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델라이드 (룩셈부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아델라이드 (1894–1924)는 룩셈부르크 대공 빌헬름 4세의 장녀로, 1912년 부친의 사망으로 룩셈부르크 최초의 여대공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룩셈부르크 점령에 대한 대응과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1919년 퇴위했으며, 이후 수녀 생활을 거쳐 1924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차 세계 대전의 군주 - 루트비히 3세 (바이에른)
루트비히 3세는 1913년부터 1918년까지 바이에른 왕국의 마지막 국왕으로 재위했으며, 독일 혁명으로 퇴위하여 왕국은 멸망했다. - 제1차 세계 대전의 군주 - 메흐메트 6세
메흐메트 6세는 오스만 제국의 마지막 술탄으로, 제1차 세계 대전 말기에 즉위하여 제국의 몰락을 겪고 튀르키예 독립 전쟁 이후 폐위되어 망명지에서 사망했다.
마리아델라이드 (룩셈부르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위 | 룩셈부르크 여대공 |
칭호 | 마리=아델라이드 |
![]() | |
전체 이름 | 마리=아델라이드 테레즈 힐다 안토니아 빌헬미네 |
로마자 표기 | Marie-Adélaïde Thérèse Hilda Antonia Wilhelmine |
출생일 | 1894년 6월 14일 |
출생지 | 룩셈부르크 콜마르=베르크 베르그 성 |
사망일 | 1924년 1월 24일 |
사망지 | 독일국(바이마르 공화국) 바이에른주 레크리스 호엔부르크 성 |
묻힌 곳 | 룩셈부르크 시 노트르담 대성당 |
종교 | 가톨릭교 |
통치 | |
통치 시작 | 1912년 2월 25일 |
통치 종료 | 1919년 1월 14일 |
전임자 | 기욤 4세 |
후임자 | 샤를로트 |
섭정 | 마리아 안나 데 브라간사 (1912년) |
총리 | 파울 아이셴 마티아스 몽게나스트 위베르 루슈 빅토르 토른 레옹 카우프만 에밀 로이터 |
가문 | |
왕가 | 나소바일부르크 가문 |
아버지 | 기욤 4세 |
어머니 | 마리아 안나 데 브라간사 |
2. 초기 생애
마리 아델라이드는 1894년 6월 14일 베르크 성에서 룩셈부르크 대공 빌헬름 4세와 그의 아내인 포르투갈의 마리아 안나 인판타 사이에서 장녀로 태어났다.
빌헬름 4세에게는 여섯 딸만 있고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군주제에서 살리카법의 사용으로 인한 계승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1907년 7월 10일 마리 아델라이드를 추정 상속인으로 선포했다.
같은 살리카법에 따라, 나사우 가문의 장자 계열인 '나사우-바일부르크'(현재의 '룩셈부르크-나사우')는 1890년 룩셈부르크의 왕위를 '나사우-오라녜'로 불리는 차자 계열로부터 물려받았다. 이 차자 계열은 1815년부터 1890년까지 룩셈부르크 대공을 배출했을 뿐만 아니라, 네덜란드 왕국의 통치 왕조와 개인적인 연합 관계에 있었다.
1912년 2월 25일 빌헬름 4세가 사망하면서, 마리 아델라이드는 17세의 나이로 왕위를 계승하여 룩셈부르크 최초의 여대공이 되었다. 그녀의 어머니는 1912년 6월 18일 마리 아델라이드의 18번째 생일까지 섭정을 수행했고, 1894년 6월 14일 룩셈부르크 의회 의장인 오귀스트 라발은 얀 폰 룩셈부르크 백작(1296–1346) 이후 룩셈부르크에서 태어난 최초의 군주로서 그녀에게 충성을 맹세했다.[1]
이전까지 룩셈부르크에서는 여성의 상속이 인정되지 않았지만, 기욤 4세에게는 6명의 딸만 있었고, 방계 남성도 생존해 있지 않았다. 그래서 1907년에 계승법이 개정되어 마리 아델라이드가 대공위 계승자로 지정되었다.
