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리 이사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리 이사금은 신라의 제3대 임금으로, 남해 차차웅의 아들이자 혁거세 거서간의 손자이다. 즉위 전에는 석탈해에게 왕위를 양보하려 했으나, 국인들의 추대로 이사금에 즉위했다. 그는 재위 기간 동안 6부의 이름을 고치고 관위를 정비했으며, 낙랑과 맥국의 공격을 받기도 했다. 또한, 추석의 기원이 된 가배 축제를 장려하고, 도솔가를 신라의 가악으로 만들었다. 57년에 병으로 사망하여 석탈해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7년 사망 - 후한 광무제
    후한 광무제는 전한 경제의 후손으로 신나라 멸망 후 후한을 건국하여 중국을 통일했으며, 검소한 통치와 유교 진흥을 통해 국가를 안정시키고 주변 국가들과 관계를 맺었다.
  • 이사금 - 벌휴 이사금
    벌휴 이사금은 신라의 제9대 이사금으로, 아달라 이사금 사후 추대되어 왕위에 올랐으며 활발한 정복 활동과 백제와의 교전, 군주 제도 마련 등의 업적을 남겼고, 그의 후손들은 신라 왕위를 이었다.
  • 이사금 - 아달라 이사금
    아달라 이사금은 신라의 제8대 왕이자 박씨 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계립령과 죽령을 개통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백제와 긴장 관계를 유지했으며 왜와 평화로운 외교 관계를 맺었고, 연오랑 세오녀 설화와 왕위 계승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 1세기 한국의 군주 - 기루왕
    기루왕은 백제의 제5대 국왕으로, 다루왕 사후 즉위하여 신라를 공격했으나 패배하고 신라와 평화 조약을 맺었으며 말갈의 침입 시 신라의 지원을 받았고 자연재해가 빈번했다.
  • 1세기 한국의 군주 - 수로왕
    김수로왕은 삼국시대 금관가야의 시조이자 초대 왕으로, 42년에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 알에서 태어나 가락국을 건국하고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을 왕비로 맞이하여 가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능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고 김해 김씨의 시조로 받들어지고 있다.
유리 이사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리왕의 무덤
유리왕의 무덤
작위이사금
봉호폐하
박유리(朴儒理)
다른 이름노례 이사금
통치
즉위24년
재위 기간24년 - 57년
전임남해 차차웅
후임탈해 이사금
생애
출생미상
사망57년
묻힌 곳사릉
부모아버지: 남해 차차웅
어머니: 운제부인 (또는 아루부인)
배우자이리생부인
사요왕
자녀일성 이사금
파사 이사금
부인 박씨 (밀양)
기타
왕조신라

2. 생애

김대문의 기록에 따르면, 남해 차차웅은 죽기 전 아들 유리와 사위 탈해에게 왕위 계승을 맡겼다.[14] 탈해는 지혜로운 자가 잇금이 많다는 속설에 따라 떡을 깨물어 잇자국 수로 결정하자고 제안했고, 유리의 잇자국이 더 많아 왕위에 올랐다.[15] 유리 이사금은 신라 제2대 왕 남해 차차웅운제부인의 아들이었으며, 누이 아니공주는 석탈해와 결혼했다.

25년, 시조 묘에 직접 제사 지내고 죄수들을 크게 사면했다.[16] 28년에는 홀아비, 과부, 고아, 늙고 병든 이들을 구휼했으며, 백성들은 평안함을 기뻐하며 「도솔가」를 지었는데, 이것이 가악(歌樂)의 시초라고 한다.[17] 같은 해 11월, 관리를 보내 어려운 백성들에게 식량을 지급하여 이웃 나라 사람들이 신라로 이주해 오기도 했다.

32년, 육부의 이름을 고치고 각 씨족에게 이, 최, 손, 정, 배, 설 등의 성씨를 하사했으며,[4][5][6] 17등의 관위를 정비했다고 전해지나, 현대 학자들은 이것이 신라 초기에 모두 이루어졌다는 것에 의문을 제기한다.

