일부를 소유하며, 현지인과 두브로브니크 상인 간의 활발한 무역을 지원했다. 주요 무역 중심지는 오늘날 팔레 지방 자치 단체의 일부인 프라차 마을이었다. 1415년 파블레가 결투 중 사망한 후, 그의 어린 아들 라도슬라브 파블로비치(1420–1421)가 뒤를 이었다.[1]

1391년 보스니아의 트브르트코 1세가 사망하자, 보스니아 봉건 가문들은 왕좌를 차지하기 위해 다투었다. 파블레의 아들들은 다른 귀족들의 위협을 느껴 동맹국인 오스만 제국의 도움을 요청했고, 오스만 제국은 분할 통치 전략을 통해 결국 이 지역을 완전히 정복했다.[1]

=== 오스만 제국 통치 시기 ===

보스니아의 오스만 제국 멸망 이후 파블로비치 가문의 봉건 영지는 11개 구역으로 나뉘어 "파블리 빌라예트"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468~69년에 실시된 최초의 오스만 제국 인구 조사에서 팔레 마을은 11개 구역 중 하나의 중심지로 "보가지 윰리(Bogazi Yumry)"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었다. "보가지 윰리" 구역에는 6개의 마을이 있었는데, 그 중 2개는 팔레 평원에 위치해 있었다.

지역 기독교 인구가 처한 혹독한 상황으로 인해 중세 시대 이 지역의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 동안의 도시 개발에 대한 데이터는 거의 없다. 이 지역은 새로운 통치자들에게 상업적으로 생존 가능하고 가치 있는 곳으로 남아 있었다. 프라차 마을은 18세기 대화재와 흑사병 발생 전까지 계속 성장하고 확장되었다. "파블리 Vilayet"이라는 이름은 19세기 초까지 이 지역에 계속 사용되었으며, 이 마을은 결국 팔레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새로운 이름에 대한 가장 초기의 기록 중 하나는 1877년의 지도에서 마을 자체와 전체 지역이 "팔레"로 표시된 것이다.

19세기 동안 오스만 제국은 정치적, 사회적으로 완전히 다른 두 권력 투쟁에 직면했다. 19세기 초는 수많은 피지배 민족의 일련의 민족적, 종족적 자유 운동으로 특징지어졌다. 반면 오스만 귀족들은 매우 보수적이었고, 중앙집권 국가의 개혁과 발전에 대한 모든 노력을 거부했다. 보스니아의 귀족들은 제국 내에서 가장 불만을 품은 집단 중 하나였으며, 권력에 맞서 자신의 권리를 질투심으로 지켰다.

1831년, 보스니아 귀족 중 가장 부유하고 강력한 멤버 중 한 명인 후세인 그라다셰비치 대위가 반란 귀족들을 이끌게 되었다. 트라브니크 정복 이후, 오스만 총독의 거처였던 보스니아 귀족들은 오스만 술탄에게 개혁 노력을 중단하고 보스니아의 현상 유지를 요구했다. 또한 그들은 자신들의 지위에서 총독을 선출하고 임명할 권리를 원했다.[1]

후세인 대위는 술탄이 그들의 요구에 답하기를 기다리지 않고 스스로를 보스니아 부왕으로 임명하여 그 과정에서 많은 지지자들을 소외시켰다. 술탄은 서로 다른 파벌들을 이용했고, 1832년 반군에 맞서 군대를 보냈다. 반군과의 결정적인 전투 중 하나가 팔레 마을 자체에서 벌어졌다. 후세인 대위는 충분한 수의 병력을 지휘하지 못했고 패배했다. 이 결정적인 승리는 반란의 기세를 꺾었다.[1]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통치 시기 ===

베를린 회의를 통해 보스니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행정 아래 놓였다. 이 기간 동안 팔레와 주변 지역에는 상당한 투자와 경제적 변화가 이루어졌다.

1906년 개통 이후 팔레의 기차역


새로운 지배자들은 주로 광물과 목재 제품과 같은 천연 자원의 개발을 선호했다. 이 시점에서 팔레는 이 지역의 중요한 벌목 및 목재 제품 중심지가 되었다. 189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팔레와 인접한 마을에는 483명의 주민이 있었다. 440명의 주민은 농업 및 벌목 활동에 종사했고 27명은 사무직에 종사했다. 산업 발전은 지원 활동을 촉진했다. 새로운 상점, 호텔 및 기타 서비스 활동이 마을에 도입되었다.

1907년 2월, 팔레는 최초의 초등학교를 설립했다. 이 학교는 팔레에 있는 세르비아 정교회의 학교-교회 위원회에서 관리했다. 학교는 종교에 관계없이 학생들을 받았다. 정교회 기독교인과 함께 가톨릭 및 유대인 학생들도 학교에 다녔다. 이들은 대부분 마을의 제재소에 관여했던 사람들의 자녀들이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행정 기록에 따르면 1879년까지 팔레에는 이미 두 개의 현대식 제재소가 있었고, 그 제품은 사라예보로 운송되었다. 보스니아 수도인 사라예보와 동쪽 국경 마을인 비셰그라드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 건설되면서 팔레 마을은 최초의 기차역을 갖게 되었다. 철도 연결은 팔레가 계속 성장하고 번영할 수 있도록 했으며, 외국인 투자를 통해 마을에 여러 개의 추가 제재소를 열 수 있었다. 사라예보에서 우바츠, 루도 및 돈예 바르디슈테로 이어지는 보스니아 동부 철도 건설은 1903년에 시작되었다. 이 노선은 760mm 궤간을 사용하여 1906년에 완공되었다. 7500만 금화의 비용이 들었고, 이는 킬로미터당 약 금화에 해당하며, 당시 건설된 세계에서 가장 비싼 철도 중 하나였다. 이 노선은 1978년에 폐쇄되었고, 이후 해체되었다.[2]

=== 제1차 세계 대전 ===

1914년 초, 체르 전투에서 세르비아가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후, 연합군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동맹국들에게 보스니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를 공격하여 그들의 병력을 묶어두라고 요청했다.

1914년 10월, 세르비아-몬테네그로군은 사라예보 주변 지역으로 진입하여 로마니야 산을 장악했다. 그 작전 중 몬테네그로 부대가 팔레에 진입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몬테네그로군은 철수해야 했고, 그들과 함께 지역 세르비아인들도 대거 철수했다.