3. 통치 기간
마리아 아델라이드는 정치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룩셈부르크 헌법에 따라 정부와 정치에 적극 참여했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던 그녀는 1912년 즉위 직후 가톨릭 사제의 역할을 축소하는 법안에 서명을 거부했고,[2] 1915년에는 디페르당주와 홀레리히의 반성직주의적 시장 임명을 망설였다.[5]
3. 1. 제1차 세계 대전과 룩셈부르크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런던 조약에 따른 중립국이었던 룩셈부르크는 독일의 침략에 취약했다.[3] 1914년 8월 2일, 독일이 철도 보호를 명분으로 룩셈부르크의 중립을 침해하자, 마리아 아델라이드와 정부는 공식 항의했다. 그러나 이는 독일의 군사 점령을 막지 못했다.[3]
마리아 아델라이드와 정부는 더 이상의 반대 대신, 국민을 전쟁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점령 기간 동안 독일이 룩셈부르크 국가를 존속시키는 방향을 택했다.[1] 그녀와 가족들은 룩셈부르크 적십자 활동에 참여하여 독일군과 프랑스군 모두를 돌보았다.[4]
하지만, 룩셈부르크 내 정치 갈등은 심화되었다. 좌파는 마리아 아델라이드의 독일 혈통, 여동생의 독일 왕자 약혼, 독일 친척 장례식 참석, 독일 황제 빌헬름 2세를 궁정에 환대한 점 등을 문제 삼았다.[3]
1915년 말, 마리아 아델라이드는 루치 내각의 교착 상태 해결을 위해 의회를 해산하고 1915년 12월 23일 새 선거를 명령했다.[5] 이는 헌법상 허용되었지만, 사회주의자와 자유주의자들은 ''쿠데타''로 간주하며 반발했다.[5]
전쟁 후, 연합국은 룩셈부르크의 태도를 비판했고,[1] 프랑스 제3공화국 정부는 마리아 아델라이드를 친독일적이라며 접촉을 거부했다.[3] 레이몽 푸앵카레 프랑스 장관은 룩셈부르크가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1]
1919년 1월, 의회에서 퇴위 요구가 나왔고, 좌파는 군주제 폐지를 원했다.[3] 벨기에는 룩셈부르크 합병을 시도했고, 일부 정치적 반대자들도 이에 동조했다.[3]
1919년 1월 9일, 사회주의 및 자유주의 의원들은 군주제 폐지 투표에서 패배 후 공화국을 선포했고, 이는 프랑스군 개입을 초래했다.[1] 국내외 압력 속에 마리아 아델라이드는 1919년 1월 14일 퇴위하고, 동생 샤를로트가 즉위했다. 헌법도 개정되어 이후 대공들은 이전의 정치 권력을 행사하지 못했다.[3]
3. 2. 정치적 갈등과 퇴위
마리아 아델라이드는 정치에 깊은 관심을 가진 군주로서, 룩셈부르크 헌법이 부여한 광범위한 권한을 바탕으로 정부와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던 그녀는 강한 종교적 신념과 보수적인 정치 견해를 가졌으며, 1912년 즉위 직후 가톨릭 사제의 역할을 축소하는 법안에 서명을 거부했고,[2] 1915년에는 반성직주의적 시장 임명을 망설였다.[5]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룩셈부르크는 중립국이었으나 독일의 침략 위협에 놓였다. 1914년 8월 2일, 독일이 철도 보호를 명분으로 룩셈부르크의 중립을 침해하자 마리아 아델라이드와 정부는 공식 항의했지만, 이는 군사 점령을 막지 못했다.[3] 이후 룩셈부르크는 독일의 침략에 더 이상 반대하지 않았고, 이는 국민들을 군사적 충돌에서 보호하고 점령 기간 동안 독일이 룩셈부르크 국가를 유지하는 결과를 낳았다.[1] 마리아 아델라이드는 전쟁 기간 동안 룩셈부르크 적십자사 활동에 참여하여 독일과 프랑스 군인들을 돌보았다.[4]
그러나 룩셈부르크 내 정치적 갈등은 심화되었다. 좌파 세력은 마리아 아델라이드의 독일 혈통, 여동생의 독일 왕자 약혼 동의, 독일 친척 장례식 참석, 독일 황제 빌헬름 2세의 궁전 방문 등을 비판했다.[3] 1915년 말, 마리아 아델라이드는 루치 내각의 교착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 대의원 회의를 해산하고 새로운 선거를 명령했다.[5] 이 조치는 헌법상 허용되었지만, 사회주의자와 자유주의자들은 이를 ''쿠데타''로 간주하며 격렬히 반발했다.[5]
전쟁 이후 룩셈부르크는 연합국으로부터 비판을 받았고, 프랑스 제3공화국은 마리아 아델라이드를 친독일적 존재로 간주하며 협상을 거부했다.[3] 프랑스는 룩셈부르크가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1] 의회에서는 1919년 1월 그녀의 퇴위 요구가 나왔고, 좌파는 군주제 폐지를 원했다.[3] 벨기에는 룩셈부르크 합병을 시도했으며, 일부 정치적 반대자들도 이를 지지했다.[3]
