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메데레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메데레보는 세르비아에 위치한 도시로, 세르비아어로는 스메데레보(Smederevo)로 불린다. 스메데레보의 이름은 1019년 비잔틴 제국 황제의 헌장에 처음 기록되었으며, 15세기에 세르비아 공국 전제공 주라지 브란코비치가 건설한 스메데레보 요새를 기원으로 한다. 1430년 세르비아의 새로운 수도가 되었으나, 1439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점령되었다. 이후 오스만 제국과 헝가리 왕국 사이의 격전지가 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의 점령 하에 놓이기도 했다. 현재는 철강 공장, 농업, 다뉴브 강을 이용한 하천 교통이 발달했으며, 스메데레보 요새, 카라조르제 뽕나무 등이 주요 관광 명소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옛 수도 - 니시
니시는 세르비아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에는 나이수스로 불렸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 중요한 도시로 발전하여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태어났고, 현재는 세르비아의 주요 산업, 문화, 교통의 중심지이다. - 세르비아의 옛 수도 - 크라구예바츠
크라구예바츠는 세르비아의 슈마디야 지역에 위치한 도시로, 과거 세르비아 공국의 수도였으며 산업 도시로 성장, 현재는 교육, 문화, 스포츠의 중심지이다. - 세르비아의 도시 - 베오그라드
베오그라드는 다뉴브강과 사바강 합류 지점에 위치한 세르비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로마 시대 싱기두눔으로 번성한 역사적 도시이며, 여러 제국을 거쳐 세르비아의 중심지로 발전해왔다. - 세르비아의 도시 - 니시
니시는 세르비아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에는 나이수스로 불렸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 중요한 도시로 발전하여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태어났고, 현재는 세르비아의 주요 산업, 문화, 교통의 중심지이다.
스메데레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스메데레보 시 |
로마자 표기 | Smederevo |
기타 이름 | |
![]() | |
![]() | |
![]() | |
지리 | |
해발 고도 | 72m |
도시 면적 | 42.03km2 |
행정 구역 면적 | 484.30km2 |
행정 구역 | |
구성 | 28개 정착지 |
인구 통계 | |
2022년 인구 | 97,930명 |
도시 인구 | 59,261명 |
정치 및 행정 | |
시장 | Jasmina Vojinović |
소속 정당 | SNS |
일반 정보 | |
시간대 | CET (UTC+1) |
하계 시간 | CEST (UTC+2) |
우편 번호 | 11300 11303 11304 11305 11330 |
지역 번호 | +381(0)26 |
차량 번호판 | SD |
웹사이트 | 스메데레보 공식 웹사이트 |
2. 명칭
세르비아어에서는 스메데레보(''Smederevo'' (Смедерево)), 라틴어,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 그리스어에서는 세멘드리아(''Semendria''), 헝가리어에서는 센드뢰 또는 베그-센드뢰(''Szendrő'' or ''Vég-Szendrő''), 튀르키예어에서는 세멘디레(''Semendire'')로 알려져 있다.
1세기에 로마 제국이 이 지역(빈케아)을 지배하기 전까지는, 다키아인과 트라키아인이 거주했다. 현대의 스메데레보는 세르비아 공국전제공주라지 브란코비치가 15세기에 건설한 것에 기원을 둔다. 1430년 스메데레보 요새가 건설되어 세르비아 공국의 새로운 수도가 되었다.
스메데레보라는 이름은 1019년 비잔틴 제국 황제 바실리오스 2세의 헌장에 처음 기록되었으며, 여기에는 오흐리드 대교구의 관구 교구인 브라니체보 교구에 관한 내용이 담겨 있다. 또 다른 기록은 1381년 공작 라자르 오브 세르비아의 헌장에서 발견되었는데, 그는 라바니차 수도원과 마을, 재산을 '코뮌과 유산을 가진 위대한 보고사브'에게 하사했다.
라틴-이탈리아 이름은 Belogradum et Semendria와 Belgrado e Semendria에서도 나타나는데, 이 두 곳은 20세기 초 단명했던 라틴 명목 주교구인 베오그라드의 동의어였으며, 1948년에는 주교구인 라틴 베오그라드 대교구와 '새롭게' 설립된 알바 마리티마 명목 주교구를 위해 폐지되었다.
페타르 스코크는 이 이름이 성 데메트리오스에서 유래했다고 제안한다.
