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무댜 아난타 투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라무댜 아난타 투르는 인도네시아의 소설가이자 작가로, 1925년 자바 섬에서 태어났다. 그는 일본 제국 점령기 동안 민족주의 운동에 참여했으며, 독립 이후에는 사회 비평가로 활동했다. 1965년 9·30 사건 이후 정치범으로 몰려 부루 섬에서 10년 이상 수감되었고, 이 기간 동안 대표작인 "부루 4부작"을 구술로 집필했다. 수하르토 정권 하에서 작품이 금지되었지만, 국제적인 인정을 받아 여러 상을 수상했으며, 석방 후에도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의 사회주의자 - 수카르노
수카르노는 인도네시아의 초대 대통령이자 독립운동가로서, 네덜란드 식민 통치에 저항하며 인도네시아 민족당을 창당하고 독립운동을 이끌어 인도네시아 독립을 선언했으나, 집권 후반기 권위주의적 체제 구축으로 비판받았으며, 그의 정치적 이념인 빤차실라는 오늘날까지 인도네시아의 국가 이념으로 남아있다. - 중앙자와주 출신 - 음바 고토
음바 고토는 1870년에 태어나 146세에 사망했다고 주장되었으나 출생 기록은 불분명하며, 장수의 비결로 인내를 꼽았다. - 중앙자와주 출신 - 둘마틴
둘마틴은 페말랑 지역을 배경으로 사회적 메시지와 개인적 감성을 담아 사회 부조리를 풍자하고 인간 본성을 탐구하는 작품 "페말랑 군의 엘 부를라돌"로 유명한 시인이다. - 인도네시아의 작가 - 세노 구미라 아지다르마
세노 구미라 아지다르마는 사회 비판적 시각과 인도네시아 사회 현실을 반영하는 작품 세계를 구축한 인도네시아의 저명한 작가로, 다양한 문학상 수상 경력이 있으며 그의 작품은 한국에도 소개되어 깊은 인상을 남겼다. - 인도네시아의 작가 - 데위 르스타리
데위 르스타리는 1976년 반둥 출생의 인도네시아 작가이자 가수로, 걸 그룹 RSD로 데뷔하여 앨범을 발매하고 소설 《초신성》 시리즈를 발표하며 작가로 활동하며 종교적 주제와 환경 문제를 다룬다.
프라무댜 아난타 투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25년 2월 6일 |
출생지 | 네덜란드령 동인도 블로라 |
사망일 | 2006년 4월 30일 |
사망지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
직업 | 소설가 수필가 |
배우자 | 아르바 일야스 (1950년 결혼, 1954년 이혼) 마에무나 탐린 (1955년 결혼, 2006년 사망) |
![]() | |
작품 | |
주요 작품 | 부루 4부작 인간의 대지 모든 나라의 아이 발자취 유리 집 |
영향 | |
영향 받은 인물 | 레프 톨스토이 막심 고리키 귄터 그라스 카를 마르크스 |
영향을 준 인물 | 베네딕트 앤더슨 |
2. 초기 생애
프라무댜 아난타 투르는 1925년 2월 6일 네덜란드령 동인도(현재의 인도네시아) 자바 섬 중부의 블로라에서 태어났다.[2] 그의 아버지는 학교 교사이자 부디 우토모 회원이었다.[3] 그의 어머니는 독실한 무슬림으로 쌀 장사를 했다.[3] 그는 9남매 중 장남이었다. 그의 본명은 프라무댜 아난타 마스투어였으나, 귀족적으로 들리는 아버지의 성 '마스투어'를 빼고 '투르'를 필명으로 사용했다. 그는 수라바야의 라디오 직업학교에 진학했지만, 일본 제국이 수라바야를 침공하면서(1942년) 학교를 졸업하지 못했다.
프라무댜 아난타 투르는 수라바야의 라디오 직업학교에 진학했으나, 1942년 일본 제국의 침공으로 졸업하지 못했다.[2] 제2차 세계 대전 초기, 그는 일본군을 네덜란드보다 덜 나쁜 존재로 보고 지지했으며, 자카르타의 일본 신문사에서 타이피스트로 일했다.[2] 그러나 전쟁이 장기화되며 인도네시아인들은 일본의 가혹한 통치에 실망했고, 프라무댜는 수카르노를 중심으로 한 민족주의 세력에 가담했다.
