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스 유전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혹스 유전자(Hox gene)는 동물의 머리-꼬리 축을 따라 배아의 신체 구조 영역을 지정하는 유전자 그룹으로, 호메오박스 유전자의 하위 집합이다. 180개의 염기쌍으로 구성된 호메오박스는 전사 인자로 작용하는 호메오도메인을 암호화하며, 다른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한다. 혹스 유전자는 윌리엄 베이트슨에 의해 처음 확인되었으며, 에드워드 B. 루이스, 크리스티아네 뉘슬라인폴하르트, 에릭 F. 위샤우스 등의 연구를 통해 초파리의 신체 구조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혹스 유전자는 척추동물의 척추, 갈비뼈, 사지 발달에도 관여하며, 한국에서도 1990년대부터 연구가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화발생생물학 - 전사인자
전사 인자는 DNA 특정 서열에 결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로서, RNA 중합효소와 함께 전사를 조절하여 유전 정보 전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발생, 신호 전달, 환경 반응, 세포 주기 조절 등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한다. - 진화발생생물학 - 서열 정렬
서열 정렬은 유전체 연구 및 생명과학에서 서열 간 진화적 관계를 밝히는 방법으로, 전역, 지역, 쌍별 정렬 등의 방법을 통해 계통수 분석, 유의성 및 신뢰도 평가 등에 활용되며, ClustalW2, BLAST, FASTA3x 등의 소프트웨어 도구로 수행된다. - 유전자 - 시스트론
시스트론은 폴리펩타이드를 암호화하는 DNA의 한 부분으로, 유전자의 기능적 단위이자 재조합 단위이며, 시스-트랜스 테스트로 동일 시스트론 내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 유전자 -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HC)는 면역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 집합체로, 항원 제시, 자가면역 반응 조절, 이식 거부 반응 등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관여하며, 클래스 I, II, III로 구분된다. - 단백질 - 단백뇨
단백뇨는 소변에서 과도한 단백질이 검출되는 상태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지속적인 경우 신장 질환을 의심할 수 있어 의학적 진단과 원인 질환에 따른 치료가 필요하다. - 단백질 - 펩타이드 호르몬
펩타이드 호르몬은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신체의 생리 기능을 조절하는 필수적인 물질로, 인슐린, 글루카곤, 성장 호르몬 등이 있으며 기능 이상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혹스 유전자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진핵생물 게놈 |
기능 | 체절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데 관여 |
관련 질병 | 손발-생식기 증후군 식도암 |
상세 정보 | |
염색체 위치 | 인간: 7p15.2 (HOXA) 17q21.32 (HOXB) 12q13.13 (HOXC) 2q31 (HOXD) 생쥐: 6 A3.3 (Hoxa) 11 A5 (Hoxb) 15 D3 (Hoxc) 2 G3 (Hoxd) |
유전자 수 | 인간: 39 초파리: 8 선충: 6 |
단백질 종류 | 전사 인자 |
도메인 | 호메오 도메인 |
관련 GO term | GO:0003700 (DNA 결합 전사 인자 활성) GO:0007389 (패턴 사양 프로세스) GO:0009963 (아포토시스에서 앞-뒤 패턴 사양) GO:0030326 (사지 패턴 사양) GO:0048856 (배아 앞-뒤 축 사양) GO:0060395 (체절 경계 형태 형성) |
외부 링크 | |
omim | 142955 142956 142957 142958 142961 142962 142963 142964 142965 142966 142967 142968 142969 142970 142971 142972 142973 142974 142975 142976 142977 142978 142979 142980 142981 142982 142983 142984 142985 142986 142987 142988 142989 142990 142991 142992 142993 608686 608687 |
mirbase | MI0000160 MI0000161 MI0000162 MI0000163 MI0000164 MI0000165 MI0000166 MI0000167 MI0000168 MI0000169 MI0000170 MI0000171 MI0000172 MI0000173 MI0000174 MI0000175 MI0000176 MI0000177 MI0000178 MI0000179 MI0000180 MI0000181 MI0000182 MI0000183 MI0000184 MI0000185 MI0000186 MI0000187 MI0000188 MI0000189 MI0000190 MI0000191 MI0000192 MI0000193 MI0000194 MI0000195 MI0000196 MI0000197 |