3. 역사
1439년 오스만 제국의 2개월에 걸친 포위 공격으로 함락되기 전까지 스메데레보는 브란코비치의 거성이자 세르비아 공국의 수도였다. 이후 오스만과 헝가리 왕국 사이에 평화 협정이 체결되어 브란코비치는 스메데레보로 돌아왔으나, 훈야디 야노시가 평화 협정을 깨뜨리면서 세르비아는 헝가리와 오스만 사이의 전쟁터가 되었다. 브란코비치는 중립을 지켰다.
1454년 메흐메트 2세의 포위 공격으로 세르비아 공국은 멸망했다. 훈야디 야노시에 의해 일시적으로 해방되었지만, 1459년 스메데레보는 다시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었고 브란코비치는 사망했다. 이후 스메데레보는 오스만의 요새가 되었고, 1526년까지 이어진 오스만-헝가리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전략적 요충지였기 때문에 재건되고 확장되었다. 오랫동안 오스만 제국의 행정 구역인 산자크(سنجاق)의 수도가 스메데레보에 위치했다.
1476년 가을, 헝가리 왕국과 세르비아 연합군은 오스만 요새를 공격했지만, 메흐메트 2세에 의해 격퇴되었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 공략을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했다.
19세기 들어 1806년경 세르비아인의 반란이 활발해지면서 오스만 제국의 지배력은 약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스메데레보는 독일군 점령 하에 있었고, 요새는 병기고로 이용되었다. 1941년6월 5일 요새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하여 수천 명의 시민이 희생되었다.[1]
3. 1. 초기 역사
기원전 7천년기에 스타르체보 문화가 수천 년 동안 번성했으며, 그 뒤를 이어 기원전 6천년기에는 이 지역에서 빈차 문화가 번성했다. 고대 발칸의 다키아인과 트라키아인 부족은 기원전 2천년기에 이 지역에 등장했으며, 켈트족 스코르디스키는 기원전 3세기에 발칸 반도를 침략했다.
기원전 1세기에 로마 제국은 ''빈체이아''를 정복했다. 이후 모에시아에 편입되었고, 나중에는 모에시아 수페리오르의 일부가 되었다.[3] 디클레티아누스 (244–311)의 행정 개혁 동안 모에시아 교구에 포함되었고, 나중에는 다키아 교구에 포함되었다. ''빈체이아''는 ''마르구스'' 강과 ''브롱구스'' 강의 합류 지점 근처에 위치한 모에시아 수페리오르의 주요 도시로 중요성을 지녔다.[4][5]
3. 2. 중세 시대
현대 도시 스메데레보는 15세기 세르비아 데스포트 주라지 브란코비치가 1430년에 새로운 세르비아의 수도로 스메데레보 요새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6] 스메데레보는 1430년부터 1439년까지 브란코비치 가문의 거주지이자 세르비아 데스포테이트의 수도였으나, 두 달간의 포위 공격 끝에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었다.
1454년, 메흐메트 2세에 의해 포위되어 세르비아 공국은 멸망했다. 이후 훈야디 야노시에 의해 마을이 해방되었지만, 1459년 스메데레보는 다시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었고, 브란코비치는 사망했다. 마을은 오스만의 요새가 되었고, 1526년까지 이어진 오스만-헝가리 전쟁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점이었기 때문에, 이후 재건되고 확장되었다. 오랜 기간 동안 오스만 제국의 행정 구역인 산자크(سنجاق)의 수도가 스메데레보에 위치했다.
1476년 가을, 헝가리 왕국과 세르비아의 연합군은 오스만 요새를 공략하려 시도했다. 연합군은 세 개의 나무로 된 반격용 요새를 만들었지만, 메흐메트 2세에 의해 쫓겨났다. 격렬한 전투 끝에, 헝가리는 철수에 동의했다. 그 후에도 여러 차례 오스만을 상대로 공략을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로 끝났다.
3. 3. 오스만 제국 시대
1444년, 헝가리 왕국과 오스만 제국 간의 세게드의 평화 조약에 따라 술탄은 스메데레보를 주라지 브란코비치에게 돌려주었는데, 그는 야노스 후녀디와 동맹 관계에 있었다.[7] 같은 해 8월 22일 세르비아 공작은 비어 있는 도시를 평화롭게 점령했다.[8] 후녀디가 평화 조약을 깨뜨렸을 때, 주라지 브란코비치는 중립을 유지했다. 세르비아는 헝가리 왕국과 오스만 제국 간의 격전지가 되었고, 분노한 브란코비치는 1448년 제2차 코소보 전투에서 패배한 후 후녀디를 포획하여 짧은 기간 동안 스메데레보 요새에 가두었다.
