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1602년 설립된 세계 최초의 주식회사로, 네덜란드가 아시아 무역을 독점하기 위해 설립했다. 향신료 무역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하며 17세기 동양 무역을 지배했지만, 18세기 후반 영국과의 경쟁 심화, 내부 부패 등으로 쇠퇴하여 1799년 해산되었다. 이 회사는 식민주의, 노동 착취, 노예 무역 등 부정적인 측면으로 비판받았으며, 네덜란드 역사에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02년 설립된 기업 - 데지마 상관장
데지마 상관장은 에도 막부 시대 데지마에 설치된 상관의 책임자를 지칭하며, 특히 1641년 이후 네덜란드 상관장이 서양과의 유일한 공식 무역 창구 역할을 수행했고, 일본에서는 이들을 '카피탄'이라고 불렀다. -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 데지마
데지마는 에도 막부가 포르투갈인을 수용하기 위해 나가사키에 건설한 인공 섬으로, 쇄국 정책 하에 서양과의 유일한 교류 창구로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상관이 위치하여 무역과 학문 교류의 중심지였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매립되었고, 현재 나가사키시에서 복원 사업을 추진 중이다. -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 타이오완 사건
타이오완 사건은 1628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와 일본 상인 간의 갈등으로, 네덜란드 행정 장관의 일본 상인 체포 및 재물 몰수, 그리고 하마다 야효에의 납치 시도로 인해 발생하여 네덜란드와 일본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 [회사]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회사명 | 동인도 연합 회사 |
네덜란드어 회사명 | Vereenigde Oostindische Compagnie |
네덜란드어 약칭 | VOC |
영어 회사명 | United East India Company |
인도네시아어 회사명 | Perusahaan Hindia Timur Belanda |
기타 영어 명칭 | East India Company Greater India East India East Indies Dutch East Indies Dutch India |
설립일 | 1602년 3월 20일 |
설립 이유 | 정부 주도의 합병으로 선행 회사들로부터 설립 |
해산일 | 1799년 12월 31일 |
설립자 | 요한 반 올덴바르네벨트 및 네덜란드 공화국의 연방 의회 |
본사 위치 |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공화국 (글로벌 본사) 바타비아, 네덜란드령 동인도 (해외 행정 중심지) |
사업 지역 | 대인도 아시아 태평양 남아프리카 |
주요 인물 | 17인 위원회 (네덜란드 공화국, 1602년–1799년) 네덜란드령 동인도 총독 (바타비아, 1610년–1800년) |
기업 형태 | 부분 국영 기업 |
산업 | 복합 기업 |
제품 | 향신료 비단 도자기 금속 가축 차 곡물 쌀 콩 사탕수수 와인 커피 노예 |
역사적 배경 | |
설립 배경 | 네덜란드의 여러 선행 회사들의 통합으로 설립 |
이전 회사 | Compagnie van Verre Brabantsche Compagnie Compagnie van De Moucheron Veerse Compagnie |
해산 이후 | 네덜란드령 동인도로 국유화 |
조직 및 운영 | |
이사회 | 17인회 |
해외 행정 책임자 | 네덜란드령 동인도 총독 |
암스테르담 본사 | 호프 상회 참여 |
기타 | |
기업 성격 | 세계 최초의 다국적 기업 중 하나 |
독점 권한 | 희망봉 동쪽과 마젤란 해협 서쪽의 모든 네덜란드 무역에 대한 독점 |
2. 역사적 배경
16세기 포르투갈은 향신료 무역을 주도하며 몰루카 제도를 중심으로 활동했지만, 16세기 말 네덜란드 상인들이 자와섬 반탐에 상관을 열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23] 1600년 영국 동인도 회사 설립에 자극받은 네덜란드는 1602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를 설립하여 동양 무역 독점권을 부여받았다.
1566년/1568년 시작된 네덜란드 독립 전쟁 이전, 플랑드르 도시 앤트워프는 북유럽 유통 중심지였다. 1591년 이후 포르투갈은 독일 후거 가문, 벨저 가문, 스페인, 이탈리아 기업 연합을 통해 함부르크에서 상품을 유통시켜 네덜란드 상인들을 무역에서 배제했다. 포르투갈 무역 시스템은 늘어나는 수요, 특히 후추 수요를 감당할 만큼 공급을 늘리지 못했고, 후추 공급 지연은 가격 급등을 야기했다.
1580년 포르투갈 왕국이 합병되어 스페인 왕관과 동군연합을 이루면서 네덜란드 공화국은 전쟁 상태에 놓였다. 포르투갈 제국은 네덜란드의 군사적 침입 대상이 되었고, 네덜란드 상인들은 대륙간 향신료 무역에 직접 참여하게 되었다. 얀 위헌 반 린쇼텐, 코르넬리스 더 하우트만 등 네덜란드 상인과 탐험가들은 포르투갈의 "비밀" 무역로와 관행에 대한 지식을 얻어 네덜란드의 무역 참여 기회를 넓혔다.
1595년 프레드릭 더 하우트만의 탐험대는 반텐으로 향하던 중 포르투갈인, 자바 원주민과 충돌했다. 자바 북쪽 해안을 따라 항해 중 시다유에서 자바인 공격으로 선원 12명을 잃고 마두라 지방 통치자를 살해했다. 이듬해 네덜란드로 돌아올 때까지 선원 절반이 목숨을 잃었지만, 상당한 이익을 남길 만큼 향신료를 확보했다.[27]
1598년 야코브 반 넥의 8척 함대는 자바 중개상들을 제치고 몰루카 제도(향신료 제도)에 도착한 최초의 네덜란드 함대였다. 이 함대는 1599년과 1600년에 유럽으로 돌아와 400%의 이익을 거두었다.[27]
이러한 과정을 거쳐 1600년 암스테르담에 동인도 회사가 설립되고, 홀란트 등지에 약 10개의 동인도 회사가 난립했다. 회사 간 불이익, 스페인에 대항하기 위한 통합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1602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로 통합되었다.