36년 낙랑이 북쪽 변경을 침범하여 경기도 안성시 이죽면에 위치한 도산성을 빼앗았으나,[18] 37년 고구려 대무신왕이 낙랑국을 멸망시키자 낙랑 사람 5천 명이 신라에 투항하여 6부에 나누어 살게 되었다.[19] 이때 낙랑공주 전설이 생겨났다.[7] 40년 가 다스리는 화려현, 불내현이 신라 북변을 공격했으나, 맥국이 출병하여 이들을 물리쳤고, 유리 이사금은 맥국과 친교를 맺었다.[8][9] 42년 맥국 수장이 짐승을 헌상해 왔다.

유리 이사금 재위 기간 동안 가야 연맹이 군사 강국으로 부상했다. 신라는 백제와 경쟁 관계에 있었지만, 중간에 위치한 가야는 더욱 직접적인 위협이었다. 《삼국유사》는 42년에 이서국을 멸망시키고 고구려로부터 침공을 받았다고 하며, 《삼국사기》는 유리 이사금 시대에 신라가 이서국을 정복했다고 기록하고 있다.[10]

56년 금성에 용이 나타나고 큰 비가 내리는 등 자연재해가 발생했다. 57년, 유리 이사금은 병환으로 탈해를 후계자로 지명하고 세상을 떠났다.[22]

2. 1. 즉위 이전

삼국사기에 따르면, 김대문은 왕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사금은 방언으로 잇금을 뜻한다. 이전에 남해가 죽으려 할 때, 아들 유리와 사위 탈해에게 '내가 죽은 뒤 너희 박, 석 두 성씨 가운데 나이가 많은 사람이 왕위를 이을 일이다'라고 하였다."[14] 당시 탈해는 38세였으나, 유리의 나이는 기록되지 않아 알 수 없다. 탈해는 지혜가 많은 자는 잇금이 많다고 하니, 그것으로 왕위 계승자를 결정하자고 제안했고, 시험해보니 유리의 이 자국이 더 많아 유리가 왕이 되고 왕호를 이사금이라 하였다.[15]

유리는 신라 제2대 군주 남해와 왕비 운제부인의 아들이었다. 남해에게 형제가 얼마나 있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누이 아니공주가 있었다. 아니공주는 타파나국 출신의 석탈해와 결혼했다. 석탈해는 높은 관직에 올랐고, 남해는 아들 대신 그를 후계자로 선호하는 듯했다. 남해가 죽기 직전, 석탈해는 왕자(유리)의 즉위가 정당하다고 주장하며 유리에게 신라의 다음 군주가 되도록 하였다.

남해 차차웅이 기원 24년 9월 이후 사망했을 때, 유리는 태자였으나, 매제이자 대보였던 탈해의 덕망이 높아 왕위를 양보하려 했다. 탈해는 "성인은 이가 많다고 들었습니다. 당신과 내가 떡을 씹어보고, 이의 개수를 조사해 봅시다."라고 제안했고, 유리의 이가 더 많아 국인들이 유리를 왕으로 옹립하고 이사금이라 불렀다.

2. 2. 즉위 이후

25년, 친히 시조 묘에 제사를 지내고 죄수를 크게 사면했다.[16] 28년(즉위 5년)에는 홀아비, 과부, 고아, 늙고 병든 이들을 구휼했다.[17] 이 해에 백성들이 평안함을 기뻐하며 처음으로 「도솔가」를 지었는데, 이것이 가악(歌樂)의 시초라고 한다. 같은 해 11월, 관리를 보내 국내의 과부, 홀아비, 독신자, 노인 등에게 식량을 지급하여 부양하게 하니, 이웃 나라에서 신라로 이주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32년, 원래의 여섯 마을(육부)의 이름을 고치고 각 씨족에게 이, 최, 손, 정, 배, 설 등의 성씨를 하사했으며,[4][5][6] 17등의 관위를 정비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현대 학자들은 이것이 신라 초창기에 모두 이루어졌다는 것에 의문을 제기한다.

36년(즉위 13년) 음력 8월, 낙랑이 북쪽 변경을 침범하여 경기도 안성시 이죽면에 위치한 도산성을 빼앗았다.[18] 37년(즉위 14년) 고구려의 대무신왕이 낙랑국을 습격하여 멸망시키자, 낙랑 사람 5천 명이 와서 투항하였으므로 6부에 나누어 살게 하였다.[19] 이때 낙랑공주의 전설이 생겨났다.[7]

40년 9월, 가 다스리는 화려현, 불내현이 신라의 북변을 공격해 왔으나, 맥국이 출병하여 이 두 현의 군사를 물리쳤다. 유리 이사금은 이를 기뻐하여 맥국과 친교를 맺었다.[8][9] 42년 8월에는 맥국의 수장이 짐승을 헌상해 왔다.

