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변영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변영주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이다. 수도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법학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영화학과를 졸업했다. 1993년 영화 《아시아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을 시작으로, 일본군 '위안부' 3부작 다큐멘터리 《낮은 목소리》, 《밀애》, 《화차》 등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연출했다. 특히 《화차》는 240만 관객을 동원하며 백상예술대상 감독상과 여성영화인상을 수상했다. 또한 드라마 연출에도 참여하여, 2024년 《백설공주에게 죽음을》, 2025년 《사마귀》의 연출을 맡을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여자고등학교 동문 - 박영선 (정치인)
    박영선은 MBC 아나운서, 기자, 앵커 출신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4선 국회의원, 여성 최초 민주당 정책위의장 및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수도여자고등학교 동문 - 박경미
    박경미는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졸업 후 미국에서 수학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홍익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를 역임, 교육 분야 전문성을 쌓아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국회의원, 대통령비서실 대변인, 국회의장 비서실장 등을 거쳐 현재 더불어민주당 교육특별위원회 위원장과 대변인으로 활동 중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수학교육학 박사이다.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상 수상자 - 봉준호
    봉준호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로, 《플란다스의 개》로 데뷔하여 《살인의 추억》, 《괴물》, 《기생충》 등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작품을 연출하며 세계적인 거장으로 인정받았다.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상 수상자 - 박찬욱
    박찬욱은 서강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영화 평론가로 활동하다 영화감독으로 데뷔하여, 복수 3부작과 인간이 아닌 존재의 3부작 등 독특한 스타일의 작품들로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세계적인 거장으로, 칸 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하는 등 한국 영화의 위상을 높이며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이라크 전쟁 반전 운동가 - 황석영
    황석영은 만주 출생으로 한국 전쟁을 겪고 성장하여 사회 현실과 시대상을 반영하는 소설을 쓴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대한민국의 이라크 전쟁 반전 운동가 - 고은
    고은은 1958년 등단하여 《만인보》를 포함한 다수의 작품을 발표하고 민주화 운동과 남북한 작가 교류에 기여했으나, 2018년 성추문 논란으로 재평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의 시인이자 소설가, 수필가, 사회 운동가이다.
변영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변영주
출생일1966년 12월 20일 (57세)
출생지대한민국
직업영화 감독
학력이화여자대학교 법학과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활동 기간1993년 ~
배우자알려진 정보 없음
수상
수상 내역2012년 제13회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소셜 미디어
트위터@redcallas

2. 학력

3. 영화 경력

변영주는 이화여자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93년 영화 《아시아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으로 감독 데뷔했다.[1]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 3부작 《낮은 목소리》, 《낮은 목소리 2》, 《낮은 목소리 3 - 숨결》로 잘 알려져 있다.[4] 이 영화들은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보상을 요구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으며, 미학적, 정서적 힘으로도 찬사를 받았다. 변영주는 위안부 할머니들과 1년 동안 함께 생활하며 신뢰를 얻은 후 촬영 허가를 받았다고 한다.

2002년 전경린의 소설을 각색한 에로틱 드라마 《밀애》로 장편 영화 데뷔를 했고,[6][8] 2004년에는 성장 영화 로맨스인 《발레교습소》를 감독했다.[8][9] 2012년에는 미야베 미유키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화차》를 통해 현대 사회의 문제들을 다루며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11][12] 이 영화로 백상예술대상과 여성영화인상에서 감독상을 수상했다.

3. 1. 감독 및 각본

연도작품명역할비고
1993년《아시아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감독[1]
1995년낮은 목소리감독[4]
1996년낮은 목소리 2감독, 제작
1999년낮은 목소리 3 - 숨결감독, 촬영[4]
2002년밀애각본, 감독[6][8]
2003년송환촬영
2004년발레교습소감독[8][9]
2008년《텐 텐》감독
2008년《20세기를 기억하는 슬기롭고 지혜로운 방법》감독[10]
2012년화차각본, 감독[11][12]


3. 2. 촬영

3. 3. 기타

변영주는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에서 대학원 과정을 수료했다. 1989년에는 여성 페미니스트 영화 집단 "바리토"의 창립 멤버로 참여했다.[1] 그녀는 직장 내 성차별을 다룬 단편 영화 ''풀잎에도 이름이 있다''(김소영, 1989)와 빈곤 지역의 육아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나의 아이들''(도성희, 1990)의 촬영 감독으로 활동했다.[2] ''양주남 다큐멘터리''(1998)에서 변영주는 감독/편집자 (''달콤한 꿈: 죽음의 자장가'', ''어머니의 사랑'')를 주제로 선택했다. 양주남은 193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후반까지 한국 영화계에서 활동했지만, 그 이후 은둔 생활을 해왔다.[5] 변영주는 한국의 전근대와 현대 모두에서 여성적인 표현 방식과 존재 방식을 다루어, 디아스포라, 즉 "고류": 낯선 땅에서 일시적으로 사는 것 - 남자의 땅에서 사는 여성 - 으로서 여성의 삶에 대한 복합적이고 다중적인 초상을 구축하는 다큐멘터리 ''고류: 남쪽 여자들, 대한민국''(김소영, 2001)을 제작했다.[7]

4. 드라마 경력

5. 수상 경력

연도시상식수상 부문작품
1995년야마가타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오가와 신스케상낮은 목소리
1996년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영화평론가 특별상낮은 목소리
1998년타이완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심사위원 특별상습관적인 슬픔
1999년부산국제영화제운파 기금나의 숨소리
2000년부산국제영화제올해의 민족 예술상낮은 목소리 2
2009년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김학순상
2012년백상예술대상영화 부문 감독상화차
올해의 여성영화인상올해의 여성 영화인


