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의 신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화의 신전은 로마 제국 시대에 건설된 건축물로, 현재는 유적만 남아있다. 74년 베스파시아누스 황제에 의해 건설이 시작되어, 유대 전쟁 승리 후인 75년에 완공되었으며, 도미티아누스 황제 시대에 포룸 전체가 완성되었다. 유대-로마 전쟁에서 얻은 전리품과 네로 시대에 수집된 조각상들로 장식되었으며, 192년 화재로 파괴된 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에 의해 재건되었다. 4세기에는 기독교 황제들의 칙령으로 폐쇄되었으며, 410년 알라리크 1세의 로마 약탈로 인해 피해를 입고 재건되지 못했다. 19세기 고고학자 안토니오 니비에 의해 막센티우스 바실리카와 구별되어 그 실체가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스파시아누스 - 콜로세움
콜로세움은 플라비우스 원형 경기장이라고도 불리는 고대 로마의 원형 경기장으로, 검투사 경기와 야수 사냥을 위해 플라비우스 왕조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네로 황제의 동상인 콜로서스 근처에 위치하여 현재는 로마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가 되었다. - 베스파시아누스 - 네 명의 황제의 해
68년 네로 황제 자살 후 69년, 갈바, 오토, 비텔리우스, 베스파시아누스 네 명의 황제가 잇달아 즉위하며 로마 제국에 혼란이 야기되었고, 이는 정치적 불안정과 군사적 개입을 심화시킨 사례로 평가받는다. - 로마 신전 - 판테온 (로마)
판테온은 고대 로마 건축물로, 돔과 주랑 현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18년부터 128년 사이에 하드리아누스 황제에 의해 재건되었고, 로마의 모든 신들을 위한 신전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가톨릭 성당으로 사용된다. - 로마 신전 - 베스타 신전
로마 포룸에 위치한 베스타 신전은 화로의 여신 베스타에게 봉헌된 원형 신전으로, 누마 폼필리우스에 의해 처음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며, 베스타 여사제들이 신성한 불을 관리하고 로마의 중요한 문서들을 보관하는 장소였으나 여러 차례 파괴 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시기에 재건되었고 현재 유적은 무솔리니 정권 하에 재건된 것이다.
평화의 신전 | |
---|---|
일반 정보 | |
![]() | |
좌표 | 41° 53′ 36″ N, 12° 29′ 05″ E |
다른 이름 | 로마자 표기: Templum Pacis 로마자 표기: Forum Vespasiani |
상세 정보 | |
위치 | 황제들의 포룸 |
건설 시기 | 기원후 75년 (평화의 신전 부분 완공) |
건설 주체 | 베스파시아누스 황제 |
유형 | 포룸 |
2. 역사
로마 제국의 제9대 황제 베스파시아누스에 의해 74년 건설이 시작되어, 유대 전쟁에서 승리한 다음 해인 75년에 평화의 신전 부분이 완성되었다. 포룸 전체의 완성은 제11대 황제 도미티아누스 시대였다. 평화와 질서의 여신 팍스 아우구스타를 모신 ''평화의 신전''을 건설한 것은 네로 사후의 내란(로마 내전)을 종결시키고, 유대 전쟁에서 승리하여 로마 제국에 질서를 회복한 것을 기념하는 것이기도 했다.[11][12]
포룸은 중앙의 정원을 둘러싼 3면이 아스완산 붉은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원주를 사용한 열주랑[12]으로, 유대 전쟁에서 예루살렘에서 가져온 전리품으로 장식되었다.[13] 그 중에는 유대교의 상징적 존재인 7개의 촛대 메노라도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11]
192년(문헌에 따라 191년[13])의 화재로 피해를 입었다.
현재 베스파시아누스의 포룸이 있었던 장소는 대부분 포리 임페리얼리 거리로, 건물의 벽 일부만 지표면에 나타나 있을 뿐이다. 또한 황제들의 포럼 내 다른 포룸처럼, 건조자의 동상이 세워져 있지도 않다.