wikidata | Q423342 |
uniprot | HOXA1 HOXA2 HOXA3 HOXA4 HOXA5 HOXA6 HOXA7 HOXA9 HOXA10 HOXA11 HOXA13 HOXB1 HOXB3 HOXB4 HOXB5 HOXB6 HOXB7 HOXB8 HOXB9 HOXB13 HOXC4 HOXC5 HOXC6 HOXC8 HOXC9 HOXC10 HOXC11 HOXC12 HOXC13 HOXD1 HOXD3 HOXD4 HOXD8 HOXD9 HOXD10 HOXD11 HOXD12 HOXD13 |
2. 역사
윌리엄 베이트슨은 1894년에 '호메오시스 변환'을 처음으로 확인하고 연구하면서 "호메오시스"라는 용어를 만들었다.[59] 캘빈 브리지스는 1915년 토머스 헌트 모건의 연구실에서 최초의 호메오틱 돌연변이인 '바이소락스'(''bx'')를 발견했다. 이 돌연변이는 세 번째 가슴마디(T3)를 두 번째 마디(T2)로 변환시키는 특징을 보였다.[59]
혹스 유전자는 '호메오박스'라고 불리는 잘 보존된 DNA 서열을 포함하고 있다. 호메오박스는 180개의 염기쌍으로 구성되며, 6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호메오도메인'을 암호화한다. 호메오도메인은 DNA에 결합하여 전사 인자로서 기능하며, 다른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한다.[78][79]
혹스 단백질은 전사 인자의 일종으로, 인핸서라고 불리는 DNA의 특정 부위에 결합하여 다른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한다. 이들은 호메오도메인이라는 DNA 결합 도메인을 가지고 있는데, 이 도메인은 6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나선-회전-나선" 구조를 가진다.[7] 혹스 단백질은 종종 PBC, Meis 단백질과 같은 보조 인자와 함께 작용하여 DNA 결합 특이성을 높인다.[8]
호메오박스 유전자는 대부분의 진핵생물에서 발견되며, 그 하위 집합인 혹스(Hox) 유전자는 동물계 내에서 진화적으로 더 최근에 발생했다. 혹스 유전자는 이중체(머리-꼬리 축이 명확한 동물) 및 말미잘과 같은 자포동물에서도 발견된다.[84] 이는 혹스 유전자가 약 5억 5천만 년 전에 발생했음을 의미한다.[84]
혹스 유전자는 다른 유전자들에 의해 조절되는데, 초파리와 일부 곤충(대부분의 동물은 아님)에서는 간격 유전자와 쌍 규칙 유전자에 의해 조절된다. 갭 유전자와 쌍-규칙 유전자는 모계에서 제공되는 mRNA에 의해 조절된다. 이러한 조절은 형태발생장이라고 하는 단백질 농도 구배를 통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특정 모계 단백질의 높은 농도와 다른 모체 단백질의 낮은 농도는 특정 갭 또는 쌍-규칙 유전자 세트를 활성화시킨다. 초파리 배아의 줄무늬 2는 모체 단백질인 Bicoid와 Hunchback에 의해 활성화되지만, 갭 단백질 Giant와 Kruppel에 의해 억제된다. 따라서 줄무늬 2는 Bicoid와 Hunchback이 있는 곳에서만 형성되고, Giant와 Kruppel이 있는 곳에서는 형성되지 않는다.[90]
일부 생물, 특히 척추동물에서 다양한 혹스 유전자들은 염색체 상에서 서로 매우 가깝게, 집단 또는 클러스터 형태로 위치한다. 염색체 상의 유전자 배열 순서는 발생 중인 배아에서 유전자 발현 순서와 동일하며, 가장 앞쪽 유전자가 발생 중인 생물의 앞쪽 끝에서 발현된다.[80][81] 이러한 선형성의 이유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자 클러스터 전체에 걸쳐 크로마틴이 점차 풀리면서 혹스 유전자가 시간적 순서대로 활성화되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초파리( ''Drosophila melanogaster'')는 몸의 구조 생성과 진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모델 생물이다. 초파리는 8개의 혹스 유전자를 가지며, 이들은 두 개의 복합체로 묶여 있다. 이들은 모두 3번 염색체에 위치해 있는데, Antennapedia 복합체 (''Antp'' 유전자와 혼동하지 말 것)는 ''labial'' (''lab''), ''proboscipedia'' (''pb''), ''deformed'' (''Dfd''), ''sex combs reduced'' (''Scr'') 및 ''Antennapedia'' (''Antp'')의 5개 유전자로 구성된다. Bithorax 복합체는 ''Ultrabithorax'' (''Ubx''), ''abdominal-A'' (''abd-A'') 및 ''abdominal-B'' (''abd-B'')의 나머지 3개의 유전자로 구성된다.[14]
에드워드 B. 루이스, 크리스티아네 뉘슬라인폴하르트, 에릭 F. 위샤우스는 초파리(''D. melanogaster'')의 신체 구조와 신체 분절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15개의 유전자를 확인하고 분류하여, 1995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60][61]
1983년, 에른스트 하펜, 마이클 레빈, 윌리엄 맥기니스 (스위스 바젤 대학교의 발터 게링 연구실)와 매튜 P. 스콧과 에이미 와이너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의 토머스 코프만 연구실)는 독립적으로 호메오박스를 발견했다.