2. 1. 설립 과정 (1602년)
16세기 후반, 스페인과의 80년 전쟁으로 네덜란드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스페인의 무역 제한과 선박 납치로 인해 타격을 입었고, 당시 동남아시아 향신료 무역을 장악하던 포르투갈이 1580년 스페인에 합병되면서 리스본을 통한 향신료 조달마저 어려워졌다.이러한 상황에서 네덜란드는 독자적인 아시아 항로 개척에 나섰다. 1595년부터 1597년까지 자바 섬의 반텐 왕국과의 왕복 항해에 성공하자, 여러 회사들이 동남아시아 무역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회사 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현지에서는 향신료 구매 가격이 급등하고, 본국에서는 판매 가격이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1600년 영국 동인도 회사의 설립은 이러한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이에 홀란트 주의 정치가 요한 판 올덴바르네펠트는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여러 회사들을 통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국 1602년 3월 20일, 요한 판 올덴바르네펠트의 주도로 여러 무역 회사들이 통합되어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가 설립되었다. 이 회사는 암스테르담, 호른, 엔크하위전, 델프트, 로테르담, 미델뷔르흐에 6개의 지사(카메르(kamer))를 두었다.
2. 2. 초기 활동과 확장 (17세기 전반)
1602년 네덜란드 정부는 아시아 무역에 대한 독점권을 가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를 설립했다.[23] 17세기 한때 이 회사는 육두구, 정향의 무역을 독점하고 유럽 왕국과 무굴 제국에 이러한 향신료를 구입 가격의 14~17배에 판매할 수 있었다.[24] 6440200길더의 자본으로[25] 새로운 회사의 헌장은 요새 건설, 군대 유지, 아시아 통치자와 조약 체결을 허용했다. 이는 21년 동안 계속될 사업이었다.1603년 인도네시아 최초의 영구 네덜란드 무역 기지가 서자바의 반텐에 설립되었고, 1611년에는 자야카르타(이후 "바타비아", "자카르타"로 불림)에 또 다른 기지가 설립되었다. 1610년 VOC는 총독 직책을 설립했다. 총독의 위험을 조언하고 통제하기 위해 동인도 평의회(Raad van Indië)가 설립되었다.
VOC 본부는 처음 세 명의 총독(1610~1619) 재임 기간 동안 암본에 있었지만, 향신료 생산 지역 중심부에 있었지만 아시아 무역로와는 거리가 멀었다.[28][29] 따라서 군도 서쪽에 위치한 곳을 찾았다. 말라카 해협은 전략적이었지만 포르투갈 정복 이후 위험해졌고, 반텐에 있는 최초의 영구 VOC 정착지는 강력한 지역 통치자에 의해 통제되었고 중국과 영국 상인들과의 치열한 경쟁을 받았다.
1600년, 네덜란드는 암본 섬의 무슬림 히투인들과 연합하여 포르투갈에 대항하는 동맹을 맺었고, 그 대가로 히투에서 향신료를 구입할 독점권을 얻었다. 포르투갈이 암본에 있는 요새를 네덜란드-히투 동맹에 넘겨주면서 네덜란드의 암본 장악이 완료되었다.
1604년 헨리 미들턴 경이 지휘하는 두 번째 영국 동인도회사 항해가 테르나테, 티도레, 암본, 반다 섬에 도착했다. 반다에서 그들은 VOC와 심각한 경쟁에 직면했다. 1611년부터 1617년까지 영국은 수카다나, 마카사르, 자야카르타, 자와의 제파라 등에 무역 기지를 설립하여 동인도 무역 독점에 대한 네덜란드의 야망을 위협했다. 1620년 유럽의 외교적 합의는 네덜란드와 영국의 향신료 무역 간의 협력 시대를 열었다. 그러나, 1623년 암보이나 학살로 10명의 영국인이 네덜란드 정부에 대한 음모 혐의로 체포되어 재판을 받고 참수되었다.[30] 영국은 인도네시아의 대부분 활동(반텐 무역 제외)에서 조용히 철수하고 다른 아시아 이익에 집중했다.
1609년, 미우라 안친의 중개로 에도 막부로부터 히젠의 히라도에 일본 지점, 즉 히라도 네덜란드 상관을 설치하고, 이를 통한 국제 무역을 막부로부터 허가받았다.[81] 1641년, 네덜란드 상관은 히라도에서 나가사키시 데지마로 이전되었다.
1643년 2월, 마르틴 게를리츠엔 프리스가 에토로후섬과 우루프섬에 상륙하여 "콤파니 슬란트"라 명명하고 영토를 선포했다.[77] 8월 15일, 에조치(현재의 홋카이도 아쓰케시)에 기항하여 9월 2일까지 18일간 체류했다. 1653년 헨드릭 하멜 등이 승선한 "스페르베르호"가 조선의 제주도에 표착하기도 했다.
2. 3. 전성기와 아시아 내 지배력 강화 (17세기 후반)
1602년 네덜란드 정부는 아시아 무역 독점권을 가진 네덜란드 동인도회사(VOC) 설립을 후원했다.[23] VOC는 육두구, 정향 무역을 독점하여 유럽 왕국과 무굴 제국에 구입 가격의 14~17배로 판매했다.[24] 6440200길더의 자본으로[25] 회사는 요새 건설, 군대 유지, 아시아 통치자와 조약 체결 권한을 부여받았다. 이는 21년 동안 지속될 사업으로, 10년마다 재정 회계를 처리하도록 규정되었다.1603년 2월, 회사는 싱가포르 해안에서 포르투갈 상선 ''산타 카타리나''호를 나포했다.[26] 이 배의 판매 대금으로 VOC의 자본이 50% 이상 증가했다.[27] 같은 해 인도네시아 최초의 영구 네덜란드 무역 기지가 서자바 반텐에 설립되었고, 1611년에는 자야카르타(이후 "바타비아", "자카르타")에 또 다른 기지가 설립되었다. 1610년 VOC는 총독 직책을 설립하고, 동인도 평의회(''Raad van Indië'')를 설립하여 총독을 조언하고 통제했다.
VOC 본부는 처음 세 명의 총독(1610~1619) 재임 기간 동안 암본에 있었으나, 아시아 무역로와 거리가 멀었다.[28][29] 말라카 해협은 전략적이었지만 포르투갈 정복 이후 위험해졌고, 반텐은 강력한 지역 통치자와 경쟁에 직면했다.