제1차 세계 대전 희생자들을 위한 기념비


피난가지 못한 사람들은 제국 내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임무를 맡은 오스트리아의 불규칙적인 경찰력인 오스트리아 슈츠 군단의 자비에 놓였다. 팔레는 오스트리아군이 마을로 재진입한 후 완전히 약탈당하고 불태워졌다. 54명의 지역 주민들이 마을 중심에서 린치를 당했다.[1]

고라즈데 마을에서 프라차, 비야라, 부드, 포드그라브, 브르흐프라차, 고로비치, 호토치네, 글라시나츠, 포드로마니야, 소치카와 같은 인근 마을에서 온 피난민들이 드리나 강을 건너기 전에 오스트리아 정규군과 불규칙군에게 가로막혔다. 성인 남성 48명이 나머지 그룹과 분리되어 권총 사살되었고, 나머지 피난민들은 구금 캠프로 강제 이송되었다.[1]

이러한 구금 캠프의 상황은 특히 가혹했다. 가장 악명 높은 곳 중 하나는 도보이의 구금 캠프였다. 1914년 12월부터 1917년 7월까지 45,000명 이상(대부분 세르비아인)이 그곳에 구금되었다. 정확한 사망자 수는 아마 영원히 알 수 없겠지만, 1,000명 이상의 사망자가 확인되었으며, 그 중 230명은 팔레 자치구 출신이었다.[1]

===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

전쟁이 끝나고 보스니아가 신설된 유고슬라비아 왕국에 흡수되면서 팔레는 다시 성장하기 시작했다. 경제 회복과 개발은 이 지역의 천연 자원, 특히 임업에 기반을 두었다.

사라예보와의 교통 연결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성장이 촉진되었다. 1928년 팔레는 자치구의 중심지가 되었다. 1939년까지 팔레에는 14개 이상의 제재소가 있었으며, 90000m3 이상의 목재 제품을 생산했다. 경제 개발은 인구 증가를 촉진하여, 1921년과 1931년 사이에 주민 수는 2,382명에서 11,103명으로 증가했다.

1930년대에는 이미 30~40채의 대형 건물을 찾아볼 수 있었다. 1935년에는 현대적인 급수 시스템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시는 문화적으로도 번영하여, 새 학교와 오래된 학교가 개조 및 건설되었다. 1928년에 완공된 제1차 세계 대전 희생자들을 기리는 지역 사회 센터에는 체조 장비가 갖춰져 있었고, 때때로 문화 및 엔터테인먼트 행사가 열렸다. 아마추어 극단과 민속 무용단도 활발하게 활동했다.

1934년에는 비호르 축구 클럽이 창단되었고, 이와 함께 새로운 축구 경기장이 건설되었다. 문화 및 스포츠 협회 "소코"는 팔레 주민들의 스포츠 프로그램 참여를 크게 이끌었다. 이 클럽의 회원들은 자그레브, 류블랴나, 프라하에서 성공적으로 경쟁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시는 최초의 의료 시설과 도서관도 갖추게 되었다.

1940년대까지 팔레는 작지만 매우 잘 정돈된 도시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사라예보 및 기타 지역의 지식인,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사람들이 팔레에 별장을 지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1941년 4월 독일의 유고슬라비아 공격으로 중단되었다. 자그레브베오그라드를 점령한 후, 독일군은 국가의 중심부를 향해 진격했다. 4월 15일, 독일 기갑 사단은 사라예보를 점령하고 팔레시에서 유고슬라비아 최고 군사 사령부를 장악했다. 1941년 4월까지 완전한 항복이 서명되었다. 짧은 4월 전쟁은 국가의 완전한 해체를 가져왔다. 팔레시는 나치와 관련된 크로아티아 독립국에 편입되었다.

팔레시에 새로 설치된 괴뢰 정권의 첫 번째 행위는 제1차 세계 대전 희생자 기념비와 동방 정교회 교회의 철거였다. 모든 세르비아 기업은 국유화되어 나치 동조자들에게 넘어갔다. 이전 문화 센터 건물은 곧 감옥 및 구금 센터로 사용될 우스타샤 지역 연대의 본부로 바뀌었다. 대량 추방, 저명한 세르비아인 처형이 매일 발생했다. 1941년 여름에 첫 번째 대량 학살이 발생하여, 녜마니치와 벨로고리차 마을이 완전히 파괴되고 60명 이상이 살해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학대에 직면한 지역 주민들은 무장 반란을 시작했다. 초기 충돌은 1941년 8월 1일 새벽에 일어났다. 점령군은 이 반란을 잔혹하게 진압하려 했고, 8월 한 달 동안 75명 이상의 저명한 시민들이 체포되어 강제 수용소로 추방되었다.

1943년 11월 중순, 보복 원정에서 우스타샤는 라코바츠 마을 주민 100명 이상을 살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팔레 자치구에서는 1,200명 이상의 민간인이 살해되었고, 다른 350명의 저항군이 전투에서 사망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

1940년대까지 팔레는 작지만 매우 잘 정돈된 도시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사라예보 및 기타 지역의 지식인,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사람들이 팔레에 별장을 지었다. 이 모든 것은 1941년 4월 독일의 유고슬라비아 공격으로 중단되었다. 자그레브베오그라드를 점령한 후, 독일군은 국가의 중심부를 향해 진격했다. 4월 15일, 독일 기갑 사단은 사라예보를 점령하고 팔레시에서 유고슬라비아 최고 군사 사령부를 장악했다. 1941년 4월까지 완전한 항복이 서명되었다. 짧은 4월 전쟁은 국가의 완전한 해체를 가져왔다. 팔레시는 나치와 관련된 크로아티아 독립국에 편입되었다.

