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파시아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스파시아누스는 서기 9년에 태어나 69년부터 79년까지 로마 제국을 통치한 황제이다. 그는 플라비아 가문 출신으로, 유대 전쟁을 진압하고 네로 사후 혼란기에 황제로 추대되었다. 황제 즉위 후 내전을 수습하고 권력을 강화했으며, 재정 개혁을 통해 로마의 재정을 건전화했다. 콜로세움 건설을 시작하는 등 로마 재건과 도시 미화를 위한 사업을 추진했으며, 유머 감각과 소탈한 성품으로 백성들에게 관대하고 자비로운 통치를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베스파시아누스 | |
---|---|
기본 정보 | |
![]() | |
로마자 표기법 | Titus Flavius Vespasianus |
출생 이름 | 티투스 플라비우스 베스파시아누스 |
출생일 | 9년 11월 17일 |
출생지 | 팔라크리나, 이탈리아 |
사망일 | 79년 6월 23일 (69세) |
사망 장소 | 아쿠아이 쿠틸라이 |
매장지 | 로마 |
배우자 | 도미틸라 (대) (69년 이전 사망) 카에니스 (정부, 아내 사망 후 첩 ) |
자녀 | 티투스 도미틸라 (소) 도미티아누스 |
왕조 | 플라비우스 |
아버지 | 티투스 플라비우스 사비누스 |
어머니 | 베스파시아 폴라 |
통치 | |
로마 황제 | 재위 시작: 69년 7월 1일 재위 종료: 79년 6월 23일 |
선임자 | 비텔리우스 |
후임자 | 티투스 |
황제 칭호 |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베스파시아누스 아우구스투스 |
로마자 표기법 (언어별) | |
라틴어 | Vespasianus |
기타 정보 | |
발음 (영어) | /vɛˈspeɪʒ(i)ən/, /-ziən/ |
발음 (라틴어) | /wɛspasiˈaːnʊs/ |
2. 가족관계와 초기 생애
플라비아 가문(Flavia gens) 출신인 베스파시아누스는 서기 9년, 로마 북동쪽 팔라크리나이(Falacrinae) 마을에서 태어났다.[8] 아버지는 아시아 속주의 징세청부인 티투스 플라비우스 사비누스였고, 어머니는 베스파시아 폴라(Vespasia Polla)였다.[9] 베스파시아 폴라의 아버지는 진영 장관을 지냈고, 오빠는 원로원 의원을 지낸 명망있는 집안이었다.[9]
베스파시아누스는 로마 제국의 권력 최상층에 오르기 어려운 신분이었으나, 치밀함과 부지런함으로 자신의 신분을 끌어올린 탁월한 능력을 가진 인물이었다. 그는 형을 따라 공직에 입문하여, 36년 트라키아 지방에서 장교로 군 복무를 시작했다. 이듬해 회계 감사관으로 선출되어 크레타 섬과 키레네에서 복무했다. 39년 조영관직을 거친 후 40년 법무관에 선출되었다.
