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흥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택시흥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 청북면에서 시흥시 거모동을 잇는 고속도로이다. 2005년 사업 제안을 시작으로 2013년 서평택 분기점에서 군자 분기점까지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후 마도 분기점 개통 및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의 중복 지정 등의 변화를 겪었다. 주요 통과 지역은 평택, 화성, 안산, 시흥이며, 서평택 분기점부터 남안산 나들목까지는 왕복 4차로, 남안산 나들목부터 군자 분기점까지는 왕복 6차로로 운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택시흥고속도로 - 군자 분기점
경기도 시흥시 거모동에 위치한 군자 분기점은 영동고속도로와 평택시흥고속도로가 만나는 지점으로, 평택시흥고속도로 시흥 방향에서 영동고속도로 인천 방향으로의 합류만 가능한 직결형 구조를 가지고 있어 특정 방향으로의 진출입은 제한된다. - 평택시흥고속도로 - 서평택 분기점
서평택 분기점은 경기도 평택시 청북읍 고잔리에 위치하며 평택제천고속도로와 평택시흥고속도로가 접속하는 분기점으로, 2002년 개장 후 2013년 터빈형 입체 교차로로 변경되었고 특정 방향 램프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 시흥시의 도로 - 경제로 (시흥시)
시흥시 정왕동에 위치한 경제로는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아 제정된 도로명으로, 서해안로 등과 교차하며 다양한 기업 및 시설이 주변에 위치한다. - 시흥시의 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며, 199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총 연장 340.81km이다. - 안산시의 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며, 199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총 연장 340.81km이다. - 안산시의 도로 -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파주시를 잇는 총 연장 117.9km의 고속국도 제17호선으로,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의 통합으로 지정되었으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현재는 파주시 월롱면까지 개통되었고,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며 광명-서울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다.
| 평택시흥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고속도로 유형 | 고속국도 |
| 노선 번호 | 153 |
| 다른 이름 | 평택시흥 고속도로 |
| 로마자 표기 | Pyeongtaek Siheung Gosok Doro |
| 한자 표기 | 平澤始興高速道路 |
| 개통일 | 2013년 3월 28일 |
| 총 길이 | 42.6 km |
| 관리 기관 | 제2서해안고속도로 (기업) |
| 노선 정보 | |
| 기점 | 경기도 평택시 청북읍 (서평택JC) |
| 주요 경유지 | 경기도 평택시 경기도 화성시 경기도 안산시 |
| 종점 | 경기도 시흥시 거모동 (군자JC) |
| 주요 교차 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82호선 |
| 분기점 및 나들목 | |
| 분기점 | 서평택JC (서해안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송산JC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군자JC (영동고속도로) |
| 나들목 | 청북IC 조암IC 남안산IC 월곶IC |
2. 역사
평택시흥고속도로는 다음과 같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 날짜 | 내용 |
|---|---|
| 2008년 1월 3일 | 경기도 평택시 청북면 ~ 경기도 시흥시 구간을 고속국도 제153호선 평택시흥고속도로(평택 ~ 시흥선)로 지정[5] |
| 2008년 3월 28일 | 평택시흥고속도로 민간 투자사업 실시계획 승인 및 경기도 평택시 청북면 고잔리 ~ 시흥시 월곶동 42.6km 구간 도로구역 결정[6] |
| 2010년 12월 28일 | 도로명주소에 서평택 분기점부터 군자 분기점까지 42.6km 구간을 평택시흥고속도로로 고시[7] |
| 2013년 1월 13일 | 정왕 요금소가 서시흥 요금소로 명칭 변경[8] |
| 2013년 3월 17일 | 《개통 기념 2013 새 희망 자전거 대행진》 대회 개최[9] |
| 2013년 3월 24일 | 《개통 기념 새 희망 국제 마라톤》 대회 개최[10][11] |
| 2013년 4월 | 송산휴게소가 송산포도휴게소로 명칭 변경[14] |
