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해 손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해 손씨는 신라 시대 국효 손순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손순의 후손 손익담이 평해군에 봉해지면서 평해를 본관으로 삼았다.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8명을 배출했으며, 고려 시대 손기, 조선 시대 손흥종, 손순효, 손주 등 여러 인물을 배출했다. 독립운동가 손기업, 손승억, 손명근 등이 있으며, 현대에는 손세주, 손범수, 손길승 등이 있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서 15,488명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평해 손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평해 손씨 | |
성씨 | 평해 손씨 平海孫氏 |
나라 | 한국 |
관향 |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
시조 | 손순(孫順) |
중시조 | 손익담(孫翼淡) |
집성촌 | 경상북도 울진군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황해도 금천군 웅덕면 고능리 |
인물 | 손순효, 손주, 손필대, 손 기, 손식, 손승억, 손기업, 손명근, 손희정, 손정욱, 손길승 손범수, 손세주, 손창선, 손호인, 손영인, 손익수 |
년도 | 2015 |
인구 | 15,488명 |
2. 기원
손씨(孫氏)는 사로 무산대수촌(茂山大樹村)의 촌장 구례마(俱禮馬)가 서기 32년(신라 유리왕 9) 봄 왕으로부터 손(孫)씨 성을 하사받은 것이 시초가 된다고 한다.
신라시대 국효(國孝)인 손순을 시조로 하고 있다. 그의 손자 손익담이 평해군(平海君)에 봉해지면서 후손들은 손익담을 1세조로 하여 본관을 평해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그의 아들 손경상은 월성군(月城君)에 봉해졌고, 손자 손술조는 병부상서(兵部尙書)로 평해군(平海君)에 봉해졌다고 한다.[1]
3. 역사
3. 1. 평해 손씨(平海孫氏)
신라시대 국효(國孝)인 손순을 시조로 하고 있다. 그의 손자 손익담이 평해군(平海君)에 봉해지면서 후손들은 손익담을 1세조로 하여 본관을 평해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손익담의 아들 손경상은 월성군(月城君)에 봉해졌고, 손자 손술조는 병부상서(兵部尙書)로 평해군(平海君)에 봉해졌다고 한다.[1]
3. 2. 조선시대
평해 손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8명을 배출하였다.[1]
4. 인물
- 손기(孫琦): 고려 후기 문신.[1]
- 손흥종(孫興宗): 고려 말 조선 초 무신.
- 손순효(孫舜孝, 1427년 ∼ 1497년): 조선 전기 문신.[1]
- 손주(孫澍, 1460년 ~ 1539년): 조선 중기 문신.[1]
- 손식(孫軾): 조선 중기 문신.[1]
- 손필대(孫必大, 1599년 ~ ?): 조선 중기 문신.[1]
- 손기업: 독립운동가.[1]
- 손승억: 독립운동가.
- 손명근: 독립운동가.
- 손세주: 전 뉴욕총영사(외무고시)
- 손호인: 예비역 공군 준장
- 손영인: 예비역 공군 준장
- 손익수: 전 서울체신청장(행정고시)
- 손재일: 전 부장검사(사법고시)
- 손창선: 예비역 해병대 소장
- 손희정: 전 국회의원
- 손범수: 방송인(아나운서)
- 손형찬: 현 육군 준장
- 손종률: 전 강남대학교 총장
- 손계천: 전 강원일보 사장
- 손길승: 전 SK그룹 회장
4. 1. 고려시대
손기(孫琦)는 고려 후기의 문신이다. 상인 출신이었으나 충숙왕의 총애를 받아 대호군이 되었고, 토지와 노비를 받았다. 총부전서를 거쳐 지밀직사사에 올랐으며, 추성협보공신(推誠寶輔功臣)의 호를 받았다. 원나라에서 심왕과 함께 왕위를 노리던 무리들을 물리친 공으로 충숙왕이 복위한 뒤 철권(鐵卷)이 내려지고 추성수의좌리공신(推誠守義佐理功臣) 호를 받았으며, 첨의평리진찬성사(僉議評理進贊成事)가 되었다.[1]그러나 충숙왕은 복위 직후 손기를 충혜왕의 폐신(嬖臣)으로 오해하여 직첩을 빼앗고 섬으로 귀양 보냈다가 곧 다시 불렀다. 1341년(충혜왕 복위 2) 5월 왕의 동생 강릉대군(江陵大君) 왕기(王琪)가 원나라에 들어갈 때 전(前) 첨의평리로서 수행하였다.[1] 1351년(충정왕 3) 평해부원군(平海府院君)이 되었다. 이듬해 6월 공민왕에 의하여 연저수종공신(燕邸隨從功臣) 1등이 되어 전민(田民)을 받았으며, 이 해 8월에 정승(政丞)으로 치사(致仕)하였다.[1]
손흥종(孫興宗)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다. 군호는 이천군(伊川君)이다. 1392년 7월 17일 조선 개국에 참여하여 개국공신 3등에 녹훈되었으며, 형조전서, 함경도 관찰사, 상장군, 중추원부사, 삼도체찰사, 승녕부윤 등을 역임하였다.