베스파시아누스는 형인 티투스 플라비우스 사비누스와 달리 오늘날 안세도니아(Ansedonia), 이탈리아 근처의 코사(Cosa) 시골에서 외할머니 슬하에서 자랐다. 훗날 황제가 된 후에도 어린 시절의 장소를 종종 방문했고, 옛 빌라를 그대로 남겨두었다고 한다.[10]
그는 페렌티움 출신 플라비우스 리베랄리스의 딸이자, 아프리카(로마 속주) 사브라타 출신 로마 기사 스타틸리우스 카펠라의 전 애첩이었던 플라비아 도미틸라와 결혼했다.[58] 슬하에 두 아들 티투스 플라비우스 베스파시아누스(티투스) (39년 출생)와 티투스 플라비우스 도미티아누스(도미티아누스)(51년 출생), 그리고 딸 도미틸라(약 45년 출생)를 두었다. 그의 아내 도미틸라와 딸 도미틸라는 베스파시아누스가 황제가 되기 전인 69년에 모두 사망했다. 아내가 죽은 후, 베스파시아누스는 오랫동안 그의 애첩이었던 안토니아 카이니스를 정식 혼인 절차 없이 아내로 맞이했고, 75년 그녀가 죽을 때까지 그 관계가 계속되었다.[9]
3. 군사 및 정치 경력
41년 클라우디우스 황제가 즉위했을 때, 베스파시아누스는 황제의 가신이었던 해방 노예 나르키소스의 천거로 게르마니아에 있는 제2군단 아우구스타의 군단장에 임명되었다. 43년, 브리타니아 정복에 참여하여 큰 공을 세웠다. 그는 남서부 지역을 정복하고, 남해안의 항구와 항만을 확보했으며, 콘월의 주석 광산과 서머싯의 은과 납 광산을 장악하려는 목표를 추진했을 가능성이 높다. 벡티스(현재의 와이트 섬)를 침략하고, 이스카 덤노니오룸(엑세터)에 요새와 군단 본부를 설치하기도 했다. 이러한 성공으로 그는 로마로 돌아왔을 때 개선식 장식을 받았다.[12]
51년에 집정관직을 맡았으나, 소 아그리피나의 견제로 한동안 공직에서 물러났다. 63년 아프리카 속주 총독으로 복귀했는데, 타키투스는 그의 통치를 "악명 높고 혐오스러웠다"고 평가했지만, 수에토니우스는 "정직하고 매우 존경할 만한" 인물이었다고 평가했다. 베스파시아누스는 북아프리카에서 돈 대신 친구를 사귀는 데 시간을 보냈고,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노새 무역에 뛰어들어 "무리오"(노새 상인)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13]
네로의 수행원으로 그리스를 순방했지만, 황제의 리라 연주 중에 잠이 들어 황제의 총애를 잃고 정치적 암흑기에 처하게 되었다.
3. 1. 유대 전쟁
66년, 베스파시아누스는 유대에서 열심당이라는 유대교 민족주의 세력에 의해 발생한 유대인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파견되었다.[65] 이 전투로 이전 총독은 사망했고, 시리아 총독 케스티우스 갈루스는 질서 회복을 시도하다 격파당했다.[14] 베스파시아누스는 두 개의 군단, 8개의 기병 중대, 10개의 보조군 코호르트를 이끌고 유대로 향했으며, 그의 장남 티투스는 알렉산드리아에서 다른 군대를 이끌고 합류했다.[14]
베스파시아누스는 지략과 용맹으로 유대 북부 갈릴래아 지역을 점령하고, 요다파트 포위 공격에서 유대인 저항 지도자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를 포로로 잡았다.[65] 요세푸스는 이후 로마 시민권을 얻고 베스파시아누스의 후원자가 되었으며, 로마와 유대 간의 화해를 모색했고, 그리스어로 유대인의 역사를 기록했다.[65][14] 로마군은 유대에 대한 통제권을 재확립하는 과정에서 수천 명의 유대인을 살해하고 많은 마을을 파괴했으며, 70년에는 예루살렘을 점령했다.[14] 요세푸스는 자신의 저서 ''유대 고대사''에서 베스파시아누스를 공정하고 인도적인 관리로 묘사하며, 헤로데 아그리파 2세와 대조를 이루었다.[14]
