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산시는 대한민국 경기도에 위치한 도시로, 고려 시대부터 안산이라는 지명이 사용되었다. 1986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수도권의 위성 도시이자 주요 공업 도시로 성장했다. 안산은 신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한 흔적이 있으며, 과거에는 어촌으로 유명했다. 현재는 상록구와 단원구로 나뉘며, 다수의 외국인이 거주하는 도시이다. 안산은 교육, 문화,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을 이루었으며, 특히 안산스마트허브를 중심으로 제조업이 발달했다. 안산시는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 및 우호 협력 관계를 맺고 있으며, 시티투어, 축제, 문화시설 등을 통해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계획 도시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는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계획에 따라 연기군 등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2012년 출범한 대한민국의 특별자치시로, 다수의 정부 부처와 기관이 이전하여 행정 기능을 수행하며 스마트 도시로 설계되었으나, 서울과의 접근성 문제와 설계 부실에 대한 비판도 있다. - 대한민국의 계획 도시 - 창원시
창원시는 기원전 10세기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가야 연맹의 일원이었고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1980년 창원시로 승격 후 2010년 마산시, 진해시와 통합하여 인구 110만이 넘는 경상남도의 특례시이다. - 안산시 - 단원구
단원구는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의 행정 구역으로, 2002년에 설치되어 12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며, 안산시 서부에 위치하고 시흥시, 화성시와 접하며, 수도권 전철 4호선, 수인·분당선, 서해선과 영동고속도로 서안산 나들목이 지나간다. - 안산시 - 선부동
선부동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3개의 행정동과 여러 학교, 고송정지, 아파트 단지 등을 포함한다. - 경기도의 도시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 경기도의 도시 - 파주시
파주시는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고조선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고, 임진강과 한강이 흐르는 대륙성 기후를 띠며, 장단콩 등 특산물과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2024년 1월 특례시로 지정되었다.
| 안산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 |
![]() | |
| 기본 정보 | |
| 공식 명칭 | 안산시 |
| 한글 표기 | 안산시 |
| 한자 표기 | 安山市 |
| 로마자 표기 | Ansan-si |
| 맥큔-라이샤워 표기 | Ansan-si |
| 첫 언급 | 940년 |
| 시 승격 | 1986년 |
| 지역 | 경기도 (수도권) |
| 면적 | 149.39 km² |
| 해발고도 | 9 m |
| 인구 | 623,256명 (2024년 9월) |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방언 | 서울 방언 |
| 우편 번호 | 425020-426910 |
| 지역 번호 | (+82) 31 |
| 새 | 저어새 |
| 꽃 | 장미 |
| 나무 | 은행나무 |
| 웹사이트 | ansan.go.kr |
| 행정 구역 | |
| 하위 행정 구역 | 2구, 25동 |
| 정치 | |
| 시장 | 이민근 (국민의힘) |
| 국회의원 | 갑: 양문석 (더불어민주당) 상록구 사동, 사이동, 해양동, 본오1동, 본오2동, 본오3동, 반월동 해당. 을: 김현 (더불어민주당) 상록구 일동, 이동, 부곡동, 월피동, 성포동, 안산동, 단원구 고잔동, 중앙동, 호수동 해당. 병: 박해철 (더불어민주당) 단원구 와동, 원곡동, 백운동, 신길동, 초지동, 선부1동, 선부2동, 선부3동, 대부동 해당. |
| 기타 | |
| 마스코트 | 테크미 |
| 행정 구역 분류 코드 | 31090 |
2. 지명
안산(安山)이라는 이름은 고려시대 이후부터 쓰였다. 신라 시대 장구군(獐口郡)으로 불리던 것을 고려 시대인 940년 안산군(安山郡)으로 개칭하였고, 1018년에는 안산현(安山縣)이 되었다. 1906년 9월 24일 광주군의 북방면, 성곶면, 월곡면이 안산군으로 편입되었다. 1914년 4월 1일 안산군이 폐지되면서 '군자면'과 '수암면'이 시흥군으로 편입되고 광주군에서 8년 전에 편입되었던 북방면, 성곶면, 월곡면은 '반월면'으로 개칭되어 수원군에 편입되었다.[121][122][123]
고대부터 안산은 좋은 수산물과 소금으로 유명한 어촌이었다. 경기도 시흥시 남부 지역과 함께 하나의 지역으로, 상록구 안산동 지역인 수암 지역을 중심으로 중부 지방의 주요 고을로 발전했다. 중국으로 가는 주요 포구 중 하나인 마포의 길목에 위치했으며, 잿머리 포구에서 무역이 시작되었다.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를 거쳐 여러 사대부들이 자리 잡았다.[124] '안산(安山)'이라는 이름은 고려 시대부터 알려졌고, 조선 초기부터 연성(蓮城)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렸다.[125] 조선 시대의 실학자 성호 이익이 활동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126][127]
1977년 이곳에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할 때나 1979년 반월지구출장소를 설치할 당시에만 해도 이 지역을 대표하는 명칭은 가장 인지도가 높은 '''반월'''(半月)이었고, 대한민국 정부가 반월지구출장소의 시승격을 추진할 때도 도시의 명칭은 '''반월시'''로 거의 확정된 상황이었다. 그러나 당시 국회의원 오학진(吳學鎭)은 "전체 면적의 1/3밖에 안되는 반월면을 도시 이름으로 하는 것은 문제가 있으니 원래 지명인 안산군(安山郡)을 따서 안산시로 이름을 지어달라"고 언급하였고,[121] 시흥군 수암면에 거주하던 향토사학자들은 '반월시라는 명칭은 역사적 정통성이 없이 일제가 임의로 만들어 붙인 이름'이라고 문제를 제기하며, 1천년 역사의 안산시로 해야 한다고 정부에 청원하였다. 정부는 이를 '''안산시'''로 발표, 1986년 1월 1일 승격시켰다.[121][122][123]
3. 역사
신석기 시대부터 안산에 인류가 살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초지동 일대, 대부도, 시흥시의 오이도와 시화호 등에서 여러 조개더미 유적과 선사 유적 군락이 발견되고 있다.[128][129][130][131] 오이도, 시화호, 조지동, 대부도에서는 많은 패총과 선사 유적이 발견되었다.[7][8] 선부동과 월피동 일대에서는 지석묘를 비롯하여 10기 이상의 고인돌이 발견되었다.[132][133] 선부동과 월피동 지역에서는 10기가 넘는 돌고인돌 무덤이 발견되었다.[9] 1995년 서해안고속도로 공사 중 화성군 인접 지대에서는 석영제의 구석기 유물들이 발견되었다.[134][135] 1995년에는 서해안고속도로 건설 중 구석기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다.[10][11] 안산 지역에서 발견되는 지석묘들은 대부분 남방식 고인돌이지만 선부동의 지석묘는 탁자식이며, 인접한 광명시 가학동에서도 탁자식 지석묘가 발견되는 등, 안산은 남방식과 북방식 지석묘가 함께 존재하고 있는 문화적 경계 지역의 일부이다.[136][137] 안산시에서는 다수의 고대 유물이 발견되었다.[12][13]
원삼국 시대와 삼한 시대에 안산 지역과 그 주변 지역에서 고대 국가의 성립 증거는 많지 않다. 안산과 시흥 지역에서 발견되는 고고학 유물들이 매우 적기 때문이다.[136] 진수의 《삼국지》 〈위서동이전〉에는 마한에 50여 개의 군장 국가가 있던 것으로 나와 있는데, 안산 지역과 가까운 곳에 있던 것으로 추정되는 나라는 원양국(爰襄國), 상외국(桑外國), 수원 지역의 모수국(牟水國)이다.[136][138]
삼국 시대에는 백제에 속해 있었지만, 백제 영토 시대의 기록은 얼마 남아있지 않다.[139] 고구려 장수왕 시대에 안산 지역이 고구려에 복속되면서 장항구현(獐項口縣)의 일부로 지정되었다가,[140] 551년 성왕에 의해 다시 백제의 영토로, 2년 뒤에 진흥왕에 의해 신라의 영토가 되었으며, 경덕왕 때에는 안산현(安山縣)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41][142][143] 또한 신라 시대에 지어진 것으로 추측되는 성태산성이 시내에서 발견되기도 하였다.[144]
900년경 신라 효공왕 재위 시기까지 태봉국의 영토였다가,[145] 이후 태봉의 궁예가 왕건에 의해 축출되고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면서 고려의 영토가 되었다. 고려 초 장구군은 안산군으로 명칭이 바뀌었지만, 군으로서의 지위는 변동되지 않았다. 972년(광종 23년) 서희가 송나라로 출발할 때 안산을 이용하였으며,[146] 여기서 서희가 겪은 설화에서 잿머리 성황제가 유래하였다.[147] 성종 14년에는 10도제의 정비에 따라 안산 지역은 관내도에 예속되었다.[145]
헌종 9년에는 행정구역 정비에 따라 군에서 현으로 강등되었고,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는 속현이 되어 수주(수원시)에 예속되었다.[145] 문종 23년 이후부터 안산현은 경기에 예속되어, 지개성부사의 지휘를 받게 되어 개성부를 거쳐 중앙 정부와 연결될 수 있게 되었다. 1271년(원종 12년) 몽고군이 대부도와 시흥시의 소래산 등지로 침입하였을 때, 대부도 별초와 민병대는 부사 안열의 지휘 하에 몽고군을 격파하였으며,[148][149][150] 그 군공을 인정받아 안산현이 소속되어 있던 수원부는 수원도호부로 승격되었다.[148] 충렬왕 33년에는 군으로 승격되었고, 지사가 임명되어 내려오게 되었다.[145] 지사는 고려 말까지 파견되었으며, 1390년(공양왕 2년) 경기도가 좌·우도로 분할됨에 따라 경기좌도에 예속되었다.[145] 이 시대에 안산 잿머리(城頭)의 포구는 큰 배들이 오갈 수 있는 외항으로 축조되었으며, 무역을 위해 여러 중국인들이 체류하였다.[148]
안산은 조선 건국 이후에도 경기좌도에 속해 있었다. 태조 5년(1396년) 궁중에 해산물을 진상하는 기관인 사옹원분원이 직할하는 안산어소가 설치되었으며,[148] 태종 2년(1402년) 경기좌·우도의 통합이 이루어진 후에도 안산이라는 지명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태종 13년(1413년) 전국을 8도로 재편성하면서 경기도로 편입되었으며, 종4품의 군수와 정9품의 훈도가 파견되었다.[148][151] 안산이라는 지명 외에 세조 때부터는 연성(蓮城)이라고도 흔히 불렸다. 이는 세조 9년(1463년) 문신 강희맹이 명나라 남경에 갔다가 귀로에 연꽃씨를 가지고 와, 안산의 관곡지(官谷池)라는 연못에 시험 재배한 데서 유래하였다.[148][152] 한편, 목내동 부근에 관아(館衙)가 설치되었으며, 1441년 수암동으로 이전하였고 다시 1669년에는 관아의 위치를 안산읍성 내로 이전하였다.[153] 조선 시대의 안산 지역에는 여러 사대부들이 살았는데, 초기에는 강희안과 강희맹 형제, 중기에는 인조반정을 주도한 김류와 장유, 후기에는 이익과 강세황 등이 안산에서 활동했다.[154]
조선 시대에 초지진을 설치하였다.[9]
1894년 황해 경기만 풍도에서는 조선 말 청일 전쟁에서 일본과 청나라 간에 풍도 해전이 있었다.[155]
1895년 8도제가 폐지되고 23부제가 실시되었을 때는 시흥군 및 과천군과 함께 인천부에 예속되었으나, 다음해 13도제로 대체된 이후에는 경기도의 4등군이 되었다.[148]
대한제국 시기인 1899년에는 전국적인 토지 조사 사업였던 양전 사업의 포함되는 주요 지역 중 하나였고, 전국적으로 50여개 근대 교육시설이 세워지는 지역 중 하나로써 1899년 9월 안산군 공립소학교(현 안산초등학교)가 설립 되었는데, 경기도 서남부지역에서 가장 먼저 근대식 교육기관이 생긴 지역이였다.