1604년 영국 동인도회사 항해가 테르나테, 티도레, 암본, 반다 섬에 도착하여 VOC와 경쟁을 촉발했다. 1611년부터 1617년까지 영국은 수카다나, 마카사르, 자야카르타 등에 무역 기지를 설립하여 네덜란드의 독점 야망을 위협했다.
1620년 유럽의 외교적 합의로 협력 시대가 열렸으나, 암보이나 학살로 10명의 영국인이 처형되면서 영국은 인도네시아 활동에서 철수했다.[30]
1619년, 얀 피터르손 코엔(Jan Pieterszoon Coen) 총독은 자야카르타를 공격하여 바타비아를 VOC 본부로 설립했다. 1620년대 반다 제도 원주민 대부분이 네덜란드 농장으로 대체되었다. 코엔은 네덜란드 식민자 정착을 바랐지만, 아시아 이주 희망자가 적어 실패했다.[31]
코엔은 유럽과 아시아 간 무역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아시아 내부 무역 시스템을 시작하여 이익으로 유럽과의 향신료 무역을 자금 조달하였다. VOC는 1630년까지 이익의 상당 부분을 재투자했다.
VOC는 아시아 전역에서 무역을 했으며, 주로 벵골에서 이익을 얻었다. 일본의 은과 구리는 무굴 제국과 청나라와 무역하여 비단, 면화, 자기, 직물을 얻는 데 사용되었다. VOC는 유럽의 사상과 기술을 아시아에 소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나가사키 해안 데지마 무역 거점은 200년 이상 유럽인이 일본과 무역할 수 있는 유일한 곳이었다.[32] VOC가 군사력을 사용하여 명나라를 개방하려 했으나, 중국은 1623~1624년 전쟁과 료뤄만 해전에서 VOC를 물리쳤다.
베트남 응우옌 봉건 영주는 1643년 전투에서, 캄보디아인들은 캄보디아-네덜란드 전쟁에서 VOC를 물리쳤다.
1640년, VOC는 포르투갈로부터 갈레 항구(실론)를 얻어 계피 무역 독점을 깨뜨렸다. 1659년까지 포르투갈은 해안 지역에서 쫓겨났고, VOC는 계피 독점권을 확보했다. VOC는 말라바르 해안 전체를 정복하여 인도 서해안에서 포르투갈을 거의 몰아냈다.
1652년, 얀 반 리베크(Jan van Riebeeck)는 희망봉에 보급 기지를 설립했고, 이는 케이프 식민지가 되었다.
17세기 동안 VOC 무역 기지는 페르시아, 벵골, 말라카, 샴, 대만, 말라바르, 코로만델 해안에 설립되었다. 1729년 광저우 상관이 설립되어 중국 본토에 대한 직접 접근이 가능해졌다.[33] 그러나 1662년 정성공은 타이완에서 네덜란드인을 몰아냈다.[34]
1663년, VOC는 파이난 지역 영주들과 "파이난 조약"을 체결하여 무역 기지를 건설하고 금 무역을 독점했다.[35]
1669년까지 VOC는 150척이 넘는 상선, 40척의 군함, 50,000명의 직원, 10,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사병, 초기 투자액의 40%에 달하는 배당금 지급으로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민간 회사가 되었다.
많은 VOC 직원들이 원주민과 혼혈하여 식민지 이전 시대 인도네시아 혼혈인 인구를 증가시켰다.[36][37]
1628년부터 1629년에 걸쳐 마타람 왕국이 두 차례 바타비아를 침공했으나 격퇴당했다. 1646년에는 마타람 왕국과 평화 협정을 체결하고 자와섬에서 마타람 왕국과 독점 무역을 하게 되었다.
2. 4. 쇠퇴와 해산 (18세기)
17세기 후반부터 네덜란드는 영국과의 대립에서 점차 인도를 거점으로 하는 영국 세력에게 압도되었고, 1799년 동인도회사는 해산되어 네덜란드 정부의 직접 지배를 받게 되면서 네덜란드령 동인도라고 불리게 되었다.[31]프랑스 혁명 전쟁 및 나폴레옹 전쟁 때, 자와는 영국에게 점령되어 래플즈에 의해 식민정책의 대개혁이 단행되었다. 나폴레옹 전쟁 후 다시 네덜란드의 통치가 시작되어 강제재배제가 시행되었는데, 이는 인도네시아 사람들이 네덜란드의 번영과 경제적인 회복을 위해 희생된 것을 의미한다.
1730년 이후, VOC(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운세는 쇠퇴하기 시작했으며, 1730년부터 1780년까지 50년 동안의 쇠퇴에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주요 원인이 있었다.[38]
- 아시아 정치 및 경제 환경의 변화로 인해 VOC가 거의 손쓸 수 없는 아시아 내부 무역이 꾸준히 감소했다. 이로 인해 회사는 페르시아, 수라트, 말라바르 해안 및 벵갈에서 점차 밀려났고, 실론에서 인도네시아 군도에 이르는 직접 통제하는 지역으로 운영을 제한해야 했다. 따라서 아시아 내부 무역의 규모와 수익성은 감소할 수밖에 없었다.
- 초기에 시장 정보 수집에 유리했던 바타비아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 내 회사의 조직 방식은, 18세기 들어 모든 것을 중앙으로 운송하는 비효율성으로 인해 불리하게 작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단점은 특히 EIC(영국 동인도 회사)와 오스텐드 회사와 같은 경쟁사들이 중국에서 유럽으로 직접 차를 운송한 차 무역에서 가장 크게 느껴졌다.
- VOC 직원들의 "탐욕"(부패와 직무 태만의 의미)은 당시 모든 동인도 회사의 문제였지만, 경쟁사보다 VOC에서 더 큰 규모로 문제가 된 것으로 보인다. 회사는 "좋은 고용주"가 아니었고, 급여는 낮았으며, "개인 거래"는 공식적으로 허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18세기에 회사 성과에 해를 끼칠 정도로 만연했다. 1790년대부터는 "부패로 망하다"(''vergaan onder corruptie'', 네덜란드어로 VOC로 약칭)라는 문구가 회사의 미래를 요약하는 말이 되었다.
- VOC가 다른 회사들과 공유했던 문제는 직원들의 높은 사망률과 질병률이었다. 이로 인해 회사의 인원이 감소했고 많은 생존자들이 기력을 잃었다.