3. 호메오박스
호메오도메인 단백질이 결합하는 DNA 염기 서열은 TAAT라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가지며, 이 5' 말단의 T가 결합에 가장 중요하다.[26] 이 서열은 호메오도메인에 인식되는 부위에서 거의 모두 보존되어 있으며, DNA 결합 부위로 식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AAT 서열에 이어지는 뉴클레오티드는 호메오도메인 단백질의 9번째 아미노산에 의해 인식된다. 바이코이드 단백질에서는 이 위치가 리신이며, 구아닌을 식별하고 결합한다. 안테나페디아 단백질에서는 글루타민이 이 위치를 차지하며, 아데닌을 식별하고 결합한다. 바이코이드의 리신이 글루타민으로 바뀌면, 이 변이 단백질은 안테나페디아 결합 인핸서 부위를 인식하게 된다.[27][28]
4. 기능
같은 혹스 단백질이 서로 다른 유전자에 대해 억제제 또는 활성화제로 작용할 수 있다.[7] 예를 들어, 초파리의 안테나페디아(Antennapedia) 단백질은 다리와 날개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활성화하는 반면, 눈과 더듬이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억제한다.[64]
혹스 유전자는 발생 유전자 계층의 여러 수준에서 작용한다. 이들은 다른 유전자들의 네트워크를 조절하는 "집행" 유전자를 조절하며, 동시에 각 분절의 조직, 구조, 기관을 형성하는 현실화 유전자(effector gene)를 직접 조절하기도 한다. 이러한 표적 유전자들은 세포 분열, 세포 부착, 세포자멸사, 세포 이동 등을 촉진한다.[21]
다음은 표적 유전자와 조절 유전자의 예시이다.생물체 표적 유전자 표적 유전자의 정상 기능 조절 유전자 초파리 distal-less 사지 형성을 위한 유전자 경로 활성화 ULTRABITHORAX[22] (distal-less 억제) distal-less 사지 형성을 위한 유전자 경로 활성화 ABDOMINAL-A[22] (distal-less 억제) decapentaplegic 정상적인 내장 형태를 위해 필요한 창자 내 세포 형태 변화 유발 ULTRABITHORAX[23] (decapentaplegic 활성화) reaper 세포자멸사: 국소적 세포 사멸은 머리의 위턱과 아래턱 사이의 분절 경계 생성 DEFORMED[24] (reaper 활성화) decapentaplegic 더 후방 위치에서 위 세포 변화 방지 ABDOMINAL-B[23] (decapentaplegic 억제) 생쥐 EphA7 세포 부착: 손가락, 손목 및 발목 뼈를 형성할 원위 사지에서 세포의 긴밀한 연관 유발 HOX-A13[21] (EphA7 활성화) Cdkn1a 세포 주기: 골수단구 세포를 단핵구(백혈구)로 분화시키며, 세포 주기 정지 Hox-A10[25] (Cdkn1a 활성화)
호메오도메인 단백질이 결합하는 DNA 염기 서열은 TAAT를 포함하며, 5' 말단의 T가 결합에 가장 중요하다.[26] 이 서열에 이어지는 염기쌍은 호메오도메인 단백질 간의 결합 특이성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바이코이드 단백질의 라이신은 구아닌을, 안테나페디아 단백질의 글루타민은 아데닌을 인식한다.[27][28]
miRNA와 논코딩 RNA(ncRNA) 또한 혹스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여한다. miRNA는 더 앞쪽의 혹스 유전자를 억제하여 표현형을 미세 조정하고,[68] ncRNA의 일종인 HOTAIR는 폴리콤군 단백질(PRC2)에 결합하여 전사를 억제한다.[69]
5. 진화
쌍일체에서 혹스 유전자는 종종 유전자 클러스터로 배열되지만, 염색체 재배열에 의해 분리되는 경우도 있다.[85] 혹스 단백질 간의 호메오도메인 서열 비교는 종종 종 내에서보다 종 간에 더 큰 유사성을 보인다. 이는 혹스 유전자 클러스터가 동물 진화 초기에 단일 혹스 유전자에서 유전자 중복 및 후속 분기를 통해 진화했으며, 적어도 7개의 서로 다른 혹스 유전자를 포함하는 원형 혹스 유전자 클러스터가 모든 쌍일체의 공통 조상에 존재했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83][86]
대부분의 양측 동물에서 혹스 유전자는 배아의 머리-꼬리 축을 따라 엇갈린 영역에서 발현되어 위치를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87] 혹스 단백질의 기능적 보존은 파리가 자신의 혹스 단백질 대신 닭의 혹스 단백질로 기능할 수 있다는 사실로 입증된다.[88] 즉, 5억 5천만 년 전에 살았던 공통 조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89] 동일한 혹스 유전자의 닭과 파리 버전은 파리에서 얻은 다운스트림 유전자를 표적으로 해도 될 만큼 충분히 유사하다.
6. 조절
MicroRNA 가닥은 Hox 클러스터에 위치하며, 더 많은 anterior hox 유전자("후부 유행 현상")를 억제하여 발현 패턴을 미세 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1]
비코딩 RNA(ncRNA)는 Hox 클러스터에 풍부하며, 인간의 경우 231개의 ncRNA가 존재할 수 있다. 이들 중 하나인 HOTAIR는 Polycomb-군 단백질(PRC2)에 결합하여 트랜스에서 침묵(HOXC 클러스터에서 전사되고 후기 HOXD 유전자를 억제함)을 유도한다.[92]
염색질 구조는 전사에 필수적이며, 클러스터가 염색체 영역을 벗어나도록 요구한다.[93]
인간을 포함한 고등 동물에서 레티노산은 전후 축을 따라 Hox 유전자의 차등 발현을 조절한다.[94] Hox 클러스터의 3' 말단에 있는 유전자는 레티노산에 의해 유도되어 레티노산에 의해 유도되지 않는 5' Hox 유전자에 비해 신체에서 더 앞쪽으로 확장되는 발현 도메인을 생성하여 발현 도메인이 더 뒤쪽에 남는다.