팔레시에 새로 설치된 괴뢰 정권의 첫 번째 행위는 제1차 세계 대전 희생자 기념비와 동방 정교회 교회의 철거였다. 모든 세르비아 기업은 국유화되어 나치 동조자들에게 넘어갔다. 이전 문화 센터 건물은 곧 감옥 및 구금 센터로 사용될 우스타샤 지역 연대의 본부로 바뀌었다. 대량 추방, 저명한 세르비아인 처형이 매일 발생했다. 1941년 여름에 첫 번째 대량 학살이 발생하여, 녜마니치와 벨로고리차 마을이 완전히 파괴되고 60명 이상이 살해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학대에 직면한 지역 주민들은 무장 반란을 시작했다. 초기 충돌은 1941년 8월 1일 새벽에 일어났다. 점령군은 이 반란을 잔혹하게 진압하려 했고, 8월 한 달 동안 75명 이상의 저명한 시민들이 체포되어 강제 수용소로 추방되었다.

1943년 11월 중순, 보복 원정에서 우스타샤는 라코바츠 마을 주민 100명 이상을 살해했다. 그 마을에서 45명의 남성이 새로운 신분증 발급을 위해 우스타샤 행정부에 보고하자 모두 체포되어 두 명씩 서로 묶였다. 그들은 이송되어 살해되었다. 그들은 남성들을 죽인 후 라코바츠로 가서 남은 여성, 어린이 및 노인을 살해했다. 생존 증인인 밀란 스타르체비치가 오늘날 팔레에 거주하며 증언했다. "마을 주민의 일부가 실종되었다고 말한 후, 우스타샤는 수색대를 파견하여 알리야 언덕으로 갔다. 그곳에서 그들은 독일군에게 제지당했다. 독일군은 그들이 10명 정도의 여성과 아이들이 피신해 있던 산트락 집에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우스타샤와 독일군 사이에 총격전까지 벌어졌다."

다음 날 밀란 스타르체비치의 형제는 독일군과 함께 돌아와 우스타샤 학살 희생자를 매장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팔레 자치구에서는 1,200명 이상의 민간인이 살해되었고, 다른 350명의 저항군이 전투에서 사망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

1946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팔레의 마을과 자치구는 지역 주민들의 끊임없는 노력 덕분에 경제 개발을 서서히 회복하고 재개했다. 같은 해 오래된 통나무 공장 터에 새로운 공장이 건설되었다. 이 공장은 25000m3 이상의 목재 제품을 생산했으며, 공장 자체에 170명 이상, 숲에서 150명을 고용했다.[1]

1952년에는 코란 교외에 군사 유지 보수 시설이 건설되어 지역 경제에 금속 산업을 위한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다. 1952년부터 1960년까지 이 시설에 300~400명의 직원이 추가로 고용되었다.[1]

금속 산업 발전과 함께 마을로 인구가 유입되면서 코란 교외에 새로운 건물과 아파트 단지가 건설되었다.[1]

1968년, 코란의 군사 유지 보수 단지는 "FAMOS" 법인과 합병하여 "FAMOS-Koran"으로 통합되었다. 이 합병으로 추가적인 발전과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었다. Famos-Koran은 대형 엔진, 변속기, 차량 부품을 제조했으며, 1980년대 말에는 2,0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했다. 또한 엔진 터보 제조 및 라이선스하에 건설된 메르세데스-벤츠 OM-360 엔진 부품 제조를 위한 공장도 추가되었다.[1]

=== 보스니아 전쟁 ===

보스니아 전쟁에서 사망한 세르비아 군인들을 기리는 기념비


1991년과 1992년, 보스니아 전쟁 발발을 앞두고 긴장이 고조되면서 팔레 지역은 반 사라예보, 친 세르비아 성향의 신생 스릅스카 공화국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이곳은 세르비아군이 사라예보 포위전을 벌이는 동안 활동의 중심지로 남았고, 이로 인해 1만 명 이상이 사망하고 5만 6천 명(어린이 1만 5천 명 포함)이 부상당했다. 스타니슬라브 갈리치 장군을 포함해 이 지역의 세르비아군을 지휘했던 고위급 지휘관 여러 명이 사라예보 시민을 상대로 무자비한 폭력 행위를 벌인 혐의로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 형사 재판소(ICTY)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다.

이 도시는 보스니아 세르비아 정부의 명목상 행정 본부가 되었으며, 바냐 루카가 사실상의 수도가 되었다. 팔레는 뉴스 통신사(SRNA), 텔레비전 방송국(Canal S), 신문(''Javnost'' 및 ''Ognjišta'') 등 다양한 문화 및 정보 기관이 자리 잡고 있는 중요한 문화 중심지로 남았다.

=== 데이턴 협정 이후 ===

보스니아 전쟁은 1995년 12월 14일 데이턴 협정 서명으로 종결되었다. 전쟁이 끝나면서 팔레는 어느 정도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갔다. 세르비아 공화국 헌법은 사라예보를 세르비아 공화국의 수도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 세르비아 공화국은 데이턴 협정에 따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구성 주체로 인정받았기에, 행정 수도는 현재 바냐 루카로 이전되었다.

데이턴 협정 서명 이후인 1996년, 사라예보 세르비아인들의 탈출이 일어났다. 일부 사라예보 세르비아인들이 팔레에 정착하면서 (상대적으로) 도시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 전쟁 이후 동사라예보 대학교의 몇몇 주요 단과대학이 팔레에 위치하게 되었다.

팔레에 거주하는 세르비아인이나, 그 외의 스릅스카 공화국(세르비아인 공화국)의 세르비아인으로부터, 팔레는 '''스릅스코 사라예보'''(Srpsko Sarajevo, 세르비아인의 사라예보)라고 불린다. 그러나, 팔레와 사라예보 사이는 10km 떨어져 있다. 팔레는 분쟁 후에도 스릅스코 사라예보로 계속 불리고 있지만, 사라예보의 주요부는 데이턴 협정에 의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영역으로 되었다. 그러나 사라예보에 오랫동안 살다가, 분쟁으로 그곳을 떠난 세르비아인도 많고, 스릅스카 공화국이 사라예보의 일부를 영유하는 것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높다. 그렇기 때문에, 사라예보에 가장 가까운 세르비아인의 거주지인 팔레는 스릅스코 사라예보로 계속 불리고 있다.

실제로는, 사라예보와 팔레는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으며, 팔레는 사라예보의 일부라기보다는 독립된 도시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팔레에는 자체적인 우체국, 대학교 등이 있다.