6. 저서


  • 《영화로 더 나은 세상을 꿈꾸다》 (2018년 9월)
  • 《낮은 목소리 2》 (2005년 11월)
  • 《아시아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 (1995년 4월)

6. 1. 공저

제목출판일ISBN
청춘의 발견 (가슴 뛰는 순간에 다가오는 것들)2017년 7월
나의 고전 읽기 (이 시대 대표 지성인 10인이 말하는 나의 인생과 고전)2006년 10월


7. 초기 활동 및 페미니즘 영화 제작

변영주는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에서 대학원 과정을 수료했다. 1989년, 여성 페미니스트 영화 집단 "바리토"의 창립 멤버로 참여했다.[1] "바리토"에서 활동하며, 직장 내 성차별을 다룬 단편 영화 ''풀잎에도 이름이 있다''(1989)와 빈곤 지역의 육아 문제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나의 아이들''(1990)의 촬영 감독으로 경력을 쌓았다.[2]

첫 다큐멘터리 ''아시아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1993)을 통해 제주도의 성 관광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의 성매매 문제를 다루었다.[3] 이후, 일본군에 의해 성 노예로 강제 동원된 "위안부" 피해 여성들의 삶을 기록한 3부작 다큐멘터리 ''낮은 목소리''(1995), ''숨결''(1997), ''나의 숨소리''(1999)를 제작하여 큰 주목을 받았다.[4] 이 작품들은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보상을 요구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영화 자체의 미학적, 정서적 힘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4]

''낮은 목소리''는 한국 영화사에서 가장 호평받은 다큐멘터리 중 하나로, 국내에서 극장 개봉을 한 최초의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변영주는 위안부 피해 여성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 1년 동안 함께 생활하며 촬영 허가를 받았고, 영화는 일본 대사관 앞에서 매주 시위를 벌이는 여성들의 모습과 그들이 겪는 어려움을 담아냈다.[4]

''숨결''은 투병 중인 위안부 피해 여성의 마지막 날들을 기록해 달라는 요청으로 시작되었다. 이 영화에서 여성들은 카메라 뒤에서 영화를 항의와 치유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4] ''나의 숨소리''에서는 14세에 강제로 끌려간 새로운 인물이 등장하며, 강제 매춘의 아픔 속에서도 살아남은 여성들의 유머와 개성을 조명한다.[4]

이후 193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후반까지 한국 영화계에서 활동했던 감독 겸 편집자 양주남을 다룬 다큐멘터리 ''양주남 다큐멘터리''(1998)를 제작했다.[5]

참조

[1] 웹사이트 BYUN Young-joo http://koreanfilm.or[...] 2012-06-12
[2] 웹사이트 Korean Women Directors http://www.koreanfil[...] 2012-06-12
[3] 웹사이트 Women Being in Asia (Asiaeseonyeojaro-sandaneunggot) (1993) http://www.koreafilm[...] 2012-06-12
[4] 웹사이트 My Own Breathing https://koreanfilm.o[...] 2012-06-12
[5] 웹사이트 Documentary of Yang Joo-nam http://history.pifan[...] 2012-10-11
[6] 웹사이트 http://www.cine21.co[...] 2002-11-14
[7] 웹사이트 Koryu: Southern Women, South Korea http://www.wffis.or.[...] 2012-10-11
[8]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Byun Young-joo http://www.koreanfil[...] 2005-04-29
[9] 웹사이트 Flying Boys http://www.koreanfil[...] 2012-06-12
[10] 웹사이트 The 10th Anniversary Project "Ten Ten" http://www.wffis.or.[...] 2008-04-10
[11] 웹사이트 Director explores financial, social horrors http://view.koreaher[...] 2012-03-08
[12] 웹사이트 Korean movies notch up higher number in 1Q ticket sales http://us.tenasia.co[...] 2012-04-09
[13] 웹사이트 Byun Young-joo Picked as Director of the Year by Female Film Critics http://english.chosu[...] 2012-12-05
[14] 웹사이트 BYUN Young-joo Selected as the Woman Filmmaker of 2012 http://www.koreanfil[...] 2012-12-06
[15] 웹사이트 Kim Soo-hyun wins Paeksang awards https://www.koreatim[...] 2012-04-27
[16] 웹인용 변영주 http://nl.go.kr/auth[...] 2020-06-09
[17] Youtube 1990년 20대 변영주, 생방송에서 여성에 관한 사이다 발언으로 MC를 압도하다 (KBS방송) https://www.youtube.[...]
[18] 뉴스 영화『아시아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 https://www.joongang[...] 1993-06-13
[19] 뉴스 "[서울국제여성영화제②] 여성영상창작집단 바리터, ‘바리터 30주년의 의미를 말하다’" http://www.cine21.co[...] 2019-09-18
[20] 웹인용 낮은 목소리 http://encykorea.aks[...]
[21] 뉴스 '화차' 변영주, 백상 영화부문 감독상 수상 https://news.naver.c[...] 스타뉴스 2012-04-26
[22] 뉴스 '화차' 변영주 감독,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2-12-04
[23] 뉴스 ‘올해의 여성영화인상’에 ‘화차’ 변영주… “충무로, 독립영화에 손 내밀자” https://news.naver.c[...] 2012-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