요세푸스는 베스파시아누스가 제10 프레텐시스 군단(Legio X Fretensis)과 함께 예리코를 파괴한 후, 수영을 못하는 유대인들을 결박하여 사해에 던져 부력을 시험했다고 기록했다. 실제로 포로들은 물에 던져진 후 표면으로 떠올랐다.[14]
요세푸스는 예루살렘과 제2 성전이 함락될 시기에 유대 민족에서 나온 한 사람이 "거주 가능한 땅의 총독"이 될 것이라는 성경의 예언(메시아 참조)을 베스파시아누스의 통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했다.[14] 타키투스도 이 예언이 베스파시아누스와 티투스를 언급한 것에 동의했지만, 평민들은 이를 자신들의 것으로 해석했다고 말했다.[15]
4. 네 황제의 해와 즉위 (69년)
68년 네로의 죽음 이후, 로마는 단명한 황제들의 계승과 1년간의 내전을 겪었다. 갈바는 오토의 지지자들에 의해 암살되었고, 오토는 비텔리우스에게 패했다. 다른 후보를 찾던 오토의 지지자들은 베스파시아누스를 지지하기로 결정했다.[16]
베스파시아누스와 티투스는 69년 2월에 황제 자리를 놓고 다투기로 결정했지만, 그 해 후반까지는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69년 초, 베스파시아누스는 동방의 장군들과 자주 회의를 가졌다. 가이우스 리키니우스 무키아누스는 주목할 만한 동맹자였다. 시리아 총독이자 3개 군단의 사령관이었던 무키아누스는 네로 시대 장군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코르불로를 섬겼던 덕분에 일리리쿰부터 브리타니아까지 로마의 가장 강력한 군 지휘관들과 정치적 관계를 맺고 있었다. 69년 5월, 무키아누스는 베스파시아누스에게 비텔리우스에게 도전할 것을 공식적으로 간청했다. 그의 호소는 7월 초 베스파시아누스가 황제로 공식 선포되는 것으로 이어졌다. 티베리우스 알렉산더 총독의 지시에 따라 알렉산드리아의 군단은 7월 1일에 베스파시아누스에게 충성 서약을 했다. 이들은 7월 3일에 베스파시아누스의 유대 군단, 그 후 7월 15일에 무키아누스의 시리아 군단에 의해 신속하게 뒤따랐다.[17]
왕좌를 차지한 비텔리우스는 갈리아와 라인란트의 베테랑 군단을 거느리고 있었다. 그러나 베스파시아누스를 지지하는 여론이 빠르게 확산되었고, 모이시아, 파노니아, 일리리쿰의 군대는 곧 그를 지지했고, 그를 로마 세계의 절반의 ''사실상'' 지배자로 만들었다.[18]
베스파시아누스 자신은 이집트에서 곡물 공급을 확보하는 동안, 그의 군대는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프리무스의 지휘 아래 북동쪽에서 이탈리아로 진입했다. 그들은 메바니아에서 그를 기다리고 있던 비텔리우스의 군대를 베드리아쿰(또는 베트리아쿰)에서 패배시키고, 크레모나를 약탈하고 로마로 진격했다. 비텔리우스는 안토니우스와 서둘러 평화 협정을 맺었지만, 황제의 프라이토리안 근위대는 그가 자리를 유지하도록 강요했다. 격렬한 전투 끝에 안토니우스의 군대가 로마에 진입했다. 그 결과 발생한 혼란 속에서 카피톨리움이 화재로 파괴되었고 베스파시아누스의 형제 사비누스가 폭도들에게 살해당했다.[18]
알렉산드리아에서 라이벌의 패배와 죽음에 대한 소식을 접한 새로운 황제는 즉시 로마에 긴급히 필요한 곡물을 보내고, 특히 반역죄와 관련된 네로의 법률을 폐지할 것이라는 칙령을 발표했다.[18]
66년 팔레스타인에서 반란(유대 전쟁)이 일어나자, 베스파시아누스는 군사령관으로 그곳에 파견되었다. 폭동 자체는 시리아 총독 무키아누스에 의해 진압되었지만, 베스파시아누스는 아들 티투스와 함께 유대인 반란 세력을 진압했고, 이때 요세푸스를 만났다. 68년 네로가 황제 자리에서 쫓겨나 자살하고, 시대는 내전 시대로 접어들었다.