독립 투쟁 이후 몇 년 동안 프라무댜는 새로 건국된 국가의 문제들을 다룬 여러 소설과 전쟁 회고록을 바탕으로 한 반자전적 작품을 집필했다. 그는 문화 교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네덜란드에서 거주했다. 그 후 몇 년 동안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방문과 막심 고리키, 레프 톨스토이 등 러시아 작가들의 번역을 포함한 여러 다른 문화 교류에 관심을 가졌다.
1965년 10월 쿠데타에서, 육군은 여러 고위 장군의 암살이 인도네시아 공산당(PKI)에 의해 조작되었다고 주장한 후 권력을 잡았다. 수하르토의 신질서로의 전환이 이어졌고, 프라무댜는 PKI와 연계된 문학 단체인 인민 문화 기구의 수장으로서 공산주의자이자 "신질서" 정권의 적으로 여겨졌다. 격렬한 1965-66년 인도네시아 반공 대학살 동안, 그는 수하르토 정부에 의해 체포, 구타, 투옥되었고 ''타폴''("정치범")로 불렸다. 그의 책은 유통이 금지되었고, 재판 없이 투옥되었으며, 처음에는 자바 남부 해안의 누사 캄방안에서, 그 다음에는 인도네시아 군도의 동쪽 섬에 있는 부루의 교도소에서 수감되었다.
프라무댜 아난타 투르는 1979년 석방되었지만 1992년까지 자카르타에서 가택 연금 상태에 놓였다.[4] 그는 이 기간 동안 자신의 할머니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반자전적 소설 《해변에서 온 소녀》를 출간했다. 그는 또한 《Nyanyi Sunyi Seorang Bisu》(1995년, 벙어리의 독백), 부루 수감 시절 딸에게 쓴 편지를 바탕으로 한 자서전과 《Arus Balik》(1995년)을 썼다.[4]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프라무댜는 수카르노, 수하르토를 포함한 많은 인도네시아 민족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일본 제국의 점령군을 지지하며, 자카르타의 일본 신문에서 타이피스트로 일했다. 그러나 전쟁이 진행되면서 인도네시아인들은 전시 배급 긴축과 일본 군대의 가혹한 조치에 실망했고, 프라무댜는 수카르노에 충성하는 민족주의 세력을 지지했다는 정황이 있다.
1945년 8월 17일, 일본에 대한 연합국의 승리 소식이 인도네시아에 전해진 후, 수카르노는 인도네시아 독립을 선포했다. 이는 영국과 네덜란드의 군대에 대항하는 인도네시아 국민 혁명을 촉발시켰다. 이 전쟁에서 프라무댜는 카라왕, 크란지 (서자바)에서 무장 단체에 가입했고 결국 자카르타에 주둔했다. 그는 이 시기에 민족주의 대의를 위한 선전물뿐만 아니라 단편 소설과 책을 썼다. 그는 결국 1947년 자카르타에서 네덜란드에 의해 투옥되었고, 1949년까지 그곳에 갇혀 있었다. 그는 인도네시아 혁명에서 활동한 혐의로 1947년부터 1949년까지 부킷 두리에서 투옥되는 동안, 오프보우-펨방고난 재단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그의 첫 번째 주요 소설인 "도망자"와 "게릴라 가족"을 썼고, 재단은 이 책들을 출판하기도 했다.
3. 일본 군정기와 독립 투쟁
1945년 8월 17일, 일본 항복 이후, 그는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에 참전하여 카라왕, 크란지 (서자바)에서 무장 단체 활동을하고 자카르타에 주둔하며 민족주의 대의를 위한 선전물과 단편 소설, 책을 집필했다.[2] 1947년, 자카르타에서 반네덜란드 선전 문서를 소지한 혐의로 네덜란드군에 체포되어 1949년까지 투옥되었다.[2] 그는 투옥 중에도 집필 활동을 계속하여, 그의 첫 장편 소설인 《도망자》와 《게릴라 가족》을 썼으며, 이 책들은 오프보우-펨방고난 재단의 지원을 받아 출판되었다.
4. 독립 이후의 활동
인도네시아에서 프라무댜는 좌익 작가 그룹 레크라(인민문화협회)에 가입하고 다양한 신문과 문학 저널에 글을 기고하며 문학 및 사회 비평가로서 명성을 쌓았다. 그의 글쓰기 스타일은 정치적으로 더욱 격렬해졌는데, 이는 부패의 함정에 빠지는 공무원에 대한 비판적 소설인 그의 이야기 ''Korupsi''(부패)에서 잘 드러난다. 이로 인해 그와 수카르노 정부 사이에 마찰이 생겼다.
