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평균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균곤은 곤충의 평형 감각 기관으로, 특히 파리목 곤충에서 뒷날개가 변형되어 진화했다. 윌리엄 데르함의 연구를 시작으로, 평균곤은 회전 감지 및 균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평균곤은 종상 감각기 및 기시관과 같은 감각 기관을 통해 비행 중 각속도를 감지하며, 파리의 머리 안정화와 시각-운동 통합에도 기여한다. 또한, 일부 파리 종에서는 보행 시에도 밸런스를 진동시키며 안정성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곤충 해부학 - 날개
    날개는 원래 조류의 앞다리를 지칭하는 고대 노르웨이어에서 유래되었으나, 현재는 유체와의 상호작용으로 양력을 얻는 물체, 예를 들어 항공기 날개, 수중익선, 레이싱카 윙, 범선의 돛, 프로펠러, 회전익, 그리고 익룡, 조류, 박쥐의 비상 기관 등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항공역학의 핵심 요소이자 자유와 꿈 등의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 곤충 해부학 - 비늘 (나비목)
    나비목 곤충 날개의 구조물인 비늘은 위아래 라미나와 자루로 구성되어 쉽게 떨어져 포식자를 피하도록 하며, 형태와 색깔에 따라 위장, 보호, 체온 조절, 비행 등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한다.
평균곤

2. 역사

평균곤의 역사는 1714년 윌리엄 데르함에 의해 처음 기록되었다. 그는 파리의 평균곤을 외과적으로 제거했을 때 파리가 공중에 떠 있을 수 없지만 다른 면에서는 정상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을 발견했다.[10] 이 결과는 처음에는 평균곤이 평형을 감지하고 유지하는 능력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졌다. 1917년 v. 부덴브로크는 파리의 비행 능력 상실에 다른 요인이 작용한다고 주장하며,[11] 평균곤을 "자극 기관"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11] 즉, 평균곤의 활동이 날개 근육계를 활성화시켜 비행의 켜짐/꺼짐 스위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그는 평균곤의 활성화가 중추 신경계를 자극하여 날개가 비행 행동을 유발할 수 있음을 보여주려고 시도했다.[11]

이후, 이는 사실이 아니며 평균곤이 균형 기관 역할을 한다는 원래 주장이 옳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부덴브로크는 평균곤 제거 직후 파리가 정상적인 날개 움직임을 만들 수 없다는 것을 보였지만, 이는 파리가 수술 후 몇 분간 회복 시간을 가지면 정상적인 비행 근육 조절이 완전히 회복된다는 사실로 설명되었다. 또한, 프링글(1938)의 실험에서 평균곤이 없는 파리의 복부에 실을 부착했을 때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해졌다.[7] 이 실험에서 실은 파리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며(마치 열기구 아래에 무거운 바구니가 풍선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과 유사), 이는 평균곤이 신체 회전을 감지하는 데 책임이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했다.[3]

프링글(1948)은 당초 평형 이론에서 두 방향의 힘만 설명했고, 파리가 평균곤을 사용하여 감지하는 회전 방향은 요(yaw)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파우스트(1952)는 고속 비디오 분석을 통해 평균곤이 세 방향의 회전을 모두 감지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12] 이에 프링글은 이전 가정을 재검토하여 파리가 신체의 좌우 측면에서 입력을 비교함으로써 세 방향의 회전을 모두 감지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13] 물론 이것은 파리가 회전을 감지하는 실제 메커니즘은 아니다. 각 평균곤 기저의 서로 다른 영역에 위치한 다양한 감각 기관이 회전의 서로 다른 방향을 감지하며, 이는 평균곤이 하나만 있는 파리도 문제없이 비행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한다.[8]

3. 진화

혹스 유전자는 분절된 유기체의 연속 상동성 또는 반복되는 구조의 발달을 결정하는 유전자이다. 곤충에서 흉부는 서로 다른 분절로 나뉘는데, 혹스 유전자 ''울트라비소락스(Ubx)''는 몸의 세 번째 흉부 분절의 정체성을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18] 나비, 딱정벌레, 파리를 포함한 많은 곤충 종에서 뒷날개 발달은 ''Ubx''에 달려 있다.[19][20][21] 초파리의 경우 변태 동안 평균곤 형성을 담당하는 유전자가 ''Ubx''이며, 이 유전자가 실험적으로 비활성화되면 평균곤 대신 온전한 날개가 형성된다.[18]