갈바, 오토, 비텔리우스 등 황제가 난립하여 서로 싸우는 와중에, 베스파시아누스는 무키아누스의 지지 아래 시리아 속주 군단을 자기 편으로 만들었다. 69년, 카이사리아에서 이집트 속주 군의 지지, 그리고 이어 유대 속주의 지지를 얻었다. 무키아누스는 도나우 군단 등에 의해 스스로 황제로 추대되었으나 이를 거절하고, 베스파시아누스를 지지했다. 서민 출신 베스파시아누스와 엘리트 군인, 귀족인 무키아누스는 여러 차례 서로 대립했지만, 무키아누스는 베스파시아누스를 추대하고 계속 지지했다. 이 두 사람 사이를 항상 중재한 것은 베스파시아누스의 아들 티투스였다고 전해진다.
당시 로마 황제 비텔리우스는 갈리아, 라인란트 등 (라인강 방어선) 로마 군대 중 강력한 군단을 지배하고 있었다. 유대의 저항 세력과 교착 상태에 있던 베스파시아누스는 서두르지 않고, 먼저 제국의 식량 공급의 요지였던 이집트를 장악한다. 그리고 모이시아, 파노니아(다뉴브강 방어선)의 지지를 얻어 사실상 비텔리우스에 대항할 수 있는 세력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베스파시아누스는 무키아누스와 부하 프리무스를 이탈리아로 침공시킨다. 무키아누스가 발칸반도를 북상하면서 저항 세력을 격파하는 동안, 프리무스가 이끈 도나우 군단은 비텔리우스의 군대를 격파하고 크레모나를 점령하며, 군대는 로마로 진입했다. 원로원은 프리무스에게 집정관의 직책을 주려고 했지만, 그는 로마 시내의 혼란을 제어할 수 없었다. 이때 로마의 혼란 중에 베스파시아누스의 형 사비누스는 살해되었다. 며칠 후 무키아누스가 로마에 입성하고 이 혼란은 수습되었다. 베스파시아누스가 로마에 들어올 때까지 무키아누스가 사원 재건 등 로마의 통치를 맡았다. 이후에도 무키아누스는 여러 차례 집정관에 취임하여 황제의 통치를 도왔다.
5. 황제로서의 통치 (69년 - 79년)
베스파시아누스는 즉위하면서 자신의 이름에 "카이사르"와 "아우구스투스"를 추가했는데, 이는 이후 황제들의 관례가 되었다.[64]
네로 시대와 그 이후 세 명의 황제가 연이어 즉위했던 혼란기로 인해 로마의 재정은 파탄 직전에 놓여 있었다. 베스파시아누스는 재정 건전화를 위해 25년 만에 인구 조사를 실시하여 정확한 국민 수를 파악하고, 조세를 공정하고 엄격하게 부과했다. 국유지 임대 제도를 개선하여 지대를 제대로 징수하도록 했고, 속주로부터의 세금도 인상했다. 이 때문에 속주 백성들은 베스파시아누스를 도둑이라고 불렀다고 한다.[64] 74년에는 유료 공중화장실을 설치하여 재정을 확충했다.[64] 이에 대해 사람들의 조롱이 있었지만, 베스파시아누스는 "페쿠니아 논 올레트(Pecunia non olet)" (돈은 냄새가 나지 않는다)라는 유명한 말로 응수했다.[64]
베스파시아누스는 동방 등 변경 지역 통치를 위해 자신의 측근이나 유능한 인물을 임명했고, 원로원 의원으로도 동방 속주 출신 인물을 적극 등용했다. 아우구스투스 이래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황제들에게 주어졌던 권한을 자신에게 부여하는 「베스파시아누스의 권한에 관한 법률」(황제법)을 원로원에 제정시켜 통치의 법적 기반을 마련했다. 한편, 원로원에 관습적으로 주어졌던 황제 탄핵권을 부정하여 권력의 균형이 무너졌다고 여겨진다.