1950년대 후반부터 프라무댜는 좌익 ''레수스 공화국 대학교''에서 문학사를 가르치기 시작했다. 그는 자료를 준비하면서 인도네시아어와 문학 연구가 네덜란드 식민 당국에 의해 왜곡되었음을 깨닫기 시작했다. 그는 식민 교육 기관에 의해 무시되었고 독립 후에도 계속 무시되었던 자료들을 찾아 나섰다.
중국에서 시간을 보낸 그는 탈식민지 인도네시아에서 겪는 박해에 대해 인도네시아 화교에게 매우 동정심을 갖게 되었다. 특히 그는 인도네시아 화교의 역사를 논하는 가상의 중국인 통신원에게 보내는 일련의 편지인 ''Hoakiau di Indonesia'' (인도네시아 화교의 역사)를 출판했다. 그는 정부가 자바 중심적이고 인도네시아의 다른 지역과 사람들의 필요와 욕구에 둔감하다고 비판했다. 그 결과 그는 인도네시아 군대에 체포되어 치피낭 감옥에서 9개월 동안 수감되었다.
1965년의 9·30 사건 이후, 인도네시아 공산당(PKI)과의 관계를 의심받아 정치범 낙인이 찍혀 유배지인 부루 섬으로 보내졌다. 문명 사회와 격리된 유배 생활은 10년 이상 이어졌지만, 창작 의욕은 꺾이지 않고, 동국 문학사상 최고의 걸작으로 꼽히는 대하 역사 소설 "부루 4부작 ''The Buru Quartet''" (『인간의 대지』 등)를 완성했다.
수하르토 정권 하에서 프라무디아의 작품은 사실상 발매 금지 처분을 받았지만, 그 업적은 인도네시아 국외에서도 잘 알려져 1988년, 국제 펜클럽(PEN)의 Freedom-to-Write상, 1995년, 막사이사이상을 수상했고, 2000년, 후쿠오카 시의 "후쿠오카 아시아 문화상"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5. 수하르토 정권 하의 탄압과 투옥
그는 부루 섬에서의 투옥 기간 동안 글을 쓰는 것이 금지되었지만, 지금까지 가장 잘 알려진 작품 시리즈인 부루 4부작을 구술로 썼다. 이 작품은 인도네시아 민족주의의 발전을 연대순으로 기록한 4편의 역사 소설 시리즈이며, 성장하면서 겪었던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4부작의 영어 제목은 ''이 세상의 인간'', ''모든 민족의 아이'', ''발자취'', 그리고 ''유리 궁전''이다. 시리즈의 주요 등장인물인 밍케는 자바의 소규모 왕족으로, 민족주의 운동에서 활동한 인도네시아 저널리스트 티르토 아디 소에르조를 부분적으로 모델로 했다.
4부작에는 인도네시아와 중국계의 강한 여성 캐릭터가 등장하며, 식민 통치 하에서의 차별과 굴욕, 그리고 개인적, 국가적 정치적 독립을 위한 투쟁을 다루고 있다. 프라무댜의 많은 작품과 마찬가지로, 개인적인 이야기를 전하고 국가 역사의 흐름에 휩쓸린 개인에게 초점을 맞춘다.
프라무댜는 부루 수용소에 수감되기 전에 책에 대한 조사를 했다. 그가 체포되었을 때, 그의 서재는 불탔고 그의 소장품과 초기 저작물의 대부분을 잃었다. 부루에서는 연필조차 가질 수 없었다. 자신이 소설을 직접 쓸 수 있을지 의심하면서, 그는 동료 수감자들에게 그것들을 구술했다. 다른 수감자들이 그의 업무량을 줄이기 위해 추가 노동을 하면서 프라무댜는 결국 소설을 쓸 수 있었고, 출판된 작품은 교도소의 이름을 따서 "부루 4부작"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그들은 영어(맥스 레인 번역)와 인도네시아어를 비롯한 여러 언어로 수집되어 출판되었다. 이 작품은 인도네시아 외부에서는 고전으로 여겨지지만, 인도네시아에서는 출판이 금지되어 인도네시아의 가장 유명한 문학 작품 중 하나가 그 역사를 다루는 자국민에게 거의 접근할 수 없게 되었다. 사본은 해외 인도네시아인들에 의해 스캔되어 인터넷을 통해 국내 사람들에게 배포되었다.