4. 2. 조선시대
- 손흥종(孫興宗)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다. 군호는 이천군(伊川君)이다. 1392년 7월 17일 조선 개국에 참여하여 개국공신 3등에 녹훈되었으며, 형조전서, 함경도관찰사, 상장군, 중추원부사, 삼도체찰사, 승녕부윤 등을 역임하였다. 오점으로는 거제도에서 왕씨들을 바다에 빠뜨릴 때 참가하였고, 1409년 동생 손효종(孫孝宗)의 반역죄에 연루되어 황해도 신은(新恩)에 부처되었는데, 이 때 이숭인(李崇仁)과 이종학(李種學)을 죽인 혐의로 폐서인되고, 가산이 적몰되고 녹권을 추탈당했다.[1]
- 손순효(孫舜孝, 1427년 ∼ 1497년)는 조선 전기 문신이다. 자는 경보(敬甫), 호는 물재(勿齋)·칠휴거사(七休居士)이다. 1451년(문종 1) 진사시에 합격하고 1453년(단종 1)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으며, 1457년(세조 3) 감찰로 문과 중시에 정과로 급제하였다. 이어 병조좌랑·형조정랑·집의·전한 등을 역임하였다. 1471년(성종 2) 17조의 시무책을 올려 채택되어 형조참의에 특진되었으나 직무상 과오가 있다 하여 상호군으로 전임되었다. 그 뒤 장례원판결사가 되어 소송 문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였다. 1475년 부제학을 거쳐 동부승지·우부승지·좌승지를 지내고, 1478년 도승지가 되었다. 이어 강원도관찰사로 나가 선정을 베풀고, 호조참판·형조참판을 지내면서 왕비 윤씨의 폐위를 반대하였다. 1480년 지중추부사로 정조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뒤 공조판서·경기도관찰사·대사헌·한성부판윤·병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그리고 국가의 문한(文翰)을 총괄하는 보문각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거쳤다. 1485년 임사홍(任士洪)을 두둔하다가 왕의 비위에 거슬려 경상도관찰사로 나아가 연해안 방어책을 강구하였다. 이어 좌찬성, 우찬성 등을 거쳐 판중추부사를 지냈으며, 고령으로 사퇴를 청하였으나 허락받지 못하고 궤장(几杖)을 하사받았다.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고, 특히 《중용》·《대학》·《역경》 등에 정통하였으며, 또한 청백하기로도 명망을 얻었고, 문장이 뛰어나고 竹畵(대나무 그림)에 능하였다. 《세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였고, 찬서(撰書)로는 《식료찬요 食療撰要》가 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1]
- 손주(孫澍, 1460년 ~ 1539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평해(平海). 자는 여림(汝霖)이다. 1492년(성종 23)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을과로 급제하여 사헌부장령·사간원정언과 홍문관의 수찬·부제학, 직제학, 승정원 동부승지, 우부승지 등을 거쳤다. 1508년(중종 3) 형조참판이 되고, 이어 대사헌·한성부좌윤·병조참판 등을 지냈다. 1512년 소릉(昭陵: 문종왕후 권씨(權氏)의 능)의 위호(位號)를 추복(追復)시키자는 논의가 조정에서 일어났을 때, 신용개(申用漑)·강혼(姜渾) 등과 함께 적극적으로 찬성하였다. 1519년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한성부좌윤으로서 남곤(南袞)·심정(沈貞)·고형산(高荊山) 등과 함께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사류의 처벌에 가담하였으나, 중종 14년(1519년) 12월 16일 (丙子日)에 “제왕에게는 살리기를 좋아하는 덕이 있어야 하니, 저들을 절도로 쫓거나 서북으로 멀리 유배하면 임금께서 살리기를 좋아하는 덕이 드러날 것입니다.”