66년부터 유대 전쟁을 담당했고, 70년 아들 티투스가 예루살렘을 함락, 74년 플라비우스 실바가 마사다 요새를 함락시켜 전쟁을 종결했다. 긴축 재정을 실시했지만, 75년에 콜로세움 건설을 시작했다. 그러나 대규모 공사였기 때문에 베스파시아누스 생전에는 완성되지 않았다.
5. 1. 내전 수습과 권력 강화
베스파시아누스는 로마 제국의 혼란을 수습하고 황제로서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여러 정책을 펼쳤다. 우선, '베스파시아누스의 명령권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율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왕조의 황제들과 같은 권한을 부여받는 법적 기반을 마련했다.[64] 이 법은 원로원의 황제 탄핵권을 부정하여 황제와 원로원 사이의 권력 균형을 무너뜨렸다.[64]군대 개혁도 단행했다. 네로 사후 내전 상황에서 비텔리우스에게 충성했던 병사들을 해임하거나 처벌하고, 군대를 재편하여 자신의 권력을 공고히 했다.[33] 또한, 원로원과 기사 계급을 재편하여 반대파를 제거하고 자신의 지지 세력을 확대했다.[34] 그리스 속주의 지역 자치를 폐지하기도 했다.[35]
유대 항쟁을 진압한 것도 권력 강화에 기여했다. 70년 아들 티투스가 예루살렘을 함락하고, 74년에는 마사다 요새까지 함락하여 유대 항쟁을 완전히 진압했다.[65]
베스파시아누스는 자신의 통치를 정당화하고 이전 황제들과 차별화하기 위한 선전 활동도 적극적으로 펼쳤다. 그는 권위와 위엄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극복하기 위해[36] 승리 신학을 이용하고, 군사적 승리와 평화를 기념하는 동전을 주조했다.[38][39] 또한, 건설 프로젝트에 자신을 칭찬하고 이전 황제들을 비난하는 비문을 새겼으며, 평화의 신전을 건설했다.[40] 자신에게 우호적인 역사서를 승인하고, 작가들에게 재정적 보상을 제공하여 여론을 관리했다.[41][42] 반면, 자신에게 반대하는 스토아파 철학자들을 추방하거나 처형하는 등 반대파를 탄압했다.[45][46]

5. 2. 재정 개혁
베스파시아누스는 네로 시대와 세 명의 황제가 단명했던 혼란기로 인해 파탄 직전이었던 로마의 재정을 복구하기 위해 노력했다.[64] 25년 동안 시행되지 않았던 인구 조사를 다시 실시하여 국민의 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조세를 공정하고 엄격하게 부과했다.[64] 또한 국유지 임대 제도를 개선하여 지대가 제대로 징수되도록 했으며, 속주로부터의 세금을 인상했다. 이 때문에 속주 백성들은 베스파시아누스를 도둑이라고 불렀다고 한다.[64]74년에는 유료 공중화장실을 설치하여 재정 확충에 힘썼다.[64] 이에 대해 반대하는 사람들의 조롱이 있었지만, 베스파시아누스는 "돈에서는 냄새가 나지 않는다(페쿠니아 논 올레트(Pecunia non olet))"라는 유명한 말로 응수했다.[64] 이 말은 돈에는 귀천이 없음을 뜻하는 문구가 되었다.[64] 아들 티투스가 이 세금에 대해 "냄새나는 화장실에 세금을 매기다니요"라며 반대했을 때도, 베스파시아누스는 화장실 세금으로 거둔 금화를 티투스의 코에 대고 "이 금화에서 어디, 냄새가 나느냐?"라고 물었다고 한다.[64] 현재까지도 유럽의 공중화장실은 베스파시아누스의 이름(또는 각국의 언어로 번역된 그의 이름)으로 불린다.[64]