1454년 술탄 메흐메트 2세는 스메데레보를 포위하고 세르비아를 황폐화시켰으나, 도시는 후녀디에 의해 해방되었다. 1459년 브란코비치가 사망한 후 스메데레보는 다시 오스만 제국에게 점령되었다. 이 도시는 터키 국경 요새가 되었고, 1526년까지 오스만-헝가리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전략적 위치 때문에 스메데레보는 점차 재건되고 확장되었다. 오랫동안 이 도시는 스메데레보 산자크의 수도였다.
1476년 가을, 헝가리인과 세르비아인 연합군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요새를 점령하려 했다. 그들은 세 개의 나무로 된 대요새를 건설했지만, 수개월의 포위 공격 끝에 술탄 메흐메트 2세가 직접 나타나 그들을 몰아냈다. 치열한 전투 끝에 헝가리인들은 철수에 동의했다. 1494년 펄 키니지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스메데레보를 점령하려 했다.[9] 1512년 야노슈 자폴랴는 이 도시를 성공적으로 포위하지 못했다.[7]
3. 4. 근현대
1806년 제1차 세르비아 봉기 동안, 스메데레보는 세르비아의 임시 수도가 되었고, 도시테이 오브라도비치가 이끄는 정부인 ''프라비텔스트부유시 소브예트''의 소재지가 되었다. 최초의 초등학교는 1806년에 설립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중, 도시는 나치 독일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이들은 요새에 탄약을 보관했다. 1941년 6월 5일, 스메데레보 요새 폭발로 인해 요새가 심각하게 파괴되었고, 약 2,000명의 주민이 사망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스메데레보는 포두나블레 구의 산업 및 문화 중심지가 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전반적인 산업 발전에 따라, 도시는 인프라가 크게 향상되었다. 스메데레보의 이상적인 지리적 위치로 인해, 사회주의 정부는 도로, 아파트 건물 및 수십 개의 공장 건설을 지원했다.[1]
1950년대부터 1980년대 말까지 건설 및 개조된 가장 주목할 만한 공장 중 일부는 1966년에 개조된 젤보즈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대에는 헤로이 스르바)였으며, 당시 스메데레보 외곽에 건설된 새로운 제철소인 사르티드(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대에는 MKS)는 1971년에 완전히 가동되었다.[1]
4. 인구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스메데레보의 인구는 59,261명이다.[11]
시(市)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11]
민족 | 인구 | % |
---|---|---|
세르비아인 | 89,054 | 90.94% |
로마인 | 2,317 | 2.37% |
마케도니아인 | 183 | |
유고슬라비아인 | 144 | |
크로아티아인 | 99 | |
몬테네그로인 | 99 | |
헝가리인 | 62 | |
알바니아인 | 46 | |
루마니아인 | 40 | |
러시아인 | 38 | |
무슬림 | 27 | |
불가리아인 | 22 | |
슬로바키아인 | 20 | |
독일인 | 15 | |
발라흐인 | 14 | |
우크라이나인 | 13 | |
슬로베니아인 | 11 | |
보스니아인 | 8 | |
분예바치 | 1 | |
기타 | 131 | |
지역 소속 | 17 | |
미신고 | 879 | |
불명 | 4,690 | |
총계 | 97,930 |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스메데레보 시 행정 구역에는 108,209명의 주민이 있었으며, 이 중 세르비아인이 101,908명, 로마인이 2,369명이었다.[23]
스메데레보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인구 | 비고 |
---|---|---|
1805년 | 4,000명 | (개산) |
1834년 | 3,907명 | |
1874년 | 8,343명 | |
1884년 | 6,600명 | |
1900년 | 7,141명 | |
1905년 | 7,097명 | |
1910년 | 7,411명 | |
1921년 | 8,500명 | |
1931년 | 10,500명 | |
1941년 | 11,500명 | (추계) |
1948년 | 14,206명 | (24,761명) |
1953년 | 18,328명 | (29,663명) |
1961년 | 27,182명 | (39,793명) |
1971년 | 40,192명 | (54,257명) |
1981년 | 55,369명 | (69,814명) |
1991년 | 61,990명 | (76,984명) |
2002년 | 62,805명 | (77,808명) |
2008년 | 67,684명 | (84,456명) |
2002년부터 2008년까지 코소보와 메토히야에서 쫓겨온 사람들로 인해 인구가 급증했다. 2002년 현재, 인구 비율은 세르비아인이 94.47%, 로마인이 2.13%를 차지한다.