하고 아뢰어 조광조 등을 살리려는 시도를 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뒤에 이조참판에 올랐으며, 1521년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이조판서로서 하존시사(賀尊諡使)의 임무를 띠고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듬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가 되었으며, 경기관찰사·한성부좌윤·예조참판이 되었다. 1528년 호조참판으로 향교에 제사를 드렸으며, 특진관(特進官)으로 학교 교육의 강화를 주장하였다. 1530년 과거의 시험관이 되고, 이듬해 예조판서에 특진되었다. 이때 나이가 많고 쇠약함을 이유로 치사할 것을 청하였으나 허락받지 못하였다. 1532년에 우참찬을 지내고, 좌참찬을 거쳐 지중추부사가 되었다. 성품이 청렴하고 공직(公直)하여 두루 벼슬을 거치면서도 의리에 합당하지 않은 일은 하지 않았고, 가정에 거처할 때도 검소하였다. 시호는 희질(僖質)이다.[1]
- 손식(孫軾)은 조선 중기 문신이다. 자는 경여(敬輿)이다. 본관은 평해(平海)이다. 1543년(중종 38) 식년시에 진사 2등 19위로 합격하였고, 1552년(명종 7) 식년시 문과에 병과 2위로 급제하였다. 1554년(명종 9)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에 임명되었고, 1555년(명종 10) 병조좌랑(兵曹佐郞)에 임명되었다. 이후 사신단의 일행이 되어 매부(妹夫) 임내신(任鼐臣)과 함께 중국을 다녀왔다. 1557년(명종 12) 전적(典籍), 1568년(선조 1) 해주목사(海州牧使)에 임명되었고, 이후 사예(司藝)‧전라감사(全羅監司)‧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호조참판(戶曹參判) 등을 역임하였다.[1]
- 손필대(孫必大, 1599년 ~ ?)는 1624년(인조 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630년 공청도도사(公淸道都事)를 지내고, 사복시정(司僕寺正)·통례지제교(通禮知製敎) 등을 역임하였다.[1]
4. 3. 독립운동가
- 손기업
: 호는 일정이다. 1928년 베이징에서 이상일과 함께 친일파와 일제 고관 암살을 목적으로 조선혁명당총동맹을 조직하고 톈진 책임자로 선출되었다. 같은 해 8월 동맹원 전창국에게 명령하여 톈진 일본 조계 내에서 이태화를 사살하게 했다. 또 1930년 동맹원 장기준 등을 시켜 톈진 일본은행을 습격하고 거액의 돈을 탈취하게 해 군자금에 충당했다.[1] 1931년 만주사변을 계기로 일본의 대륙침략이 노골화되자, 중국 국민의 대일감정은 극도로 악화되었다. 조선혁명당총동맹 간부들은 일본제국주의 침략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세계대전이 일어나 민주진영이 승리하는 것만이 최선의 해결책이라는 점에 의견을 모으고, 세계대전 유도책으로 열강의 조계가 많이 있는 톈진에서 일본 조계를 점령할 계획을 세웠다.[1] 만주전권대사 무토 노부요시를 암살하고자 손기업의 총지휘하에 동맹원 이창용(李昌用)·박민항(朴敏杭)·최윤식(崔潤植)이 결사대로 선출되었다. 결사대 3명은 폭탄 4개, 권총 3정 등을 휴대하고 만주에 가서 창춘·펑톈 등지를 전전하며 기회를 노리고 있었다. 그러나 창춘 중앙여관에서 무기가 발각되어 이창용·박민항은 일본헌병대에 체포되었다. 고문 끝에 총지휘자인 손기업의 비밀장소가 발각되어 톈진에서 체포되어 창춘으로 압송되었다.[1] 일본 헌병에게 고문을 당한 후, 1933년 5월 27일 창춘 일본군법회의 관동군법무부에서 10년 형을 받고 뤼순 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던 중 박민항은 같은 해 10월에 옥사하고, 그와 이창용은 만기출옥했다. 1963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수여되었다.[1]