- VOC의 배당 정책 또한 문제였다. 회사가 배분한 배당금은 1690년부터 1760년까지 1710~1720년을 제외한 모든 10년 동안 유럽에서 얻은 잉여금을 초과했다. 그러나 1730년까지의 기간에 이사들은 거기에서 무역 자본을 축적하기 위해 아시아로 자원을 운송했다. 따라서 통합 회계는 총이익이 배당금을 초과했을 것임을 보여주었을 것이다. 또한 1700년과 1740년 사이에 회사는 540만 길더의 장기 부채를 상환했다. 따라서 회사는 이러한 해들에 여전히 안전한 재정적 기반을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1730년 이후 상황이 바뀌었다. 이익이 급감했음에도 불구하고, '베빈드헤버'(이사회)는 이전 수준보다 배당금을 약간만 감소시켰다. 따라서 배분된 배당금은 1760~1770년을 제외한 모든 10년 동안 수익을 초과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1730년부터 1780년 사이에 아시아 자본금이 400만 길더 감소했고, 같은 기간에 유럽에서 사용 가능한 유동 자산이 2000만 길더 감소했다. 이사들은 예상 수입에 의해 뒷받침되는 선취 대출을 이용하여 회사의 유동성을 보충해야 했다.[38]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1780년 VOC는 여전히 거대한 조직이었다. 공화국에 있는 자본(선박과 재고 상품으로 구성)은 총 2800만 길더였고, 아시아에 있는 자본(유동 무역 자금과 유럽으로 향하는 상품으로 구성)은 총 4600만 길더였다. 미지급 부채를 제외한 총 자본은 6200만 길더였다. 그러나 제4차 영국-네덜란드 전쟁이 개입하면서 유럽과 아시아에서의 영국 해군 공격으로 VOC 함대가 절반으로 줄었고, 귀중한 화물이 빼앗겼으며, 아시아에서 남은 권력이 약화되었다. 전쟁 중 VOC의 직접 손실은 4300만 길더로 계산될 수 있으며, 회사 운영을 유지하기 위한 대출로 순자산이 0으로 줄었다.[38]
1720년부터 인도네시아산 설탕의 시장은 브라질산 저렴한 설탕과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감소했다. 유럽 시장은 포화 상태에 이르렀고, 수십 명의 중국 설탕 상인들이 파산하면서 대량 실업으로 이어져 실업자 쿨리떼가 생겨났다. 바타비아의 네덜란드 정부는 이러한 문제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했고, 1740년, 바타비아 지역에서 떼를 추방한다는 소문이 널리 퍼지면서 대대적인 폭동이 발생했다. 네덜란드 군대는 바타비아의 중국인 집들을 수색하여 무기를 찾았는데, 우연히 한 집이 불타자 군인들과 빈민들은 중국인 공동체를 학살하고 약탈하기 시작했다.[39] 이 중국인 학살은 VOC 이사회가 네덜란드 동인도 정부에 대해 역사상 처음으로 공식 조사를 시작할 만큼 심각한 사건이었다.
제4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이후 VOC의 재정 문제는 상당히 악화되었다. 네덜란드와 젤란트의 주(州) 의회가 재조직을 시도했지만 헛수고였고, 1796년 VOC 이사회는 해임되었으며, 회사의 경영권은 "동인도 무역 및 소유물 관련 업무 위원회"(네덜란드어: ''Comité tot de zaken van de Oost-Indische handel en bezittingen'')에 넘어갔다.[40][41] VOC 헌장은 여러 차례 갱신되었지만 1799년 12월 31일에 만료되었다.[42] 전 VOC의 소유물 대부분은 그 후 나폴레옹 전쟁 중에 영국에 의해 점령되었지만, 빈 회의에 의해 새로운 네덜란드 연합 왕국이 건설된 후, 이 중 일부는 1814년 영국-네덜란드 조약에 의해 네덜란드 공화국의 후계 국가에 반환되었다.
1795년에는 프랑스 혁명군에 의해 본국이 점령되었다. 이 혼란 속에서 1799년 12월 31일,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해산되었고, 해외 식민지는 프랑스에 대항하는 영국에 접수되었다. 나폴레옹 전쟁 후, 네덜란드는 무사히 영국으로부터 반환받은 동인도 영토 경영(인도네시아)에 주로 전념하게 된다.
3. 조직 구조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는 17세기 초 설립 당시부터 여러 가지 독특한 조직 구조를 갖추고 있었다. 회사는 암스테르담, 델프트, 로테르담, 엔크호이젠, 미델부르흐, 호른의 6개 지사(Kamers)로 구성되었다. 각 지사는 자체적으로 선박과 창고를 건설하고 상품을 거래하는 등 상당한 자율성을 가지고 운영되었다.[15]
이 지사들의 대표자들은 '17인회'(Heeren XVII)라고 불리는 최고 의사 결정 기구를 구성했다. 17인회는 각 지사의 출자 비율에 따라 선출된 대표들로 구성되었는데, 암스테르담 지사가 8명, 제일란트 지사가 4명, 나머지 소규모 지사에서 각각 1명씩, 그리고 마지막 한 자리는 미델부르흐-제일란트 지사 또는 5개의 소규모 지사 중에서 번갈아 가며 선출되었다. 이러한 구성 방식은 암스테르담 지사가 단독으로 과반수를 차지하지 못하도록 견제 장치를 마련한 것이었지만, 실제로는 암스테르담이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16]
17인회는 회사의 전반적인 정책을 결정하고, 각 지사 간의 업무를 분담하는 역할을 했다. 이들은 암스테르담에서 6년, 미델부르흐-제일란트에서 2년씩 번갈아 가며 회의를 개최했다. 또한, 17인회는 항해 경로, 해류, 암초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담은 문서를 선장들에게 제공하고, 자체 해도 제작을 담당하는 등 회사의 운영 전반을 관리했다.[46]
VOC는 주식회사로서 'participanten'과 'bewindhebbers'라는 두 종류의 주주를 두었는데, 이들의 책임은 모두 납입 자본으로 제한되었다. 이는 당시 일반적인 주식회사와 달리 유한회사로서의 성격을 보여주는 혁신적인 구조였다. 또한, 자본은 회사의 수명 동안 '영구적'이었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주식을 암스테르담 증권거래소에서 매매하는 방식으로만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었다.[44]
VOC의 설립 자본금은 6,424,588 길더였으며, 각 지사의 출자금은 다음과 같았다.