2. 1. 중세



파레는 동서양의 중요한 교차로였으며, 이는 사라예보 계곡과 드리나 강 유역을 의미한다. 로마 시대의 도로와 건물의 유적이 인근 마을인 미오시치와 일리약에 남아 있다. 이 지역은 초기부터 무역의 장소로 사용되었다.[1]

14세기 말과 15세기 초 파레 주변 지역은 봉건 영주인 파블로비치 가문에 속했다. 프라차 강변의 파블로바츠, 상 파레의 그라디나, 밀랴츠카 강 합류 지점 위에 있는 호디제드 등 여러 요새 정착지가 있었다. 호디제드 정착지는 주변 지역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했다.[1]

파블로비치 가문은 보스니아 귀족의 상류층에 속했으며, 그들의 영토는 서쪽의 브르흐보스나(오늘날의 사라예보)에서 동쪽의 도브룬까지 뻗어 있었다. 파블로비치 가문의 창시자인 파블레 라데노비치는 파레 주변의 조상 영토 외에도 올로보의 광산, 트레비니예 시, 코나블레와 차프타트의 일부를 소유했다. 그의 통제 하에 있던 지역은 현지인과 두브로브니크 상인 간의 번성하는 무역을 누렸다. 주요 무역 중심지는 오늘날 파레 지방 자치 단체의 일부인 프라차 마을이었다. 1415년 결투 중 파블레가 사망한 후, 그의 어린 아들 라도슬라브 파블로비치(1420–1421)가 아버지의 뒤를 이었다.[1]

1391년 보스니아의 트브르트코 1세가 사망한 후, 보스니아의 봉건 가문들은 왕좌를 차지하기 위해 다투었다. 파블레의 아들들은 다른 보스니아 귀족들의 위협 아래, 그들의 동맹국인 오스만 제국의 도움을 요청했다. 오스만 제국은 분할 통치 전략을 추구했고, 결국 완전한 정복으로 이어졌다.[1]

2. 2. 오스만 제국 통치 시기

보스니아의 오스만 제국 멸망 이후 파블로비치 가문의 봉건 영지는 11개 구역으로 나뉘어 "파블리 빌라예트"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468~69년에 실시된 최초의 오스만 제국 인구 조사에서 팔레 마을은 11개 구역 중 하나의 중심지로 "보가지 윰리(Bogazi Yumry)"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었다. "보가지 윰리" 구역에는 6개의 마을이 있었는데, 그 중 2개는 팔레 평원에 위치해 있었다.

지역 기독교 인구가 처한 혹독한 상황으로 인해 중세 시대 이 지역의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 동안의 도시 개발에 대한 데이터는 거의 없다. 이 지역은 새로운 통치자들에게 상업적으로 생존 가능하고 가치 있는 곳으로 남아 있었다. 프라차 마을은 18세기 대화재와 흑사병 발생 전까지 계속 성장하고 확장되었다. "파블리 Vilayet"이라는 이름은 19세기 초까지 이 지역에 계속 사용되었으며, 이 마을은 결국 팔레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새로운 이름에 대한 가장 초기의 기록 중 하나는 1877년의 지도에서 마을 자체와 전체 지역이 "팔레"로 표시된 것이다.

19세기 동안 오스만 제국은 정치적, 사회적으로 완전히 다른 두 권력 투쟁에 직면했다. 19세기 초는 수많은 피지배 민족의 일련의 민족적, 종족적 자유 운동으로 특징지어졌다. 반면 오스만 귀족들은 매우 보수적이었고, 중앙집권 국가의 개혁과 발전에 대한 모든 노력을 거부했다. 보스니아의 귀족들은 제국 내에서 가장 불만을 품은 집단 중 하나였으며, 권력에 맞서 자신의 권리를 질투심으로 지켰다.

1831년, 보스니아 귀족 중 가장 부유하고 강력한 멤버 중 한 명인 후세인 그라다셰비치 대위가 반란 귀족들을 이끌게 되었다. 트라브니크 정복 이후, 오스만 총독의 거처였던 보스니아 귀족들은 오스만 술탄에게 개혁 노력을 중단하고 보스니아의 현상 유지를 요구했다. 또한 그들은 자신들의 지위에서 총독을 선출하고 임명할 권리를 원했다.[1]

후세인 대위는 술탄이 그들의 요구에 답하기를 기다리지 않고 스스로를 보스니아 부왕으로 임명하여 그 과정에서 많은 지지자들을 소외시켰다. 술탄은 서로 다른 파벌들을 이용했고, 1832년 반군에 맞서 군대를 보냈다. 반군과의 결정적인 전투 중 하나가 팔레 마을 자체에서 벌어졌다. 후세인 대위는 충분한 수의 병력을 지휘하지 못했고 패배했다. 이 결정적인 승리는 반란의 기세를 꺾었다.[1]

2. 3.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통치 시기

베를린 회의를 통해 보스니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행정 아래 놓였다. 이 기간 동안 팔레와 주변 지역에는 상당한 투자와 경제적 변화가 이루어졌다.

새로운 지배자들은 주로 광물과 목재 제품과 같은 천연 자원의 개발을 선호했다. 이 시점에서 팔레는 이 지역의 중요한 벌목 및 목재 제품 중심지가 되었다. 189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팔레와 인접한 마을에는 483명의 주민이 있었다. 440명의 주민은 농업 및 벌목 활동에 종사했고 27명은 사무직에 종사했다. 산업 발전은 지원 활동을 촉진했다. 새로운 상점, 호텔 및 기타 서비스 활동이 마을에 도입되었다.