1906년 9월 24일에는 측령 제49호로 지방구역 정리건이 반포됨에 따라 광주군의 견아상입지(현재의 상록구 일동·이동·사동·본오동·반월동 등 구 반월면 지역)가 안산군으로 이속되었다.
일제강점기였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전통적인 지역인 안산군을 없애고 시흥군 수암면, 군자면으로 전환되었으며, 일부 지역(반월면)을 수원군에 넘겼다.[154] 일본 제국은 쌀과 소금 등의 물자 수탈을 목적으로 1937년에는 수원과 인천을 연결하고 현 안산지역을 경유하는 수인선 협궤 철도를 개통하였다.[156][157][158] 이 지역이 현대적 도시개발 이전까지 지역민들의 중요한 교통 수단으로 자리잡았다. 1914년까지 안산시와 오늘날 시흥시의 남부 지역은 안산군이었다. 1914년에 안산군은 시흥군에 편입되었다. 이 지역은 고대부터 고품질의 소금과 귀중한 수산물을 생산했다. 당시 안산은 어촌이었다.[15]
1970년대 후반부터 서울특별시의 인구문제 완화 및 구로공단 일부를 이전하기 위하여 1976년 12월 시흥군과 화성군의 일부였던 안산 일대에 ‘반월신공업도시 건설계획’을 발표하였고,[159] 1979년 8월 31일에 경기도 반월출장소를 설치하였고,[160] 1986년 1월 1일에는 출장소에서 지금의 안산시로 승격되었다.[161][162] 이에 따라 본격적인 현대적 도시 계획 개발이 시작되어 인구 유입과 증가 및 수도권의 위성 도시이면서 동시에 경제적 자립도가 큰 전국적으로 주요 공업 핵심 신도시로 성장했다.
안산 신도시는 주거, 생산, 소비, 휴양 공간을 구분하고 이들 간의 연계성을 강화했다.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을 묶어 주거생활권을 형성하여 소비공간을 근접시켰고, 공업지역의 생산공간을 집단화하여 주거공간과 분리했다. 이들 공간 사이에 휴양공간을 배치하여 도시 공간 구조에 질서를 부여했다. 생산공간과 주거생활공간은 3~8km의 통근거리를 가진 자기완결도시로, 3개 생활권(군자, 수암, 반월)을 중심으로 생산기능 간 거리를 배분하여 시민 편의를 도모했다.[180][181]
1977년 3월에 착공한 반월신도시 개발사업은 1993년에 1단계 사업을 완료하고, 시화방조제 축조로 유수지 기능을 상실한 녹지지역을 2000년까지 2단계로 개발하여 기존 도시 기능을 보완할 계획이었다. 안산신도시는 서울 남서쪽 35km, 수원시와 14km, 인천광역시와 20km 거리에 위치하여, 서울의 공장과 인구를 분산하고 주택문제를 해결하며, 자족적 독립도시 건설, 서해안 개발 거점 확보, 서울 유입 인구 흡수를 목표로 개발되었다. 초기 계획 면적은 42,148,950m2였으며, 이 중 41.0%인 17,289,334m2는 주택지와 공업단지로, 59.0%인 24,859,616m2는 공원녹지 또는 농지로 보존할 계획이었다. 초기 계획 인구는 20만 명이었으나, 도시 발전 추세에 따라 유보농지 7,933,920m2와 일부 녹지를 전용하여 30만 명까지 수용할 계획이었다. 이후 2단계 건설사업을 통해 새로운 신도시로 탄생했다.[180]
안산 반월신도시는 계획 당시 최초로 도시설계(urban design)를 실시하였으며, 경상남도 창원시에 이어 산업공업단지 기반의 대규모 도시계획개발이 이루어졌다. 도로망 체계는 도시 내 교통과 지역 간 교통을 분리하고, 시가지 내에는 자전거와 보행자 전용도로를 설치하여 시민의 안전과 이용 편의성을 고려했다. 건설 과정에서 해안 쪽은 표고 25m 이상, 내륙 쪽은 35m 이상의 구릉과 산림은 보전하고 일부 공장은 설상 배치했다. 교통체계는 도시 내 교통과 지역 간 통과교통을 분리하고 간선도로는 3교차를 원칙으로 했다. 시가지 내에는 자전거와 보행자 전용도로를 계획했고, 공동구를 설치한 것은 대한민국에서 처음 있는 일이었으며, 하수도도 우수와 오수를 분리했다. 노선상업지역을 지양하고, 대한민국 최초로 주거표시제도를 적용하는 등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계획으로 평가받았다.[181]
안산신도시 2단계 사업은 개발면적 8,891,000m2, 수용인구 140,000인, 수용세대 37,800세대(공동주택 35,437세대, 단독주택 2,363세대) 규모로 건설되었다. 토지이용 현황은 주거지역 18.9km2, 상업지역 2.6km2, 공업지역 10.2km2, 녹지지역 27.5km2로 나뉘어 있다. 충분한 녹지공간 확보와 도로, 상·하수도 등 모든 도시기반 시설을 계획적으로 시행하여 지역주민에게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했다. 안산신도시 건설사업은 충분한 공원녹지를 갖춘 전원도시 성격의 자기완결형 자족도시를 목표로 총 59.20km2를 개발했다. 1단계로 1993년까지 6,551억 원을 투자하여 50.22km2를 개발했으며, 2단계로 2000년까지 17,430억 원을 투자하여 나머지 8.98km2를 개발했다.[182]
염전(鹽田) 지역이었던 곳을 간척하여 1977년에 조성하기 시작한 반월국가산업단지와 배후 지역인 시흥군의 수암면, 군자면과 화성군 반월면 일부가 인구 약 30만의 계획도시인 반월신공업도시로 조성되었으며, 1986년 1월 1일 시로 승격되었다. 이와 함께 이 지역의 옛 이름인 ‘안산’을 시명으로 택하게 되었다.3. 1. 고대
안산에 인류가 처음으로 살기 시작한 것은 신석기 시대로 추정되며, 초지동 일대, 대부도, 인근 시흥시의 오이도와 시화호 등에서 여러 조개더미 유적과 선사 유적 군락이 발견되고 있다.[128][129][130][131] 안산 지역 최초의 인류는 신석기 시대에 거주했으며, 오이도, 시화호, 조지동, 대부도에서는 많은 패총과 선사 유적이 발견되었다.[7][8] 선부동과 월피동 일대에서는 지석묘를 비롯하여 10기 이상의 고인돌이 발견되었다.[132][133] 선부동과 월피동 지역에서는 10기가 넘는 돌고인돌 무덤이 발견되었다.[9] 1995년 서해안고속도로 공사 중 화성군 인접 지대에서는 석영제의 구석기 유물들이 발견되었다.[134][135] 1995년에는 서해안고속도로 건설 중 구석기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다.[10][11] 안산 지역에서 발견되는 지석묘들은 대부분 남방식 고인돌이지만 선부동의 지석묘는 탁자식이며, 인접한 광명시 가학동에서도 탁자식 지석묘가 발견되는 등, 안산은 일명 남방식과 북방식 지석묘가 함께 존재하고 있는 문화적 경계 지역의 일부이다.[136][137] 안산시에서는 다수의 고대 유물이 발견되었다.[12][13]
3. 2. 삼국 시대 및 통일신라 시대
원삼국 시대와 삼한 시대에 안산 지역과 그 주변 지역에서 고대 국가의 성립 증거는 많지 않다. 안산과 시흥 지역에서 발견되는 고고학 유물들이 매우 적기 때문이다.[136] 진수의 《삼국지》 〈위서동이전〉에는 마한에 50여 개의 군장 국가가 있던 것으로 나와 있는데, 안산 지역과 가까운 곳에 있던 것으로 추정되는 나라는 원양국(爰襄國), 상외국(桑外國), 수원 지역의 모수국(牟水國)이다.[136][138]
삼국 시대에는 백제에 속해 있었지만, 백제 영토 시대의 기록은 얼마 남아있지 않다.[139] 고구려 장수왕 시대에 안산 지역이 고구려에 복속되면서 장항구현(獐項口縣)의 일부로 지정되었다가,[140] 551년 성왕에 의해 다시 백제의 영토로, 2년 뒤에 진흥왕에 의해 신라의 영토가 되었으며, 경덕왕 때에는 안산현(安山縣)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41][142][143] 또한 신라 시대에 지어진 것으로 추측되는 성태산성이 시내에서 발견되기도 하였다.[144]
3. 3. 고려 시대
900년경 신라 효공왕 재위 시기까지 태봉국의 영토였다가,[145] 이후 태봉의 궁예가 왕건에 의해 축출되고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면서 고려의 영토가 되었다. 고려 초 장구군은 안산군으로 명칭이 바뀌었지만, 군으로서의 지위는 변동되지 않았다. 972년(광종 23년) 서희가 송나라로 출발할 때 안산을 이용하였으며,[146] 여기서 서희가 겪은 설화에서 잿머리 성황제가 유래하였다.[147] 성종 14년에는 10도제의 정비에 따라 안산 지역은 관내도에 예속되었다.[145]
헌종 9년에는 행정구역 정비에 따라 군에서 현으로 강등되었고,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는 속현이 되어 수주(수원시)에 예속되었다.[145] 문종 23년 이후부터 안산현은 경기에 예속되어, 지개성부사의 지휘를 받게 되어 개성부를 거쳐 중앙 정부와 연결될 수 있게 되었다. 1271년(원종 12년) 몽고군이 대부도와 시흥시의 소래산 등지로 침입하였을 때, 대부도 별초와 민병대는 부사 안열의 지휘 하에 몽고군을 격파하였으며,[148][149][150] 그 군공을 인정받아 안산현이 소속되어 있던 수원부는 수원도호부로 승격되었다.[148] 충렬왕 33년에는 군으로 승격되었고, 지사가 임명되어 내려오게 되었다.[145] 지사는 고려 말까지 파견되었으며, 1390년(공양왕 2년) 경기도가 좌·우도로 분할됨에 따라 경기좌도에 예속되었다.[145] 이 시대에 안산 잿머리(城頭)의 포구는 큰 배들이 오갈 수 있는 외항으로 축조되었으며, 무역을 위해 여러 중국인들이 체류하였다.[148]
3. 4. 조선 시대
안산은 조선 건국 이후에도 경기좌도에 속해 있었다. 태조 5년(1396년) 궁중에 해산물을 진상하는 기관인 사옹원분원이 직할하는 안산어소가 설치되었으며,[148] 태종 2년(1402년) 경기좌·우도의 통합이 이루어진 후에도 안산이라는 지명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태종 13년(1413년) 전국을 8도로 재편성하면서 경기도로 편입되었으며, 종4품의 군수와 정9품의 훈도가 파견되었다.[148][151] 안산이라는 지명 외에 세조 때부터는 연성(蓮城)이라고도 흔히 불렸다. 이는 세조 9년(1463년) 문신 강희맹이 명나라 남경에 갔다가 귀로에 연꽃씨를 가지고 와, 안산의 관곡지(官谷池)라는 연못에 시험 재배한 데서 유래하였다.[148][152] 한편, 목내동 부근에 관아(館衙)가 설치되었으며, 1441년 수암동으로 이전하였고 다시 1669년에는 관아의 위치를 안산읍성 내로 이전하였다.[153] 조선 시대의 안산 지역에는 여러 사대부들이 살았는데, 초기에는 강희안과 강희맹 형제, 중기에는 인조반정을 주도한 김류와 장유, 후기에는 이익과 강세황 등이 안산에서 활동했다.[154]
조선 시대에 초지진을 설치하였다.[9]
3. 5. 근대
1894년 황해 경기만 풍도에서는 조선 말 청일 전쟁에서 일본과 청나라 간에 풍도 해전이 있었다.[155]
1895년 8도제가 폐지되고 23부제가 실시되었을 때는 시흥군 및 과천군과 함께 인천부에 예속되었으나, 다음해 13도제로 대체된 이후에는 경기도의 4등군이 되었다.[148]
대한제국 시기인 1899년에는 전국적인 토지 조사 사업였던 양전 사업의 포함되는 주요 지역 중 하나였고, 전국적으로 50여개 근대 교육시설이 세워지는 지역 중 하나로써 1899년 9월 안산군 공립소학교(현 안산초등학교)가 설립 되었는데, 경기도 서남부지역에서 가장 먼저 근대식 교육기관이 생긴 지역이였다.