정량적 PCR은 공선성에 관한 몇 가지 경향을 보여주었다. 시스템이 평형 상태에 있고 총 전사체 수는 선형 관계에 따라 존재하는 유전자 수에 따라 다르다.[95]
7. 선형성 (Colinearity)
8. 초파리(Drosophila)에서의 혹스 유전자
혹스 유전자가 생산하는 단백질은 전사 인자의 일종으로, DNA에 결합하여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한다. 호메오도메인 폴드(혹은 "호메오도메인")는 인핸서에 결합하여 전사를 조절하는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하며, 유전자를 활성화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페디아(Antennapedia)는 다리와 날개 관련 유전자를 활성화하고 눈과 촉각 관련 유전자를 억제한다.[64]
호메오틱 유전자의 부정확한 발현은 개체의 형태에 큰 변화를 일으킨다. 1894년 윌리엄 베이트슨은 꽃의 수술이 잘못된 위치에 발현되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최초의 호메오틱 돌연변이로 확인되었다. 1940년대 말에 에드워드 루이스는 초파리의 신체 부위 재배치를 유발하는 호메오틱 돌연변이 연구를 시작했다. 예를 들어, 안테나페디아 유전자 돌연변이는 파리의 머리에 촉각 대신 다리를 생기게 한다.[72]
초파리의 Ultrabithorax 유전자 돌연변이는 제3 흉절이 제2 흉절과 동일한 구조를 발현하게 하여, 한 쌍의 다리와 한 쌍의 완전한 날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변이는 자연 상태의 개체 집단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이것이 호메오틱 유전자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9. 척추동물에서의 혹스 유전자
인간과 생쥐는 4개의 클러스터에 39개의 혹스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36][37]
클러스터 | 인간 염색체 | 유전자 |
---|---|---|
HOXA@ | 7번 염색체 | HOXA1, HOXA2, HOXA3, HOXA4, HOXA5, HOXA6, HOXA7, HOXA9, HOXA10, HOXA11, HOXA13 |
HOXB@ | 17번 염색체 | HOXB1, HOXB2, HOXB3, HOXB4, HOXB5, HOXB6, HOXB7, HOXB8, HOXB9, HOXB13 |
HOXC@ | 12번 염색체 | HOXC4, HOXC5, HOXC6, HOXC8, HOXC9, HOXC10, HOXC11, HOXC12, HOXC13 |
HOXD@ | 2번 염색체 | HOXD1, HOXD3, HOXD4, HOXD8, HOXD9, HOXD10, HOXD11, HOXD12, HOXD13 |
척추동물의 조상은 단일 혹스 유전자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었지만,[38][39] 척추동물 진화 초기에 전체 유전자 중복을 통해 (두 번) 복제되어 Hoxa, Hoxb, Hoxc 및 Hoxd의 네 개의 혹스 유전자 클러스터를 생성했다. 이러한 복제가 칠성장어와 먹장어가 다른 척추동물과 분기되기 전인지 후인지는 현재 불분명하다.[40]
대부분의 사지동물은 4개의 HOX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는 반면, 제브라피쉬와 송사리를 포함한 대부분의 조기어류는 진화 과정에서 추가적인 게놈 중복으로 인해 7개 또는 8개의 혹스 유전자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다.[41][36] 제브라피쉬에서는 8개의 혹스 유전자 클러스터 중 하나(Hoxd 클러스터)가 모든 단백질 코딩 유전자를 잃었고, 단 하나의 마이크로RNA 유전자만이 원래 클러스터의 위치를 나타낸다.[42] 연어와 같은 일부 조기어류에서는 훨씬 더 최근에 게놈 중복이 발생하여 7개 또는 8개의 혹스 유전자 클러스터가 적어도 13개의 클러스터로 두 배가 되었다.[43] 또 다른 조기어류인 담수 나비고기는 HOX 유전자 클러스터가 현저하게 손실되어 5개의 클러스터만 존재한다.[44]
혹스 유전자는 척추와 갈비뼈를 형성하는 체절, 등 피부의 진피, 등의 골격근, 몸통 벽과 사지의 골격근과 같은 신체의 많은 주요 구조의 조절 및 발달을 제어한다.[45]
다양한 혹스 유전자들은 염색체 상에서 그룹 또는 클러스터로 서로 매우 가깝게 위치해 있다. 탈피동물에는 약 10개의 혹스 유전자가 존재한다. 척추동물은 Hoxa, Hoxb, Hoxc, Hoxd로 알려진 이들 10개 유전자군의 4개의 중복된 세트(패럴로그; paralogue)를 갖는다. 이 4세트의 패럴로그 클러스터는 척추동물의 조상 게놈이 총 2번의 중복을 겪은 결과이다.[73]
첫 번째 중복은 자포동물(Cnidaria)과 좌우대칭동물(Bilateria)의 분기 전에 일어났고, 두 번째 중복은 어류 진화 과정에서 일어났다.[74]
척추동물의 이러한 유전자는 탈피동물에서 발견되는 유전자의 중복이지만, 이 4세트의 복사본은 실제로는 동일하지 않다. 각 복사본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체적으로 특유의 돌연변이가 축적되어, 특유의 기능을 가진 단백질을 생산하게 된다. 일부 척추동물 그룹에서는 완전히 소멸되거나, 다시 중복이 발생한 유전자도 있다.
