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국제평화영화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창국제평화영화제는 평화와 공존을 주제로 2019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영화제이다. 2019년 8월 첫 영화제가 열렸으며, 2020년에는 6월에 2회, 2021년에는 3회 영화제가 개최되었다. 국제장편 및 한국단편 경쟁 부문과 함께 다양한 비경쟁 부문, 피칭 프로젝트 등을 운영하며, 심사위원대상, 심사위원상, 관객특별상 등을 시상한다.
평창은 2018년 동계올림픽이 개최된 곳으로, 평창국제평화영화제는 올림픽에서 시작된 평화 정신을 이어가고 있다. 제1회 영화제 개막식은 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이후 평화와 화합을 상징하는 영화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 역대 영화제
연도 회차 개막일 폐막일 상영작품 수 개막작 2019 1 8/16 8/20 85편 새 (림창범 / 북한) 2020 2 6/18 6/23 96편 어느 수학자의 모험 (토르 클라인 / 독일, 폴란드, 영국) 2021 3 6/17 6/22
2. 1. 1회 (2019)
2019년 8월 16일부터 8월 20일까지 제1회 평창국제평화영화제가 개최되었다. 총 33개국에서 출품된 85편(장편 51편, 단편 34편)의 영화가 상영되었으며, 개막작은 림창범 감독의 북한 영화 새였다.
2. 2. 2회 (2020)
2020년 6월 18일부터 6월 23일까지 제2회 평창국제평화영화제가 개최되었다. 총 34개국에서 출품된 96편(장편 49편, 단편 47편)의 영화가 상영되었다. 개막작은 토르 클라인 감독의 <어느 수학자의 모험> (독일, 폴란드, 영국)이었다.
구분 | 작품 수 |
---|---|
장편 | 49편 |
단편 | 47편 |
총계 | 96편 |
2. 3. 3회 (2021)
2021년 6월 17일부터 6월 22일까지 6일 동안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알펜시아 일원에서 제3회 평창국제평화영화제가 개최되었다.3. 프로그램
평창국제평화영화제는 경쟁 부문과 비경쟁 부문으로 나누어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경쟁 부문에서는 평화와 공존을 주제로 국내외 우수한 영화들을 초청하여 상영하며, 심사위원대상, 심사위원상, 관객특별상 등을 시상한다. 비경쟁 부문은 더욱 폭넓은 주제와 형식의 영화들을 소개하며, 다음과 같은 섹션들이 있다.
- 스펙트럼: 동시대 개인적, 사회적 문제를 다룬 전 세계 최신 영화들을 소개한다.
- 스펙트럼 K: 최근 한국 영화의 흐름을 짚어본다.
- 평양시네마: 북한 영화 및 북한 관련 영화를 상영하는 평창국제평화영화제만의 특별 섹션이다.
- POV: 우리 사회가 당면한 특정 이슈를 선정해 관련 영화들을 상영하는 기획 섹션이다.
- 클로즈업: 영화제가 주목하는 올해의 영화인과 그의 작품들을 소개한다.
- 여름영화산책: 평창의 아름다운 풍경 속에서 즐기는 야외 상영 프로그램이다.
- 강원도의 힘: 강원도에서 제작되거나 강원도를 배경으로 한 영화를 통해 강원도 영화의 성장과 발전을 조명한다.
3. 1. 경쟁 부문
평화와 공존을 주제로 국내외 우수한 영화를 초청하는 경쟁 섹션이다.3. 1. 1. 국제장편경쟁
평화와 공존을 주제로 국내외 우수한 장편 영화가 초청되는 경쟁 섹션으로, 심사위원대상, 심사위원상, 관객특별상을 시상한다.3. 2. 비경쟁 부문
평창국제평화영화제의 비경쟁 부문은 경쟁 부문과 달리 다양한 주제와 형식의 영화를 폭넓게 소개한다.- 스펙트럼: 동시대의 개인적, 사회적 문제를 다룬 전 세계 최신 영화들을 소개한다.
- 스펙트럼 K: 최근 한국 영화의 흐름을 짚어본다.
- 평양시네마: 북한 영화 및 북한 관련 영화를 상영하는 평창국제평화영화제만의 특별 섹션이다.
- POV: 우리 사회가 당면한 특정 이슈를 선정해 관련 영화들을 상영하는 기획 섹션이다.
- 클로즈업: 영화제가 주목하는 올해의 영화인과 그의 작품들을 소개한다.
- 여름영화산책: 평창의 아름다운 풍경 속에서 즐기는 야외 상영 프로그램이다.
- 강원도의 힘: 강원도에서 제작되거나 강원도를 배경으로 한 영화를 통해 강원도 영화의 성장과 발전을 조명한다.
3. 2. 1. 스펙트럼
동시대 개인적-사회적 문제를 다룬 전 세계의 최신 영화들을 소개한다.3. 2. 2. 스펙트럼 K
최근 한국 영화의 큰 흐름의 맥을 짚는 섹션이다.3. 2. 3. 평양시네마
평창국제평화영화제만의 특별 섹션으로, 북한 영화 및 북한 관련 영화를 만날 수 있다.3. 2. 4. POV
우리 사회가 당면한 특정 이슈를 선정해 관련 영화들을 상영하는 기획 섹션이다.3. 2. 5. 클로즈업
영화제에서 주목하는 올해의 영화인과 그의 작품들을 소개하는 섹션이다.3. 2. 6. 여름영화산책
평창한국어의 아름다운 풍경 속에서 즐기는 야외 상영 프로그램이다.3. 2. 7. 강원도의 힘
나날이 성장하는 강원도의 영화적 성과를 소개하는 섹션으로, 강원도에서 제작되거나 강원도를 배경으로 한 영화들을 소개하며 강원도 영화의 성장과 발전을 조명한다.4. 어워드
평창국제평화영화제는 경쟁 부문을 통해 우수한 영화를 시상하고, 피칭 프로젝트를 통해 영화 제작을 지원한다. 역대 수상작과 심사위원은 영화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시상 내역
다음은 평창국제평화영화제의 시상 내역이다.부문 | 상 |
---|---|
국제장편경쟁 | 심사위원대상, 심사위원상, 관객특별상 |
한국단편경쟁 | 심사위원대상, 심사위원상, 관객특별상 |
4. 1. 1. 경쟁 부문
'''경쟁 부문'''은 평화와 공존을 주제로 국내외 우수한 영화가 초청되는 섹션이다.부문 | 상 |
---|---|
국제장편경쟁 | 심사위원대상, 심사위원상, 관객특별상 |
한국단편경쟁 | 심사위원대상, 심사위원상, 관객특별상 |
4. 1. 2. 피칭 프로젝트
평창국제평화영화제의 경쟁부문은 '시대공감'과 '통일공감' 두 섹션으로 나뉘어 진행되며, 각 섹션별로 2편씩 총 4편의 작품에 상금이 지원된다.4. 2. 역대 수상작
심사위원상 - 사회생활 (이시대 / 한국), 별들은 속삭인다 (여선화 / 한국)심사위원상 - 축복의 집 (박희권 / 한국)
관객특별상 - 비밀의 정원 (박선주 / 한국)
심사위원상 - 급식 (한혜인 / 한국)
관객특별상 - 우리집 (부은주 / 한국)
우수상 - 쓰레기덕후소셜클럽 (유혜민, 신혜인 / 다큐멘터리)
통일공감
우수상 - 유에프오 인 대성동 (박근영 / 픽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