1906년 9월 24일에는 측령 제49호로 지방구역 정리건이 반포됨에 따라 광주군의 견아상입지(현재의 상록구 일동·이동·사동·본오동·반월동 등 구 반월면 지역)가 안산군으로 이속되었다.
일제강점기였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전통적인 지역인 안산군을 없애고 시흥군 수암면, 군자면으로 전환되었으며, 일부 지역(반월면)을 수원군에 넘겼다.[154] 일본 제국은 쌀과 소금 등의 물자 수탈을 목적으로 1937년에는 수원과 인천을 연결하고 현 안산지역을 경유하는 수인선 협궤 철도를 개통하였다.[156][157][158] 이 지역이 현대적 도시개발 이전까지 지역민들의 중요한 교통 수단으로 자리잡았다. 1914년까지 안산시와 오늘날 시흥시의 남부 지역은 안산군이었다. 1914년에 안산군은 시흥군에 편입되었다. 이 지역은 고대부터 고품질의 소금과 귀중한 수산물을 생산했다. 당시 안산은 어촌이었다.[15]
3. 6. 현대
1970년대 후반부터 서울특별시의 인구문제 완화 및 구로공단 일부를 이전하기 위하여 1976년 12월 시흥군과 화성군의 일부였던 안산 일대에 ‘반월신공업도시 건설계획’을 발표하였고,[159] 1979년 8월 31일에 경기도 반월출장소를 설치하였고,[160] 1986년 1월 1일에는 출장소에서 지금의 안산시로 승격되었다.[161][162] 이에 따라 본격적인 현대적 도시 계획 개발이 시작되어 인구 유입과 증가 및 수도권의 위성 도시이면서 동시에 경제적 자립도가 큰 전국적으로 주요 공업 핵심 신도시로 성장했다.
안산 신도시는 주거, 생산, 소비, 휴양 공간을 구분하고 이들 간의 연계성을 강화했다.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을 묶어 주거생활권을 형성하여 소비공간을 근접시켰고, 공업지역의 생산공간을 집단화하여 주거공간과 분리했다. 이들 공간 사이에 휴양공간을 배치하여 도시 공간 구조에 질서를 부여했다. 생산공간과 주거생활공간은 3~8km의 통근거리를 가진 자기완결도시로, 3개 생활권(군자, 수암, 반월)을 중심으로 생산기능 간 거리를 배분하여 시민 편의를 도모했다.[180][181]
1977년 3월에 착공한 반월신도시 개발사업은 1993년에 1단계 사업을 완료하고, 시화방조제 축조로 유수지 기능을 상실한 녹지지역을 2000년까지 2단계로 개발하여 기존 도시 기능을 보완할 계획이었다. 안산신도시는 서울 남서쪽 35km, 수원시와 14km, 인천광역시와 20km 거리에 위치하여, 서울의 공장과 인구를 분산하고 주택문제를 해결하며, 자족적 독립도시 건설, 서해안 개발 거점 확보, 서울 유입 인구 흡수를 목표로 개발되었다. 초기 계획 면적은 42,148,950m2였으며, 이 중 41.0%인 17,289,334m2는 주택지와 공업단지로, 59.0%인 24,859,616m2는 공원녹지 또는 농지로 보존할 계획이었다. 초기 계획 인구는 20만 명이었으나, 도시 발전 추세에 따라 유보농지 7,933,920m2와 일부 녹지를 전용하여 30만 명까지 수용할 계획이었다. 이후 2단계 건설사업을 통해 새로운 신도시로 탄생했다.[180]
안산 반월신도시는 계획 당시 최초로 도시설계(urban design)를 실시하였으며, 경상남도 창원시에 이어 산업공업단지 기반의 대규모 도시계획개발이 이루어졌다. 도로망 체계는 도시 내 교통과 지역 간 교통을 분리하고, 시가지 내에는 자전거와 보행자 전용도로를 설치하여 시민의 안전과 이용 편의성을 고려했다. 건설 과정에서 해안 쪽은 표고 25m 이상, 내륙 쪽은 35m 이상의 구릉과 산림은 보전하고 일부 공장은 설상 배치했다. 교통체계는 도시 내 교통과 지역 간 통과교통을 분리하고 간선도로는 3교차를 원칙으로 했다. 시가지 내에는 자전거와 보행자 전용도로를 계획했고, 공동구를 설치한 것은 대한민국에서 처음 있는 일이었으며, 하수도도 우수와 오수를 분리했다. 노선상업지역을 지양하고, 대한민국 최초로 주거표시제도를 적용하는 등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계획으로 평가받았다.[181]
안산신도시 2단계 사업은 개발면적 8,891,000m2, 수용인구 140,000인, 수용세대 37,800세대(공동주택 35,437세대, 단독주택 2,363세대) 규모로 건설되었다. 토지이용 현황은 주거지역 18.9km2, 상업지역 2.6km2, 공업지역 10.2km2, 녹지지역 27.5km2로 나뉘어 있다. 충분한 녹지공간 확보와 도로, 상·하수도 등 모든 도시기반 시설을 계획적으로 시행하여 지역주민에게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했다. 안산신도시 건설사업은 충분한 공원녹지를 갖춘 전원도시 성격의 자기완결형 자족도시를 목표로 총 59.20km2를 개발했다. 1단계로 1993년까지 6,551억 원을 투자하여 50.22km2를 개발했으며, 2단계로 2000년까지 17,430억 원을 투자하여 나머지 8.98km2를 개발했다.[182]
3. 6. 1. 현대 도시 계획과 개발
안산 신도시는 주거, 생산, 소비, 휴양 공간을 구분하고 이들 간의 연계성을 강화했다.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을 묶어 주거생활권을 형성하여 소비공간을 근접시켰고, 공업지역의 생산공간을 집단화하여 주거공간과 분리했다. 이들 공간 사이에 휴양공간을 배치하여 도시 공간 구조에 질서를 부여했다. 생산공간과 주거생활공간은 3~8km의 통근거리를 가진 자기완결도시로, 3개 생활권(군자, 수암, 반월)을 중심으로 생산기능 간 거리를 배분하여 시민 편의를 도모했다.[180][181]
1977년 3월에 착공한 반월신도시 개발사업은 1993년에 1단계 사업을 완료하고, 시화방조제 축조로 유수지 기능을 상실한 녹지지역을 2000년까지 2단계로 개발하여 기존 도시 기능을 보완할 계획이었다. 안산신도시는 서울 남서쪽 35km, 수원시와 14km, 인천광역시와 20km 거리에 위치하여, 서울의 공장과 인구를 분산하고 주택문제를 해결하며, 자족적 독립도시 건설, 서해안 개발 거점 확보, 서울 유입 인구 흡수를 목표로 개발되었다. 초기 계획 면적은 42,148,950m2였으며, 이 중 41.0%인 17,289,334m2는 주택지와 공업단지로, 59.0%인 24,859,616m2는 공원녹지 또는 농지로 보존할 계획이었다. 초기 계획 인구는 20만 명이었으나, 도시 발전 추세에 따라 유보농지 7,933,920m2와 일부 녹지를 전용하여 30만 명까지 수용할 계획이었다. 이후 2단계 건설사업을 통해 새로운 신도시로 탄생했다.[180]
안산 반월신도시는 계획 당시 최초로 도시설계(urban design)를 실시하였으며, 경상남도 창원시에 이어 산업공업단지 기반의 대규모 도시계획개발이 이루어졌다. 도로망 체계는 도시 내 교통과 지역 간 교통을 분리하고, 시가지 내에는 자전거와 보행자 전용도로를 설치하여 시민의 안전과 이용 편의성을 고려했다. 건설 과정에서 해안 쪽은 표고 25m 이상, 내륙 쪽은 35m 이상의 구릉과 산림은 보전하고 일부 공장은 설상 배치했다. 교통체계는 도시 내 교통과 지역 간 통과교통을 분리하고 간선도로는 3교차를 원칙으로 했다. 시가지 내에는 자전거와 보행자 전용도로를 계획했고, 공동구를 설치한 것은 대한민국에서 처음 있는 일이었으며, 하수도도 우수와 오수를 분리했다. 노선상업지역을 지양하고, 대한민국 최초로 주거표시제도를 적용하는 등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계획으로 평가받았다.[181]
안산신도시 2단계 사업은 개발면적 8,891,000m2, 수용인구 140,000인, 수용세대 37,800세대(공동주택 35,437세대, 단독주택 2,363세대) 규모로 건설되었다. 토지이용 현황은 주거지역 18.9km2, 상업지역 2.6km2, 공업지역 10.2km2, 녹지지역 27.5km2로 나뉘어 있다. 충분한 녹지공간 확보와 도로, 상·하수도 등 모든 도시기반 시설을 계획적으로 시행하여 지역주민에게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했다. 안산신도시 건설사업은 충분한 공원녹지를 갖춘 전원도시 성격의 자기완결형 자족도시를 목표로 총 59.20km2를 개발했다. 1단계로 1993년까지 6,551억 원을 투자하여 50.22km2를 개발했으며, 2단계로 2000년까지 17,430억 원을 투자하여 나머지 8.98km2를 개발했다.[182]
4. 지리
안산시는 한반도 중서부에 위치하여, 온난한 남부 지방과 대륙성의 북부 지방의 중간에 있는 점이 지대에 속한다. 안산시는 수심이 얕고 내륙성인 황해와 접하고 있으며, 경기도의 저평한 평야 지대에 속하는 소규모 구릉성 지대에 위치하고 있어, 겨울 기온이 연안을 따라 낮은 특색을 보인다. 따라서 안산시는 Cfa로부터 Dwa로 옮아가는 점이 지대로서 한국의 소기후 구분상 중부서안형(DMW)에 속해 있다.[185] 안산은 춥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비가 많은 여름을 가진,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온대 습윤 기후(쾨펜: ''Dwa'')를 가지고 있다.