5. 경제
스메데레보는 1950년대~1960년대의 격심한 산업화로 중공업과 제조업이 발달했다. 이전에는 이 지역 전체가 농업 생산에 크게 의존했다.
이 도시는 과거 사르티드로 알려졌던 Železara Smederevo(철강 공장)가 있는 국내 유일의 가동 제철소의 본거지이며, Radinac 교외에 위치해 있다. 이 제철소는 2003년 U.S. Steel(U.S. 스틸)에 3300만달러에 매각되어 민영화되었다.[12] 세계 경제 위기 이후, U.S. Steel은 공장 폐쇄를 피하기 위해 세르비아 정부에 상징적인 1USD에 공장을 매각했다. 공장은 Železara Smederevo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당시 5,400명의 직원을 고용했다.[13] 2016년, 세르비아 정부는 중국의 대기업 Hesteel Group(허스틸 그룹)과 합의하여 유효 자산을 4600만달러에 매입했다.[14]
"밀란 블라고예비치"(Milan Blagojević) 백색 가전 공장은 이 도시에서 두 번째로 큰 산업 회사이다. 스메데레보는 과일과 포도 생산으로도 유명한 농업 지역이다. 그러나 대규모 농업 복합기업인 "고도민"(Godomin)은 1990년대부터 재정적 어려움을 겪으며 거의 폐쇄되었다. 포도 품종 목록에 있는 스메데레브카로 알려진 포도 품종은 이 도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슈라나"(Ishrana) 공장은 세르비아 북부와 동부 지역에 빵 제품을 공급하는 중요한 업체이다.
미국-네덜란드 컨소시엄인 Comico Oil은 2012년 이 도시의 산업 구역에 2.5억달러 규모의 정유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었다.[15] 그러나 컨소시엄은 1년 후 토지 임대료 지불 기한을 맞추지 못해 정유 공장 건설 허가를 잃었다.[16]
2017년 9월 현재, 스메데레보는 세르비아에 설립된 14개의 자유 경제 구역 중 하나이다.[17]
다음 표는 핵심 활동별 법인에 고용된 등록된 전체 인원수를 2022년 기준으로 보여준다.[18]
활동 | 총계 |
---|---|
농업, 임업 및 어업 | 229 |
광업 및 채석업 | 7 |
제조업 | 12,481 |
전기, 가스, 증기 및 냉방 공급 | 223 |
수도 공급; 하수, 폐기물 관리 및 복구 활동 | 636 |
건설업 | 933 |
도매 및 소매업, 자동차 및 오토바이 수리 | 4,306 |
운송 및 창고업 | 1,492 |
숙박 및 음식 서비스 | 614 |
정보 및 통신 | 305 |
금융 및 보험 활동 | 373 |
부동산 활동 | 48 |
전문, 과학 및 기술 활동 | 751 |
행정 및 지원 서비스 활동 | 442 |
공공 행정 및 국방; 의무 사회 보장 | 1,304 |
교육 | 1,878 |
인간 건강 및 사회 복지 활동 | 1,616 |
예술, 엔터테인먼트 및 레크리에이션 | 332 |
기타 서비스 활동 | 455 |
개별 농업 종사자 | 678 |
총계 | 29,102 |
6. 교통
스메데레보 시의 하천 교통 기반 시설은 다뉴브 수로, 구 항구, 마리나, 신 항구, 액체 세르비아 석유 산업(Naftna Industrija Srbije) 화물 터미널, 산업 지대에 강변을 따라 위치한 소규모 부두(자갈 채취장)로 구성되어 있다. 항구는 국제 교통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스메데레보 시의 바로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연간 150만 화물 톤을 처리할 수 있는 하역 능력을 갖추고 있다. 2019년까지 세르비아 정부는 스메데레보 항구의 필요에 따라 건설된 새로운 철도 건설에 950만유로를 투자했다.[19] 또한 2020년부터 세르비아 정부가 새로운 항만 터미널 건설에 9300만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19][20]
7. 관광
도시의 주요 관광 명소로는 스메데레보 요새와 빌라 즐라트니 브레그가 있다.