''Ubx''가 뒷날개 형성을 담당하는 주요 유전자이지만, 일단 발현되면 다른 유전자도 조절한다. Weatherbee (1998)는 ''Ubx'' 발현 패턴이나 수준의 차이가 아닌, ''Ubx''가 조절하는 표적 유전자 세트가 관찰된 변화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제안했다. ''Ubx''가 조절하는 표적 유전자에는 ''spalt''와 ''knot''가 있으며, 이들은 날개에서는 발현되지만 평균곤에서는 억제되고 엑스트라덴티클의 영향을 받지 않는 두 개의 직접 표적이다.[22][23] 이 외에도 날개에서 발현되고 평균곤에서 억제되는 다른 유전자도 확인되었지만, 이들이 ''Ubx'' 조절의 직접적인 표적으로 작용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9][24][25]

일반적인 곤충은 중흉과 후흉에 한 쌍씩, 총 두 쌍의 날개를 가지고 있지만, 파리모기는 중흉에 있는 앞날개 한 쌍만 보인다. 이는 후흉에 있는 뒷날개 한 쌍이 비행 능력을 잃고 극도로 변형된 작은 구조체인 평균곤으로 퇴화했기 때문이다. 평균곤은 매우 가늘고 작은 막대 모양이며 끝이 부풀어 오른 형태를 하고 있으며, 비행 중에 앞날개의 날갯짓과 같은 속도로 진동한다. 앞날개를 쳐올릴 때 평균곤은 내려가고, 앞날개를 쳐내릴 때 평균곤은 올라간다.[40]

꼬리털목 곤충 역시 기능하는 날개가 한 쌍뿐이다. 이 종류에서는 앞날개가 평균곤 모양의 기관으로 변했지만, W. 폰 부덴브로크(W. von Buddenbrock)가 제시한 설에 따르면 이 기관은 평균곤과 같은 역할을 한다. 이러한 평균곤 모양의 기관은 '''가짜 평균곤''' (영어: pseudo-haltere)이라고 부른다.

3. 1. 수렴 진화

일반적으로 평균곤은 곤충의 비행에 사용되지 않는 날개, 즉 파리목의 뒷날개와 벌레집게벌레목의 앞날개에서 진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의 움직임, 구조, 기능, 발생은 모두 이러한 가설을 뒷받침한다. 평균곤 기저부에 위치한 종상 감각기는 다른 곤충의 뒷날개 기저부에서 발견되는 것과 많은 유사성을 보인다.[3] 이 감각기들은 평균곤이 날개로 대체되더라도 동일한 감각 기관을 활성화할 수 있을 정도로 뒷날개의 그것과 매우 유사하게 배열되어 있다.[3] 유전학 연구 또한 평균곤과 뒷날개 사이의 많은 유사점을 보여준다. 실제로, 평균곤의 발생은 뒷날개 대신 뒷날개를 형성하도록 비활성화될 때 단일 유전자(Ubx)로 거슬러 올라간다.[18] 단 하나의 유전자만이 이러한 변화를 담당하기 때문에, 작은 돌연변이가 최초의 평균곤 형성을 이끌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18]

벌레등에목 할테레스: 앞다리와 중간 다리 사이에 위치한 물방울 모양 구조 (빨간색 화살표로 표시)


부채벌레목 곤충은 뚜렷한 성적 이형성을 보이는 독특한 곤충 그룹이다. 암컷은 일생을 애벌레와 같은 상태로 보내며 더 큰 곤충에 기생한다. 수컷 역시 기생 생활을 하지만, 암컷을 찾기 위해 숙주를 떠난다. 이 때문에 수컷은 여전히 비행 능력을 유지한다. 수컷 부채벌레목은 독특하게 두 개의 뒷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앞날개는 곤봉 모양의 평형곤(halteres)으로 변형되었다.[14] Pix 외 (1993)는 수컷 부채벌레목이 가진 특수한 앞날개가 파리목의 평형곤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몸체의 회전 운동은 진동하는 평형곤과 결합되어 평형곤 기저부에 위치한 기계 감각기(campaniform sensilla)의 필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코리올리 힘을 생성한다. Pix 외는 기능적 형태학과 행동 연구를 통해 이러한 센서가 신체 위치 정보를 머리와 복부에 전달하여 보상 운동을 생성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6]