예를 들어, Hoxa와 Hoxd는 다리 축을 따라 마디의 배치와 관련이 있다. 다리에서의 Hox 발현은 2단계로, 초기 발현은 팔을 형성하고, 후기 발현은 손가락을 형성한다. 여기에는 Hoxd 8부터 13까지가 관계되어 있으며, 별도로 Hoxd 13의 5' 조절 영역을 갖는다(이는 경골어류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75]
9. 1. 양서류와 파충류의 혹스 유전자
척추동물은 곤충과 같은 방식으로 분절되지 않고, 곤충에 비해 신체 구조가 더 많아 평균적으로 훨씬 더 복잡하다. HOX 유전자는 척추와 갈비뼈를 형성하는 체절, 등 피부의 진피, 골격근, 몸통 벽과 사지의 골격근과 같은 신체의 많은 주요 구조의 조절 및 발달을 제어한다. HOX 유전자는 체절 세포를 더 구체적인 정체성으로 분화시키고 신체 내 위치에 따라 다르게 발달하도록 지시하는 데 도움이 된다.[45] 척추동물과 무척추동물의 큰 차이점은 HOX 유전자의 위치와 층이다. 발달의 기본적인 메커니즘은 어류에서 포유류에 이르기까지 척추동물 사이에서 강하게 보존된다.HOX 유전자가 매우 잘 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연구는 생쥐와 같은 훨씬 더 단순한 모델 유기체에서 수행되었다. 특히 생쥐와 초파리를 비교할 때 나타난 주요 차이점 중 하나는 게놈 내 HOX 유전자의 위치와 층과 관련이 있다. 척추동물은 파리의 유전자와 상동인 HOX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가장 잘 보존된 유전자 중 하나이기 때문이지만 위치는 다르다. 예를 들어, 무척추동물에 비해 생쥐 체절의 5' 쪽에 더 많은 HOX 유전자가 있다.[46] 이 유전자들은 모든 척추동물이 가지고 있는 꼬리와 유사한 것이 없는 파리의 꼬리에 해당한다. 또한 대부분의 척추동물에는 4개의 개별적인 꽉 조여진 DNA 마이크로어레이 (A~D)로 분리된 39개의 구성원이 4개의 개별 염색체에 있는 반면, 초파리의 경우 총 8개의 HOX 유전자가 있다.[47] 유전자 클러스터는 훨씬 더 중복되고 돌연변이를 생성할 가능성이 적다. 파리에서는 하나의 유전자가 돌연변이되어 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구조인 평형곤이 날개로 변형되거나 안테나가 다리로 변하는 반면, 생쥐에서는 비슷한 완전한 변형을 얻기 위해 2~4개의 유전자를 동시에 제거해야 한다. 일부 연구자들은 척추동물 HOX 클러스터 계획의 중복성과 무척추동물 HOX 클러스터에 비해 제약이 많기 때문에 척추동물 HOX 클러스터의 진화 가능성이 어떤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유로 무척추동물보다 훨씬 낮다고 생각한다.[48]
생쥐 배아에서, 동물의 꼬리 부분에 있는 유전자 중 하나인 HOX10 유전자는 활성화될 때 "갈비뼈 형성" 시스템을 끈다. 이 유전자는 아래쪽 등에서 활성화되어 척추가 갈비뼈를 생성하지 않고, 중간 등에서 비활성화되어 갈비뼈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HOX10 염기 서열 상동성 유전자가 실험적으로 비활성화되면 아래쪽 등뼈의 척추가 갈비뼈를 형성한다.[50] 이러한 연구는 모든 동물에서 이러한 돌연변이에 대한 진화적 탐구를 촉구했다. 이에 대한 한 가지 예는 도마뱀과 뱀이다. 뱀에서 HOX10 유전자는 갈비뼈 차단 능력을 잃었다.[51]
10. 기타 무척추동물에서의 혹스 유전자
원구동물인 ''플로리다창고기''는 15개의 유전자(''AmphiHox1''부터 ''AmphiHox15''까지)를 가진 단일 혹스 유전자 집합체를 가지고 있다.[52]
선충의 일종인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 유전체에는 6개의 혹스 유전자가 흩어져 있다.[53] 자포동물문에 속하는 ''히드라(Hydra)''와 ''네마토스텔라 벡텐시스''(Nematostella vectensis)는 몇 개의 혹스/파라혹스 유사 홈박스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54][55]
혹스 유전자 발현은 완족동물,[56] 환형동물,[57] 그리고 여러 종류의 연체동물에서도 연구되었다.[58]
11. 명명법 (Nomenclature)
혹스 유전자는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홈오시스 변환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홈오시스 변환은 1894년 윌리엄 베이트슨이 처음 확인하고 연구했으며, 그는 "홈오시스"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그레고어 멘델의 유전 원리가 재발견된 후, 베이트슨과 다른 사람들은 꽃 기관과 동물 골격의 일부 홈오시스 사례가 유전자 변이로 인한 것임을 깨달았다.[59]
최초의 홈오틱 돌연변이는 1915년 토머스 헌트 모건의 연구실에서 캘빈 브리지스가 발견했다. 이 돌연변이는 가슴 부위의 부분적인 중복을 보여, '바이쏘락스(Bithorax)'(''bx'')로 명명되었다. 이는 세 번째 가슴마디(T3)를 두 번째 마디(T2)로 변환시킨다. 바이쏘락스는 실험실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했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실험실에서 유지되었다.[59]