1965년의 9·30 사건 이후, 인도네시아 공산당(PKI)과의 관계를 의심받아 정치범 낙인이 찍혀 유배지인 부루 섬으로 보내졌다. 문명 사회와 격리된 유배 생활은 10년 이상 이어졌지만, 창작 의욕은 꺾이지 않고, 동국 문학사상 최고의 걸작으로 꼽히는 대하 역사 소설 "부루 4부작" (『인간의 대지』 등)를 완성했다.
수하르토 정권 하에서 프라무디아의 작품은 사실상 발매 금지 처분을 받았지만, 그 업적은 인도네시아 국외에서도 잘 알려져 1988년, 국제 펜클럽(PEN)의 Freedom-to-Write상, 1995년, 막사이사이상을 수상했고, 2000년, 후쿠오카 시의 "후쿠오카 아시아 문화상"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6. 석방 이후의 활동과 민주화
그는 인도네시아 정부를 비판하는 많은 칼럼과 단편 기사를 썼으며, 일본 점령 기간 동안 위안부가 되도록 강요받고 이후 인도네시아 사회로부터 억압을 받은 자바 여성들의 고통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인 《Perawan Remaja dalam Cengkeraman Militer》(군대의 손아귀에 갇힌 젊은 처녀들)를 썼다. 이 여성들은 부루로 끌려가 일본군에게 성적 학대를 받았고 자바에 돌아가지 않고 그곳에 머물게 되었다.[4]
프라무댜의 글은 역사 속 정치적 사건으로 인한 국제적, 지역적 흐름과 이러한 사건들이 그의 조국을 어떻게 관통하여 국민들을 휩쓸었는지를 다루고 있다.[5] 또한 자기 표현의 노력과 그의 저작물에 대한 정치적 측면, 그리고 그의 작품에 대한 지도자들의 검열에 맞선 투쟁에 대한 개인적인 고난과 구금의 역사를 공유한다.[5]
7. 수상 내역
8. 작품 목록
wikitext
프라무댜 아난타 투르는 소설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글을 썼다. 다음은 프라무댜 아난타 투르가 남긴 작품들의 목록이다.
'''소설'''
- ''Kranji-Bekasi Jatuh'' (1947) (크란지 브카시 함락되다)
- ''Perburuan'' (1950) (도망자)
- ''Keluarga Gerilya'' (1950) (조국이여 조국이여) : 한국어 번역본 존재
- ''Bukan Pasar Malam'' (1951) (밤의 장이 아니야)
- ''Cerita dari Blora (1952)
- ''Gulat di Jakarta'' (1953) (자카르타에서의 레슬링)
- ''Korupsi'' (1954) (부패)
- ''Midah - Si Manis Bergigi Emas'' (1954)
- ''Cerita Calon Arang'' (1957)
- ''인도네시아의 화교''(Hoakiau di Indonesia) (1960)
- ''Panggil Aku Kartini Saja I & II'' (1962) (나를 카르티니라 불러 주오)
- 부루 4부작
- * ''Bumi Manusia'' (1980) (인간의 대지) : 한국어 번역본 존재
- * ''Anak Semua Bangsa'' (1980) (만국의 아이): 번역 예정이었으나 발간되지 않음
- * ''Jejak Langkah'' (1985) (발자취)
- * ''Rumah Kaca'' (1988) (유리의 집)
- ''Gadis Pantai'' (1962) (해안에서 온 소녀)
- ''Nyanyi Sunyi Seorang Bisu'' (1995) (벙어리의 독백)
- ''Arus Balik'' (1995) (역류)
- ''Arok Dedes'' (1999) (아록 데데스)
- ''Mangir'' (1999)
- ''Larasati'' (2000)
- ''Perawan Remaja dalam Cengkeraman Militer: Catatan Pulau Buru'' (2001)
- ''사라진 모든 것'' (All That Is Gone) (2004)
- 네덜란드 영화 잘란 라야 포스(Jalan Raya Pos)의 내레이션, ''대우편로''
'''기타'''
- ''Kranji-Bekasi Jatuh'' (1947) (크란지 브카시 함락되다)
- ''Perburuan'' (1950) (도망자)
- ''Keluarga Gerilya'' (1950) (조국이여 조국이여) : 한국어 번역본 존재
- ''Bukan Pasar Malam'' (1951) (밤의 장이 아니야)
- ''Cerita dari Blora (1952)
- ''Gulat di Jakarta'' (1953) (자카르타에서의 레슬링)