베스파시아누스가 설치한 공중화장실은 용변을 보는 사람에게 요금을 받은 것이 아니라, 모은 오줌을 가죽 가공업자들에게 돈을 받고 팔았던 것이다.[64] 당시에는 양털의 기름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사람의 오줌을 사용했기 때문이다.[64]
5. 3. 건설 사업
베스파시아누스는 내전 이후 로마 재건에 힘썼다. 그는 평화의 신전과 신격화된 클라우디우스 신전을 건설했다.[34] 75년에는 네로 시대에 시작된 거대한 아폴론 상을 세우고 마르켈루스 극장의 무대를 봉헌했다. 또한 예루살렘 함락 후 유대 성전 약탈품 자금을 사용하여 콜로세움 건설을 시작했으나,[47] 대규모 공사였기 때문에 베스파시아누스 생전에는 완성되지 못하고, 그의 아들 티투스 시대에 완공되었다.5. 4. 기타 업적
- 브리타니아에서 로마의 지배를 강화했다. 총독 마르쿠스 베티우스 볼라누스에 맞서 반란을 일으킨 마르쿠스 로스키우스 콜리우스를 대신하여 제20 발레리아 빅트릭스 군단의 지휘권을 아그리콜라에게 맡겼다. 아그리콜라는 군단의 규율을 바로잡고 로마의 지배를 강화하는 데 이바지했다.[51] 71년에 볼라누스는 더 공격적인 총독인 퀸투스 페틸리우스 케리아리스로 교체되었고, 아그리콜라는 북쪽 영국에서 브리간테스족에 대한 원정에서 지휘관으로서 재능을 보여줄 수 있었다.
- 철학자들을 불신했다. 로마 공화정을 찬양하기 좋아하는 철학자들의 이야기 때문에, 예방 조치로 이 직업에 대한 시대에 뒤떨어진 형벌법을 부활하게 만들었다. 헬비디우스 프리스쿠스만이 황제를 반복적으로 모욕하여 격분시킨 후 처형당했다. 베스파시아누스는 처음에는 이를 무시하려 했다.[52] 철학자 데메트리우스는 섬으로 유배되었고, 베스파시아누스는 그가 여전히 자신을 비판하고 있다는 것을 듣고 유배된 철학자에게 "당신은 나를 죽이도록 모든 것을 하고 있지만, 나는 짖는 개를 죽이지 않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보냈다.[53]
- 문학과 예술을 후원하고, 교육을 장려했다. 특히 문필가와 웅변가들에게 후했는데, 그중 여러 명에게 연봉 1,000 금화에 달하는 연금을 지급했다. 퀸틸리아누스는 이러한 황제의 총애를 받은 최초의 공립 교사였다. 플리니우스(장로)의 저서인 『자연사』는 베스파시아누스 치세에 쓰여졌으며, 그의 아들 티투스에게 헌정되었다.[51]
- 유머 감각이 뛰어났다. 평소 공화정 부활을 주장하는 견유학파 철학자들에게 "난 개가 짖는다고 그 개를 죽이지는 않소."라고 대답한 적도 있다. 병이 들어 죽음을 눈앞에 두고도 "가엾게도 이 몸은 신이 되어가는 중이구나."라고 중얼거렸다고 한다.(당시 로마 황제는 사후에 신격화되었다.) 그리고 마지막 순간에 "일어나 있자! 지금부터 나는 신이 될 거야!"라고 외치고는 선 채로 죽었다고 전해진다. 이는 진심으로 신이 된다고 믿은 것이 아니라 그의 마지막 유머였다.
- 재정 건전화에 힘쓴 그의 노력은 사후 '인색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야유의 대상이 되었다. 자신의 장례에 들어간 비용(약 1천만 세스테르티우스)을 듣고 놀란 베스파시아누스가 관에서 벌떡 일어나면서, "나한테 10만 세스테르티우스만 줬으면 날 티베르 강가에 버릴 수도 있었는데"(그런 일로 돈 쓸 것 없이 그냥 자신의 사체를 강에 버려도 된다)라고 했다는 내용의 희극이 상연된 적이 있다. 다만 황제이자 자신의 아버지를 모욕하는 희극에 대해, 당시 황제였던 티투스는 어떤 책망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이는 티투스의 자비심을 보여주는 일화로도 알려져 있다).