안산시는 해안을 따라 바닷물의 영향을 받은 해양평탄지토양과 내륙의 내륙평탄지토양, 구릉 및 산악곡간지토양, 저구릉지토양, 산록지토양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토양 분포를 살펴보면 고도별로 해면으로부터 고도 10m에 이르는 해안 지역에는 염류도가 높고 염기성을 띠는 간석지토양이 주로 분포하고, 10~40m의 저평한 하천 유역 지대를 따라서는 충적토양이 분포한다. 또한 고도 40 ~ 150m 사이에서는 적황색의 구릉지토양이, 200m 이상 지대에서는 토층이 얇은 암쇄토와 암석 노출지가 분포해 있다.[185]
지형상 도서 해안지형과 내륙지형으로 나뉘며 식생의 분포도 이러한 형태를 나타내는데, 내륙지역의 나대지와 야산은 대도시 주변의 전형적인 식물상을 보인다. 나대지에는 은행나무, 무궁화 등 식재림과 독새풀, 개피, 냉이 등 음지성 초본이 나타나며,[186] 야산에서는 소나무, 상수리나무, 해당화, 제비꽃, 양지꽃 등 소관목과 초본이 하층식생을 이루고 있다.[186] 서부의 해안지역의 식물상은 해변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육지식물상과 차이가 거의 없으며, 해안 뻘에서는 염수성 식물이 자생하지만 시화방조제 건설로 인한 뻘의 감소로 염수성 식물의 수는 급격히 감소하였다.[186] 이 지역은 중국과 공통된 해루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인천광역시 남동구로부터 연결되는 영동고속도로를 비롯한 여러 도로망이 안산시를 관통하게 되면서 많은 외래 식물이 유입되고 있다.[186]
4. 1. 기후와 식생
안산시는 한반도 중서부에 위치하여, 온난한 남부 지방과 대륙성의 북부 지방의 중간에 있는 점이 지대에 속해 있다. 안산시는 수심이 얕고 내륙성인 황해와 접하고 있으며, 경기도의 저평한 평야 지대에 속하는 소규모 구릉성 지대에 위치하고 있어, 겨울 기온이 연안을 따라 낮은 특색을 보인다. 따라서 안산시는 Cfa로부터 Dwa로 옮아가는 점이 지대로서 한국의 소기후 구분상 중부서안형(DMW)에 속해 있다.[185] 안산은 춥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비가 많은 여름을 가진,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온대 습윤 기후(쾨펜: ''Dwa'')를 가지고 있다.안산시는 해안을 따라 바닷물의 영향을 받은 해양평탄지토양과 내륙의 내륙평탄지토양, 구릉 및 산악곡간지토양, 저구릉지토양, 산록지토양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토양 분포를 살펴보면 고도별로 해면으로부터 고도 10m에 이르는 해안 지역에는 염류도가 높고 염기성을 띠는 간석지토양이 주로 분포하고, 10~40m의 저평한 하천 유역 지대를 따라서는 충적토양이 분포한다. 또한 고도 40 ~ 150m 사이에서는 적황색의 구릉지토양이, 200m 이상 지대에서는 토층이 얇은 암쇄토와 암석 노출지가 분포해 있다.[185]
지형상 도서 해안지형과 내륙지형으로 나뉘며 식생의 분포도 이러한 형태를 나타내는데, 내륙지역의 나대지와 야산은 대도시 주변의 전형적인 식물상을 보인다. 나대지에는 은행나무, 무궁화 등 식재림과 독새풀, 개피, 냉이 등 음지성 초본이 나타나며,[186] 야산에서는 소나무, 상수리나무, 해당화, 제비꽃, 양지꽃 등 소관목과 초본이 하층식생을 이루고 있다.[186] 서부의 해안지역의 식물상은 해변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육지식물상과 차이가 거의 없으며, 해안 뻘에서는 염수성 식물이 자생하지만 시화방조제 건설로 인한 뻘의 감소로 염수성 식물의 수는 급격히 감소하였다.[186] 이 지역은 중국과 공통된 해루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인천광역시 남동구로부터 연결되는 영동고속도로를 비롯한 여러 도로망이 안산시를 관통하게 되면서 많은 외래 식물이 유입되고 있다.[186]
5. 행정 구역
2002년 11월 1일 안산시는 인구 50만 이상의 조건을 충족하여 상록구와 단원구를 설치하였다.[30] 안산시의 행정 구역은 25개 행정동, 1,187개 통, 5,884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30] 면적은 149.06km2이며, 상록구는 57.83km2, 단원구는 91.23km2이다.[30]
2020년 2월말 안산시의 주민등록 인구는 278,507세대, 651,211명이다. 등록외국인은 54,468명으로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가장 많다.

상록구에는 일동, 이동, 사1동, 사2동, 사3동, 본오동, 본오2동, 본오3동, 부곡동, 월피동, 성포동, 반월동, 안산동이 있으며, 단원구에는 와동, 고잔1동, 고잔2동, 호수동, 원곡본동, 원곡1동, 원곡2동, 초지동, 선부1동, 선부2동, 선부3동, 대부동이 있다.
6. 인구
안산시의 인구는 2017년 기준으로 670,000명이며 인구 밀도는 4,804명/km2이다. 0~14세 인구는 19.1%, 65세 이상 인구는 6.1%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4.8%로 전국평균 72.8%보다 비율이 높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5.6%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높고, 노년인구부양비는 8.2%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낮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105.2로 남자가 다소 많다.[187]
안산시의 연도별 인구 추이는 다음과 같다.[188]
| 연도 | 총인구 | 비고 | ||
|---|---|---|---|---|
| 1980년 | 31,140명 | 반월출장소 | ||
| 1985년 | 96,616명 | |||
| 1990년 | 252,418명 | 외국인: 11 | 안산시 | |
| 1995년 | 510,314명 | 외국인: 1,515 (0.3%) | ||
| 2000년 | 562,920명 | 외국인: 7,922 (1.4%) | ||
| 2005년 | 681,590명 | 외국인: 11,751 (1.7%) | ||
| 2010년 | 728,775명 | 외국인: 29,712 (4.1%) | ||
| 2015년 | 747,035명 | 외국인: 64,244 (8.6%) | ||
| 2019년 | 714,650명 | 외국인: 79,356 (11.1%) | ||
| 2020년 | 655,700명 | |||
대한민국 법무부에 따르면, 안산시의 안산 단원구는 68,119명의 외국인 주민으로 한국에서 외국인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이며, 그 뒤를 시흥시(66,103명), 화성시(59,942명), 서울 영등포구(48,682명), 서울 구로구(48,343명), 평택시(42,243명), 충청남도 아산시(35,567명)가 잇고 있다.[21]
2024년 1월 안산시청 외국인 인구 보고서에 따르면, 안산시의 외국인 인구는 다음과 같다.
| 국적 | 인구 |
|---|---|
| 조선족 | 48,082 |
| 중국 | 10,781 |
| 우즈베키스탄 | 10,118 |
| 고려인 | 7,631 |
| 카자흐스탄 | 3,808 |
| 베트남 | 2,415 |
| 러시아 | 1,604 |
| 기타 | 11,930 |
| colspan=4| |
7. 정치와 행정
2002년부터 상록구에 두 곳(갑, 을), 단원구에 두 곳(갑, 을)의 선거구를 배정받았다. 상록구 갑구는 사동, 사이동, 해양동, 본오1동, 본오2동, 본오3동, 반월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록구 을구는 일동, 이동, 부곡동, 월피동, 성포동, 안산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단원구 갑구는 와동, 원곡동, 신길동, 백운동, 선부1동, 선부2동, 선부3동으로, 단원구 을구는 고잔동, 중앙동, 호수동, 초지동, 대부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89]
경기도의회 의원 선거구는 8개로 짜여져 있으며 8명을 선출한다. 또한 안산시의원 의원 선거구는 상록구와 단원구로 나눈 뒤, 다시 8개의 선거구로 쪼개어 18명의 의원과 3명의 비례대표를 선출한다.[189]
안산시의 역대 선거 투표율은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들 중에서는 낮은 위치에 자리하고 있는데,[190]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2007년)에서는 57.1%, 제5회 지방 선거(2010년)에서는 46.3%,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2012년)에서는 47.4%,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2012년)에서는 72.3%의 투표율을 기록하였다.[190][191] 특히 1995년 첫 지방 선거 때부터 2008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때까지의 투표율은 모두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192]
7. 1. 안산시장
1986년 시로 승격되어 시청이 설치된 안산시의 시장직은 1995년까지 관선제 시장이 도맡았다.[193][194][195] 1995년 처음으로 시민들의 투표를 통해 시장을 선출하기 시작하였으며, 민선1·3기 송진섭 시장, 민선2기 민주당 박성규 시장, 민선4기 박주원 시장 대에 이르기까지 안산시의 시장직은 새정치국민회의, 민주당, 신한국당·한나라당이 장악하였으나, 잇따른 시장의 뇌물 혐의로 불명예를 안았다.[193][194][195] 현임 시장은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선출된 국민의힘 소속의 이민근이다.역대 안산시장은 다음과 같다.
- 1대 - 전창선 (1986년 1월 1일 ~ 1988년 2월 10일)
- 2대 - 장의진 (1988년 2월 11일 ~ 1988년 6월 4일)
- 3대 - 이상용 (1988년 6월 5일 ~ 1989년 12월 26일)
- 4대 - 이수영 (1989년 12월 27일 ~ 1992년 1월 2일)
- 5대 - 조건호 (1992년 1월 3일 ~ 1993년 1월 10일)
- 6대 - 김태수 (1993년 1월 11일 ~ 1994년 10월 5일)
- 7대 - 최순식 (1994년 10월 5일 ~ 1995년 6월 30일)
- 8대 - 송진섭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9대 - 박성규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10대 - 송진섭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11대 - 박주원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12대 - 김철민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13대 - 제종길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14대 - 윤화섭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15대 - '''이민근 (2022년 7월 1일 ~ )'''
7. 2. 공공기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안산에 본사를 두고 있다.[3]한국해양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수도권대기환경청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융합기술연구소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안산시험본부
한국전기연구원 안산지사
한국승강기안전공단 안산지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생산기술융합연구소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경기지사
안산단원경찰서
안산상록경찰서
안산소방서
8. 교육
안산 지역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걸쳐 지방의 국립교육기관으로 향교가 존재했다. 안산향교는 1308년 충렬왕 34년 직후 건립이 추정되며, 조선시대 1569년 선조2년에 안산관아지 인근으로 이전되어, 1944년 시흥향교(현재 과천향교)로 통합때까지 안산 지역의 유교 교육과 학문의 큰 역할을 했다. 한국 전쟁까지 건물은 잘 보전되어 폭격으로 소실된 안산국민학교의 임시 교사 역할 및 창고도 활용했지만 1957년 철거되어 현재는 그 터만 남아 있다.
최초의 근대식 교육 시설로써는 1899년 9월 대한제국시기에 안산군공립소학교(현 안산초등학교)가 개교되었다. 이 학교는 현재의 안산시·시흥시·광명시·군포시·의왕시·과천시·안양시 등이 포함된 경기도 서남부지역의 공립소학교로써 가장 먼저 생긴 근대식 교육기관이다. 이후 안산 지역에는 일제의 조선총독부의 식민 정책에 따라서 1922년에는 대부공립보통학교를 시작으로 1923년 5월에는 반월공립보통학교, 1923년 7월에는 군자공립심상소학교, 12월에는 군자공립보통학교가 각각 세워졌다. 광복 후에는 당시 안산 지역의 초등학교 수는 7개 학교였으며, 미군정기에는 군서공립국민학교와 화정공립국민학교의 2개 학교가 추가로 세워졌다.
1973년에 구 일동 지역에 2년제 대학인 안산대학교(당시 안산1대학)가 개교한 이래, 1978년에 한양대학교 반월분교(현재의 ERICA 캠퍼스)가, 1994년에는 신안산대학교(당시 안산공과대학)가 개교했다. 2001년에는 서울예술대학이 서울 예장동 기존 캠퍼스에 드라마 센터만 남기고 대학 본부를 단원구 고잔2동으로 이전하였다.
고등학교 진학 제도는 광명시, 의정부시 등과 함께 과거에 비평준화 진학 제도를 채택하여 이러한 제도는 평준화 지역에 비해 비효율적이라는 비판과 통계가 존재하기도 했으나, 송진섭 전 시장은 임기 중에 안산시의 고교 비평준화제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은 광명시, 의정부시와 함께 안산시를 고교 평준화 지역으로 바꾸는 것을 추진했다. 안산시는 2013학년도부터 평준화 지역으로 들어가게 되었으며, 학교난 해소의 일환으로, 두 곳의 고등학교가 2013년에 새로 개교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고등학교 확충 정책에도 불구하고 학급 과밀 현상은 여전히 안산시의 당면 과제로 남아 있다.
안산시에는 대학교 4개, 고등학교 24개, 중학교 29개, 초등학교 54개, 유치원 96개가 있다. 단원고등학교는 2014년 세월호 침몰 사고의 영향을 특히 크게 받았는데, 탑승객 중 상당수가 이 학교 학생들이었기 때문이다. 원곡동에 있는 안산서초등학교는 다른 나라 학생들을 위한 다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는 한국 교육에서는 드문 일이다.
9. 경제
안산시는 정부의 계획에 따라 안산스마트허브의 배후에 세워진 공업 중심의 계획 도시이기 때문에, 농업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낮고 제조업의 비율이 높다.
안산 산업의 중심이 되는 공업은 시가 설치되기 이전부터 정부가 안산 지역에 집중적으로 육성해왔기 때문에 공업 종사 인구가 매우 많으며, 안산스마트허브(반월공단)와 시흥과 안산에 있는 시화스마트허브(시화공단)의 2개의 국가산업단지와 지방산업단지인 반월도금단지가 있다. 안산·시흥스마트허브에서 주로 생산되는 것은 조립 금속이고, 그 다음으로 정밀 화학·자동차 부품·전자 부품 등의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반월·시화 공단의 70% 이상을 대기업의 하청을 맡는 중소기업이 차지하자 1999년에는 기술집약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사동에 경기테크노파크를 유치, 2003년 5월 개장하였다.[206] 2021년 기준 안산시의 재정자립도는 36.9%이다.