스메데레보 중심부에는 오래된 하얀 뽕나무가 있다. ''카라조르제브 두드''(“카라조르제 뽕나무”)라고 불리는 이 나무는 300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역사적 자료는 없지만, 이 나무 아래에서 요새의 오스만 사령관인 디즈다르 무하렘 구샤가 1805년 11월 8일 제1차 세르비아 봉기 당시 도시가 해방된 후 카라조르제에게 도시 열쇠를 넘겨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21] 2018년 5월, 이 나무는 스메데레보 최초의 "살아있는" 기념물로 III 등급 자연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나무는 금속 파이프로 지지되고 있지만, 남성과 여성의 손 모양을 한 두 개의 조각품을 대신 설치하자는 제안이 있다.[21]
8. 자매 도시
스메데레보는 다음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도시 | 국가 |
---|---|
팔레 | Republika Srpska|스릅스카 공화국bs |
볼로스 | Ελληνική Δημοκρατία|그리스el |
탕산 | 中华人民共和国|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24] |
헤르체그노비 | Crna Gora|몬테네그로cnr |
9. 출신 인물
- 프레드라그 시키미치 - 축구 선수
-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 축구 선수
- 마르코 밀로바노비치 - 축구 선수
- 코스타 네델리코비치 - 축구 선수
- 타냐 사비치 - 가수
참조
[1]
간행물
AGE AND SEX
https://publikacije.[...]
publikacije.stat.gov.rs
2023-07-13
[2]
서적
Etimologijski rječnik hrvatskoga ili srpskoga jezika
JAZU, Zagreb
[3]
서적
p. 317
https://archive.org/[...]
author
2012-08-31
[4]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 Company
[5]
서적
A grammar of ancient geography: compiled for the use of King's College School
https://books.google[...]
Hansard (London)
[6]
서적
Socialist Republic of Serbia
Jugoslovenska Revija
1985
[7]
서적
The Last Muslim Conquest: The Ottoman Empire and Its Wars in Europ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
[8]
서적
The Late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Late Twelfth Century to the Ottoman Conques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4
[9]
서적
Habsburgisch-osmanische Beziehungen
Verlag
1985
[10]
웹사이트
Comparative overview of the number of population in 1948, 1953, 1961, 1971, 1981, 1991, 2002, 2011. and 2022
https://popis2022.st[...]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11]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НА ПРИПАДНОСТ Подаци по општинама и градовима
https://publikacije.[...]
Republički zavod za statistiku
2023-07-13
[12]
웹사이트
Serbia looks east for quick steel plant sale
https://www.reuters.[...]
Reuters
2016-10-15
[13]
뉴스
Serbia buys U.S. Steel plant; Price: $1
https://www.cbsnews.[...]
2016-10-15
[14]
웹사이트
Zelezara Smederevo steel mill: China's offer accepted
https://insajder.net[...]
Insajder.net
2016-10-15
[15]
뉴스
Comico Oil Wins Permit to Build $250 Million Refinery in Serbia
https://www.bloomber[...]
2012-03-13
[16]
뉴스
Serb City Scraps Comico Oil Refinery Project on Deadline
https://www.bloomber[...]
2013-02-05
[17]
뉴스
Slobodne zone mamac za investitore
http://www.politika.[...]
2017-09-03
[18]
웹사이트
MUNICIPALITIES AND REGIONS OF THE REPUBLIC OF SERBIA, 2023.
https://publikacij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24-09-20
[19]
뉴스
Mihajlović: Smederevo će biti čvorište za teretni saobraćaj
https://www.danas.rs[...]
2019-12-28
[20]
뉴스
Predviđena ulaganja od pola milijarde evra u razvoj luka u Srbiji
https://www.b92.net/[...]
2019-12-24
[21]
뉴스
Karađorđev dud postao prirodno dobro
http://www.politika.[...]
2018-05-31
[22]
웹사이트
Census in the city of Smederevo
http://pop-stat.mash[...]
pop-stat.mashke.org
2016-10-15
[23]
웹사이트
Microsoft Word - tekst, REV.GN.doc
http://media.popis20[...]
2016-10-15
[24]
웹사이트
Ozvaničena saradnja Tangšana i Smedereva
https://www.danas.rs[...]
Danas
2023-0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