- ''Korupsi'' (1954) (부패)
- ''Midah - Si Manis Bergigi Emas'' (1954)
- ''Cerita Calon Arang'' (1957)
- ''Hoakiau di Indonesia'' (1960) (인도네시아의 화교)
- ''Panggil Aku Kartini Saja I & II'' (1962) (나를 카르티니라 불러 주오)
- 부루 4부작
- * ''Bumi Manusia'' (1980) (인간의 대지) : 한국어 번역본 존재
- * ''Anak Semua Bangsa'' (1980) (만국의 아이) : 번역 예정이었으나 발간되지 않음
- * ''Jejak Langkah'' (1985) (발자취)
- * ''Rumah Kaca'' (1988) (유리의 집)
- ''Gadis Pantai'' (1962) (해안에서 온 소녀)
- ''Nyanyi Sunyi Seorang Bisu'' (1995) (벙어리의 독백)
- ''Arus Balik'' (1995) (역류)
- ''Arok Dedes'' (1999) (아록 데데스)
- ''Mangir'' (1999)
- ''Larasati'' (2000)
- ''Perawan Remaja dalam Cengkeraman Militer: Catatan Pulau Buru''(2001)
- ''사라진 모든 것''(All That Is Gone) (2004)
- 네덜란드 영화 Jalan Raya Pos(잘란 라야 포스)의 내레이션, 대우편로
일본에서는 프라무댜의 작품들이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 『게릴라의 가족』 (Keluarga Gerilya), 오시카와 노리아키 역, 메콩, 1983년
- 『인간의 대지 상・하』 (Bumi Manusia), 오시카와 노리아키 역, 메콩, 1986년
- 『모든 민족의 아이 상・하』 (Anak Semua Bangsa), 오시카와 노리아키 역, 메콩, 1988년
- 『족적』 (Jejak Langkah), 오시카와 노리아키 역, 메콩, 1998년
- 『유리의 집』 (Rumah Kaca), 오시카와 노리아키 역, 메콩, 2007년
- 『일본군에게 버려진 소녀들 - 인도네시아 위안부 비화』 (Perawan Remaja dalam Cengkeraman Militer), 야마다 미치타카 역, 코몬즈, 2004년
8. 1. 소설
- ''Kranji-Bekasi Jatuh'' (1947) (크란지 브카시 함락되다)
- ''Perburuan'' (1950) (도망자)
- ''Keluarga Gerilya'' (1950) (조국이여 조국이여) : 한국어 번역본 존재
- ''Bukan Pasar Malam'' (1951) (밤의 장이 아니야)
- ''Cerita dari Blora (1952)
- ''Gulat di Jakarta'' (1953) (자카르타에서의 레슬링)
- ''Korupsi'' (1954) (부패)
- ''Midah - Si Manis Bergigi Emas'' (1954)
- ''Cerita Calon Arang'' (1957)
- ''인도네시아의 화교''(Hoakiau di Indonesia) (1960)
- ''Panggil Aku Kartini Saja I & II'' (1962) (나를 카르티니라 불러 주오)
- 부루 4부작
- * ''Bumi Manusia'' (1980) (인간의 대지) : 한국어 번역본 존재
- * ''Anak Semua Bangsa'' (1980) (만국의 아이): 번역 예정이었으나 발간되지 않음
- * ''Jejak Langkah'' (1985) (발자취)
- * ''Rumah Kaca'' (1988) (유리의 집)
- ''Gadis Pantai'' (1962) (해안에서 온 소녀)
- ''Nyanyi Sunyi Seorang Bisu'' (1995) (벙어리의 독백)
- ''Arus Balik'' (1995) (역류)
- ''Arok Dedes'' (1999) (아록 데데스)
- ''Mangir'' (1999)
- ''Larasati'' (2000)
- ''Perawan Remaja dalam Cengkeraman Militer: Catatan Pulau Buru'' (2001)
- ''사라진 모든 것'' (All That Is Gone) (2004)
- 네덜란드 영화 잘란 라야 포스(Jalan Raya Pos)의 내레이션, ''대우편로''
일본에서 번역된 프라무댜 아난타 투르의 작품은 다음과 같다.