-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베스파시아누스는 "친구들의 솔직한 말, 변론가들의 농담, 그리고 철학자들의 건방짐을 가장 큰 인내심으로 감내했다". 그는 또한 백성을 위한 자선 사업으로도 유명했다. 많은 돈이 공공 사업과 로마의 복원 및 미화에 사용되었다. 평화의 신전(베스파시아누스 포럼), 새로운 공중 목욕탕[54], 그리고 웅장한 건축물인 콜로세움이 건설되었다.[55]
6. 죽음
79년, 베스파시아누스는 캄파니아에서 병에 걸려 로마로 돌아오던 중 아쿠아이 쿠틸리아이와 레아테 인근에서 사망했다.[49] 그는 매년 여름을 그곳에서 보냈는데, 병세가 악화되어 심한 설사를 앓았다.[49]
임종 직전, 그는 "Vae, puto deus fio."("맙소사, 내가 신이 되는 것 같아.")라고 말했다.[49] 이는 당시 로마 황제가 죽은 뒤 신격화되는 것을 빗댄 유머였다.[61]
스베토니우스의 『로마 황제전』에 따르면, 베스파시아누스는 "황제는 서서 죽어야 한다"라고 말하며, 일어서려다 측근들의 부축을 받으며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 때는 6월 24일, 69세 7개월 7일이었다.[62]
그의 뒤를 이어 장남 티투스가 황위를 계승했다.[61]
7. 유산
베스파시아누스는 혼란을 수습하고 제국의 기틀을 다진 황제로 평가받는다. 그의 재정 개혁과 건설 사업은 로마 제국의 번영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은화인 데나리우스의 은 함량을 93.5%에서 90%로 줄여 은의 무게를 2.97g에서 2.87g으로 감소시켰다.[56] 또한 평화의 신전, 새로운 공중 목욕탕,[54] 콜로세움[55]을 건설하였다.
그의 소탈하고 실용적인 성품은 후대 황제들에게 귀감이 되었다. 그는 가난한 원로원 의원들과 기사 계급, 그리고 자연재해로 황폐해진 도시들에게 관대했다. 특히 문필가와 웅변가들에게 후했으며, 그중 여러 명에게 연봉 1000USD에 달하는 연금을 지급했다. 퀸틸리아누스는 이러한 황제의 총애를 받은 최초의 공립 교사라고 알려져 있다. 플리니우스(장로)의 저서인 『자연사』는 베스파시아누스 치세에 쓰여졌으며, 그의 아들 티투스에게 헌정되었다.[51]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베스파시아누스는 "친구들의 솔직한 말, 변론가들의 농담, 그리고 철학자들의 건방짐을 가장 큰 인내심으로 감내했다"고 한다. [52]
현대 유럽의 일부 언어에서 공중화장실을 지칭하는 단어는 베스파시아누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예: 이탈리아어 ''vespasiano'', 프랑스어 ''vespasienne'')[57] 이는 베스파시아누스가 소변에 세금을 부과한 것에서 기인한다.
8. 가계도
플라비우스 왕조 가계도 | |
---|---|
티투스 플라비우스 페트로 | 티투스 플라비우스 사비누스 (아버지, 아시아 속주 세금 징수원), 베스파시아 폴라 (어머니) |
티투스 플라비우스 사비누스 (형) | 베스파시아누스 (69-79년 재위), 도미틸라 대제 (아내), 플라비아 도미틸라 (딸, 요절) |
티투스 (아들, 79-81년 재위) | 도미티아누스 (아들, 81-96년 재위), 도미틸라 소제 (딸) |
참조
[1]
서적
Vesp.