안산은 정부의 산업 계획에 따라 안산 스마트 허브 뒤에 건설된 계획 도시이기 때문에 농업이 안산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낮다. 한편, 안산이 건설되기 전에 정부가 안산 지역에 제조업 육성 계획을 추진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제조업에 종사하고 있다. 반월·시화 국가산업단지 2곳과 지역 반월도금산업단지가 있다.[39][40][41] 상위 5개 인쇄회로기판 제조업체 중 2개사가 안산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
9. 1. 산업별 종사자 현황
2014년 안산시 산업의 총 종사자 수는 314,120 명으로 경기도 총 종사자 수의 약 7.0%를 차지한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51명으로 비중이 매우 낮으며,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129,570명으로 41.2%의 비중을,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184,499명으로 58.7%의 비중을 차지한다.[207]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27.1%)보다 높고, 3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72.9%)보다 낮다.[207] 3차 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19.3%), 사업서비스업(13.7%), 숙박 및 요식업·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10.1%)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207]안산은 정부의 산업 계획에 따라 안산 스마트 허브 뒤에 건설된 계획 도시이기 때문에 농업이 안산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낮다.[39] 한편, 안산이 건설되기 전에 정부가 안산 지역에 제조업 육성 계획을 추진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제조업에 종사하고 있다. 반월·시화 국가산업단지 2곳과 지역 반월도금산업단지가 있다.[40][41] 상위 5개 인쇄회로기판 제조업체 중 2개사가 안산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
9. 2. 상업

주거지 인근 상업지역에는 홈플러스, 이마트, 롯데마트 등의 대형 할인마트들이 곳곳에 들어서 있으며, 2001년에는 고잔 간척지에 로데오 거리 형태로 안산의류상설시장이 조성되었다.[208] 특히 고잔2동(중앙동) 중앙역 인근 상업지역은 안산지역의 중심지라고 볼 수 있다.
백화점·대형아울렛
대형마트
- 이마트 고잔점 (단원구 초지동)
- 이마트 트레이더스 안산점 (단원구 신길동)
- 롯데마트 안산점 (상록구 성포동)
- 롯데마트 상록점 (상록구 본오동)
- 롯데마트 선부점 (단원구 선부동)
- 홈플러스 안산고잔점 (단원구 고잔동)
- 홈플러스 안산선부점 (단원구 선부동)
- 킴스클럽 뉴코아아울렛안산점 (단원구 고잔동)
- 킴스클럽 고잔점 (단원구 고잔동)
영화관
9. 2. 1. 백화점·대형아울렛
9. 2. 2. 대형마트
- 이마트 고잔점 (단원구 초지동)
- 이마트 트레이더스 안산점 (단원구 신길동)
- 롯데마트 안산점 (상록구 성포동)
- 롯데마트 상록점 (상록구 본오동)
- 롯데마트 선부점 (단원구 선부동)
- 홈플러스 안산고잔점 (단원구 고잔동)
- 홈플러스 안산선부점 (단원구 선부동)
- 킴스클럽 뉴코아아울렛안산점 (단원구 고잔동)
- 킴스클럽 고잔점 (단원구 고잔동)
9. 2. 3. 영화관
9. 3. 의료기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은 안산에서 유일한 상급종합병원이자 대학병원이다. 근로복지공단 안산병원, 단원병원, 의료법인 대아의료재단 한도병원, 의료법인 칠석의료재단 안산사랑의병원, 안산21세기병원 등이 안산시에 위치하고 있다.10. 교통
10. 1. 철도

안산 지역의 주요 철도로는 안산선, 수인선, 수도권 전철 서해선이 있으며, 각각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서해선 노선으로 운행되고 있다. 안산선을 공유하는 수도권 전철 4호선과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안산의 중앙을 동서로 관통하여 동서 간 왕래를 편리하게 하며, 수도권 전철 서해선은 안산 서부 지역과 시 외곽을 남북으로 연결한다. 초지역에서는 수도권 전철 4호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서해선이 모두 환승 가능하다.
경부선, 장항선 등 일반 여객 철도를 이용할 경우에는 수원역, KTX 광명역, 안양역 등 인근 도시의 철도역을 이용해야 하며, 이 역들은 안산 곳곳에서 출발하는 대중교통으로 연결된다.
안산 지역 최초의 철도 교통은 일제강점기인 1937년 개통한 협궤 철도인 수인선이다. 수원역과 인천역을 잇는 수인선은 군자역, 사리역 부근에 어시장을 활성화시켰으나, 1977년 수인산업도로 개통 등 도로 교통 발달과 1988년 안산선 개통으로 승객이 급감하여 1996년 1월 1일 운행이 중단되었다.
1988년 안산선 안산역~금정역 구간 개통 당시, 안산선은 서울역, 청량리역 등 서울과 연결하는 경부선 국철의 지선으로 운행했다. 1994년부터 서울 지하철 4호선 및 과천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했고, 2000년부터 안산선 전체가 수도권 전철 4호선으로 편입되었다.[209] 2003년 4월 30일을 끝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과의 직결 운행은 중단되었다.
안산선은 안산을 서울시와 인근 수도권을 연결하는 광역철도이자, 안산 도시 내 주요 동서축을 담당하는 도시철도 역할을 한다. 2000년에는 오이도역까지 연장되어 시흥시 남부 시화 지역과도 연결되었다.[210]
1996년 이후 운행이 중단된 수인선은 복선 전철로 개량되어,[211] 2012년 6월 30일 오이도역~송도역 구간 1차 개통으로 수도권 전철 4호선과 오이도역에서 환승하여 인천 지역까지 연결되었다. 2016년 2월 27일 송도역에서 인천역까지 노선이 연장되었고, 수인·분당선의 한대앞역~오이도역 구간은 안산선을 공유하며 2020년 9월 12일부터 분당선과 직결 운행되고 있다.[211] 2018년 6월 개통한 수도권 전철 서해선은 반월국가산업단지와 초지역, 선부동을 지나 시흥시, 부천시와 연결된다.
인천발 KTX 사업을 통해 초지역이 KTX 정차역으로 지정되어, 2018년 착공하여 2021년 완공되었다.[212] 이에 따라 초지역은 수도권 전철 3개 노선(수도권 전철 4호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서해선)과 인천발 KTX, 대곡~홍성 간 서해선의 KTX-이음[213] 등 고속/준고속 열차가 정차하는 주요 역사가 될 계획이다.
신안산선은 2019년 착공하여 2025년 완공 예정으로,[214] 안산, 시흥과 KTX광명역, 서울 여의도를 연결할 예정이다.
- 한국철도공사
- * 안산선 (수도권 전철 4호선): (시흥시) ↔ 신길온천역 ↔ 안산역 ↔ 초지역 ↔ 고잔역 ↔ 중앙역 ↔ 한대앞역 ↔ 상록수역 ↔ 반월역 ↔ (군포시)
- * 수인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시흥시) ↔ 신길온천역 ↔ 안산역 ↔ 초지역 ↔ 고잔역 ↔ 중앙역 ↔ 한대앞역 ↔ 사리역 ↔ (화성시)
- 서해철도
- * 서해선 (수도권 전철 서해선): (시흥시) ↔ 달미역 ↔ 선부역 ↔ 초지역 ↔ 시우역 ↔ 원시역 (종점)
- * 서해선 셔틀버스[215]: 초지역 ↔ 서화성역
10. 2. 도로
안산시는 도시 계획 단계에서부터 주요 간선도로인 광덕대로, 삼일로, 중앙대로, 동산로 등에 자전거 전용 도로를 설치했다. 2000년대에는 하천 정비 사업과 함께 보도를 겸한 자전거 도로와 자전거 보관소가 곳곳에 설치되었다. 특히, 안산시는 '페달로'라는 공공 자전거를 운영하여 시민들의 만족도와 활용도를 높였다.[28] 그러나 운영 적자와 민간 사업 전환 등의 이유로 2020년부터 페달로 운영을 축소, 2021년 12월 31일부로 운영을 종료했다.[29] 기존 시설은 카카오 T 바이크 등 민간 사업자가 활용하고 있다.안산시는 대부분 구릉 평지로, 간선 대중 교통망인 전철역 환승 시설에 자전거 보관소를 이용하기 편리하고, 버스 노선 굴곡이 많은 등의 이유로 자전거 이용률이 다른 도시에 비해 높은 편이다.
10. 2. 1. 자전거 도로
도시 계획 때부터 시내 주요 간선도로인 광덕대로, 삼일로, 중앙대로, 동산로 등은 이미 자전거 전용 도로가 도로와 같이 구축되었다. 2000년대에는 남북의 하천 정비로 인해서 이를 이용한 보도를 겸한 자전거 도로 및 자전거 보관소 곳곳에 설치되기 시작했으며, 특히 '페달로'라는 안산시 자체 운영하는 공공 자전거를 설치해서 대대적으로 운영하기도 했다. 페달로 공공자전거는 시민들 만족도와 활용도 좋았으나, 운영 적자 및 민간 사업 전환의 이유로 2020년부터 페달로 운영을 축소하면서 2021년 12월 31일부로 페달로 운영을 종료했다.[29] 기존 시설들은 카카오 T 바이크 등 민간사업자 등이 활용하고 있다. 안산시 면적 대부분이 구릉 평지이며, 간선 대중 교통망인 전철 이용해서 역 환승시설의 자전거 보관소를 이용하기 편리하며, 버스노선들이 굴곡이 많은 등 이유로 자전거 이용률이 다른 도시들 비하면 상당히 높은 편이다. 페달로(Pedalro)는 안산시의 공공 자전거 시스템이었다. 안산시에는 페달로 자전거 대여소가 101곳 있었다. 회원제로 운영되었다.[28]10. 3. 버스
안산종합버스터미널에서 인천국제공항 및 전국 주요 도시를 운행하는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들을 이용할 수 있다.[27] 천안, 동서울, 평택 안중 등으로 가는 일부 노선은 상록수역 인근 정류장을 경유한다.[27]안산역 버스환승센터에서는 서울(여의도, 강남) 및 인근 도시들(수원, 시흥, 부천, 인천, 안양, 성남)로 연결되는 상당수의 도시형버스, 일반좌석버스 및 시외버스등을 이용할 수 있다.[27] 또한 인천국제공항 및 김포공항으로 가는 공항시외버스도 경유한다.[27]
고속버스는 광주행이 60분 간격으로 1대, 익산행이 7편, 대구(동대구)행이 5편 운행된다.[27] 시외버스는 인천국제공항행이 1시간에 2대, 김포국제공항행이 1시간에 1대 운행된다.[27] 그 외 동서울종합터미널·수원·발안(화성시)·평택·대전·청주·전주·울산·부산종합버스터미널·춘천행 등이 있다.[27]

10. 4. 선박
10. 4. 1. 해운
안산 대부도 방아머리항에서 안산시 소속 풍도와 육도 및 인천광역시 연안부두 및 덕적도, 자월도, 승봉도 등 인천광역시 옹진군의 섬들을 가는 대부해운 소속의 카페리 및 배를 이용할 수 있다.10. 4. 2. 내운
안산시는 2020년에 안산천 하구, 시화MTV 반달섬, 대부도 (구)방아머리 세 곳에 선착장을 완공했는데, 이는 약 40톤 규모의 40인용 친환경선박 형태인 관광유람선 취항을 목표로 한 것이다. 시화호 일대가 개발되기 전 사리포구가 있던 상록구 사동 호수공원 인근 안산천 하구에서 출발해 시화MTV 반달섬을 거쳐 시화호 방조제 안쪽 옛 방아머리선착장까지 이어지는 총 길이 21㎞의 옛 뱃길을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안산천 하구 수심 문제 등으로 사업 계획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11. 문화




과거 안산은 산업과 어업을 기반으로 한 도시였기에 관광 명소가 부족하고 인식이 좋지 않았으나, 최근 동쪽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 미화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42] 도시를 가로지르는 운하에는 자전거와 보행로가 조성되어 있으며, 봄에는 장미, 튤립, 벚꽃 등이 만발한다.[43][44] 시에서 후원하는 공용 자전거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원에 접근하고 자전거를 탈 수도 있다. 현재 안산에는 안산문화예술의전당, 성호기념관, 단원조각공원, 화랑공원 등 많은 박물관과 미술관이 있다.[45][46] 안산시는 2008년부터 문화유산 관광을 위한 시티투어 버스를 운영하고 있다.[42][43][44][45][46]
11. 1. 자연 관광
안산시는 간척 사업을 통해 확보된 지역이 많아 자연적인 해안은 많지 않다.[216] 특히 시화방조제 건설 이후 천연 해안이 급격히 줄어들어, 대부도를 제외하면 해수욕장이나 해안 절벽은 없다.[216] 대신 시화호와 시화호 갈대습지공원 등을 관광 상품으로 활용하고 있다.[216] 시화호는 한때 수질 오염으로 논란이 되었으나, 한국수자원공사와 안산시의 노력으로 조성된 갈대습지공원 덕분에 수질이 점차 개선되고 있다.[216]내륙에는 반월저수지와 수리산의 한 갈래인 수암봉이 있으며, 수암봉에서 수리산 태을봉 능선을 통해 군포시, 안양시, 시흥시로 이동할 수 있다.[216]
안산에는 안산호수공원,[87] 대부도,[88][89] 화랑공원,[90] 시화호,[91] 광덕산,[92] 수리산,[93] 노적봉공원,[94] 성호공원,[95] 성포예술광장,[96] 시화호 갈대습지공원,[97][98] 마로니에공원[99] 등 여러 공원이 있다.