지사 | 자본 (길더) |
---|---|
암스테르담 | 3,679,915 |
미델부르흐 | 1,300,405 |
엔크호이젠 | 540,000 |
델프트 | 469,400 |
호른 | 266,868 |
로테르담 | 173,000 |
합계: | 6,424,588 |
최소 투자액은 3,000길더였으며, 초기 주주들 중에는 소규모 기업가들과 남부 네덜란드 출신 투자자들이 많았다.[45]
VOC의 기업 지배 구조는 초기부터 주주들의 불만과 견제를 받았다. 1609년에는 아이작 르 메이르가 VOC의 부실한 경영을 비판하며 청원서를 제출했고, 1622년에는 주주들이 회계 장부 감사와 경영진의 투명성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56] 이러한 사건들은 주주 행동주의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개념의 초기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57]
VOC는 전 사원의 유한책임 제도, 회사 기관의 존재, 양도 자유로운 주식 제도, 확정 자본금 제도와 영속성 등 주식회사의 특징을 갖추고 있었다.[79]
3. 1. 회계 시스템
Verenigde Oostindische Compagnie|네덜란드 동인도 회사nl(VOC)는 1회사 2회계 시스템으로 운영되었다. 본국에서는 한자 상인들이 사용했던 기존의 복식부기가 사용되었고, 해외 상관에서는 복식부기를 채택하여 연차 보고를 했다. 회사 전체를 보는 회계는 존재하지 않았고, 결산은 10년 단위로 비공개였다. VOC는 네덜란드와 아시아의 이원 체제였기 때문에, 아시아 거래를 총괄한 바타비아가 실질적인 본사 역할을 수행했고, 아시아 각지의 상관은 지점에 해당했으며, 암스테르담을 비롯한 본국의 지사는 아시아에서 수입한 상품을 판매했다.복식부기는 주로 전표와 원장을 사용했고, 일일 재무는 일기장에 기록했다. 지점은 주력 상품인 향신료 장부와 현금 출납장으로 관리했다. 상급 부기계라는 담당자가 있어 부기계와 서기를 총괄했다. 장부계는 매년 암스테르담 위원회에 모여 장부를 정밀 검사받았으며, 해외 상관에서는 정확한 기록이 요구되었다. 아시아 상관 중에서는 히라도 및 나가사키 상관의 장부가 분석되었고, 전표가 정밀하게 작성되었던 것이 확인되었다.[74]
4. 주요 무역 활동
16세기에는 포르투갈이 향신료 무역을 주도했지만, 16세기 말 네덜란드 상인들이 자와섬의 반탐에 상관을 설치하면서 네덜란드가 동인도 무역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1600년 영국 동인도 회사 설립에 자극받은 네덜란드 정부는 1602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를 설립하고 동양 무역 독점권을 부여했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바타비아(자카르타)에 총독 정청을 설치하고 포르투갈과 영국 세력을 몰아내며 17세기에는 동양 무역에서 우위를 확보, 당시 세계 최대의 무역 회사로 성장했다.
일본과의 무역을 통해 당시 국제 결제 수단이었던 은화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양 국가들 간의 국제 무역 또한 장악하였다. 로마 가톨릭을 전파하는 스페인, 포르투갈과 달리, 개신교 국가인 네덜란드는 선교 활동을 하지 않아 기독교를 탄압하던 에도 막부는 네덜란드를 유일한 거래 상대로 여겼다.[32]
VOC는 아시아 내부 무역 시스템을 구축하여 유럽과의 향신료 무역 자금을 조달했다. 이는 유럽에서 귀금속을 수출할 필요를 없앴지만, 초기에는 인도에 대규모 무역 자본 기금을 조성해야 했다. VOC는 1630년까지 이익의 상당 부분을 재투자했다.[31] VOC는 아시아 전역에서 무역을 했으며, 주로 벵골에서 이익을 얻었다. 일본에서 온 은과 구리는 무굴 제국과 청나라와 무역하여 비단, 면화, 자기, 직물을 얻는 데 사용되었다. 이러한 제품들은 아시아 내에서 귀중한 향신료와 교역되거나 유럽으로 가져왔다. VOC는 유럽의 사상과 기술을 아시아에 소개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1640년, VOC는 포르투갈로부터 갈레 항구(실론)를 얻었고, 계피 무역 독점을 깨뜨렸다. 1658년, 제라르트 피터르츠 훌프트(Gerard Pietersz Hulft)는 캔디의 왕 라자싱하 2세(Rajasinghe II)의 도움으로 콜롬보를 포위 공격했다. 1659년까지 포르투갈은 해안 지역에서 쫓겨났고, VOC는 계피에 대한 독점권을 확보했다. 포르투갈이나 영국이 스리랑카를 다시 탈환하는 것을 막기 위해 VOC는 말라바르 해안 전체를 정복하여 인도 서해안에서 거의 완전히 몰아냈다.
1652년, 얀 반 리베크(Jan van Riebeeck)는 희망봉에 보급 기지를 설립했다. 이 기지는 나중에 케이프 식민지가 되었다.
17세기 동안 VOC 무역 기지는 페르시아, 벵골, 말라카, 샴, 대만, 인도의 말라바르와 코로만델 해안에도 설립되었다. 1729년 광저우에 상관이 설립되면서 중국 본토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이 가능해졌다.[33]
1663년, VOC는 아체 술탄국에 반란을 일으킨 파이난 지역의 여러 지역 영주들과 "파이난 조약"을 체결하여 무역 기지를 건설하고 금 무역을 독점했다.[35]
1669년까지 VOC는 150척이 넘는 상선, 40척의 군함, 50,000명의 직원, 10,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사병, 초기 투자액의 40%에 달하는 배당금을 지급하는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민간 회사였다.
4. 1. 일본과의 무역
1609년, 헨리 허드슨의 중개로 에도 막부는 개신교는 포교를 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히젠의 히라도에 네덜란드 상관을 설치하고, 이를 통한 국제 무역을 허가했다.[81] (1613년 영국 동인도 회사도 영국 상관을 설치했다.)1641년, 네덜란드 상관은 히라도에서 나가사키 데지마로 이전되었다.[81] 쇄국 정책을 시행하던 일본에서 유럽 국가로서는 유일하게 나가사키 데지마에서의 교역을 인정받았다.