- 『게릴라의 가족』 (Keluarga Gerilya), 오시카와 노리아키 역, 메콩, 1983년
- 『인간의 대지 상・하』 (Bumi Manusia), 오시카와 노리아키 역, 메콩, 1986년
- 『모든 민족의 아이 상・하』 (Anak Semua Bangsa), 오시카와 노리아키 역, 메콩, 1988년
- 『족적』 (Jejak Langkah), 오시카와 노리아키 역, 메콩, 1998년
- 『유리의 집』 (Rumah Kaca), 오시카와 노리아키 역, 메콩, 2007년 (영문 번역판은, House Of Glass, translated by Max Lane, Penguin Books, 1992)
- 『일본군에게 버려진 소녀들 - 인도네시아 위안부 비화』 (Perawan Remaja dalam Cengkeraman Militer), 야마다 미치타카 역, 코몬즈, 2004년
8. 2. 기타
프라무댜 아난타 투르는 소설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글을 썼다. 다음은 프라무댜 아난타 투르가 남긴 작품들의 목록이다.- ''Kranji-Bekasi Jatuh'' (1947) (크란지 브카시 함락되다)
- ''Perburuan'' (1950) (도망자)
- ''Keluarga Gerilya'' (1950) (조국이여 조국이여) : 한국어 번역본 존재
- ''Bukan Pasar Malam'' (1951) (밤의 장이 아니야)
- ''Cerita dari Blora (1952)
- ''Gulat di Jakarta'' (1953) (자카르타에서의 레슬링)
- ''Korupsi'' (1954) (부패)
- ''Midah - Si Manis Bergigi Emas'' (1954)
- ''Cerita Calon Arang'' (1957)
- ''Hoakiau di Indonesia'' (1960) (인도네시아의 화교)
- ''Panggil Aku Kartini Saja I & II'' (1962) (나를 카르티니라 불러 주오)
- 부루 4부작
- * ''Bumi Manusia'' (1980) (인간의 대지) : 한국어 번역본 존재
- * ''Anak Semua Bangsa'' (1980) (만국의 아이) : 번역 예정이었으나 발간되지 않음
- * ''Jejak Langkah'' (1985) (발자취)
- * ''Rumah Kaca'' (1988) (유리의 집)
- ''Gadis Pantai'' (1962) (해안에서 온 소녀)
- ''Nyanyi Sunyi Seorang Bisu'' (1995) (벙어리의 독백)
- ''Arus Balik'' (1995) (역류)
- ''Arok Dedes'' (1999) (아록 데데스)
- ''Mangir'' (1999)
- ''Larasati'' (2000)
- ''Perawan Remaja dalam Cengkeraman Militer: Catatan Pulau Buru''(2001)
- ''사라진 모든 것''(All That Is Gone) (2004)
- 네덜란드 영화 Jalan Raya Pos(잘란 라야 포스)의 내레이션, 대우편로
일본에서는 프라무댜의 작품들이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 『게릴라의 가족』 (Keluarga Gerilya), 오시카와 노리아키 역, 메콩, 1983년
- 『인간의 대지 상・하』 (Bumi Manusia), 오시카와 노리아키 역, 메콩, 1986년
- 『모든 민족의 아이 상・하』 (Anak Semua Bangsa), 오시카와 노리아키 역, 메콩, 1988년
- 『족적』 (Jejak Langkah), 오시카와 노리아키 역, 메콩, 1998년
- 『유리의 집』 (Rumah Kaca), 오시카와 노리아키 역, 메콩, 2007년
- 『일본군에게 버려진 소녀들 - 인도네시아 위안부 비화』 (Perawan Remaja dalam Cengkeraman Militer), 야마다 미치타카 역, 코몬즈, 2004년
참조
[1]
뉴스
Pram dan Pulau Buru, Tempat Lahirnya ''Bumi Manusia''
https://nasional.kom[...]
2023-04-01
[2]
서적
Encyclopedia of the Novel
Fitzroy Dearborn
1998
[3]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4]
논문
Pramoedya and the Comfort Women of Buru A Textual Analysis of Perawan Remaja dalam Cengkeraman Militer (Teenage Virgins in the Grasp of the Military)
https://www.academia[...]
2010
[5]
웹사이트
Biography of Toer, Pramoedya Ananta, 1925-2006
https://sea.lib.niu.[...]
2022-07-11
[6]
서적
Bersama Mas Pram : memoar dua adik Pramoedya Ananta Toer
https://ebooks.grame[...]
Kepustakaan Populer Gramedia
2009
[7]
서적
Nyanyi Sunyi Seorang Bisu 2: Catatan-catatan Dari Pulau Buru
Lentera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