나비목(나방과 나비) 곤충 중 일부는 비행 중 더듬이의 진폭이 작은 진동을 일정 각도로 나타낸다.[15] 독수리나방(''Manduca sexta'')을 이용한 연구에서 이러한 작고 미세한 더듬이 진동이 실제로 몸의 회전 감각에 기여한다는 것을 확인했다.[15]

Sane ''et al.'' (2007)은 더듬이의 긴 부분(편모)을 제거하고 다시 부착하여 비행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독수리나방의 비행 안정성에 더듬이가 기여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편모를 제거하자 나방은 더 이상 안정적인 비행을 유지할 수 없었다. 편모를 다시 부착한 후 비행 성능이 회복되었다. 나비목 곤충의 더듬이 기저부에는 뵈헴 강모와 존스톤 기관, 두 세트의 기계 감각 기관이 있다. 이 수용체들은 더듬이 움직임의 다양한 방향에 반응한다. Sane ''et al.'' (2007)은 편모를 제거하고 다시 부착했을 때 기저부(뵈헴 강모 및 존스톤 기관)를 제외한 모든 더듬이 신경이 절단되었기 때문에 다른 감각 기관이 아닌 기계 감각기가 비행 안정성에 책임이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15]

4. 동역학

평균곤은 움직이는 질량의 자이로스코프 속성을 사용하여 신체 위치의 작은 편차를 감지한다.[3] 평균곤은 날개의 펄럭임과 일치하여 선형 경로를 따라 위아래로 움직이지만, 파리의 몸이 회전하면 평균곤의 움직임 경로도 변경된다. 평균곤은 선형 경로 대신 곡선 경로를 따르며, 교란이 클수록 원래 경로에서 더 멀리 이동한다.[7]

이때, 평균곤은 위, 아래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움직인다. 좌우 움직임에 대한 응답으로 평균곤에 가해지는 힘은 코리올리 효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움직이는 물체가 회전의 세 방향(요, 피치, 롤)으로 회전할 때 발생한다. 평균곤 기저부의 작은 종 모양 구조는 평균곤 줄기가 구부러지면서 변형을 경험하고,[7][8] 신경계는 이 굽힘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신체 회전 정보로 해석한다. 파리는 이 정보를 통해 위치를 수정하고 비행 중 스스로를 재안정화한다.[3]

회전 방향


현재 유력한 설에 따르면, 평균곤은 그 진동으로 비행 운동의 각속도를 감지하는 감각 기관이며, 항공기자이로스코프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G.Fraenkel 등에 의함). 좌우 평균곤을 모두 제거하면 파리목 곤충은 비행할 수 없다.

5. 형태

파리목 곤충은 대부분 두 쌍의 날개를 가지고 있지만, 파리는 한 쌍의 날개와 한 쌍의 평균곤을 가지고 있다. "Diptera"라는 파리목의 이름은 "두 날개"를 의미한다.[2] 부채벌레목(strepsipterans) 곤충 또한 두 개의 날개와 두 개의 평형곤을 가지는데, 부채벌레는 앞날개를, 파리는 뒷날개를 평형곤으로 변형시켰다.[6]

평형곤은 자이로스코프(자이로스코프)처럼 작동하여 비행 중 몸의 회전을 감지한다.[3] 파리가 회전하면 평형곤의 움직임 경로가 곡선으로 바뀌고, 코리올리 효과(코리올리 힘)에 의해 평형곤에 좌우 움직임이 발생한다. 평형곤 기저부의 종 모양 구조가 변형을 감지하고, 신경계는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파리가 회전 정보를 파악하고 비행을 안정시킨다.[7][8][3]

평형곤은 비행 안정화 외에도 머리 위치와 시선 조절, 걷기 등에도 관여한다.[5][9][38]