11. 2. 문화유산
안산시에는 총 38개의 지정문화유산이 있으며, 이 중 21개는 안산시 지정 향토유적이고, 17개는 경기도 지정문화재이다.[217]별망성지(경기도 기념물 제73호)는 조선 초기 남양만을 통해 침입하는 왜구를 막기 위해 돌로 쌓아 만든 성의 터로 군영지로도 쓰였다.[217] 임진왜란과 한국 전쟁으로 파괴된 것을 1988년 복원하였다.[217] 안산읍성 터도 경기도 기념물 제157호로 지정되어 있다.[217] 별망성[48]과 안산읍성[47]은 역사적 기념물이다.
조선 시대 문인, 유학자들과 관련된 유산으로는 덕흥대원군의 외조부 안탄대의 묘(경기도 기념물 제83호), 한응인의 영정과 유물(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3호), 이익의 묘(경기도 기념물 제40호) 등이 있다.[217] 안탄대 묘[59], 한응인 묘[63], 이익 묘[67]는 역사적 기념물이다. 단종의 폐위에 반대했던 김충주와 관련된 고송정지(경기도 기념물 제101호), 단종 복위운동에 참여했던 김문기와 아들 김현석을 기리는 오정각(경기도 문화재자료 제7호), 사세충렬문(경기도 문화재자료 제8호)도 있다.[217] 고성정[51], 오정각[55], 사세충렬문[56]은 역사적 기념물과 구조물이다.
일제강점기 때 민간이 기증하여 1933년부터 쓰인 구 대부면사무소(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27호)는 한옥 양식과 일본 건축 양식이 혼재해있다.[217]
안산시 지정 향토문화재로는 잿머리 성황당, 선부동 지석묘군, 부계팔경도, 부계전도, 대부도 자선비 등이 있다.[217] 청문당[49], 대부도 자선비[50], 잣머리 당[53], 선부동 돌멘[57]은 역사적 기념물과 구조물이다.
11. 3. 축제
1984년부터 잿머리 성황당에서 《잿머리 성황제》를 매년 거행하고 있다.[217] 1987년부터는 안산시와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의 주최로 별망성지에서 《별망성예술제》를 열고 있으며, 1991년부터는 단원 김홍도를 기념하는 《단원미술제》를, 1996년부터는 성호 이익을 기념하는 《성호문화제》를 시행하여 각종 백일장, 사생대회, 연주회 등 문화 행사를 열고 있다.[217]2005년부터 매년 5월마다 광덕대로 안산문화광장에서 《안산국제거리극축제》를 열어 거리극 공연 및 예술 공연을 유치하고 있으며, 대부도에서는 특산물인 포도의 소비 증진을 위해 격년제로 9월마다 《대부포도축제》를 열고 있다. 하지만 《대부포도축제》는 아직까지 흥행하지는 못하고 있다.[217]
2013년부터는 대부도 바다향기테마파크에서 제 1회 대부바다향기튤립축제와 더불어[218] 안산 M 밸리 록 페스티벌을 유치하여 CJ E&M과 공동으로 주최하고 있다.
안산의 다른 축제로는 안산 김홍도 축제 (9월), 안산 대부도 바다향기 유채꽃 축제 (4월), 안산 거리예술축제 (5월), 안산 밸리 록 페스티벌 (7월), 별망성 예술제 (9월), 성호 문화제 (5월) 등이 있다.
11. 4. 문화시설
안산시는 성남시 다음으로 경기도에서 인구 1인당 도시공원 시설면적이 많으며, 도시구역에서 47%의 높은 공원확보율을 보이고 있다.[181] 박물관 및 전시관으로는 안산문화예술의전당 외에 최용신기념관, 성호기념관, 경기도미술관, 안산향토사박물관, 안산어촌민속박물관, 누에섬등대전망대, 행복예절관, 안산식물원, 그리고 2013년 중 성포동으로 이전할 예정인 단원전시관이 있다.[219]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이 거주하는 원곡동에는 국경없는 마을이 조성되어 있는데,[220] 세계 56개국의 6만여명의 외국인과 150여개의 외국인 업소들이 밀집해있다.[219]과거 안산은 산업과 어업을 기반으로 한 도시였기에 관광 명소가 부족하고 인식이 좋지 않았으나, 최근 동쪽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 미화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도시를 가로지르는 운하에는 자전거와 보행로가 조성되어 있으며, 봄에는 장미, 튤립, 벚꽃 등이 만발한다.[42][43][44][45][46] 안산호수공원, 화랑유원지, 성호공원, 시화호갈대습지공원이 대표적이다.[219] 시에서 후원하는 공용 자전거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원에 접근하고 자전거를 탈 수도 있다. 안산시는 2008년부터 문화유산 관광을 위한 시티투어 버스를 운영하고 있다.[42][43][44][45][46]
안산의 현대식 기념물과 문화 시설에는 경기도미술관(안산미술관으로도 알려짐)[71], 안산식물원[72][73], 안산문화센터[74][75], 안산문화예술회관[76], 안산등대[77], 안산 썰매공원,[78] 최용신기념관[79][80], 어촌민속박물관[81][82], 경기도 안산 캠프 영어마을[83] (안산 화정 영어마을로도 알려짐)[84], 올림픽기념관[85], 성호기념관[86] 등이 있다.
11. 5. 관광
안산시는 각지에 산재한 문화유산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2008년 6월 7일부터 시티투어 버스를 매년 일정 기간 동안 운행하고 있다.[221][222][223][224] 중앙역 광장을 시종점으로 하는 4개의 경로가 있으며, 시티투어 관광객들이 주로 찾는 관광지들에서 체험 행사를 열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225] 대부도의 갯벌·염전 체험 행사 등이 대표적이나, 수확 시기가 정해진 경우가 많아 특정 기간에만 운영된다는 한계가 있다.[225]안산 별빛마을 애니멀에서는 국내에서 보기 어려운 200여 마리의 동물작품들을 볼 수 있으며, 하트빌리지(Heart village)에는 수백 개의 로맨틱 한 하트 조형물과 포토존이 있어 연인이나 가족 단위 관광객에게 인기가 많다.[226] 위치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인로 1723 별빛마을 포토랜드이다.[226]
1999년 이후 안산시를 방문하는 관광객 수는 크게 증가하였다가 2002년을 정점으로 외국인 관광객 수는 소폭 증가하고, 내국인 관광객 수는 대폭 감소했다.[227] 하지만 유료관광지는 2005년 이후 관광객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2008년도에는 32만 5,449명이 유료관광지를 찾았다.[227] 2002년까지 증가하던 관광수입은 2003년 이후 조금 떨어졌다가, 2005년부터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227]
과거 안산은 산업과 어업을 기반으로 한 도시였기에 관광 명소가 부족하고 인식이 좋지 않았으나, 최근 동쪽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 미화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42] 도시를 가로지르는 운하에는 자전거와 보행로가 조성되어 있으며, 봄에는 장미, 튤립, 벚꽃 등이 만발한다.[43][44] 시에서 후원하는 공용 자전거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원에 접근하고 자전거를 탈 수도 있다. 현재 안산에는 안산문화예술의전당, 성호기념관, 단원조각공원, 화랑공원 등 많은 박물관과 미술관이 있다.[45][46]
12. 스포츠
1990년대 이후 안산시 곳곳에 크고 작은 체육 시설이 조성되고 있다.[228] 2003년 초부터 건설을 시작, 2006년 11월에 준공하고 2007년 3월 28일 “안산와스타디움”이라는 명칭으로 개장하였다.[229][230] 안산시에서 열리는 주요 스포츠 행사는 안산 와~스타디움에서 개최된다.[101][102]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는 안산와스타디움과 상록수체육관에서 축구와 배구경기를 유치하기도 하였다.[234]
2007년 5월 12일에는 안산 돔구장의 건립에 관해 안산시와 KBO가 양해 각서를 체결하였으며[231] 2012년 완공을 목표로 진행 중이었으나, 2010년 5월 이후 사업이 중단된 상태이다.[232] 한편, 미국 프로 야구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의 소유주 케네스 영은 안산 돔구장을 근거로 하는 프로야구단의 창단을 추진하고 있다.[233]
2013년 7월 13일에는 본오3동 1111번지에 상록수체육관이 준공되어 국내·외 경기와 각종 행사 등 다양한 문화행사 개최가 가능하고 다채로운 생활체육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본오동 지역주민의 스포츠 참여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234]
과거 WKBL(한국여자농구 리그) 신한은행 에스버드 농구단이 안산을 연고지로 하였지만 2014년 인천광역시로 이전하였다.[235][103][104] 안산은 또한 현재는 해체된 내셔널리그 축구 클럽 안산 할렐루야의 연고지이기도 했다.
안산에 연고를 두고 있는 스포츠단은 다음과 같다.
안산 그리너스 FC는 창단 첫 해에 '플러스 스타디움' 상과 "풀 스타디움" 상을 수상했다.[107][108] 2018년 4월 10일 현재, 안산 그리너스 FC는 2위를 기록하고 있다.[109]
13. 언론
안산시의 시정 언론으로 브라보 안산 방송(BATV), 브라보 안산 신문이 있다. 또한 지역 신문으로 안산타임스, 안산신문, 반월신문 등이 존재한다.