2. 1. 건설 배경
스타티우스는 평화의 신전 건설이 베스파시아누스가 아닌 도미티아누스 황제에게서 비롯되었다고 했으며, 이 문제는 오늘날 고고학계에서도 논쟁거리이다.[1] 신전은 한 세기가 넘는 기간 동안 로마에 건설된 기념비적인 포룸인 황제들의 포룸의 일부이다. 평화의 신전은 정치적 기능을 했다는 증거가 없어 공식적으로는 포룸으로 여겨지지 않기 때문에 신전이라 불린다.이 거대한 건축물을 짓기 위한 비용은 유대-로마 전쟁 기간 베스파시아누스의 예루살렘 약탈에서 충당하였다. 내부와 주변 시설물은 로마군이 그곳에서 수집한 보물들로 장식되었다.[16] 대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네로가 도무스 아우레아를 장식하기 위해 그리스와 소아시아에서 가져온 조각상들 역시도 평화의 신전에 있었다고 한다. 그중에는 폴리클레이토스, 페이디아스, 아르고스의 나우키데스, 미론, 레오카레스 등의 그리스 조각가들의 작품들이 있었다. 세베루스 왕조 시대의 기단, 레오카레스의 '가니메데'과 폴리클레이토스의 '피토클레스' 등 조각상들의 비문이 현재까지 남아 있다.[17]
베스파시아누스가 주요 장군이자 이후에 제1차 유대 전쟁 기간에 황제로 임명되었기에, 평화의 신전은 지도자로서 그에게 특히나 중요하였다. 거대하고 주요한 이 기념물은 영향력 있고 강인한 황제라는 선전에 필수적이었으며, 베스파시아누스가 제국에 가져올 수 있는 평화와 번영의 상징이었다.
2. 2. 주요 특징
평화의 신전은 정치적 기능을 했다는 증거가 없어 공식적으로 포룸으로 여겨지지 않고 신전이라 불린다. 대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네로가 황금 궁전을 장식하기 위해 그리스와 소아시아에서 가져온 조각상들 역시도 평화의 신전에 있었다고 한다. 그 중에는 폴리클레이토스, 페이디아스, 아르고스의 나우키데스, 미론, 레오카레스 등의 그리스 조각가들의 작품들이 있었다.[17][5] 세베루스 왕조 시대의 기단, 레오카레스의 '가니메데'와 폴리클레이토스의 '피토클레스' 등 조각상들의 비문이 현재까지 남아 있다.[17][5]2. 3. 훼손과 재건
평화의 신전은 192년 2월 화재로 파괴되었다.[18][6] 이후 203년경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가 재건하였다.[18][6] 신전은 1세기 뒤에 다시 리모델링되었고, 357년에 로마를 방문한 콘스탄티누스 2세 황제는 신전에 감탄하였다.[18][6]2. 4. 쇠퇴와 폐쇄
4세기경, 후기 로마 제국의 이교도 박해 기간 중 기독교도 황제들이 모든 비기독교 종교에 대한 숭배와 신전 시설들을 금지하는 칙령을 내리면서 폐쇄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9]410년 알라리크 1세의 로마 약탈 당시에 피해를 입었고 이후에 다시는 재건되지 못하였다.[20] 역사가 프로코피우스는 알라리크가 솔로몬의 에메랄드 장식 보물을 약탈했다고 기록하는데, 학자 로버트 코츠-스테판스는 이 보물이 플라비우스의 원래 전리품의 주요 부분을 구성했기 때문에, 이 단지에 보관되었음에 틀림없다고 믿는다.[9]
안토니오 니비가 19세기에 신전의 실체를 제대로 규명해내기 전까지, 인접한 막센티우스 바실리카가 평화의 신전이라 오랜 기간 믿어졌다.[21] 4세기에는 평화의 신전으로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장인의 공방이 들어서게 된다. 신전의 역할은 인접하여 새로 건설된 막센티우스 바실리카로 옮겨졌다.