파리 평형곤과 주변 구조의 전자 현미경 사진:
1. calyptra (squama)
2. 상부 calypter (antisquama)
3. 평형곤
4. 중흉측판
5. 하흉측판
6. 콕사
7. 날개
8. 복부 마디
9. 중흉부
c. 평형곤의 capitellum
p. 평형곤의 pedicel
s. 평형곤의 scabellum


평형곤의 구조는 종에 따라 다양하다. Tipuloidea(각다귀)는 긴 자루를 가진 평형곤을 가지고 있어 육안으로 쉽게 볼 수 있다. Calliphoridae(파리)는 "calyptrae"라는 구조로 평형곤을 덮는다.[3] 꽃등에(Syrphidae)는 평형곤의 구근이 자루에 거의 수직으로 위치한다.[28]

파리는 평형곤을 90도 오프셋으로 유지하여 요, 피치, 롤 세 방향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평형곤 기저부의 기계수용기는 두 방향의 힘만 측정할 수 있지만, 두 평형곤이 서로 다른 각도로 움직여 세 방향 회전을 모두 감지한다. 파리는 피치에 가장 민감하다.[3][29]

평형곤의 길이와 모양은 종에 따라 다르다.


일반 곤충은 두 쌍의 날개를 가지지만, 파리모기는 앞날개 한 쌍만 보인다. 뒷날개는 평균곤으로 변형되어 작고 막대 모양이며 끝이 부풀어 있다. 평균곤은 비행 중 앞날개와 같은 속도로 진동하며, 앞날개를 쳐올릴 때 평균곤은 내려가고, 앞날개를 쳐내릴 때 평균곤이 올라간다.[40]

꼬리털목 곤충은 앞날개가 평균곤 모양으로 변형된 '''가짜 평균곤'''(pseudo-haltere)을 가진다.

6. 신경생리학

파리목 곤충은 뒷날개가 퇴화하여 생긴 한 쌍의 평균곤을 가지고 있다. 평균곤은 비행 중 회전을 감지하는 기관으로, 자이로스코프와 유사한 역할을 한다.[3] 평균곤은 날개의 펄럭임과 함께 위아래로 움직이는데, 몸이 회전하면 움직임 경로가 변하며 좌우로도 움직이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코리올리 힘은 평균곤 기저부의 종 모양 구조를 변형시키고, 신경계는 이를 전기 신호로 바꿔 회전 정보를 파악한다.[7][8]

평균곤은 자이로스코프 속성을 이용하여 신체 위치의 작은 편차를 감지한다.[3] 파리가 회전하면 평균곤의 운동 경로가 변하고, 코리올리 효과가 발생한다.[7] 평균곤은 위, 아래, 왼쪽, 오른쪽 네 방향으로 움직이며, 이때 평균곤에 가해지는 힘은 코리올리 힘이다. 이 힘은 평균곤 기저부의 종 모양 구조를 변형시키고, 신경계는 이 변형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회전 정보를 해석한다.[7][8]

평균곤은 비행 안정화뿐만 아니라 머리 위치, 시선, 걷기 등에도 관여한다.[5][9][38] 단각아목(파리)은 평균곤이 날개와 거의 정반대(180도)로 진동하는 반면, 모기아목은 다양한 날개-평균곤 위상을 보인다. 이는 중추 신경계의 디코딩 메커니즘이 계통 발생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38]

평균곤이 흔들리면 할테르 신경에서 활동 전위 연발이 발생하고,[3] 파리가 회전하면 이 연발이 무너진다. 평균곤 구심성 신경 섬유는 비행 근육 뉴런이 있는 중흉 신경총에서 종결된다.[31] 감각 입력은 평균곤 기저부의 다섯 개 감각 영역에서 들어오며, 평균곤 신경으로 수렴된다.