1907년 2월, 팔레는 최초의 초등학교를 설립했다. 이 학교는 팔레에 있는 세르비아 정교회의 학교-교회 위원회에서 관리했다. 학교는 종교에 관계없이 학생들을 받았다. 정교회 기독교인과 함께 가톨릭 및 유대인 학생들도 학교에 다녔다. 이들은 대부분 마을의 제재소에 관여했던 사람들의 자녀들이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행정 기록에 따르면 1879년까지 팔레에는 이미 두 개의 현대식 제재소가 있었고, 그 제품은 사라예보로 운송되었다. 보스니아 수도인 사라예보와 동쪽 국경 마을인 비셰그라드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 건설되면서 팔레 마을은 최초의 기차역을 갖게 되었다. 철도 연결은 팔레가 계속 성장하고 번영할 수 있도록 했으며, 외국인 투자를 통해 마을에 여러 개의 추가 제재소를 열 수 있었다. 사라예보에서 우바츠, 루도 및 돈예 바르디슈테로 이어지는 보스니아 동부 철도 건설은 1903년에 시작되었다. 이 노선은 760mm 궤간을 사용하여 1906년에 완공되었다. 7500만 금화의 비용이 들었고, 이는 킬로미터당 약 금화에 해당하며, 당시 건설된 세계에서 가장 비싼 철도 중 하나였다. 이 노선은 1978년에 폐쇄되었고, 이후 해체되었다.[2]

2. 4.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 초, 체르 전투에서 세르비아가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후, 연합군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동맹국들에게 보스니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를 공격하여 그들의 병력을 묶어두라고 요청했다.

1914년 10월, 세르비아-몬테네그로군은 사라예보 주변 지역으로 진입하여 로마니야 산을 장악했다. 그 작전 중 몬테네그로 부대가 팔레에 진입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몬테네그로군은 철수해야 했고, 그들과 함께 지역 세르비아인들도 대거 철수했다.

피난가지 못한 사람들은 제국 내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임무를 맡은 오스트리아의 불규칙적인 경찰력인 오스트리아 슈츠 군단의 자비에 놓였다. 팔레는 오스트리아군이 마을로 재진입한 후 완전히 약탈당하고 불태워졌다. 54명의 지역 주민들이 마을 중심에서 린치를 당했다.[1]

고라즈데 마을에서 프라차, 비야라, 부드, 포드그라브, 브르흐프라차, 고로비치, 호토치네, 글라시나츠, 포드로마니야, 소치카와 같은 인근 마을에서 온 피난민들이 드리나 강을 건너기 전에 오스트리아 정규군과 불규칙군에게 가로막혔다. 성인 남성 48명이 나머지 그룹과 분리되어 권총 사살되었고, 나머지 피난민들은 구금 캠프로 강제 이송되었다.[1]

이러한 구금 캠프의 상황은 특히 가혹했다. 가장 악명 높은 곳 중 하나는 도보이의 구금 캠프였다. 1914년 12월부터 1917년 7월까지 45,000명 이상(대부분 세르비아인)이 그곳에 구금되었다. 정확한 사망자 수는 아마 영원히 알 수 없겠지만, 1,000명 이상의 사망자가 확인되었으며, 그 중 230명은 팔레 자치구 출신이었다.[1]

2. 5.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전쟁이 끝나고 보스니아가 신설된 유고슬라비아 왕국에 흡수되면서 팔레는 다시 성장하기 시작했다. 경제 회복과 개발은 이 지역의 천연 자원, 특히 임업에 기반을 두었다.

사라예보와의 교통 연결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성장이 촉진되었다. 1928년 팔레는 자치구의 중심지가 되었다. 1939년까지 팔레에는 14개 이상의 제재소가 있었으며, 90000m3 이상의 목재 제품을 생산했다. 경제 개발은 인구 증가를 촉진하여, 1921년과 1931년 사이에 주민 수는 2,382명에서 11,103명으로 증가했다.

1930년대에는 이미 30~40채의 대형 건물을 찾아볼 수 있었다. 1935년에는 현대적인 급수 시스템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시는 문화적으로도 번영하여, 새 학교와 오래된 학교가 개조 및 건설되었다. 1928년에 완공된 제1차 세계 대전 희생자들을 기리는 지역 사회 센터에는 체조 장비가 갖춰져 있었고, 때때로 문화 및 엔터테인먼트 행사가 열렸다. 아마추어 극단과 민속 무용단도 활발하게 활동했다.

1934년에는 비호르 축구 클럽이 창단되었고, 이와 함께 새로운 축구 경기장이 건설되었다. 문화 및 스포츠 협회 "소코"는 팔레 주민들의 스포츠 프로그램 참여를 크게 이끌었다. 이 클럽의 회원들은 자그레브, 류블랴나, 프라하에서 성공적으로 경쟁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시는 최초의 의료 시설과 도서관도 갖추게 되었다.

1940년대까지 팔레는 작지만 매우 잘 정돈된 도시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사라예보 및 기타 지역의 지식인,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사람들이 팔레에 별장을 지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1941년 4월 독일의 유고슬라비아 공격으로 중단되었다. 자그레브와 베오그라드를 점령한 후, 독일군은 국가의 중심부를 향해 진격했다. 4월 15일, 독일 기갑 사단은 사라예보를 점령하고 팔레시에서 유고슬라비아 최고 군사 사령부를 장악했다. 1941년 4월까지 완전한 항복이 서명되었다. 짧은 4월 전쟁은 국가의 완전한 해체를 가져왔다. 팔레시는 나치와 관련된 크로아티아 독립국에 편입되었다.

팔레시에 새로 설치된 괴뢰 정권의 첫 번째 행위는 제1차 세계 대전 희생자 기념비와 동방 정교회 교회의 철거였다. 모든 세르비아 기업은 국유화되어 나치 동조자들에게 넘어갔다. 이전 문화 센터 건물은 곧 감옥 및 구금 센터로 사용될 우스타샤 지역 연대의 본부로 바뀌었다. 대량 추방, 저명한 세르비아인 처형이 매일 발생했다. 1941년 여름에 첫 번째 대량 학살이 발생하여, 녜마니치와 벨로고리차 마을이 완전히 파괴되고 60명 이상이 살해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학대에 직면한 지역 주민들은 무장 반란을 시작했다. 초기 충돌은 1941년 8월 1일 새벽에 일어났다. 점령군은 이 반란을 잔혹하게 진압하려 했고, 8월 한 달 동안 75명 이상의 저명한 시민들이 체포되어 강제 수용소로 추방되었다.

1943년 11월 중순, 보복 원정에서 우스타샤는 라코바츠 마을 주민 100명 이상을 살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팔레 자치구에서는 1,200명 이상의 민간인이 살해되었고, 다른 350명의 저항군이 전투에서 사망했다.