1919년 1월 9일, 사회주의 및 자유주의 의원들은 군주제 폐지 투표에서 패배한 후 공화국을 선포했고, 이는 프랑스군의 개입을 요구하는 공공 불안으로 이어졌다.[1] 국내외적 압력 속에서 마리아 아델라이드는 1919년 1월 14일 퇴위했고, 여동생 샤를로트가 뒤를 이었다. 이후 헌법이 개정되어 샤를로트와 후계자들은 이전 군주들이 가졌던 정치적 권한을 행사하지 못하게 되었다.[3]
4. 퇴위 이후
퇴위 후, 마리 아델라이드는 유럽을 여행하며 망명 생활을 시작했다. 1920년 이탈리아 왕국의 모데나에 있는 카르멜회 수도원에 들어갔다. 이후, 로마의 가난한 자매회에 들어가 "가난한 마리 수녀"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그러나 건강이 악화되어 더 이상 수녀로 남을 수 없었고 결국 수도원을 떠나야 했다.[7] 그 후 바이에른의 호엔부르크 성으로 이주하여 가족과 함께 지내다 1924년 1월 24일, 29세의 나이로 인플루엔자로 사망했다. 그녀는 결혼하지 않았고 자녀도 없었다.[7] 1947년 10월 22일, 그녀의 유해는 룩셈부르크 시의 노트르담 대성당 대공 묘역에 안치되었다.[7]
5. 역대 정부
마리아델라이드의 재위 기간 동안 재임한 총리 및 내각은 다음과 같다.
총리 | 내각 |
---|---|
폴 아이스첸 | 아이스첸 내각 |
마티아스 몽게나스트 | 몽게나스트 내각 |
위베르 루치 | 루치 내각 |
빅토르 톤 | 국민 연합 정부 |
레옹 카우프만 | 카우프만 내각 |
에밀 로이터 | 로이터 내각 |
6. 가계
{| class="wikitable"
|-
! 1. '''마리 아델라이드''' (룩셈부르크 대공)
|-
|
{| class="wikitable"
|-
! 2. 빌헬름 4세 (룩셈부르크 대공)
|-
|
{| class="wikitable"
|-
! 4. 아돌프 (룩셈부르크 대공)
! 5. 아델하이트 마리 (안할트데사우 공주)
|-
|
8. 빌헬름 (나사우 공작) | 9. 루이제 (작센힐트부르크하우젠 공주) |
---|---|
10.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안할트데사우 공자) | 11. 마리아 루이제 샤를로테 (헤센카셀 공주) |
|}
|-
! 3. 마리아 안나 (포르투갈 공주)
|-
|
{| class="wikitable"
|-
! 6. 미겔 1세 (포르투갈 국왕)
! 7. 아델라이드 (로벤슈타인베르트하임로젠베르크 공주)
|-
|
12. 주앙 6세 (포르투갈 국왕) | 13. 카를로타 호아키나 (스페인 공주) |
---|---|
14. 콘스탄틴 (로벤슈타인베르트하임로젠베르크 세습공) | 15. 아그네스 (호엔로에랑겐부르크 공주) |
|}
|}
|}
마리 아델라이드는 1894년 6월 14일 베르크 성에서 룩셈부르크 대공 빌헬름 4세와 그의 아내인 포르투갈의 마리아 안나 인판타 사이에서 장녀로 태어났다.[1] 1907년, 아버지 빌헬름 4세에게는 아들이 없고 딸만 여섯 명이 있었기 때문에, 계승법이 개정되어 마리 아델라이드가 대공위 계승자로 지정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Marie-Adélaïde - Cour Grand-Ducale de Luxembourg - Les Souverains
http://www.monarchie[...]
2016-01-02
[2]
서적
Inventing Luxembourg: representations of the past, space and language from the nineteenth to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BRILL
[3]
웹사이트
The Tragedy of Marie Adelaide
https://media.christ[...]
2022-12-25
[4]
웹사이트
Le Luxembourg durant la Première Guerre mondiale 1914
https://gouvernement[...]
[5]
서적
Les gouvernements du Grand-Duché de Luxembourg depuis 1848
https://www.gouverne[...]
Service Information et Presse
2016-01-02
[6]
웹사이트
Chicago Eagle
http://idnc.library.[...]
2015-06-26
[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