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르투갈 인판타 마리아 아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르투갈의 인판타 마리아 아나는 1861년에 태어나 1942년에 사망한 포르투갈의 인판타이다. 룩셈부르크 대공 빌헬름 4세와 결혼하여 6명의 딸을 두었으며, 남편의 질병으로 인해 1908년부터 1912년까지 룩셈부르크의 섭정을 역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국으로 망명하여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룩셈부르크의 왕족 - 아돌프 (룩셈부르크)
    아돌프 폰 나사우는 나사우 공국의 공작이었으며, 1890년부터 1905년까지 룩셈부르크의 대공으로, 나사우 가문 협약에 따라 룩셈부르크 대공위를 계승하였다.
  • 룩셈부르크의 왕족 - 기욤 4세
    기욤 4세는 1905년부터 1912년까지 룩셈부르크 대공으로 재임하며 룩셈부르크의 정치, 경제, 사회에 영향을 미쳤고, 아들이 없어 계승법을 개정하여 장녀 마리 아델라이드를 후계자로 지명했다.
  • 포르투갈의 왕녀 - 마리테레즈 도트리슈
    스페인 공주 마리 테레즈 도트리슈는 루이 14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왕비가 되었으나 궁정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종교적인 삶을 살았으며, 그녀의 지참금 미지급 문제는 후일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 포르투갈의 왕녀 - 브라간사의 카타리나
    브라간사의 카타리나는 포르투갈 공주이자 찰스 2세의 왕비로, 탕헤르와 봄베이를 지참금으로 가져와 대영제국 형성에 기여했으며 영국에 차 문화를 전파했고, 뉴욕 퀸스 지역 명칭 유래와 관련되어 논란이 있다.
  • 19세기 포르투갈 사람 -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는 1932년부터 1968년까지 포르투갈 총리를 지낸 권위주의적 독재자로, "에스타두 노부" 체제를 수립하여 일당 독재를 구축하고 경제 개발과 사회 통제에 주력했지만, 인권 탄압과 식민지 전쟁으로 국제적 비난을 받았다.
  • 19세기 포르투갈 사람 - 줄리우 디니스
    포르투갈의 소설가이자 의사인 줄리우 디니스는 사실주의 소설의 선구자로, 《주앙 디니스》, 《아 모르가디냐 드스 카나바이이스》, 《세랑스 다 프로빈시아》, 《오스 피달고스 다 카자 무리스카》 등의 작품을 통해 당시 포르투갈 사회와 인간 심리를 사실적으로 묘사했다.
포르투갈 인판타 마리아 아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890년대 중반의 마리아 아나
1890년대 중반의 마리아 아나
칭호룩셈부르크 대공비
재위 기간1905년 11월 17일 – 1912년 2월 25일
섭정1908년 11월 19일 – 1912년 6월 18일
섭정 대상기욤 4세, 마리 아델라이드
본명마리아 아나 두 카르무 엔히크 테레자 아델라이드 주아나 카롤리나 이네스 소피아 에울랄리아 레오폴디나 이자벨 베르나르디나 미카엘라 가브리엘라 하파엘라 프란시스카 드 아시스 이 드 파울라 이나시아 곤자가
출생일1861년 7월 13일
출생 장소독일 연방 뷔르템베르크 왕국 베르트하임암마인 브론바흐 성
사망일1942년 7월 31일
사망 장소미국 뉴욕
매장 장소룩셈부르크 노트르담 대성당
가문
왕조브라간사 가문
가족 관계
아버지미겔 1세
어머니아델하이트 폰 뢰벤슈타인
배우자기욤 4세 (1893년 결혼, 1912년 사별)
자녀마리 아델라이드
샤를로트
힐다, 슈바르첸베르크 공비
안토니아, 바이에른 왕세자비
엘리자베트, 투른 운트 탁시스 공비
조피, 작센 왕자비

2. 생애

1861년 7월 13일, 포르투갈의 미겔 1세 전 국왕과 아델하이트 폰 뢰벤슈타인베르트하임로젠베르크 왕녀의 딸로, 아버지가 왕위에서 물러나 망명 생활을 하던 중 뷔르템베르크 왕국에서 태어났다.

1893년 룩셈부르크 대공의 후계자였던 기욤과 결혼했으며, 이 결혼을 계기로 개신교 신자였던 남편 기욤은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부부는 여섯 명의 딸을 두었는데,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1907년 룩셈부르크에서는 여성의 대공위 계승을 인정하는 준살리카법이 채택되었다.

1905년 남편이 기욤 4세로 즉위하면서 대공비가 되었고, 1908년부터 남편의 병세가 악화되자 룩셈부르크섭정을 맡았다. 남편 사후인 1912년에는 잠시 장녀 마리아델라이드 대공의 섭정을 지냈다.

제2차 세계 대전나치 독일룩셈부르크를 점령하자 대공 일가와 함께 망명길에 올랐으며, 1942년 7월 31일 망명지인 미국 뉴욕에서 생을 마감했다.