6. 1. 근육

파리목 곤충은 대부분의 다른 곤충 목들과 함께 비행을 위해 간접 곤충 비행 근육을 사용한다. 간접 곤충 비행 근육은 흉부에 부착된 두 세트의 수직 근육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근육 세트가 수축하면 곤충의 몸이 변형되고 가슴이 수직으로 압축되어 날개가 들어올려진다. 첫 번째 근육 세트가 이완되고 두 번째 세트가 수축하면 가슴이 반대 방향으로 짜여져 몸이 수직으로 확장되고 날개가 아래로 움직인다.[26]

곤충 날개의 움직임:
'''a''' 날개
'''b''' 1차 및 2차 비행 관절
'''c''' 배쪽 비행 근육
'''d''' 세로 근육


날개와 평형곤의 움직임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27] 날개를 제어하는 근육과 평형곤을 제어하는 근육 사이에는 연결이 없지만, 아전체상 능선이라는 두 개의 작은 큐티클 능선이 오른쪽 날개를 오른쪽 평형곤에, 왼쪽 날개를 왼쪽 평형곤에 연결한다.[27]

몸의 각 측면은 동기화되어야 하며, 왼쪽과 오른쪽 날개와 평형곤은 항상 같은 주파수로 움직인다. 파리가 회전할 수 있는 것은 날개짓 진폭의 차이 때문이며, 날개 기저부에는 클러치 구조가 있어 날개 근육을 결합 및 분리하고 날개짓 진폭을 조절한다. 왼쪽 날개의 진폭이 오른쪽보다 작으면 파리는 왼쪽으로 회전한다. 평형곤의 움직임은 날개와는 별개의 근육에 의해 제어되지만, 날개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날개짓 주파수의 변화는 평형곤의 움직임 주파수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평형곤의 움직임 진폭은 변하지 않는다.[27]

평형곤 근육은 비행 근육에 비해 작기 때문에 비행 중에는 비행 근육의 활동이 평형곤 근육의 활동을 압도한다. 걷는 동안에는 왼쪽과 오른쪽 평형곤이 비행할 때보다 더 가변적인 위상 관계를 보인다.[38]

파리들은 간접 비행 근육을 사용하여 날개 운동을 수행하며, 날개 떨이 운동은 동일한 근육 그룹에 의해 구동된다. 날개짓 운동을 담당하는 간접 비행 근육 외에도 날개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조향 근육도 있다. 날개 떨이는 뒷날개에서 진화했기 때문에, 다른 운동 방향에도 동일한 조향 근육이 존재한다. Chan 등(1998)은 앞날개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한 10개의 직접 제어 근육을 날개 떨이에서 확인했다.[31]

6. 2. 종상 감각기 (Campaniform sensilla)

파리목 곤충은 뒷날개가 퇴화하여 생긴 한 쌍의 평형곤을 가지고 있다. 평형곤은 비행 중 회전을 감지하는 기관으로, 자이로스코프와 유사한 역할을 한다.[3] 평형곤은 날개의 펄럭임과 함께 위아래로 움직이는데, 몸이 회전하면 움직임 경로가 변하며 좌우로도 움직이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코리올리 힘은 평형곤 기저부의 종 모양 구조를 변형시키고, 신경계는 이를 전기 신호로 바꿔 회전 정보를 파악한다.[7][8]

평형곤 기저부에는 5개의 감각 영역이 있으며, 여기에는 파리 외골격에서 발견되는 종상 감각기 대부분이 포함되어 있다(평형곤당 400개 이상).[31][32] 종상 감각기는 외골격 표면에 있는 캡 모양 돌출부로, 캡 안쪽에는 감각 신경 섬유(수상돌기 투사) 끝이 부착되어 있다. 평형곤이 움직이면 큐티클이 구부러지고 캡 표면이 뒤틀리면서 내부 수상돌기가 이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33]

평형곤은 비행 안정화 외에도 머리 위치, 시선, 걷기 등 다른 행동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9][38] 과거에는 평형곤이 좌우 균형을 잡는 기관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이 가설이 부정되고 각속도를 감지하는 기관으로 본다.[3]

6. 3. 기시관 (Chordotonal organs)

파리목 곤충 대부분은 두 쌍의 날개를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한 쌍의 날개와 한 쌍의 평균곤을 이용하여 비행한다. 부채벌레목 곤충 또한 두 개의 날개와 두 개의 평균곤을 가진 유일한 생물인데, 파리는 뒷날개를 평균곤으로 변형시킨 반면, 부채벌레는 앞날개를 평균곤으로 변형시켰다.[2][6]