유리 이사금 재위 기간 동안 신라 백성들은 음력 8월 15일에 명절을 지냈는데, 이때 두 팀의 여성들이 대결을 벌였다. 경기에서 진 팀은 송편, 떡, 고기, 과일 및 기타 음식을 준비해야 했고, 축제에 참여한 모든 사람들과 함께 나누었다. 이것이 현대 한국의 명절인 추석의 기원이라고 한다.

또한 유리 이사금 재위 기간 동안 가야 연맹이 이 지역의 군사 강국으로 부상했다. 신라는 이미 백제(또는 마한일 수도 있다)와 끊임없이 경쟁 관계에 있었지만, 중간에 위치한 가야는 더욱 직접적인 위협이었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42년에 이서국을 멸망시키고, 고구려로부터 침공을 받았다고 한다. 《삼국사기》는 유리 이사금 시대에 신라가 이서국을 정복했다고 기록하고 있다.[10]

2. 3. 외교 관계

36년(유리 이사금 13년) 음력 8월에 낙랑이 신라 북쪽 변경을 침범하여 타산성(朶山城)을 공격해 함락시켰다.[18] 37년(유리 이사금 14년) 고구려의 대무신왕이 낙랑을 습격하여 멸망시켰다. 이에 낙랑 사람 5천 명이 신라에 투항하여 6부에 나누어 살게 되었다.[19]

40년 9월, 낙랑에서 독립했던 가 다스리는 화려현, 불내현이 신라의 북변을 공격해 왔으나, 맥국이 출병하여 이 두 현의 군사를 물리쳤다. 유리 이사금은 이 일을 기뻐하여 맥국과 친교를 맺었다.[8][9] 42년 8월에는 맥국의 수장이 짐승을 헌상해 왔다.

유리 이사금 재위 기간 동안 가야 연맹이 이 지역의 군사 강국으로 부상했다. 신라는 이미 백제(또는 마한일 수도 있다)와 끊임없이 경쟁 관계에 있었지만, 중간에 위치한 가야는 더욱 직접적인 위협이었다.

2. 4. 말년

40년(즉위 17년) 가을 음력 9월에 화려현(華麗縣)과 불내현(不耐縣) 두 현의 사람들이 함께 모의하여 기병을 이끌고 북쪽 변경을 침범하였는데, 맥국(貊國)의 우두머리가 곡하(曲河)의 서쪽에서 군사로써 막아 물리쳤다. 유리 이사금은 기뻐하여 맥국과 우호를 맺었다.[20] 42년(즉위 19년) 가을 음력 8월에는 맥국의 거수(渠帥)가 사냥하여 얻은 새와 짐승을 바쳤다.[21]

56년(즉위 33년) 음력 여름 4월에 용이 금성의 우물에 나타나고, 얼마 있지 않아 갑작스럽게 비가 서북쪽으로부터 와서 쏟아졌다. 그 해 음력 5월에는 바람이 세차게 불어 나무가 뽑혔다.

57년(즉위 34년) 가을 음력 9월에 유리 이사금은 병환이 들자 신료들에게 '탈해는 그 신분이 임금의 척족(戚族)이고 지위가 보필하는 신하의 자리에 있으며 여러 번 공과 명성을 드러내었다. 짐(朕)의 두 아들은 재주가 그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 내가 죽은 후에 그로 하여금 왕위에 오르게 할 것이니, 나의 유훈을 잊지 말라.'며 유언을 남겼다. 같은 해 겨울 음력 10월에 왕이 돌아가시니 사릉원(蛇陵園) 안에 장사지냈다.[22] 유리 이사금은 두 아들을 두었지만, 임종 시 매형인 석탈해를 왕위 계승자로 지명했다.[11]

3. 가계

항목내용
조부혁거세 거서간
조모알영부인
부왕남해 차차웅
모후운제부인
동생박나로
누이아효부인 (탈해 이사금에게 출가)
매제탈해 이사금
부인이리생부인 (일지 갈문왕의 딸)
장남일성 이사금
부인차비 김씨(次妃 金氏) (사요 갈문왕의 딸)
차남파사 이사금
장녀석걸숙에게 출가