3. 신전의 구조
3세기 신전 내부 벽에 걸려있던 포르마 우르비스 덕분에 신전의 구조와 배치에 대해 많은 것이 알려져 있다.[1] 신전은 넓은 포르티코 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애프스로 이뤄져 있었고, 기둥은 중심부의 비포장이고 풀로 이뤄진 지역과 신전을 분리하였다. 이는 보통 포장이 되어 있던 대부분의 다른 포룸들과는 달랐다.[1]
3. 1. 구조적 특징
오늘날 로마에는 평화의 신전에 아주 적은 양의 잔해만이 있을 뿐이지만, 3세기 신전 내부 벽에 걸려있던 로마에 대한 거대하고 상세한 대리석 지도인 포르마 우르비스 덕에 신전의 구조와 배치에 대해서 많은 것이 알려져 있다.[1] 신전은 넓은 포르티코 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애프스로 이뤄져 있다.[1] 기둥은 신전을 중앙의 포장되지 않은 풀밭 지역과 분리했는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포장되었던 다른 대부분의 포룸과는 달랐다.[1] 이 지역에는 아마도 정원, 연못, 조각상, 그리고 예루살렘 정복 동안 얻은 다른 보물들이 있었을 것이다.[1]3. 2. 내부 시설
이 지역에는 정원, 연못, 조각상, 그리고 유대 전쟁에서 예루살렘을 정복하며 획득한 다른 보물들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둥들은 신전을 중앙의 포장되지 않은 풀밭 지역과 분리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포장되었던 다른 대부분의 포룸과는 다른 점이었다.[11] 유대 전쟁에서 예루살렘에서 가져온 전리품으로 장식되었으며, 그중에는 유대교의 상징적인 존재인 7개의 촛대 메노라도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13] 현재 베스파시아누스의 포룸이 있던 장소는 대부분 포리 임페리얼리 거리로 덮여 있고, 건물의 벽 일부만 지표면에 남아 있다.4. 현대의 모습
현재 베스파시아누스의 포룸이 있던 장소는 대부분 포리 임페리얼리 거리이며, 건물 벽의 일부만 지표면에 남아 있다. 또한 황제들의 포럼 내 다른 포룸과 달리, 건조자의 동상은 세워져 있지 않다.[11]
참조
[1]
서적
The Temple of Peace in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2017). Two volumes, 1,107 pages, 263 color and 87 b&w illustrations. Volume 1: Art and Culture in Imperial Rome (ISBN 978-1-107-16247-1). Volume 2: Remodelings, Conversions, Excavations (ISBN 978-1-107-16254-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11-16
[2]
서적
For the Freedom of Zion: the Great Revolt of Jews against Romans, 66-74 CE
Yale University Press
2021
[3]
논문
Domitian, the Argiletum and the Temple of Peace
1982-01-01
[4]
웹사이트
Temple of Peace
http://archive1.vill[...]
2015-11-10
[5]
서적
Rome and Environs: An Archaeological Guid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
문서
The Temple of Peace in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문서
Christianizing The Roman Empire A.D.100-400
Yale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Fall of the Western Roman Empire
Bloomsbury Academic
2011
[9]
논문
Statue Museums in Late Antique Rome
https://www.jstor.or[...]
2017
[10]
문서
[11]
웹사이트
平和の神殿
http://forumpacis.ju[...]
[12]
웹사이트
James Grout Encyclopaedia Romana: Forum of Vespasian
https://penelope.uch[...]
[13]
웹사이트
LacusCurtius : Templum Pacis
https://penelope.uch[...]
[14]
서적
The Temple of Peace in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2017). Two volumes, 1,107 pages, 263 color and 87 b&w illustrations. Volume 1: Art and Culture in Imperial Rome (ISBN 978-1-107-16247-1). Volume 2: Remodelings, Conversions, Excavations (ISBN 978-1-107-16254-9)
https://books.google[...]
2017-11-16
[15]
간행물
Domitian, the Argiletum and the Temple of Peace
https://archive.org/[...]
1982-01-01
[16]
웹인용
Temple of Peace
http://archive1.vill[...]
2015-11-10
[17]
서적
Rome and Environs: An Archaeological Guid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
문서
The Temple of Peace in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문서
Christianizing The Roman Empire A.D.100-400
Yale University Press
[20]
서적
The Fall of the Western Roman Empire
2011
[2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