평균곤은 자이로스코프와 유사하게 작동하여 신체 회전을 감지한다.[3] 파리가 비행 중 회전하면 평균곤의 운동 경로가 곡선으로 바뀌면서 코리올리 효과가 발생한다.[7] 이때 평균곤 기저부의 종 모양 구조가 변형되고, 신경계는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파리가 회전 정보를 인지하고 비행을 안정화한다.[3][7][8]

평균곤은 비행 안정화 외에도 머리 위치와 시선 조절, 걷기 등 다른 행동에도 관여한다.[5][9][38]

기시관은 큐티클 아래에 위치하며, 신장에 반응하여 감각 정보를 신경계에 전달한다. 평균곤 기저부에는 종 모양 감각기보다 기시관이 적어 회전 정보 감지에 덜 중요하다고 추정된다.[3]

평균곤의 기능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있는데, 과거에는 물리적 균형 기관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비행 중 각속도를 감지하는 자이로스코프와 같은 역할을 한다는 가설이 유력하다. 평균곤을 제거하면 파리목 곤충이 비행할 수 없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3]

7. 시각 처리에서의 역할

파리는 평균곤과 시각 정보를 모두 사용하여 비행 중 자세를 제어하고 안정화한다. 파리목(Diptera)에 속하는 파리는 한 쌍의 날개와 한 쌍의 평균곤을 가지고 있어 비행 중 회전을 감지하고 균형을 유지한다.[2] 부채벌레목도 두 개의 날개와 두 개의 평균곤을 가지지만, 파리는 뒷날개가 평균곤으로 변형된 것이 특징이다.[6]

평균곤은 비행 안정화 외에도 다른 행동에도 유용하다. 특정 종의 파리는 걸을 때도 평균곤을 진동시켜 감각 정보를 얻는다. 평균곤이 제거되면 걷기 능력에 문제가 발생하지만, 걷는 동안 평균곤 정보가 어떻게 처리되고 사용되는지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38]

7. 1. 머리 안정화

평형곤은 움직이는 질량의 자이로스코프 속성을 사용하여 신체 위치의 작은 편차를 감지한다.[3] 평형곤은 날개의 펄럭임과 일치하여 선형 경로를 따라 위아래로 움직이지만, 파리의 몸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평형곤의 움직임 경로도 변경된다. 경험하는 교란이 클수록 평형곤은 원래의 선형 경로에서 더 멀리 이동한다.[7] 평형곤은 더 이상 두 방향(위, 아래)으로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네 방향(위, 아래, 왼쪽,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이 좌우 움직임에 대한 응답으로 평형곤에 가해지는 힘은 코리올리 효과로 알려져 있으며, 움직이는 물체가 회전의 세 방향, 즉 요, 피치 또는 롤로 회전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이 발생하면, 평형곤 기저부의 작은 종 모양 구조가 평형곤 줄기가 그 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변형을 경험한다.[7][8] 신경계는 이 털의 굽힘을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파리는 이를 신체 회전 정보로 해석한다. 파리는 이 정보를 사용하여 위치를 수정하고 비행 중에 스스로를 재안정화한다.[3]

평형곤은 일반적으로 비행 안정화와 관련이 있지만, 신체 회전을 감지하는 능력은 날개 조종 근육뿐만 아니라 머리 위치와 시선을 담당하는 목 근육에서도 보상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5][9] 곤충의 눈은 머리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없다. 파리가 시야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머리 전체의 위치를 조절해야 한다. 평균곤에 의해 감지된 감각 입력은 신체의 위치뿐만 아니라 신체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머리의 위치도 결정한다. 평균곤은 비행 중 빠른 교란을 감지하는 데 특히 유용하며 특정 임계값 이상의 각속도(회전 속도)에만 반응한다.