|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경기도 평택시 청북면 고잔리, 종점을 경기도 시흥시 거모동으로 명시[15] |
| 2015년 5월 1일 | 전 구간 통행료 3,100원에서 2,900원으로 인하.[16][17] |
| 2016년 11월 11일 | 원톨링 시스템 도입으로 장안 요금소 폐쇄 |
| 2019년 10월 4일 | 2020년 5월까지 독정졸음쉼터 설치 공사(경기도 화성시 장안면 독정리)를 위해 도로구역 변경[18] |
| 2020년 7월 14일 | 독정졸음쉼터 설치 공사 기간을 2021년 6월까지로 연장[19] |
| 2021년 9월 7일 | 마도 분기점 ~ 시화 분기점 구간이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중복 지정[20] |
2. 1. 건설
- 2005년 9월: 평택시흥고속도로 사업 제안서 제출[5]
- 2005년 11월: 우선 협상 대상자 선정[5]
- 2007년 7월: 실시 협약 체결 및 사업자 선정[5]
- 2007년 9월: 환경, 교통 영향 평가[5]
- 2008년 1월 3일: 경기도 평택시 청북면 ~ 경기도 시흥시 구간을 '''고속국도 제153호선 평택시흥고속도로'''(평택 ~ 시흥선)로 지정[5]
- 2008년 3월 28일: 평택시흥고속도로 민간 투자사업 실시계획 승인 및 경기도 평택시 청북면 고잔리 ~ 시흥시 월곶동 42.6km 구간 도로구역 결정[6]
- 2008년 3월 31일: 서평택 분기점 - 군자 분기점 전 구간 (39.39 km) 착공[6]
- 2010년 1월: 금융 약정 체결[7]
- 2013년 3월 28일: 서평택 분기점 ~ 군자 분기점 42.6km 전 구간 개통[12][13]
- 2021년 4월 28일: 마도 분기점 개통[20]
2. 2. 개통 및 운영
2008년 3월 31일 서평택 분기점 - 군자 분기점 구간(39.39km) 공사가 시작되었고,[5] 2013년 3월 28일 서평택 분기점 ~ 군자 분기점 42.6km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12][13] 2013년 1월 13일 정왕 요금소 명칭이 서시흥 요금소로 변경되었다.[8] 개통을 기념하여 2013년 3월 17일 《개통 기념 2013 새 희망 자전거 대행진》 대회[9]와 2013년 3월 24일 《개통 기념 새 희망 국제 마라톤》 대회[10][11]가 개최되었다. 2013년 4월에는 송산휴게소가 송산포도휴게소로 이름이 바뀌었다.[14]2015년 5월 1일 전 구간 통행료가 3,100원에서 2,900원으로 200원 인하되었다.[16][17] 2016년 11월 11일 원톨링 시스템 도입으로 장안 요금소가 폐쇄되었다. 2021년 4월 28일 마도 분기점이 개통되었고, 2021년 9월 7일 마도 분기점 ~ 시화 분기점 구간이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중복 지정되었다.[20]
3. 노선 구성
총연장은 39.39km이다. 서평택 분기점에서 남안산 나들목까지 36.12km 구간은 왕복 4차로, 남안산 나들목에서 군자 분기점까지 3.27km 구간은 왕복 6차로이다. 최고 속도는 서시흥 요금소에서 군자 분기점 구간은 80km/h, 나머지 구간은 100km/h이다.
3. 1. 차로 수 및 제한 속도
| 구간 | 차로 수 | 제한 최고 속도 |
|---|---|---|
| 서평택 분기점 ~ 남안산 나들목 | 왕복 4차로 (편도 2차로) | 100km/h |
| 남안산 나들목 ~ 군자 분기점 | 왕복 6차로 (편도 3차로) | 80km/h (단, 서시흥 요금소 ~ 군자 분기점 구간) |
3. 2. 교량
| 이름 |
|---|
| 홍원1교 |
| 독정3리천교 |
| 장안교 |
| 정든교 |
| 독정천교 |
| 대남교 |
| 수촌1교 |
| 금의1교 |
| 금의2교 |
| 주곡1교 |
| 주곡2교 |
| 주곡3교 |
| 화옹교 |
| 화성교 |
| 남양교 |
| 장덕교 |
| 마도교 |
| 상현교 |
| 청원교 |
| 석교교 |
| 슬항1교 |
| 슬항2교 |
| 봉가천교 |
| 봉가교 |
| 문산천교 |
| 용포1교 |
| 용포교 |
| 용포2교 |
| 용포3교 |
| 용수교 |
| 송산1교 |
| 송산2교 |
| 고정1교 |
| 고정2교 |
| 고정3교 |
| 음섬1교 |
| 음섬2교 |
| 시화대교 |
| 신길천교 |
| 중앙교 |
| 만해2교 |
| 능길교 |
| 신길교 |
| 거모5교 |
| 거모6교 |
| 월곶4교 |
4. 나들목 및 분기점
평택시흥고속도로는 나들목(IC), 분기점(JC), 요금소(TG), 휴게소(SA)로 구성된다. 각 시설의 번호, 이름, 로마자 이름, 구간·누적 거리(km 단위), 접속 노선, 소재지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특히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겹치는 구간은 연한 파란색(■)으로 표시한다.
4. 1. 목록
거리 (km)거리 (km)
40호선 평택제천고속도로
국도 제82호선 (포승향남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포승향남로)
지방도 제310호선 (버들로)
지방도 제322호선 (화성로)
국도 제77호선 (별망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별망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별망로)
능길로·해봉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