에드워드 B. 루이스, 크리스티아네 뉘슬라인폴하르트, 에릭 F. 위샤우스는 1980년 초파리(''D. melanogaster'')의 신체 구조와 신체 분절 형성을 결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15개의 유전자를 확인하고 분류했다.[60] 이 연구를 통해 루이스, 뉘슬라인폴하르트, 위샤우스는 1995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61]
다른 문(phyla)의 혹스 유전자에는 서로 다른 이름이 부여되어 명명법에 혼란을 야기했다. 초파리의 혹스 유전자 보완군은 안테나페디아 복합체와 바이소락스 복합체, 두 개의 클러스터로 구성되며 이들을 통틀어 역사적으로 HOM-C(Homeotic Complex)라고 불렀다. 과거에는 HOM-C 유전자는 ''초파리'' 상동 유전자를 지칭했고, 혹스 유전자는 척추동물 상동 유전자를 지칭했지만, 이러한 구분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며 HOM-C 유전자와 혹스 유전자 모두 혹스 유전자라고 불린다.
12. 연구 동향 및 응용
혹스 유전자는 사지, 폐, 신경계, 눈과 같은 구조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36] 2006년 T. R. 래핀과 동료들은 "진화적 보존은 혹스 유전자 네트워크의 기능적 조절에 대한 실험적 연구에 무한한 범위를 제공하며, 이는 인간 질병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36]
혹스 유전자 네트워크의 기능적 조절에 대한 연구는 인간 질병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특히, 백혈병 및 난소 상피암과 같은 암에서 혹스 유전자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36]
미래에는 유전자 치료 및 조직 공학 분야에서 혹스 유전자를 활용하여 손상된 조직이나 장기를 재생하는 연구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발달 장애 및 선천성 기형의 원인을 규명하고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혹스 유전자 연구가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혹스 유전자는 발생 유전자 계층 내에서 여러 수준으로 작용하며, 다른 유전자들의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조절하는 유전자를 조절하거나, 각 분절의 조직, 구조 및 기관을 형성하는 현실화 유전자 또는 이펙터 유전자를 직접 조절한다. 분절화는 형태 형성, 세포 집단의 연관, 프로그램된 세포 사멸, 세포 이동과 같은 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혹스 유전자의 표적 유전자가 세포 분열, 세포 부착, 세포자멸사, 세포 이동을 촉진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21]
다음은 혹스 유전자에 의해 조절되는 표적 유전자의 예시이다.
생물체 | 표적 유전자 | 표적 유전자의 정상 기능 | 조절 유전자 |
---|---|---|---|
'초파리' | distal-less | 사지 형성을 위한 유전자 경로 활성화 | ULTRABITHORAX[22] (distal-less 억제) |
distal-less | 사지 형성을 위한 유전자 경로 활성화 | ABDOMINAL-A[22] (distal-less 억제) | |
decapentaplegic | 정상적인 내장 형태를 위해 필요한 창자 내 세포 형태 변화 유발 | ULTRABITHORAX[23] (decapentaplegic 활성화) | |
reaper | 세포자멸사: 국소적 세포 사멸은 머리의 위턱과 아래턱 사이의 분절 경계 생성 | DEFORMED[24] (reaper 활성화) | |
decapentaplegic | 더 후방 위치에서 위 세포 변화 방지 | ABDOMINAL-B[23] (decapentaplegic 억제) | |
생쥐 | EphA7 | 세포 부착: 손가락, 손목 및 발목 뼈를 형성할 원위 사지에서 세포의 긴밀한 연관 유발 | HOX-A13[21] (EphA7 활성화) |
Cdkn1a | 세포 주기: 골수단구 세포를 단구(백혈구)로 분화시키며, 세포 주기 정지 | Hox-A10[25] (Cdkn1a 활성화) |
참조
[1]
논문
Larval Evolution: I'll Tail You Later…
2017-01
[2]
논문
Hox gene expression during development of the phoronid ''Phoronopsis harmeri''
2020-02-10
[3]
논문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of all human homeobox genes
2007-10
[4]
논문
Homeodomain proteins: an update
2016-06
[5]
논문
Homeotic genes and the evolution of arthropods and chordates
1995-08
[6]
논문
HOXA13 in etiology and oncogenic potential of Barrett's esophagus
2021-06
[7]
웹사이트
Helix 1, Helix 2, Helix 3/4
http://www.csb.ki.se[...]