- 손승억
: 1893년 충북 중원군에서 출생하였다. 1910년 일제강점으로 국권을 상실하자, 권무영·이희갑·김달년·권재혁 등과 함께 항일투쟁을 전개하기 위해 독립단을 조직했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충주시 용원 장날에 만세시위운동을 주도했다. 일본 관헌에 체포되어 1년 6개월 동안 청주형무소에 미결수로 있다가 징역 3년형을 언도받고 복역했다. 1922년 만기출옥일에 형무소 안에서 울분을 참지 못해 대한독립만세를 불렀다. 이에 다시 구금되어 온갖 고문을 당한 후 청주지방법원에서 징역 2년형을 언도받고 복역하다가 1924년 4월 16일 감옥에서 순국했다. 1968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 손명근
: 1871년 경기도 고양군 뚝도(지금의 서울시 동대문구 면목동)에서 태어났다. 1919년 3·1 운동 직후 대한독립단에 입단하였다. 대한독립단은 박장호, 조맹선, 백삼규, 조병준, 전덕원 등이 1919년 4월 만주 류허현 싼위안바오에서 결성한 독립운동 단체로, 본부는 류허현에 두었고, 국내외 각지에 100여 개에 달하는 지단과 지부를 두었다. 손명근은 1919년 11월 대한독립단 사한장(司翰長) 김기한과 함께 국내의 각 도와 군에 지단을 설치하고, 만주와 국내 사이의 긴밀한 연결을 꾀하는 한편, 독립군의 국내 진공작전 때 필요한 군자금 모금 등을 위해 국내로 잠입하였다. 이어 함경도와 강원도 지역에 보낼 격고문(檄告文)을 비롯해 각종 인쇄물을 고양에 있는 자신의 집으로 보내 보관하였다. 이후 서울로 잠입해 대한독립단의 국내 조직을 총괄하는 중앙본부를 설치하고, 1920년 말까지 단원 모집과 군자금 모금 등 각 도와 군의 지단을 설치하는 활동을 하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1921년 6월 경성지방법원에서 공판에 회부되었으나, 증거불충분으로 같은 해 9월 출옥하였다. 1963년 대통령 표창,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4. 4. 현대 인물
- 손세주 - 전 뉴욕총영사(외무고시)
- 손호인 - 예비역 공군 준장
- 손영인 - 예비역 공군 준장
- 손익수 - 전 서울체신청장(행정고시)
- 손재일 - 전 부장검사(사법고시)
- 손창선 - 예비역 해병대 소장
- 손희정 - 전 국회의원
- 손범수 - 방송인(아나운서)
- 손형찬 - 현 육군 준장
- 손종률 - 전 강남대학교 총장
- 손계천 - 전 강원일보 사장
- 손길승 - 전 SK그룹 회장
- 손기업 - 독립운동가. 1928년 베이징에서 이상일과 함께 친일파 숙청과 일제 고관 암살을 목적으로 조선혁명당총동맹을 조직하고 톈진 책임자로 선출되었다. 1933년 창춘 일본군법회의 관동군법무부에서 10년 형을 받고 뤼순 형무소에서 복역했다. 1963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수여되었다.
- 손승억 - 독립운동가. 1919년 3·1운동 당시 충주 용원 장날에 만세시위운동을 주도했다. 1924년 감옥에서 순국했다. 1968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 손명근 - 독립운동가. 1919년 대한독립단에 입단하여 국내 조직 설치 및 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했다. 1963년 대통령 표창,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5. 인구
연도 | 인구(명) | 가구 |
---|---|---|
1985년 | 11,422 | 2,831 |
2000년 | 12,831 | 4,104 |
2015년 | 15,488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