2. 6. 제2차 세계 대전

1940년대까지 팔레는 작지만 매우 잘 정돈된 도시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사라예보 및 기타 지역의 지식인,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사람들이 팔레에 별장을 지었다. 이 모든 것은 1941년 4월 독일의 유고슬라비아 공격으로 중단되었다. 자그레브베오그라드를 점령한 후, 독일군은 국가의 중심부를 향해 진격했다. 4월 15일, 독일 기갑 사단은 사라예보를 점령하고 팔레시에서 유고슬라비아 최고 군사 사령부를 장악했다. 1941년 4월까지 완전한 항복이 서명되었다. 짧은 4월 전쟁은 국가의 완전한 해체를 가져왔다. 팔레시는 나치와 관련된 크로아티아 독립국에 편입되었다.

팔레시에 새로 설치된 괴뢰 정권의 첫 번째 행위는 제1차 세계 대전 희생자 기념비와 동방 정교회 교회의 철거였다. 모든 세르비아 기업은 국유화되어 나치 동조자들에게 넘어갔다. 이전 문화 센터 건물은 곧 감옥 및 구금 센터로 사용될 우스타샤 지역 연대의 본부로 바뀌었다. 대량 추방, 저명한 세르비아인 처형이 매일 발생했다. 1941년 여름에 첫 번째 대량 학살이 발생하여, 녜마니치와 벨로고리차 마을이 완전히 파괴되고 60명 이상이 살해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학대에 직면한 지역 주민들은 무장 반란을 시작했다. 초기 충돌은 1941년 8월 1일 새벽에 일어났다. 점령군은 이 반란을 잔혹하게 진압하려 했고, 8월 한 달 동안 75명 이상의 저명한 시민들이 체포되어 강제 수용소로 추방되었다.

1943년 11월 중순, 보복 원정에서 우스타샤는 라코바츠 마을 주민 100명 이상을 살해했다. 그 마을에서 45명의 남성이 새로운 신분증 발급을 위해 우스타샤 행정부에 보고하자 모두 체포되어 두 명씩 서로 묶였다. 그들은 이송되어 살해되었다. 그들은 남성들을 죽인 후 라코바츠로 가서 남은 여성, 어린이 및 노인을 살해했다. 생존 증인인 밀란 스타르체비치가 오늘날 팔레에 거주하며 증언했다. "마을 주민의 일부가 실종되었다고 말한 후, 우스타샤는 수색대를 파견하여 알리야 언덕으로 갔다. 그곳에서 그들은 독일군에게 제지당했다. 독일군은 그들이 10명 정도의 여성과 아이들이 피신해 있던 산트락 집에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우스타샤와 독일군 사이에 총격전까지 벌어졌다."

다음 날 밀란 스타르체비치의 형제는 독일군과 함께 돌아와 우스타샤 학살 희생자를 매장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팔레 자치구에서는 1,200명 이상의 민간인이 살해되었고, 다른 350명의 저항군이 전투에서 사망했다.

2. 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6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팔레의 마을과 자치구는 지역 주민들의 끊임없는 노력 덕분에 경제 개발을 서서히 회복하고 재개했다. 같은 해 오래된 통나무 공장 터에 새로운 공장이 건설되었다. 이 공장은 25000m3 이상의 목재 제품을 생산했으며, 공장 자체에 170명 이상, 숲에서 150명을 고용했다.[1]

1952년에는 코란 교외에 군사 유지 보수 시설이 건설되어 지역 경제에 금속 산업을 위한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다. 1952년부터 1960년까지 이 시설에 300~400명의 직원이 추가로 고용되었다.[1]

금속 산업 발전과 함께 마을로 인구가 유입되면서 코란 교외에 새로운 건물과 아파트 단지가 건설되었다.[1]

1968년, 코란의 군사 유지 보수 단지는 "FAMOS" 법인과 합병하여 "FAMOS-Koran"으로 통합되었다. 이 합병으로 추가적인 발전과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었다. Famos-Koran은 대형 엔진, 변속기, 차량 부품을 제조했으며, 1980년대 말에는 2,0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했다. 또한 엔진 터보 제조 및 라이선스하에 건설된 메르세데스-벤츠 OM-360 엔진 부품 제조를 위한 공장도 추가되었다.[1]

2. 8. 보스니아 전쟁



1991년과 1992년, 보스니아 전쟁 발발을 앞두고 긴장이 고조되면서 팔레 지역은 반 사라예보, 친 세르비아 성향의 신생 스릅스카 공화국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이곳은 세르비아군이 사라예보 포위전을 벌이는 동안 활동의 중심지로 남았고, 이로 인해 1만 명 이상이 사망하고 5만 6천 명(어린이 1만 5천 명 포함)이 부상당했다. 스타니슬라브 갈리치 장군을 포함해 이 지역의 세르비아군을 지휘했던 고위급 지휘관 여러 명이 사라예보 시민을 상대로 무자비한 폭력 행위를 벌인 혐의로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 형사 재판소(ICTY)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다.

이 도시는 보스니아 세르비아 정부의 명목상 행정 본부가 되었으며, 바냐 루카가 사실상의 수도가 되었다. 팔레는 뉴스 통신사(SRNA), 텔레비전 방송국(Canal S), 신문(''Javnost'' 및 ''Ognjišta'') 등 다양한 문화 및 정보 기관이 자리 잡고 있는 중요한 문화 중심지로 남았다.

2. 9. 데이턴 협정 이후

보스니아 전쟁은 1995년 12월 14일 데이턴 협정 서명으로 종결되었다. 전쟁이 끝나면서 팔레는 어느 정도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갔다. 세르비아 공화국 헌법은 사라예보를 세르비아 공화국의 수도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 세르비아 공화국은 데이턴 협정에 따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구성 주체로 인정받았기에, 행정 수도는 현재 바냐 루카로 이전되었다.

데이턴 협정 서명 이후인 1996년, 사라예보 세르비아인들의 탈출이 일어났다. 일부 사라예보 세르비아인들이 팔레에 정착하면서 (상대적으로) 도시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 전쟁 이후 동사라예보 대학교의 몇몇 주요 단과대학이 팔레에 위치하게 되었다.