2. 1. 초기 생애

1861년 7월 13일, 뷔르템베르크 왕국 베르트하임암마인의 브론바흐 성(Schloss Bronnbach)에서 포르투갈의 전 국왕 미겔 1세와 그의 아내인 아델하이트 폰 뢰벤슈타인베르트하임로젠베르크 왕녀 사이의 1남 6녀 중 다섯째 딸로 태어났다. 인판타 마리아 아나(Infanta Marie Anne) 또는 마리아 아나로 불렸으며, 브라간사 왕가의 일원이었다. 그녀가 태어났을 당시 아버지 미겔 1세는 포르투갈 내전에서 패배하여 왕위에서 물러난 뒤 망명 생활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족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손님으로 지내며 어려운 환경 속에서 성장했다.

2. 2. 결혼과 자녀

(마리아 아나의 조카)룩셈부르크 여대공. 자녀 있음.힐다1897년–1979년슈바르첸베르크 후작 아돌프 10세자녀 없음.안토니아1899년–1954년바이에른 왕세자 루프레히트 (두 번째 부인)자녀 있음.엘리자베트1901년–1950년투른 운트 탁시스 후작 루트비히 필리프자녀 있음.조피1902년–1941년작센 공자 에른스트 하인리히자녀 있음.



부부 사이에 아들이 없고 딸만 여섯이었기 때문에, 룩셈부르크왕위 계승법에 문제가 생겼다. 당시 나사우 가문의 가법은 살리카법을 따르고 있어 여성의 계승을 인정하지 않았으나, 1907년 기욤 4세는 준살리카법을 도입하여 딸들의 계승권을 인정하도록 법을 개정했다.

2. 3. 섭정

1905년 11월 17일, 남편 기욤 4세룩셈부르크 대공으로 즉위하면서 마리아 아나는 대공비가 되었다. 1908년 11월 19일부터는 극심한 질병으로 국정 수행이 불가능해진 남편 기욤 4세를 대신하여 룩셈부르크섭정을 맡았다. 이 섭정은 기욤 4세가 사망한 1912년 2월 25일까지 이어졌다.

남편 사후에는 곧바로 당시 미성년자였던 장녀 마리아델라이드 대공의 섭정을 1912년 2월 25일부터 1912년 6월 18일까지 역임했다.

2. 4. 제2차 세계 대전과 망명

제2차 세계 대전1940년 나치 독일 군대룩셈부르크를 점령하기 직전, 룩셈부르크 대공 가문은 망명길에 올랐다. 처음에는 프랑스에 머물렀으나, 프랑스가 1940년 6월 항복하자 포르투갈 영사 아리스티데스 드 소자 멘데스의 도움으로 통과 비자를 받아 포르투갈로 피신했다.

포르투갈에서는 코임브라리스본을 거쳐 카스카이스에 잠시 머물렀고, 이후 몬테 에스토릴로 옮겨 1940년 10월 3일까지 딸인 샤를로트 대공녀와 함께 지냈다. 같은 날, 마리아 아나는 미국 뉴욕으로 향하는 비행기에 탑승하여 망명 생활을 시작했다.

전쟁의 참화를 피해 미국으로 건너간 마리아 아나는 1942년 7월 31일, 망명지인 뉴욕에서 병으로 사망했다.

3. 자녀

룩셈부르크 대공 빌헬름 4세와 1893년 6월 21일 첼 암 제의 피쉬호른 성에서 결혼했다.[1][2] 남편 빌헬름 4세는 개신교 신자였으나, 자녀들은 룩셈부르크 인구의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는 가톨릭 신앙으로 키우기로 합의했다.[3]

부부는 여섯 딸을 두었다. 당시 룩셈부르크 대공위는 남성만이 계승할 수 있었으나, 딸만 여섯이었기 때문에 상속법이 개정되어 여성 군주가 인정되었다.

4. 가계

인판타 마리아 아나(Infanta Marie Anne)는 뷔르템베르크 왕국의 베르트하임암마인 브론바흐에 위치한 브론바흐 성(Schloss Bronnbach)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폐위된 왕 미겔 1세와 그의 아내 아델라이데 폰 로벤슈타인 사이에서 태어난 다섯 번째 자녀이자 막내딸이었다. 마리아 아나는 브라간사 왕가의 일원이었으며, 그녀가 태어날 당시 아버지 미겔 1세는 망명 상태였기 때문에 가족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손님으로 지내고 있었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미겔 1세와 아델라이데 공주의 딸들은 유럽의 로마 가톨릭 왕가나 폐위된 왕조의 수장들과 결혼하여 왕족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했다.

'''포르투갈 인판타 마리아 아나의 가계'''
본인부모조부모증조부모
1. 포르투갈의 마리아 아나 인판타2. 미겔 1세4. 주앙 6세8. 페드루 3세
9. 마리아 1세
5. 스페인의 카를로타 호아키나 인판타10. 스페인의 카를로스 4세
11. 파르마 공주 마리아 루이사
3. 로벤슈타인 공주 아델라이데6. 로벤슈타인의 상속친왕 콘스탄틴12. 로벤슈타인 공 카를 토마스
13. 빈디쉬-그라에츠 백작 부인 소피
7. 호엔로에-랑엔부르크 공주 아그네스14. 호엔로에-랑엔부르크 친왕 카를 루드비히
15. 졸름스-바루트 백작 부인 아말리에 헨리에테


참조

[1] 서적 As Infantas de Bragança e a Sua Descendência - História das Filhas de D. Miguel I https://books.google[...] Leya 2021-09-01
[2] 웹사이트 A fuga da família grã-ducal https://www.wort.lu/[...] 2019
[3] 문서 Exiles Memorial Cen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