7. 2. 시각-운동 통합

평균곤은 움직이는 질량의 자이로스코프 속성을 사용하여 신체 위치의 작은 편차를 감지할 수 있다.[3] 이는 평형곤이 날개의 펄럭임과 일치하여 선형 경로를 따라 위아래로 움직이지만, 파리의 몸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평형곤의 움직임 경로도 변경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평형곤은 선형 경로 대신 곡선 경로를 따르며, 교란이 클수록 원래의 선형 경로에서 더 멀리 이동한다.[7] 이 기간 동안, 평형곤은 위, 아래뿐만 아니라 좌, 우 네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좌우 움직임에 대한 응답으로 평형곤에 가해지는 힘은 코리올리 효과로 알려져 있으며, 움직이는 물체가 회전의 세 방향(요, 피치, 롤)으로 회전할 때 발생한다(그림 참조). 이 힘에 의해 평형곤 기저부의 작은 종 모양 구조가 변형되고, 평형곤 줄기가 그 방향으로 구부러진다.[7][8] 신경계는 이 털의 굽힘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파리는 이 신호를 신체 회전 정보로 해석하여 비행 중 위치 수정 및 재안정화에 사용한다.[3]

파리는 겹눈의 시각 정보와 평형곤의 기계적 입력을 모두 사용한다. Sherman과 Dickinson(2002)은 평형곤과 눈의 반응성이 상호 보완적인 회전 속도에 맞춰져 있음을 발견했다. 시각 시스템을 통한 신체 회전 감지는 느린 속도에서 가장 크고 각속도가 증가하면 감소한다. 반면 평형곤에 의한 신체 회전 감지는 높은 각속도에서 가장 큰 반응을 유발하고 회전 속도가 감소하면 저하된다. 이처럼 서로 다르게 조정된 두 센서의 통합을 통해 파리는 세 방향의 회전 모두에서 광범위한 각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36]

파리의 시각 연구에는 시야의 두 가지 주요 측면인 형태와 배경이 사용된다. 형태는 파리가 초점을 맞추는 대상이고 배경은 나머지이다. 묶여서 나는 파리에서 평형곤 구근을 제거하면 움직이는 형태는 추적할 수 있지만, 움직이는 배경을 안정시키는 데는 어려움을 겪는다. 정적인 형태가 파리의 시야에 배치되면 움직이는 배경을 안정시키는 능력이 회복된다.[37] 이는 평형곤이 동작 시각 처리에는 필수적이지 않지만, 행동이 신체 회전과 분리된 경우에도 상황에 따라 기여함을 나타낸다. 파리는 상황에 따라 신체/머리 위치 정보의 주요 소스로 평형곤 또는 시각을 선택한다.[38]

8. 비행 외 활동

집파리과(Muscidae), 뿌리파리과(Anthomyiidae), 검정파리과(Calliphoridae), 꽃등에파리과(Sarcophagidae), 기생파리과(Tachinidae), 가는허리파리과(Micropezidae)에 속하는 특정 파리들은 비행할 때뿐만 아니라 걸을 때도 날개를 진동시킨다. 이 파리들의 평균곤 진동은 걷기와 비행 시 진폭과 주파수가 비슷하며, 평균곤은 걷거나 비행할 때 항상 진동한다. 다른 모든 파리목 과들은 걸을 때는 평균곤을 진동시키지 않지만, 비행 시에는 항상 진동시킨다.[38] 꽃등에파리는 걸을 때 평균곤을 진동시키는 종에 속하며, 평균곤을 제거하면 특정 보행 작업에서 더 나쁜 수행 능력을 보인다. 반면에, 걸을 때 평균곤을 진동시키지 않는 초파리는 평균곤을 제거해도 능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이는 평균곤 입력이 걸을 때 평균곤을 진동시키는 종들에게 행동적으로 중요하며, 이러한 개체들의 보행 행동을 돕는다는 것을 나타낸다.[38]

칼립트라타 분류군에 속하는 파리들은 집파리, 검정파리, 꽃등에파리와 같이 이륙할 때도 평균곤을 사용하지만, 논칼립트라타 파리는 그렇지 않다.[39] 칼립트라타 파리는 다른 파리보다 약 5배 더 빠르게 이륙할 수 있다. 평균곤이 없는 칼립트라타 파리는 이륙하는 데 훨씬 더 오래 걸리지만, 평균곤이 없는 논칼립트라타 파리에서는 이륙 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륙 중 안정성 또한 평균곤 제거 시 저하되지만, 이는 칼립트라타 파리에서만 나타난다.[39]