팔레에 거주하는 세르비아인이나, 그 외의 스릅스카 공화국(세르비아인 공화국)의 세르비아인으로부터, 팔레는 '''스릅스코 사라예보'''(Srpsko Sarajevo, 세르비아인의 사라예보)라고 불린다. 그러나, 팔레와 사라예보 사이는 10km 떨어져 있다. 팔레는 분쟁 후에도 스릅스코 사라예보로 계속 불리고 있지만, 사라예보의 주요부는 데이턴 협정에 의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영역으로 되었다. 그러나 사라예보에 오랫동안 살다가, 분쟁으로 그곳을 떠난 세르비아인도 많고, 스릅스카 공화국이 사라예보의 일부를 영유하는 것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높다. 그렇기 때문에, 사라예보에 가장 가까운 세르비아인의 거주지인 팔레는 스릅스코 사라예보로 계속 불리고 있다.

실제로는, 사라예보와 팔레는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으며, 팔레는 사라예보의 일부라기보다는 독립된 도시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팔레에는 자체적인 우체국, 대학교 등이 있다.

3. 인구

199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팔레 자치구의 인구는 16,310명이었고, 그 중 세르비아인이 11,269명, 무슬림이 4,356명, 유고슬라비아인이 394명, 크로아티아인이 126명, 기타가 165명이었다. 팔레 마을의 인구는 6,797명이었고, 세르비아인이 4,915명, 무슬림이 1,438명, 유고슬라비아인이 271명, 크로아티아인이 88명, 기타가 85명이었다.

보스니아 전쟁 이후, 팔레 자치구의 일부는 스릅스카 공화국에서 분리되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보스니아 포드린예 주의 팔레-프라차 자치구가 되었다. 2009년까지 공식 인구 조사는 없었지만, 사라예보에서 이주한 세르비아인이 많아 약 3만 명으로 추정되며, 대부분 세르비아인으로 보인다.

3. 1. 인구 변화

팔레 시의 정착지 인구
정착지1961년1971년1981년1991년2013년
블류슈테바츠(Bljuštevac)128269
도냐 류보고슈타(Donja Ljubogošta)291393
고르네 팔레(Gornje Pale)368694
고르니 프리반(Gornji Pribanj)187298
모크로(Mokro)408811
팔레108615792105738413883
포드그라브(Podgrab)722549
푸스토폴레(Pustopolje)266783
라코바츠(Rakovac)363850
로고우시치(Rogoušići)199468
신예보(Sinjevo)146280
총계1647716119154821448022282



197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팔레 자치구의 총 인구는 16,119명이었다.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세르비아인 - 11,230명 (69.66%)
  • 무슬림 - 4,508명 (27.96%)
  • 크로아티아인 - 142명 (0.88%)
  • 유고슬라비아인 - 80명 (0.49%)
  • 기타 - 159명 (1.01%)


199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팔레 자치구의 인구는 16,310명이었으며,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세르비아인 - 11,269명
  • 무슬림 - 4,356명
  • 유고슬라비아인 - 394명
  • 크로아티아인 - 126명
  • 기타 - 165명


같은 조사에서 팔레 마을의 인구는 6,797명이었으며,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세르비아인 - 4,915명
  • 무슬림 - 1,438명
  • 유고슬라비아인 - 271명
  • 크로아티아인 - 88명
  • 기타 - 85명


보스니아 전쟁 이후, 팔레 자치구 중 스릅스카 공화국에서 분리되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에 속하게 된 지역은 보스니아 포드린예 주의 팔레-프라차 자치구가 되었다. 전쟁 이후, 2009년까지 공식적인 인구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인구는 파악되지 않았다. 다만, 사라예보를 탈출한 세르비아인이 이주하여 인구가 약 3만 명으로 추정되며, 대부분이 세르비아인으로 보인다.

3. 2. 민족 구성

민족 구성 – 팔레 시
연도2013년1991년1981년1971년
총계13,883명 (100.0%)7,384명 (100.0%)2,105명 (100.0%)1,579명 (100.0%)
세르비아인5,204명 (70.48%)1,213명 (57.62%)1,059명 (67.07%)
보스니아인1,630명 (22.07%)521명 (24.75%)411명 (26.03%)
유고슬라비아인335명 (4.537%)294명 (13.97%)21명 (1.330%)
크로아티아인109명 (1.476%)36명 (1.710%)58명 (3.673%)
기타106명 (1.436%)18명 (0.855%)7명 (0.443%)
몬테네그로인20명 (0.950%)18명 (1.140%)
알바니아인2명 (0.095%)3명 (0.190%)
슬로베니아인1명 (0.048%)1명 (0.063%)
마케도니아인1명 (0.063%)



민족 구성 – 팔레 지방 자치 단체
연도2013년1991년1981년1971년
총계22,282명 (100.0%)16,355명 (100.0%)15,482명 (100.0%)16,119명 (100.0%)
세르비아인20,451명 (97.81%)11,284명 (68.99%)10,530명 (68.01%)11,230명 (69.67%)
보스니아인186명 (0.890%)4,364명 (26.68%)3,937명 (25.43%)4,508명 (27.97%)
기타144명 (0.689%)182명 (1.113%)56명 (0.362%)57명 (0.354%)
크로아티아인128명 (0.612%)129명 (0.789%)100명 (0.646%)142명 (0.881%)
유고슬라비아인396명 (2.421%)787명 (5.083%)80명 (0.496%)
몬테네그로인68명 (0.439%)68명 (0.422%)
알바니아인3명 (0.019%)24명 (0.149%)
슬로베니아인1명 (0.006%)5명 (0.031%)
헝가리인4명 (0.025%)
마케도니아인1명 (0.006%)



199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팔레 자치구에는 16,310명, 팔레 마을에는 6,797명이 거주했다.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 팔레 자치구: 세르비아인 11,269명, 무슬림 4,356명, 유고슬라비아인 394명, 크로아티아인 126명, 기타 165명
  • 팔레 마을: 세르비아인 4,915명, 무슬림 1,438명, 유고슬라비아인 271명, 크로아티아인 88명, 기타 85명


보스니아 전쟁 이후, 팔레 자치구 중 일부는 스릅스카 공화국에서 분리되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보스니아 포드린예 주의 팔레-프라차 자치구가 되었다. 2009년까지 공식 인구 조사는 없었지만, 사라예보에서 이주한 세르비아인이 많아 약 3만 명으로 추정되며, 대부분 세르비아인으로 보인다.