Department of Biosciences and Nutrition, [[Karolinska Institute]]
2022-03-09
[8]
논문
The TALE face of Hox proteins in animal evolution
[9]
논문
Evolution of the Hox/ParaHox gene clusters
[10]
논문
Hox genes in vertebrate development
1994-07
[11]
논문
Hox cluster genes and collinearities throughout the tree of animal life
[12]
논문
Rescue of Drosophila labial null mutant by the chicken ortholog Hoxb-1 demonstrates that the function of Hox genes is phylogenetically conserved
1996-01
[13]
논문
Origin of the metazoan phyla: molecular clocks confirm paleontological estimates
1998-01
[14]
논문
Hox genes and the evolution of the arthropod body plan
[15]
웹사이트
The Interactive Fly
http://www.sdbonline[...]
[16]
논문
Developmental and molecular analysis of Deformed; a homeotic gene controlling Drosophila head development
1987-03
[17]
논문
The homeotic gene Sex combs reduced of Drosophila melanogaster is differentially regulated in the embryonic and imaginal stages of development
1991-10
[18]
논문
Developmental genetic analysis of Contrabithorax mutations in Drosophila melanogaster
1990-09
[19]
논문
Improving Hox protein classification across the major model organisms
2010-05
[20]
논문
Analysis of central Hox protein types across bilaterian clades: on the diversification of central Hox proteins from an Antennapedia/Hox7-like protein
2013-11
[21]
논문
Modulating Hox gene functions during animal body patterning
2005-12
[22]
논문
Homeotic genes of the Bithorax complex repress limb development in the abdomen of the Drosophila embryo through the target gene Distal-less
1992-10
[23]
논문
Functional dominance among Hox genes: repression dominates activation in the regulation of Dpp
1998-12
[24]
논문
The Drosophila Hox gene deformed sculpts head morphology via direct regulation of the apoptosis activator reaper
2002-08
[25]
논문
p21 is a transcriptional target of HOXA10 in differentiating myelomonocytic cells
2000-10
[26]
서적
Developmental Biology
Sinauer Associates
2000
[27]
논문
DNA specificity of the bicoid activator protein is determined by homeodomain recognition helix residue 9
1989-06
[28]
논문
A genetic model for interaction of the homeodomain recognition helix with DNA
1991-01
[29]
논문
Hox specificity unique roles for cofactors and collaborators
[30]
논문
Regulation of even-skipped stripe 2 in the Drosophila embryo
1992-11
[31]
논문
How does noncoding transcription regulate Hox genes?
2008-02
[32]
논문
Functional demarcation of active and silent chromatin domains in human HOX loci by noncoding RNAs
2007-06
[33]
논문
Nuclear organization of the genome and the potential for gene regulation
2007-05
[34]
논문
Retinoic acid synthesis and signaling during early organogenesis
2008-09
[35]
논문
Modeling Hox gene regulation in digits: reverse collinearity and the molecular origin of thumbness
2008-02
[36]
학술지
HOX genes: seductive science, mysterious mechanisms
2006-01
[37]
학술지
Vertebrate homeobox gene nomenclature
1992-11
[38]
학술지
Archetypal organization of the amphioxus Hox gene cluster
1994-08
[39]
학술지
2003
[40]
학술지
A new look at an old question: when did the second whole genome duplication occur in vertebrate evolution?