참조

[1] 논문 Haltere–mediated equilibrium reflexes of the fruit fly, Drosophila melanogaster 1999-05-29
[2] 웹사이트 stylops broadly: an insect of the order Strepsiptera https://www.merriam-[...]
[3] 논문 The Gyroscopic Mechanism of the Halteres of Diptera 1948-11-02
[4] 논문 Encoding properties of haltere neurons enable motion feature detection in a biological gyroscope 2010-02-23
[5] 논문 Mechanosensory control of compensatory head roll during flight in the blowfly Calliphora erythrocephala Meig 1988
[6] 논문 Strepsipteran Forewings Are Haltere-Like Organs of Equilibrium 1993
[7] 논문 Biological Sciences: Halteres of Flies as Gyroscopic Organs of Equilibrium 1938-05-21
[8] 논문 The halteres of the blowfly Calliphora 1993
[9] 논문 Compensatory Head Roll in the Blowfly Calliphora during Flight 1986-05-22
[10] 서적 haltere Physico-Theology 1714
[11] 논문 haltere 1919
[12] 논문 Untersuchungen zum halterenproblem 1952
[13] 서적 Insect Fli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7
[14] 논문 PARASITOLOGY: Twisted Parasites From 2005-01-21
[15] 논문 Antennal mechanosensors mediate flight control in moths 2007-02-09
[16] 논문 Flight and flight control by the antennae in the Small Tortoiseshell (Aglais urticae L., Lepidoptera) 1981
[17] 웹사이트 Serial homology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5-11-16
[18] 논문 The UBX-regulated network in the haltere imaginal disc of D. melanogaster 2007-02
[19] 논문 Ultrabithorax regulates genes at several levels of the wing-patterning hierarchy to shape the development of the Drosophila haltere 1998-05-15
[20] 논문 Ultrabithorax function in butterfly wings and the evolution of insect wing patterns 1999-02-11
[21] 논문 Ultrabithorax is required for membranous wing identity in the beetle Tribolium castaneum 2005-02-10
[22] 논문 Direct regulation of knot gene expression by Ultrabithorax and the evolution of cis-regulatory elements in Drosophila 2005-04
[23] 논문 Hox repression of a target gene: extradenticle-independent, additive action through multiple monomer binding sites 2002-07
[24] 논문 Hox control of organ size by regulation of morphogen production and mobility 2006-07-07
[25] 논문 Modulation of AP and DV signaling pathways by the homeotic gene Ultrabithorax during haltere development in Drosophila 2006-03-15
[26] 논문 How Insect Flight Steering Muscles Work 2014-03-25
[27] 논문 Biomechanical basis of wing and haltere coordination in flies 2015-02-03
[28] 웹사이트 Recognising hoverflies http://www.biodivers[...] Biodiversity Ireland 2015-12-02
[29] 웹사이트 Living With Halteres III https://livingwithin[...] The Twenty Ten Theme. Blog at WordPress.com 2015-02-27
[30] 논문 Haltere afferents provide direct, electrotonic input to a steering motor neuron in the blowfly, Calliphora 1996-08-15
[31] 논문 Visual Input to the Efferent Control System of a Fly's 'Gyroscope' 1998-04-10
[32] 논문 Campaniform sensilla of Calliphora vicina (Insecta, Diptera) 1987-03
[33] 논문 Functional morphology of insect mechanoreceptors 1997-12-15
[34] 논문 Gaze control in the blowfly Calliphora: a multisensory, two-stage integration process 1991-02
[35] 논문 Flying stabilize their vision-based velocity controller by sensing wind with their antennae 2014-04-01
[36] 논문 A comparison of visual and haltere-mediated equilibrium reflexes in the fruit fly Drosophila melanogaster 2003-01
[37] 논문 Haltere mechanosensory influence on tethered flight behavior in Drosophila 2015-06-25
[38] 논문 Kinematic diversity suggests expanded roles for fly halteres 2015-11
[39] 논문 Takeoff diversity in Diptera 2021-01-13
[40] 논문 Biomechanical basis of wing and haltere coordination in flies http://www.pnas.org/[...] 2015-02-03
[41] 논문
[42] 논문
[43] 논문
[44]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