[2]
서적
Titus
[3]
서적
Roman History
[4]
서적
The Mammoth Book of Roman Whodunnits
https://www.worldcat[...]
Carroll & Graf Publishers
2003
[5]
서적
[6]
논문
On Suetonius' Life of Vespasian 12
https://www.jstor.or[...]
2021-05-21
[7]
서적
2007
[8]
서적
Vesp.
[9]
서적
2006
[10]
서적
Vesp.
[11]
서적
1999
[12]
서적
A History of Britain
2007
[13]
서적
Vesp.
[14]
서적
War of the Jews
https://www.sefaria.[...]
75
[15]
서적
Histories
https://www.perseus.[...]
110
[16]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17]
서적
The Career of Licinius Mucianus
2015
[18]
웹사이트
The Internet Classics Archive The Histories by Tacitus
http://classics.mit.[...]
2022-09-01
[19]
서적
Islamic Egypt 640–1517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1-26
[20]
서적
Islamic Egypt 640–1517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1-26
[21]
서적
Roman History
[22]
웹사이트
Feeling Overtaxed? The Romans Would Tax Your Urine
https://news.nationa[...]
2019-03-04
[23]
웹사이트
The Lives of the Twelve Caesars, by C. Suetonius Tranquillus,
http://www.gutenberg[...]
2019-03-04
[24]
웹사이트
Dion Cassius: Histoire Romaine : livre LXVIII (bilingue)
http://remacle.org/b[...]
2019-03-04
[25]
웹사이트
At Least You Don't Pay Urine Tax… (1st C AD) – Ancient History Blog
https://ancientstand[...]
2019-03-04
[26]
웹사이트
ItalianNotebook – Vespasian's Legacy
http://www.italianno[...]
2019-03-04
[27]
웹사이트
The Romans created a tax on urine
https://www.heritage[...]
2019-03-04
[28]
서적
Histories
[29]
논문
A Note on Flavian Accession
1953
[30]
서적
Roman History
[31]
서적
Jews
[32]
서적
Roman History
[33]
서적
Vesp.
[34]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35]
서적
Life of Apollonius
[36]
서적
Vesp
[37]
논문
Flaviana
1938
[38]
서적
Christian Origin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Early Jesus Movement
Brill
2018
[39]
논문
Some Thoughts on the Propaganda of Vespasian and Domitian
[40]
간행물
Aqueduct and roads dedication speak of previous emperors' neglect
[41]
서적
Against Apion
[42]
서적
Vesp
[43]
논문
Otho, Vitellius, and the Propaganda of Vespasian
1965
[44]
서적
Histories; The Life of Flavius Josephus; Natural Histories
[45]
서적
Roman History
[46]
서적
Roman History
[47]
논문
Eine Bauinschrift Aus Dem Colosseum
1995
[48]
서적
Vesp
[49]
서적
Life of Vespasian
[50]
웹사이트
C. Suetonius Tranquillus, Divus Vespasianus, chapter 24
https://penelope.uch[...]
2020-04-29
[51]
서적
HN
[52]
서적
Lives of the Twelve Caesars, Vespasian
[53]
서적
Roman History
[54]
서적
Bathing in public in the Roman world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2-05-31
[55]
문서
Gunderson
2003
[56]
웹사이트
Roman Currency of the Principate
https://web.archive.[...]
2018-12-04
[57]
웹사이트
Plus de 3 M$ pour une douzaine de " vespasiennes " modernes
http://ici.radio-can[...]
2017-04-11
[58]
서적
Vesp
[59]
웹사이트
Buste de Vespasien
https://collections.[...]
[60]
웹사이트
Vespasian
https://www.worldhis[...]
[61]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Life of Vespasian
[62]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Life of Vespasian
[63]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Life of Domitian
[64]
서적
로마인 이야기 제8권 「위기와 극복」
[65]
서적
예수, 신화인가?역사인가?
책세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