2018-11
[41]
학술지
Comparative phylogenomic analyses of teleost fish Hox gene clusters: lessons from the cichlid fish Astatotilapia burtoni
2007-09
[42]
학술지
The zebrafish hoxDb cluster has been reduced to a single microRNA
2006-06
[43]
학술지
Differential evolution of the 13 Atlantic salmon Hox clusters
2008-07
[44]
학술지
Enigmatic orthology relationships between Hox clusters of the African butterfly fish and other teleosts following ancient whole-genome duplication
2014-10
[45]
학술지
A clock-work somite
2000-01
[46]
학술지
Hox genes and regional patterning of the vertebrate body plan
2010-08
[47]
학술지
Rapid in-office and in-vivo desensitization of an injection phobia utilizing hypnosis
1976-01
[48]
학술지
Hox genes and evolution
2016-05-10
[49]
학술지
Hox C cluster genes are dispensable for overall body plan of mouse embryonic development
2000-04
[50]
학술지
From lizard to snake; behind the evolution of an extreme body plan
2012-06
[51]
학술지
cis-regulatory change associated with snake body plan evolution
2013-06
[52]
학술지
The amphioxus genome illuminates vertebrate origins and cephalochordate biology
2008-07
[53]
학술지
Hox genes in brachiopods and priapulids and protostome evolution
1999-06
[54]
학술지
Evolution of Antp-class genes and differential expression of Hydra Hox/paraHox genes in anterior patterning
2000-04
[55]
학술지
Pre-bilaterian origins of the Hox cluster and the Hox code: evidence from the sea anemone, Nematostella vectensis
2007-01
[56]
학술지
''Hox'' gene expression in postmetamorphic juveniles of the brachiopod ''Terebratalia transversa''
[57]
학술지
Hox gene expression in larval development of the polychaetes Nereis virens and Platynereis dumerilii (Annelida, Lophotrochozoa)
2007-01
[58]
학술지
Cephalopod Hox genes and the origin of morphological novelties
2003-08
[59]
서적
Master Control Genes in Development and Evolution: The Homeobox Story
Yale University Press
1998
[60]
학술지
Mutations affecting segment number and polarity in Drosophila
1980-10
[61]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1995
http://nobelprize.or[...]
[62]
학술지
Rescue of Drosophila labial null mutant by the chicken ortholog Hoxb-1 demonstrates that the function of Hox genes is phylogenetically conserved
[63]
학술지
Origin of the metazoan phyla: Molecular clocks confirm paleontological estimates
1998-01-20
[64]
문서
Cesares and Mann 1998; Plaza et al 2001
[65]
문서
Gilbert, ''Developmental Biology'', 2006
[66]
문서
Hanes and Brent 1989, 1991
[67]
학술지
Regulation of even-skipped stripe 2 in the Drosophila embryo
1992-11
[68]
학술지
How does noncoding transcription regulate Hox genes?
[69]
학술지
Functional demarcation of active and silent chromatin domains in human HOX loci by noncoding RNAs
[70]
학술지
Nuclear organization of the genome and the potential for gene regulation
[71]
논문
Modeling Hox gene regulation in digits: reverse collinearity and the molecular origin of thumbness
2008
[72]
서적
Genetics:A Conceptual approach
[73]
논문
Two Rounds of Whole Genome Duplication in the Ancestral Vertebrate
2005
[74]
웹사이트
ホメオティック遺伝子群の地図
http://www.sdbonline[...]
[75]
논문
Ancestral and recently recruited global control of the Hox genes in development
2007
[76]
저널
Larval Evolution: I’ll Tail You Later…
http://dx.doi.org/10[...]
2017-01
[77]
웹인용
Hox gene expression during development of the phoronid Phoronopsis harmeri
https://evodevojourn[...]
[78]
저널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of all human homeobox genes
http://dx.doi.org/10[...]
2007-10-26
[79]
저널
Homeodomain proteins: an update
http://dx.doi.org/10[...]
2015-10-13
[80]
저널
Modulating Hox gene functions during animal body patterning
http://dx.doi.org/10[...]
2005-11-10
[81]
저널
Homeotic genes and the evolution of arthropods and chordates
http://dx.doi.org/10[...]
1995-08
[82]
저널
HOXA13 in etiology and oncogenic potential of Barrett’s esophagus
http://dx.doi.org/10[...]
2021-06-07
[83]
저널
Hox genes in brachiopods and priapulids and protostome evolution
http://dx.doi.org/10[...]
1999-06
[84]
저널
Pre-Bilaterian Origins of the Hox Cluster and the Hox Code: Evidence from the Sea Anemone, Nematostella vectensis
http://dx.doi.org/10[...]
2007-01-24
[85]
저널
Evolution of the Hox/ParaHox gene clusters
2003
[86]
저널
Homeobox genes and axial patterning
http://dx.doi.org/10[...]
1992-01
[87]
저널
Hox cluster genes and collinearities throughout the tree of animal life
http://dx.doi.org/10[...]
2018
[88]
저널
Rescue of Drosophila labial null mutant by the chicken ortholog Hoxb-1 demonstrates that the function of Hox genes is phylogenetically conserved
1996
[89]
저널
Origin of the metazoan phyla: Molecular clocks confirm paleontological estimates
http://dx.doi.org/10[...]
1998-01-20
[90]
저널
Regulation of even-skipped stripe 2 in the Drosophila embryo
1992-11
[91]
저널
How does noncoding transcription regulate Hox genes?
http://dx.doi.org/10[...]
2008
[92]
저널
Functional Demarcation of Active and Silent Chromatin Domains in Human HOX Loci by Noncoding RNAs
http://dx.doi.org/10[...]
2007-06
[93]
저널
Nuclear organization of the genome and the potential for gene regulation
http://dx.doi.org/10[...]
2007-05
[94]
저널
Retinoic Acid Synthesis and Signaling during Early Organogenesis
http://dx.doi.org/10[...]
2008-09
[95]
저널
Modeling Hox gene regulation in digits: reverse collinearity and the molecular origin of thumbness
http://dx.doi.org/10[...]
2008-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