4. 경제

다음은 2018년 기준 팔레의 주요 산업별 고용 인원 현황이다.[4]

활동총계
농업, 임업 및 어업243
제조업610
전기, 가스, 증기 및 냉난방 공급업283
수도 공급업; 하수도, 폐기물 관리 및 정화 활동193
건설업269
도매 및 소매업, 자동차 및 오토바이 수리업704
운송 및 보관업102
숙박 및 음식 서비스업669
정보 및 통신업65
금융 및 보험업71
부동산 활동10
전문, 과학 및 기술 활동133
행정 및 지원 서비스 활동144
공공 행정 및 국방; 사회 보장 의무430
교육602
인간 건강 및 사회 사업 활동178
예술, 엔터테인먼트 및 레크리에이션17
기타 서비스 활동116
총계4,839



표에서 볼 수 있듯이, 팔레에서는 도소매업, 자동차 및 오토바이 수리업과 숙박 및 음식 서비스업에서 가장 많은 고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팔레의 목재 산업은 도시 경제의 중요한 부분으로 많은 사람들이 종사하고 있으나, 현재 숲의 재생 능력을 초과하는 과도한 벌목 시설이 존재한다.

4. 1. 관광 산업

지역 경제는 관광 산업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인근 야호리나 산, 트레베비치 산, 이그만 산은 1984년 동계 올림픽 기간 동안 사용되었다.

야호리나 스키 리조트에는 8개의 리프트가 있으며, 산 전체에 걸쳐 20km 이상의 스키 슬로프가 있어 올림픽 스타일의 전문 코스와 어린이 및 초보자를 위한 초급 코스를 제공한다. 야호리나의 성수기는 12월 중순부터 1월 말까지이다. 새해 즈음에는 미리 예약하지 않으면 숙소를 구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5]

"야호리나 팔레" 사냥 협회는 "팔레" 사냥터를 관리한다. 이 사냥터는 팔레 및 스타리 그라드 자치구에 걸쳐 37039ha가 넘는 면적을 차지한다. 이 사냥터는 스릅스카 공화국에서 가장 잘 관리되고 갖춰진 사냥터 중 하나이다. 사냥터에는 세 개의 사냥 오두막이 있는데, 두 곳은 팔렘 카운티 내에 있으며, 사냥 오두막 "스르다치"에는 35개의 침대가 있고, 더 작은 사냥 오두막 "레인"에는 20개의 침대가 있다. 이 사냥터는 사슴, 곰, 멧돼지, 토끼 등 다양한 종류의 사냥감을 제공한다.[6]

오를로바차 동굴에는 중요한 고고학적 유물이 있다. 동굴은 팔레에서 10km, 사라예보에서 15km 떨어진 949m 해발에 위치해 있다. 1975년에 최초의 탐험가들이 동굴에 들어갔다. 총 2500m의 탐험된 통로와 홀로 구성된 오를로바차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두 번째로 긴 동굴이다(Vjetrenica 동굴 다음으로). 2002년 8월과 9월에는 팔레 철학과의 주도로 가장 아름다운 동굴 장식물이 있는 총 통로 길이 500m가 관광객의 방문을 위해 개방되었다.[7]

이 동굴은 안정적인 미기후 조건이 특징이며, 일년 내내 온도는 8°C에 불과하고 습도는 90% 이상이다. 동굴에서 발견된 다양한 중요한 생명체의 징후는 이 지역에서 가장 풍부한 고생물학적 유적지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한다. 동굴에서 발견된 동굴 곰의 골격은 16,000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굴 입구로 이어지는 경사면에서 선사 시대 문화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유물의 연대 측정 결과 청동기 시대 후반으로 밝혀졌지만, 신석기 시대와 중석기 시대의 유물도 발견될 것으로 예상된다.

4. 2. 임업

팔레 시에는 30개 이상의 제재소와 목재 생산 공장이 있다. 팔레의 목재 산업은 이 도시 경제의 중요한 부분이며, 많은 사람들이 이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현재 이 지역에는 숲의 재생 능력을 초과하는 과도한 수의 벌목 시설이 있다.

5. 문화

아트 심포지엄 야호리나(Art Symposium Jahorina)는 2003년 5월 1일에 시작된 국제 미술 행사로, 매년 올림픽 산인 야호리나에서 개최되어 전 세계의 많은 예술가들을 초청하고 있다.

야호리나 영화제(Jahorina Film Festival)는 2007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다.

2021년에는 팔레 시립 도서관이 개관 100주년을 기념했다.[3]

6. 자매 도시

팔레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7. 저명한 출신 인물


  • 알렉산다르 코소리치, 축구 선수
  • 고란 트로복, 세르비아 축구 선수
  • 옐레나 롤로비치, 세르비아 알파인 스키 선수
  • 오그넨 코로만, 세르비아 축구 선수
  • 트리프코 그라베즈 (1895–1916), 검은 손과 관련된 단체인 청년 보스니아의 일원 (가브릴로 프린치프 포함);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암살 사건과 그의 아내 조피 호엔베르크 여공작과 관련하여 청년 보스니아의 다른 일원들과 함께 반역 및 살인 혐의를 받음
  • 자나 노바코비치, 알파인 스키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Историјски развој http://www.pale.rs.b[...] 2009-12-11
[2] 웹사이트 Narrow-gauge railway in Višegrad http://www.visegradt[...] Tourist organization of Višegrad 2016-09-18
[3] 웹사이트 Стогодишњица постојања Народне библиотеке Пале http://www.politika.[...] 2021-01-12
[4] 웹사이트 Cities and Municipalities of Republika Srpska http://www2.rzs.rs.b[...] Republika Srspka Institute of Statistics 2019-12-25
[5] 웹사이트 BH Tourism – What to see and do http://www.bhtourism[...] 2016-04-01
[6] 웹사이트 Туризам http://www.pale.rs.b[...] 2009-12-19
[7] 웹사이트 Uvod http://orlovaca.com/[...] 2009-12-19
[8] 문서 Official Town history page http://www.pale.rs.b[...]
[9] 문서 BIH Tourism http://www.bhtourism[...]
[10] 문서 http://www.pale.rs.b[...]
[11] 문서 Official Orlovaca Cave site http://orlovaca.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