4. 문화적 유산

유리 이사금은 즉위 이듬해인 25년에 시조 묘에 직접 제사를 지내고 죄수를 크게 사면했으며,[16] 28년(즉위 5년)에는 홀아비, 과부, 고아, 늙고 병든 이들을 구휼했다.[17]

즉위 9년에는 진한 6부의 이름을 고치고 성씨를 내렸는데, 이는 신라가 진한에서 영향력이 커졌음을 보여준다. 또한 삼국사기에 따르면 관위 17등급을 정리했는데, 삼국사기에는 17등급이 전부 이때 정해진 것처럼 기록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유리 이사금이 그 기틀을 다지고 후에 제도를 손봐 17등급이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4. 1. 도솔가와 가배

28년(즉위 5년)에 백성들이 평안함을 기뻐하며 처음으로 「도솔가」를 지었으니, 이것이 가악(歌樂)의 시초이다.[17]

유리 이사금은 국내에 위무(慰撫)의 은혜를 베풀었고, 이 일에 기뻐한 국민들이 도솔가를 지었다고 하며, 이것이 신라 최초의 가악(歌樂)으로 여겨진다. 또한, 육부(六部)를 개편한 후, 육부를 둘로 나누어 각각 왕녀를 배치하여 두 팀으로 나누었다. 음력 7월 16일부터 음력 8월 15일까지 두 팀이 서로 삼[麻]을 잣게 하여, 어느 쪽이 더 많이 만들 수 있는지 경쟁을 시켰다. 진 쪽이 이긴 쪽에 음식을 바치고, 모두 함께 노래하고 춤을 추는 가배라는 축제가 되었다. 진 쪽이 감탄하여 내는 "회소(会蘇)"라는 음색이 애처로우면서도 멋이 있었으므로, 이 음색에 연유한 회소곡이라는 노래가 만들어졌다.

4. 2. 회소곡

육부를 개편한 후, 육부를 둘로 나누어 각각 왕녀를 배치하여 두 팀으로 나누고, 음력 7월 16일부터 음력 8월 15일까지 두 팀이 서로 삼[麻]을 잣게 하여, 어느 쪽이 더 많이 만들 수 있는지 경쟁을 시켰다. 진 쪽이 이긴 쪽에 음식을 바치고, 모두 함께 노래하고 춤을 추는 가배라는 축제가 되었다. 진 쪽이 감탄하여 내는 "회소(会蘇)"라는 음색이 애처로우면서도 멋이 있었으므로, 이 음색에 연유한 회소곡이라는 노래가 만들어졌다.

참조

[1] 웹사이트 Yuri of Silla https://ko.m.wikiped[...]
[2] 문서 Samguk yusa
[3] 문서 Samguk sagi and Samguk yusa
[4] 문서 Saro's six divisions and surnames
[5] 문서 Appearance of the surname
[6] 문서 Silla's foundation and Six-clans of Gojoseon
[7] 문서 삼국사기, 유리 이사금 14년
[8] 문서 삼국사기, 유리 이사금 13년
[9] 문서 삼국사기, 유리 이사금 17년
[10] 문서 Yurye of Silla
[11] 뉴스 신라 : 3대 유리 이사금, 건치를 이유로 https://www.su-wan.c[...] 수완뉴스 2020-01-22
[12] 웹사이트 네이버 사전, 지길 https://terms.naver.[...]
[13] 서적 삼국사기 권제1 유리 이사금 조 삼국사기 1145
[14] 서적 삼국사기 권제1 유리 이사금 조 삼국사기 1145
[15] 서적 삼국사기 권제1 유리 이사금 조 삼국사기 1145
[16] 서적 삼국사기 권제1 유리 이사금 조 삼국사기 1145
[17] 서적 삼국사기 권제1 유리 이사금 조 삼국사기 1145
[18] 서적 삼국사기 권제1 유리 이사금 조 삼국사기 1145
[19] 서적 삼국사기 권제1 유리 이사금 조 삼국사기 1145
[20] 서적 삼국사기 권제1 유리 이사금 조 삼국사기 1145
[21] 서적 삼국사기 권제1 유리 이사금 조 삼국사기 1145
[22] 서적 삼국사기 권제1 유리 이사금 조 삼국사기 114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