나가사키 해안의 인공섬인 데지마에 있던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 무역 거점은 200년 이상 유럽인들이 일본과 무역할 수 있는 유일한 곳이었다.[32]
일본과의 무역을 사실상 독점하여 당시 국제 결제 수단이었던 은화 수입원을 마련했고, 이를 바탕으로 동양 국가들 간의 국제 무역 또한 장악하였다. 로마 가톨릭을 전파하는 스페인과 포르투갈과는 달리, 개신교를 믿는 네덜란드는 선교활동을 하지 않았다. 따라서 기독교를 탄압하던 에도 막부는 네덜란드를 유일한 거래 상대로 여겼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일본에 진출했을 당시에는 이미 포르투갈이 일본과 무역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네덜란드 측은 무역품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었다. 결과적으로 네덜란드는 사략선으로서 포르투갈 선박 등을 공격하는 행위에 나섰다.[76] 그러나 동아시아에서는 사략의 개념이 통용되지 않았고, 1621년 에도 막부로부터 해적 행위를 금지하는 금령이 내려지는 등, 네덜란드의 무역 독점이 성립되기 이전에는 해적으로 인식되었다.
4. 2. 조선과의 관계
나가사키 해안의 인공섬인 데지마에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200년 이상 유럽 국가 중 유일하게 일본과 무역을 했다.[32]1653년에는 헨드릭 하멜 등이 승선한 "스페르베르호"가 조선 제주도에 표착하는 사건이 발생했다.[77]
5. 비판과 논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는 상업적 독점, 식민주의, 노동 착취(노예 노동 포함), 노예 무역, 폭력 사용, 환경 파괴(산림 벌채 포함) 등 여러 측면에서 비판을 받아왔다.[62]
1619년 얀 피터르손 코엔(Jan Pieterszoon Coen)이 VOC 총독으로 임명되면서 폭력을 동반한 강압적인 정책이 시행되었다. 특히 1620년대 반다 제도에서는 원주민들을 몰아내고 육두구 농장을 세웠는데,[30] 이 과정에서 많은 원주민들이 희생되었다. 1621년 론토르 침공으로 2,800명이 기근으로 사망하고 1,700명이 노예가 되었다.[69] 섬 인구의 대다수인 약 14,000명이 사망, 노예화, 추방 등으로 사라졌고, 1,000명만이 남아 강제 노동에 동원되었다.[70]
1740년에는 바타비아(현재 자카르타)에서 중국인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VOC 이사회가 네덜란드 동인도 정부에 대해 역사상 처음으로 공식 조사를 시작할 만큼 심각한 사건이었다.[39]
VOC는 노예 무역에도 깊이 관여하여, 케이프 식민지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노예를 수입하여 가혹한 노동을 강요했다.
VOC의 가혹 행위와 관련된 내용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군사사|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군사사영어,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관련된 전투|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관련된 전투영어 등의 문서와 암보이나 학살, 바타비아 학살 등의 문서에서 더 자세히 찾아볼 수 있다.
5. 1. 노예 무역
VOC는 노예제를 시행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었다. 1652년 케이프에 정착촌이 설립되었을 때, VOC는 이미 동인도에서 노예제를 시행한 경험이 있었다.[72] 얀 반 리베크는 케이프 정착촌 설립 후 노예 노동력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고, 처음에는 원주민 코이코이 인구를 노예로 삼으려 했으나 비용과 위험 문제로 포기했다. 코이코이족은 낮은 임금과 가혹한 조건 때문에 네덜란드인을 위해 일하지 않으려 했고, 이는 전쟁으로 이어졌다. 네덜란드인들은 코이코이 노예들이 쉽게 도망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여 외국인 노예를 수입하기 시작했다.[72]1658년, VOC는 다호메이(현재 베냉)와 앙골라 해안에서 잡힌 400여 명의 노예들을 케이프로 데려왔다.[72] 이후 회사가 후원하는 노예 무역과 귀환 함대를 통해 더 많은 노예들이 케이프로 유입되었다. 1652년 0명이었던 노예 인구는 1700년에 약 1,000명, 1795년에는 16,839명으로 증가했다. 노예들은 주로 동아프리카, 모잠비크, 마다가스카르,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출신이었으며, 실론과 인도네시아 제도에서 다수가 유입되었다. VOC 제국의 다른 국가 포로들도 노예가 되었다.[72]
1660년대에 케이프 정착촌은 실론, 말레이(말레이시아), 마다가스카르에서 노예를 수입했다.[73] 네덜란드인과 코이코이족 간의 갈등은 전쟁으로 이어졌고, 1713년 천연두로 인해 코이코이족 인구의 90%가 사망하는 등 코이코이족 사회는 해체되었다.[72] 18세기 동안 정착촌은 유럽 인구 증가와 노예 수입으로 확장되어, 1700년 약 3,000명의 유럽인과 노예는 세기 말까지 약 20,000명의 유럽인과 25,000명의 노예로 증가했다.[72]
1621년 반다 제도 정복 당시, 네덜란드는 징벌 원정을 통해 반다 사회를 파괴했다. 론토르 섬 침공으로 2,800명의 반다인이 사망하고 1,700명이 노예가 되었다. 정복 전 15,000명으로 추산되던 인구는 약 1,000명으로 감소했다.[70] 노예들은 가혹한 대우를 받았고, 1681년까지 원주민 반다 인구는 1,000명으로 감소했다. 4,000명의 노예 인구를 유지하기 위해 매년 200명의 노예가 수입되었다.[71]
5. 2. 원주민과의 관계
얀 피터르손 코엔(Jan Pieterszoon Coen)이 VOC의 총독으로 임명된 1619년 이후, VOC는 원주민들에게 억압적인 모습을 보였다. 특히 1620년대에는 반다 제도에서 원주민들을 몰아내고 네덜란드 농장을 세워 육두구를 재배했다.[30] 이 과정에서 수많은 원주민들이 목숨을 잃거나 노예가 되었다.1621년, VOC는 론토르를 침공하여 2,800명의 반다인이 기근으로 사망하고, 1,700명이 노예가 되었다.[69] 섬 인구의 대다수인 약 14,000명이 사망, 노예화, 추방 등으로 사라졌고, 1,000명만이 남아 강제 노동에 동원되었다.[70] 노예들의 처우는 가혹하여 1681년에는 원주민 인구가 1,000명으로 감소했다.[67]
1652년 케이프 정착촌 설립 당시, VOC는 이미 동인도에서 노예제를 시행하고 있었다. 얀 반 리베크는 노예 노동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으나, 초기에는 원주민 코이코이인들을 노예로 삼는 것을 고려했다가 비용과 위험 문제로 포기했다. 코이코이인들은 낮은 임금과 가혹한 조건 때문에 네덜란드인을 위해 일하려 하지 않았다.[72]
1658년, VOC는 다호메이(현재의 베냉)와 앙골라 해안에서 400여 명의 노예를 케이프로 데려왔다. 이후에도 VOC는 동아프리카, 모잠비크, 마다가스카르,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노예를 지속적으로 유입시켰다. 1795년에는 케이프의 노예 인구가 16,839명에 달했다.[72]
1660년대부터 케이프 정착촌은 실론, 말레이(말레이시아), 마다가스카르에서 노예를 수입하여 농장 노동에 투입했다.[73] 네덜란드인과 코이코이인 간의 갈등은 1659년과 1673년 전쟁으로 이어졌다. 1677년 코이코이인들의 저항은 진압되었고, 1713년에는 천연두로 인해 인구의 90%가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72]
6. 유산과 영향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는 17세기 네덜란드의 번영과 세계적 지위를 상징했지만, 17세기 후반부터 영국과의 경쟁에서 밀려 1799년 해산되었다. 이후 네덜란드령 동인도는 네덜란드 정부의 직접 지배를 받았다.