14. 국제 교류
2022년 7월 17일 기준, 안산시는 8개국 23개 도시와 교류하고 있다.
| 국가 | 도시 | 체결 | |
|---|---|---|---|
| 대한민국한국어 | 2011.10.27 | ||
| align="center"| | |||
| align="center"| | |||
| align="center"| | |||
| 2005.9.27 | |||
| align="center"| | |||
| 2015.10.23 | |||
| 25px 강원특별자치도 | 고성군 | 2017.9.1 | |
| 2005.11.29 | |||
| 2015.4.2 | |||
| 2020.6.29 | |||
| Россияru | ![]() | 2011.7.25 | |
![]() | 2011.7.26 | ||
| United States of America영어 | 1987.11.9 | ||
| 中华人民共和国중국어 | 랴오닝성(辽宁省) | 안산시(鞍山市) | 1997.4.18 |
- 中华人民共和国중국어 랴오닝성 안산시[111]
- Россияru 홀름스크[111]
- United States of America영어 라스베이거스[111]
- Россияru 유즈노사할린스크[111][112]
- 부안군[111]
- 청도군[111]
- 청양군[111]
- 춘천시[111]
- 은평구[111]
- 김제시[111]
- 해남군[111]
- 제천시[111]
- 고성군[111]
- 광주광역시 남구[111]
- 태백시는 자매결연을 맺고 있지 않다.[111]
| 국가 | 도시 | 체결 |
|---|---|---|
| 베이오브플렌티 지방 타우랑가 | 2014.11.12 | |
| 2019.4.1 | ||
| 비엔티안주 | 2019.4.24 | |
| 바리어붕따우성 | 2004.8.17 | |
| 산페르난도 | 2001.10.23 | |
| 산둥성(山东省) 옌타이(烟台市) | 2009.7.22 | |
| 광시 좡족 자치구(广西壮族自治区) 바이써시(百色市) | 2015.3.26 | |
| 쓰촨성(四川省) 러산시(乐山市) | 2018.7.23 |
안산시는 여러 국가의 도시와 우호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111]
14. 1. 자매 도시
| 국가 | 도시 | 체결 | |
|---|---|---|---|
| 대한민국한국어 | 강원특별자치도 | 춘천시 | 2011.10.27 |
| 경상북도 | 울릉군 | align="center"| | |
| 청도군 | align="center"| | ||
| 광주광역시 | 남구 | align="center"| | |
| 전라남도 | 해남군 | 2005.9.27 | |
| 전북특별자치도 | 김제시 | align="center"| | |
| 부안군 | 2015.10.23 | ||
| 25px 강원특별자치도 | 고성군 | 2017.9.1 | |
| 충청남도 | 청양군 | 2005.11.29 | |
| 충청북도 | 제천시 | 2015.4.2 | |
| 서울특별시 | 은평구 | 2020.6.29 | |
| Россияru | 사할린주 | 유즈노사할린스크 | 2011.7.25 |
| 홀름스크 | 2011.7.26 | ||
| United States of America영어 | 네바다주 | 라스베이거스 | 1987.11.9 |
| 中华人民共和国중국어 | 랴오닝성(辽宁省) | 안산시(鞍山市) | 1997.4.18 |
- 中华人民共和国중국어 랴오닝성 안산시[111]
- Россияru 홀름스크[111]
- United States of America영어 라스베이거스[111]
- Россияru 유즈노사할린스크[111][112]
- 부안군[111]
- 청도군[111]
- 청양군[111]
- 춘천시[111]
- 은평구[111]
- 김제시[111]
- 해남군[111]
- 제천시[111]
- 고성군[111]
- 광주광역시 남구[111]
- 태백시는 자매결연을 맺고 있지 않다.[111]
14. 2. 우호협력도시
wikitable| 국가 | 도시 | 체결 |
|---|---|---|
| 베이오브플렌티 지방 타우랑가 | 2014.11.12 | |
| 아헨 | 2019.4.1 | |
| 비엔티안주 | 2019.4.24 | |
| 바리어붕따우성 | 2004.8.17 | |
| 산페르난도 | 2001.10.23 | |
| 산둥성(山东省) 옌타이(烟台市) | 2009.7.22 | |
| 광시 좡족 자치구(广西壮族自治区) 바이써시(百色市) | 2015.3.26 | |
| 쓰촨성(四川省) 러산시(乐山市) | 2018.7.23 |
15. 교류
안산시는 전국다문화도시협의회, 전국평생학습도시협의회, 전국대도시시장협의회 회원으로 가입되어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Symbol
https://web.archive.[...]
Ansan-si
2016-10-04
[3]
웹사이트
Home page
http://eng.kotsa.or.[...]
2009-06-09
[4]
웹사이트
교통안전공단 - 공단소개 > 공단소개 > 일반현황 > 설립목적 및 연혁 > 2000년 이후
https://web.archive.[...]
2016-04-25
[5]
뉴스
[창간특집]그 곳에 가면 외국의 축제가 있다
http://weekly.khan.c[...]
2009-06-02
[6]
웹사이트
'외국인 최다 거주' 안산시, 다문화 특례시 지정 추진
http://www.yonhapnew[...]
2021-04-08
[7]
서적
청소년을 위한 안산 역사 이야기
부민문화사
[8]
뉴스
시민의 힘으로 일구어 낸 '시흥 오이도 유적' (Korean)
http://news.naver.co[...]
2002-04-01
[9]
간행물
안산시의 역사와 문화유적
https://web.archive.[...]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Hanyang University
[10]
서적
안산시 및 한양대학교 (2002년), 28쪽
[11]
서적
구석기 유적 조사 보고
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
[12]
서적
안산시 및 한양대학교 (2002년), 29쪽.
[13]
서적
광명 가학동 지석묘 발굴조사보고
한양대학교 박물관
[14]
서적
한국사 - 고대편
[15]
서적
다시 쓰는 택리지
Humanist
[16]
법률
Provisional changes including Guri city and 11 cities and counties and permission of modification naming Naju.
1985-12-28
[17]
웹사이트
South Korea builds city from sea at wetland's expense
https://www.reuters.[...]
[18]
웹사이트
Daebudo Island Famous Spot Tour Guide Ansan
http://www.iansan.ne[...]
2016-03-31
[19]
웹사이트
Pungdo-ri, South Korea - Geographical Names, map, geographic coordinates
http://www.geographi[...]
[20]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21]
뉴스
The place where most foreigners live is 'Ansan'… The most common nationality is 'Chaoxianzu'
https://www.mbn.co.k[...]
2024-03-11
[22]
뉴스
고양~부천 서해선 2023년 개통... 2.7km 한강하저 터널 관통
https://www.hankooki[...]
2021-11-12
[23]
뉴스
안산시, 서해선 추가 개통으로 김포공항까지 40분대 주파
https://ilyo.co.kr/?[...]
2023-07-01
[24]
웹사이트
신안산선 복선전철 건설사업 기본계획 고시
http://www.molit.go.[...]
2010-12-15
[25]
뉴스
Shin Ansan line will connect from Yeouido to Ansan
http://news.kbs.co.k[...]
2015-08-17
[26]
뉴스
신안산선 '여의도~서울역' 연장 본격화...사업타당성 조사 돌입
https://www.newspim.[...]
2020-05-11
[27]
웹사이트
안산
http://www.ansan-bus[...]
Ansan-busterminal.co.kr
[28]
웹사이트
안산시 공공자전거 PEDAL路
http://www.pedalro.k[...]
[29]
뉴스
안산 공공 자전거 페달로 '폐지'
http://ch1.skbroadba[...]
[30]
웹사이트
Introduction - About Ansan - Ansan
https://web.archive.[...]
[31]
웹사이트
안산시청-일반현황
https://archive.toda[...]
2012-08-02
[32]
웹사이트
External page of Ansan University
https://web.archive.[...]
[33]
웹사이트
External page of Hanyang University
http://www.hanyang.a[...]
[34]
웹사이트
External page of Seoul Institute of the Arts
https://web.archive.[...]
[35]
웹사이트
External page of Shin Ansan University
https://web.archive.[...]
[36]
웹사이트
Ansan-si Hyeonhwang
http://www.iansan.ne[...]
[37]
뉴스
290 missing as ferry with 477 passengers sinks off south coast
https://koreatimes.c[...]
2014-04-16
[38]
웹사이트
In Homogeneous South Korea, A Multicultural Village Hints At Change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16-05-15
[39]
웹사이트
Information - Industry Economy - Ansan
http://www.iansan.ne[...]
[40]
웹사이트
Information - Industry Economy - Ansan
http://www.iansan.ne[...]
[41]
웹사이트
Information - Industry Economy - Ansan
http://www.iansan.ne[...]
[42]
웹사이트
Ansan Cultural Center_Official Website
http://www.ansancult[...]
[43]
웹사이트
http://www.ansantour[...]
[44]
뉴스
안산시티투어로 안산여행 함께 떠나요
http://www.dailian.c[...]
Dailian
2008-06-20
[45]
웹사이트
http://news.naver.co[...]
2009-03-27
[46]
웹사이트
http://economy.hanko[...]
2010-03-23
[47]
웹사이트
Palace Of History - Various Sides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48]
웹사이트
ByeolmangseongJi - Trace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49]
웹사이트
Palace Of History - Various Sides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50]
웹사이트
Cultural Property - Various Sides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51]
웹사이트
Palace Of History - Various Sides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52]
웹사이트
Cultural Property - Various Sides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53]
웹사이트
Palace Of History - Various Sides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54]
웹사이트
Palace Of History - Various Sides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55]
웹사이트
Palace Of History - Various Sides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56]
웹사이트
Sasechungyeolmun - Trace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57]
웹사이트
Palace Of History - Various Sides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58]
웹사이트
Palace Of History - Various Sides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59]
웹사이트
Man Of History - Various Sides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60]
웹사이트
Man Of History - Various Sides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61]
웹사이트
Man Of History - Various Sides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62]
웹사이트
Man Of History - Various Sides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63]
웹사이트
Man Of History - Various Sides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64]
웹사이트
Man Of History - Various Sides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65]
웹사이트
Man Of History - Various Sides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66]
웹사이트
Man Of History - Various Sides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67]
웹사이트
Tomb of Seongho Yi lk - Trace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68]
웹사이트
Man Of History - Various Sides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69]
웹사이트
Man Of History - Various Sides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70]
웹사이트
Man Of History - Various Sides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71]
웹사이트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경기도미술관)
http://english.visit[...]
[72]
웹사이트
Ansan Botanical Garden (안산식물원)
http://www.visitkore[...]
VisitKorea.or.kr
2013-06-14
[73]
웹사이트
Botanical Garden - Famous Spot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74]
웹사이트
Ansan Cultural Center (안산문화원)
http://www.visitkore[...]
VisitKorea.or.kr
2013-06-14
[75]
웹사이트
City of Green Oceanic Tours Ansan > Ansan Tour > Museum&Exhibition
http://tourinfo.ians[...]
[76]
웹사이트
Ansan Culture & Arts Center (안산문화예술의전당)
http://www.visitkore[...]
VisitKorea.or.kr
2013-06-14
[77]
웹사이트
::Welcome to Ansan City::
http://www.iansan.ne[...]
Ansan.iansan.net
2013-06-14
[78]
웹사이트
Ansan Sled Park - Culture - Culture & Sports - Ansan
http://www.iansan.ne[...]
[79]
웹사이트
Choi Yong-sin - Trace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80]
웹사이트
City of Green Oceanic Tours Ansan > Ansan Tour > Museum&Exhibition
http://tourinfo.ians[...]
[81]
웹사이트
City of Green Oceanic Tours Ansan > Ansan Tour > Museum&Exhibition
http://tourinfo.ians[...]
[82]
웹사이트
The Fishing Village Folk Museum - Famous Spot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83]
웹사이트
Gyeonggi English Village Ansan Camp - Culture - Culture & Sports - Ansan
http://www.iansan.ne[...]
[84]
웹사이트
http://www.ahev.go.k[...]
[85]
웹사이트
Olympic Memorial Hall - Culture - Culture & Sports - Ansan
http://www.iansan.ne[...]
[86]
웹사이트
Seongho Memorial Hall (성호기념관)
http://www.visitkore[...]
VisitKorea.or.kr
2013-06-14
[87]
웹사이트
Ansan Lake Park - Culture - Culture & Sports - Ansan
http://www.iansan.ne[...]
[88]
웹사이트
Daebudo Island (대부도)
http://english.visit[...]
[89]
웹사이트
Daebudo Island - Famous Spot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90]
웹사이트
Hwarang Public Garden - Culture - Culture & Sports - Ansan
http://www.iansan.ne[...]
[91]
웹사이트
Lake Sihwa-ho - Famous Spot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92]
웹사이트
Mt. Gwangdeok-san - Famous Spot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93]
웹사이트
Mt. Suri-san - Famous Spot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94]
웹사이트
Nojeok-Bong Park - Culture - Culture & Sports - Ansan
http://www.iansan.ne[...]
[95]
웹사이트
Seongho Park - Culture - Culture & Sports - Ansan
http://www.iansan.ne[...]
[96]
웹사이트
Park - Various Sides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97]
웹사이트
Sihwaho Lake Reed Marsh Park (시화호 갈대습지공원)
http://www.visitkore[...]
VisitKorea.or.kr
2013-06-14
[98]
웹사이트
Reed Wetland - Famous Spot - Tour Guide - Ansan
http://www.iansan.ne[...]
[99]
웹사이트
Digital Ansan culture encyclopedia
http://ansan.grandcu[...]
[100]
웹사이트
http://www.iansan.ne[...]
2010-07-21
[101]
뉴스
http://news.naver.co[...]
2006-11-01
[102]
뉴스
http://news.naver.co[...]
2007-03-28
[103]
웹사이트
::Welcome to Ansan City::
http://ansan.iansan.[...]
Ansan.iansan.net
2013-06-15
[104]
뉴스
http://www.incheonil[...]
2014-04-11
[105]
웹사이트
Ansan Ok Savings bank Vollevball club homepage
http://www.oksavings[...]
2016-04-06
[106]
웹사이트
Ansan greenersfc's history
http://greenersfc.co[...]
2018-04-10
[107]
웹사이트
'Ansan greenersfc' won the "Plus Stadium Prize" because of the 1st place in the crowd increase
http://greenersfc.co[...]
2018-04-10
[108]
웹사이트
Most spectators record! Ansan award 'Full Stadium Award'
http://greenersfc.co[...]
2018-04-10
[109]
웹사이트
Ansan greenersfc/ranking
http://greenersfc.co[...]
2018-04-10
[110]
웹사이트
안산 대부도, 드라마 촬영 명소 유럽풍 펜션 '인기'
http://news.naver.co[...]
2010-04-10
[111]
웹사이트
상호결연도시
https://www.ansan.go[...]
[112]
웹사이트
Владивосток новости - РИА Дейта.RU
http://deita.ru/?new[...]
[113]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14]
법률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12-28
[115]
행정구역
[116]
행정구역
[117]
행정구역
[118]
행정구역
[119]
뉴스
그 곳에 가면 외국의 축제가 있다
http://newsmaker.kha[...]
경향신문
2009-06-02
[120]
뉴스
안산 전국 첫 ‘야간시청’ 운영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9-10-28
[121]
뉴스
半月都市(반월도시) 명칭싸고 시끄러울듯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7-03-31
[122]
웹사이트
안산(1) - 경기 실학 연원…역사·문화의 궤적
http://www.ggcf.or.k[...]
경기문화포털
[123]
뉴스
반월시로 불릴 뻔한 안산
http://www.ansantime[...]
안산타임스
2004-05-31
[124]
서적
다시 쓰는 택리지 1권
[125]
지역정보
[126]
지역정보
[127]
뉴스
재야 학자 성호 이익의 실학사상 下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8-06-06
[128]
서적
[129]
뉴스
시민의 힘으로 일구어 낸 '시흥 오이도 유적'
http://news.naver.co[...]
오마이뉴스
2002-04-01
[130]
뉴스
외국 관광객 꼭 들르는 도시 만들 것
http://www.naeil.com[...]
내일신문
2006-10-26
[131]
뉴스
안산 '신석기유적지' 역사공원으로 조성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08-03-05
[132]
서적
[133]
뉴스
우리는 ‘천년 안산’의 알리미
http://www.naeil.com[...]
내일신문
2010-04-05
[134]
보고서
안산시 및 한양대학교
안산시 및 한양대학교
2002
[135]
보고서
구석기 유적 조사 보고
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
1995
[136]
보고서
안산시 및 한양대학교
안산시 및 한양대학교
2002
[137]
보고서
광명 가학동 지석묘 발굴조사보고
한양대학교 박물관
1997
[138]
서적
한국사 - 고대편
1959
[139]
서적
[140]
서적
[141]
서적
[142]
서적
삼국사기
[143]
서적
안산시 및 한양대학교
2002
[144]
뉴스
안산 한복판서 삼국시대 산성 발견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00-09-28
[145]
서적
안산시 및 한양대학교
2002
[146]
서적
[147]
뉴스
경기 소식 - 안산 잿머리성황제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07-11-07
[148]
서적
안산시 및 한양대학교
2002
[149]
서적
[150]
뉴스
뮤지컬 ‘꼭두별초’ 몽고군 홀린 ‘전쟁춤’
http://www.hani.co.k[...]
한겨레
2006-04-05
[151]
서적
세종실록지리지
[152]
웹사이트
안산의 유래
http://www.iansan.ne[...]
2010-07-19
[153]
뉴스
안산시, 조선시대 '관아지(官衙址)' 복원사업 추진
http://news.naver.co[...]
뉴시스
2010-03-18
[154]
서적
안산시 및 한양대학교
[155]
뉴스
'일본은 아는데 우리는 모르는 섬' 풍도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10-01-25
[156]
서적
[157]
뉴스
동십자각 - 수인선(水仁線) 건설
http://economy.hanko[...]
서울경제
2008-07-16
[158]
뉴스
기찻길 따라 변화의 역사가 시작됐다
http://www.suwon.com[...]
수원일보
2010-02-26
[159]
뉴스
반월공업도시 25일 착공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1977-03-15
[160]
뉴스
반월출장소 개소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79-08-31
[161]
서적
[162]
뉴스
한국신도 - 안산시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86-11-18
[163]
서적
[164]
뉴스
수인선 협궤열차 역사 속으로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95-12-31
[165]
뉴스
안산시 구청 이름 상록·단원구로 확정
http://news.naver.co[...]
한국일보
2002-08-14
[166]
법률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12-28
[167]
조례
안산시조례 제213호
1988-09-15
[168]
조례
안산시조례 제416호
1991-11-13
[169]
조례
안산시조례 제509호
1993-11-18
[170]
조례
안산시조례 제500호
1993-09-13
[171]
조례
안산시조례 제545호
1994-07-01
[172]
규정
시·군·자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제5조 제3항
1994-12-22
[173]
조례
안산시조례 제605호
1995-03-02
[174]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4629호
1994-04-20
[175]
조례
안산시조례 제618호
1995-04-20
[176]
조례
안산시조례 제655호
1996-01-12
[177]
조례
안산시조례 제747호
1997-05-28
[178]
조례
안산시조례 제800호
1998-10-12
[179]
조례
안산시조례 제1027호
2002-10-01
[180]
서적
안산시(반월신도시) 도시설계
한국수자원공사
1986
[181]
논문
수도권 신도시의 도시공원 이용행태 및 주민만족에 관한 연구 (경기도 안산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디지털경제연구소
2002
[182]
서적
안산신도시 2단계 지구단위계획(도시설계변경)
한국수자원공사
1999
[183]
보고서
안산시 및 한양대학교 보고서
안산시 및 한양대학교
2002
[184]
웹사이트
기후자료 - 수원 지방의 1971년 ~ 2000년 평년값 자료
http://www.kma.go.kr[...]
[185]
보고서
안산시 및 한양대학교 보고서
안산시 및 한양대학교
[186]
보고서
안산시 및 한양대학교 보고서
안산시 및 한양대학교
[187]
웹사이트
경기도 월별 주민등록인구
http://stat.gg.go.kr[...]
[188]
웹사이트
KOSIS 국가통계포털
[189]
서적
안산시지
[190]
뉴스
경기도 안산시, 투표율 높이기 두팔 걷었다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2012-12-17
[191]
뉴스
안산, 박근혜 46%, 문재인 53% 득표
http://asinews.co.kr[...]
안산인터넷뉴스
2012-12-20
[192]
뉴스
안산 역대 투표율 최저, 투표율 올라갈까
http://www.ansansm.c[...]
안산신문
2010-06-01
[193]
뉴스
송진섭, '비리 의혹' 제기 주간지 등 고소
http://sisa-issue.in[...]
아이뉴스24
2009-10-12
[194]
뉴스
검찰, 박성규 전 안산시장 구속
http://news.naver.co[...]
오마이뉴스
2002-10-21
[195]
뉴스
박주원 안산시장 구속 영장 '발부'
http://www.ilyoseoul[...]
일요서울
2010-03-03
[196]
뉴스인용
"안산초교 개교일 틀렸다" 日이 개편한 1912년 기준 100주년 기념비 생기자 안산 시민들이 철거 요구 "1899년 우리가 열어"
https://news.v.daum.[...]
한국일보
2012-11-15
[197]
뉴스
경기도 내 평준화 고교 학력 더 높아
http://www.hani.co.k[...]
한겨레
2009-10-06
[198]
뉴스
인재 육성이 곧 도시 경쟁력
http://news.naver.co[...]
헤럴드 경제
2006-03-28
[199]
뉴스
안산 고교평준화, 절차 밟아 빠른 시일내 실시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2010-04-30
[200]
뉴스
안산·광명·의정부 고교평준화 추진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0-01-05
[201]
뉴스
'엎드려 뻗쳐' 등 단체기합 횡행…안산 지역 초교 무슨일이?
http://www.cbs.co.kr[...]
노컷뉴스
2010-06-10
[202]
뉴스
경기도교육청, 2011년 고등학교 학과 개편안 승인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2010-06-03
[203]
뉴스
광명 안산 의정부도 2013년부터 고교평준화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2-07-10
[204]
뉴스
부곡고·상록고 개교 학급당 인원 5~8명 줄어
http://news.naver.co[...]
내일신문
2013-01-10
[205]
뉴스
도내 중·고교 학급 학생과밀 여전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1-01-14
[206]
뉴스
안산테크노파크 배성열 원장
http://www.ansansm.c[...]
안산타임스
2007-03-22
[207]
웹사이트
경기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208]
뉴스
안산 로데오 거리 탄생
http://www.ansansm.c[...]
안산신문
2001-12-20
[209]
기타
수도권 전철 4호선 안산선 통합
[210]
뉴스
8월부터 안산역까지 4호선 연장운행
http://www.ansansm.c[...]
안산신문
2003-05-13
[211]
뉴스
철도노선 계획대로 진행되면 ‘사통팔달’
http://ansantimes.co[...]
안산타임즈
2011-01-06
[212]
뉴스인용
2021년에 안산 초지역서도 KTX 탄다
http://www.obsnews.c[...]
OBS
2015-07-12
[213]
뉴스인용
한국철도, 차세대 KTX 열차명 ‘KTX-이음’ 확정
http://www.dailysmar[...]
[214]
뉴스인용
신안산선, 2017년 하반기 공사 확정 여의도-안산 30분 내 통과
http://chicnews.mk.c[...]
시크뉴스
2015-08-28
[215]
서적
안산시지
[216]
서적
안산시지
[217]
뉴스
봄꽃의 향연 안산 대부도 튤립축제 개막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13-04-27
[218]
서적
안산시지
[219]
웹인용
국경 없는 음식점, 5천원의 행복
http://h21.hani.co.k[...]
한겨레신문사
2009-01-09
[220]
웹사이트
공식 홈페이지
http://www.ansantour[...]
[221]
뉴스
안산시티투어로 안산여행 함께 떠나요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08-06-20
[222]
뉴스
안산시 4월부터 '시티투어' 재개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09-03-27
[223]
뉴스
안산시, 관광명소 일일여행 '시티투어' 운행
http://economy.hanko[...]
서울경제
2010-03-23
[224]
서적
안산시지
[225]
뉴스인용
뉴스인사이드, 오늘 주말여행
http://www.newsinsid[...]
2018-01-19
[226]
서적
안산시지
[227]
웹인용
2010년 기준 안산시의 체육 시설들
http://www.iansan.ne[...]
[228]
뉴스
웅장한 모습 '안산종합운동장'
http://news.naver.co[...]
뉴시스
2006-11-01
[229]
뉴스
안산 '와~스타디움' 오늘 공식 개장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07-03-28
[230]
뉴스
돔구장, 안산에 짓는다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7-05-12
[231]
뉴스
'안산돔구장사업' 중단 6개월째 '침묵'…대체 어떤 사연?
http://news.naver.co[...]
뉴시스
2010-11-18
[232]
뉴스
美사업가, 안산에 프로야구 10구단 창단 추진
http://news.naver.co[...]
뉴시스
2010-11-17
[233]
뉴스
안산시,명품 “상록수체육관 준공식” 개최
http://www.anewsa.co[...]
[234]
뉴스인용
신한은행 여자농구단 인천으로 연고지 이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4-04-10
[235]
뉴스
'안산타임스' 창간기념식
http://news.naver.co[...]
뉴시스
2004-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