나폴레옹 전쟁 전후, 자와는 잠시 영국에 점령되기도 했으나, 이후 네덜란드의 통치가 재개되면서 인도네시아인들은 네덜란드의 경제 회복을 위해 희생되었다. 19세기 말부터 원주민들의 독립운동이 시작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 점령기를 거쳐, 종전 후 인도네시아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6. 1. 현대적 관점에서의 재평가
얀 피터 발켄엔데 당시 네덜란드 총리는 2006년 9월 의회 토론 중 정부 정책 비판에 대한 반응으로 VOC-mentaliteit|VOC 정신nl을 언급했다.[58][59] 이는 네덜란드 국민과 네덜란드 공화국의 개척적인 기업가 정신과 직업윤리를 황금기에 비유한 표현이다. 발켄엔데는 VOC를 네덜란드의 경영 능력, 기업가 정신, 모험심, 결단력을 보여주는 사례로 들었다.그러나 이러한 네덜란드 황금기에 대한 낭만적인 견해는 식민주의, 착취, 폭력과 관련된 역사적 사실을 무시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발켄엔데는 이후 자신의 발언이 "전혀 그런 의도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61] 그럼에도 불구하고, "VOC 정신"은 네덜란드 황금기에 대한 선택적인 역사적 관점을 보여주는 사례로서, 수년 동안 네덜란드 문화 정책의 핵심 요소로 여겨져 왔다.[61]
참조
[1]
서적
The Asian Trade Revolution of the Seven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
웹사이트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VOC)
https://web.archive.[...]
Canon van Nederland
2011-03-19
[3]
웹사이트
Exchange History NL – 400 years: the story
https://www.beursges[...]
2022-10-06
[4]
서적
The Ascent of Money – A Financial History of the World
Penguin
[5]
웹사이트
VOC Knowledge Center – VOC Beginnings
https://voc-kennisce[...]
2022-10-06
[6]
서적
The Ascent of Money
Penguin
[7]
서적
The Ascent of Money – A Financial History of the World
Penguin Books
[8]
웹사이트
Slave Ship Mutiny: Program Transcript
http://www.pbs.org/w[...]
PBS
2010-11-11
[9]
서적
The Globe Encompassed: The Age of European Discovery, 1500–1700
[10]
웹사이트
Koloniaal Verleden VOC at the National Library of the Netherlands
http://www.kb.nl/the[...]
[11]
웹사이트
Dutch East India Company: The World's First Multinational
https://www.pbs.org/[...]
PBS
2024-01-27
[12]
웹사이트
Memory of the World – Archives of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Nomination Form – VOC Archives Appendix 2
http://portal.unesco[...]
2006
[13]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https://www.academ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4]
웹사이트
The Rise And Fall Of The Largest Corporation In History
https://www.business[...]
2024-04-30
[15]
서적
The Ascent of Money
Penguin Books
[16]
서적
Vermeer's Hat: The Seventeenth Century and the Dawn of the Global World
Profile Books
[17]
웹사이트
VOC: The logo that lasted
http://designonline.[...]
Designonline.org.au
2017-01-22
[18]
뉴스
Cross-Breeding
https://www.forbes.c[...]
2006-03-13
[19]
웹사이트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http://european-heri[...]
European Heritage Project
[20]
웹사이트
The Dutch East Indies Company – The First 100 Years [Transcript]
https://www.gresham.[...]
Gresham College (gresham.ac.uk)
2006-03-01
[21]
서적
Timor Portugues, 1515–1769
Instituto Histórico Infante Dom Henrique
[22]
서적
De jacht op sandelhout: De VOC en de tweedeling van Timor in de zeventiende eeuw
Walburg Pers
[23]
서적
Octrooi verleend door de Staten-Generaal betreffende de alleenhandel ten oosten van Kaap de Goede Hoop en ten westen van de Straat van Magallanes voor de duur van 21 jaar
https://www.nationaa[...]
2022-04-22
[24]
서적
Southeast Asia in the Age of Commerce, 1450–1680
Yale University Press
[25]
서적
Annals of the Honorable East-India Company
https://archive.org/[...]
Black, Parry, and Kingsbury
[26]
서적
Fidalgos in the Far East, 1550–1770
Martinus Nijhoff
1948
[27]
서적
Portuguese Trade in Asia under the Habsburgs, 1580–1640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08
[28]
서적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and the Economy of Bengal, 1630–1720
Princeton University Press
[29]
서적
Pars Japonica: the first Dutch expedition to reach the shores of Japan
[30]
서적
To The Spice Islands and Beyond: Travels in Eastern Indonesia
Oxfo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The Dutch Seaborne Empire 1600–1800
[32]
서적
The Globe Encompassed: The Age of European Discovery, 1500–1700
[33]
논문
Meeting the Dutch: cooperation and conflict between Jesuits and Dutch merchants in Asia, 1680–1795
http://research.uni-[...]
[34]
웹사이트
How Taiwan Became Chinese: Dutch, Spanish and Han Colonization in the Seventeenth Century
http://www.gutenberg[...]
Columbia University Press
[35]
웹사이트
170 tahun kepahlawanan minangkabau
https://web.archive.[...]
1982-07-31
[36]
웹사이트
The Easternization of the West: The Role of Melaka, the Malay-Indonesian archipelago and the Dutch (VOC). (International seminar by the Melaka State Government, the Malaysian Institute of Historical and Patriotism Studies (IKSEP), the Institute of Occidental Studies (IKON)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Malaysia (UKM) and the Netherlands Embassy in Malaysia. Malacca, Malaysia, 27 July 2006
http://www.dutchmala[...]
2010-02-14
[37]
서적
Strange Company: Chinese Settlers, Mestizo Women and the Dutch in VOC Batavia. (Dordrecht-Holland; Riverton, US, Foris Publications, 1986. xiii, 302p.)
[38]
서적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Expansion and Decline
Walberg Pers
[39]
서적
Java and Modern Europe: Ambiguous Encounters
[40]
논문
TANAP And The Co-Operation Between ANRI And Nationaal Archief
http://dx.doi.org/10[...]
BRILL
2024-01-27
[41]
웹사이트
VOC – United Dutch East India Company
http://museum.wa.gov[...]
2024-01-27
[42]
기타
TANAP, The end of the VOC
[43]
서적
Mutiny and Maritime Radicalism in the Age of Revolution: A Global Survey
[44]
서적
Transnationalism and Society: An Introduction
[45]
서적
The Globe Encompassed: The Age of European Discovery, 1500–1700
[46]
서적
Indonesian Banda: Colonialism and its Aftermath in the Nutmeg Islands
Yayasan Warisan dan Budaya Banda Naira
[47]
서적
The Globe Encompassed: The Age of European Discovery, 1500–1700
[48]
서적
A History of Corporate Governance, 1602–2002
Deminor
[49]
서적
Thoughts on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Modern Corporate Governance Movement and Shareholder Activism
John Wiley & Sons, Inc.
[50]
서적
Putting Le Maire into Perspective: Business Organization and the Evolution of Corporate Governance in the Dutch Republic, 1590–1610
Palgrave Macmillan
[51]
웹사이트
Will UNFI Go Virtual-Only Again? Not if Shareowners Just Say No
http://corpgov.net/2[...]
CorpGov.net
2011-10-06
[5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Capit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53]
서적
The First Known Shareholder Activist: The Colorful Life and Times of Isaac le Maire (1559–1624)
[54]
서적
Shareholder Rights at 400: Commemorating Isaac Le Maire and the First Recorded Expression of Investor Advocacy
Remix Business Communications
[55]
논문
The Evolution of Shareholder Voting Rights: Separation of Ownership and Consumption
[56]
웹사이트
No Accounting Skills? No Moral Reckoning
http://opinionator.b[...]
2014-04-27
[57]
서적
Shareholder Activism at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1622–1625
Palgrave Macmillan
[58]
서적
Postcolonial Netherlands Sixty-Five Years of Forgetting, Commemorating, Silencing
Amsterdam University Press
[59]
서적
Austere Histories in European Societies: Social Exclusion and the Contest of Colonial Memories
Routledge
[60]
웹사이트
Zwarte Piet, a Bitter Treat? Racial Issues in The Netherlands and the U.S.
http://www.humanityi[...]
HumanityInAction.org
[61]
웹사이트
The Dutch VOC mentality. Cultural Policy as a Business Model
http://www.internati[...]
L'internationale (internationaleonline.org)
2015-09-23
[62]
서적
Amsterdam: A History of the World's Most Liberal City
[63]
웹사이트
Dutch Batavia: Exposing the Hierarchy of the Dutch Colonial City
https://jhna.org/art[...]
[64]
웹사이트
Shipwreck, sickness and pirates: the dangers of working for the East India Company
https://www.rmg.co.u[...]
[65]
서적
The rise and decline of Holland's economy : merchant capitalism and the labour market
http://worldcat.org/[...]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3
[66]
서적
International Order in Diversity: War, Trade and Rule in the Indian Oce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6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8]
논문
Debating Natural Law in the Banda Islands: A Case Study in Anglo–Dutch Imperial Competition in the East Indies, 1609–1621
2016-05-18
[69]
서적
Vaders en dochters: Molukse historie in de Nederlandse literatuur van de negentiende eeuw en haar weerklank in Indonesië
https://books.google[...]
Uitgeverij Verloren
2018
[70]
논문
Pioneers and Perkeniers: The Banda Islands in the 17th Century
University of Hawaiʻi at Mānoa
1995
[71]
서적
The rise and decline of Holland's economy : merchant capitalism and the labour market
http://worldcat.org/[...]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3
[72]
서적
South Africa: A Country Study
http://countrystudie[...]
GPO for the Library of Congress
2018-08-10
[73]
서적
Africana: The Encyclopedia of the African and African American Experience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74]
서적
The Archives of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VOC) and the Local Institutions in Batavia (Jakarta)
BRILL
[75]
웹사이트
Archives of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Documentary heritage submitted by Netherlands and recommended for inclusion in the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in 2003]
http://www.unesco.or[...]
UNESCO
[76]
웹사이트
日蘭交流の歴史
https://www.orandato[...]
2021-02-21
[77]
웹사이트
根室市‐学芸員日誌‐「最初の千島探検」
http://www.city.nemu[...]
[78]
참고자료
池田, 1964年
[79]
서적
イギリス帝国盛衰史
幻冬舎新書
[80]
서적
[81]
웹사이트
オランダ東インド会社からみた近世海域アジアの貿易と日本
https://www.nippon.c[...]
2013-05-06
[82]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