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는 1401년 이탈리아의 콘도티에로 무치오 스포르차의 사생아로 태어났다. 그는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발휘하여 용병대장으로 활동하며 명성을 얻었고, 1450년 밀라노 시민들의 추대로 밀라노 공작에 올랐다. 프란체스코 1세는 밀라노의 재정을 안정시키고 도시를 발전시켰으며, 르네상스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로디 조약을 통해 이탈리아 국가 간의 평화를 추구했으며, 프랑스 등 외세의 위협에 대응하여 이탈리아 반도의 안정을 유지하는 데 힘썼다. 프란체스코 1세는 1466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뒤는 아들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가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66년 사망 - 양정 (조선)
    세종의 후궁 혜빈 양씨의 친족인 양정은 내금위 무사로 무관 생활을 시작하여 계유정난에 가담, 정난공신에 책록되었으나, 세조에게 왕위 선위를 진언한 일로 탄핵받아 사형당한 조선 초기의 무신이자 공신이다.
  • 1466년 사망 - 의령옹주
    의령옹주는 조선 태조의 딸이며, 계천군 이등에게 시집가 4남 3녀를 낳았다.
  • 피사도 출신 - 루차노 키아루지
    루차노 키아루지는 빠른 속도와 드리블로 "미친 말"이라는 별명을 얻은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ACF 피오렌티나, AC 밀란 등에서 뛰며 세리에 A 우승, UEFA 컵위너스컵 우승 등을 기록했고, 선수 은퇴 후에는 감독으로 활동하며 ACF 피오렌티나의 감독 대행을 세 차례 역임했다.
  • 피사도 출신 - 안드레아 보첼리
    안드레아 보첼리는 이탈리아 출신의 세계적인 테너 가수로, 시각 장애를 극복하고 법학을 전공한 변호사였지만, 뛰어난 음악적 재능으로 'Time to Say Goodbye'와 같은 히트곡을 내며 클래식과 팝을 넘나드는 활발한 활동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 1401년 출생 - 마사초
    이탈리아 초기 르네상스 화가 마사초는 선형 원근법과 키아로스쿠로 기법을 활용하여 사실적이고 인간적인 묘사로 르네상스 회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브란카치 예배당 프레스코 연작, 《성 삼위일체》, 《피사 제단화》 등의 대표작을 남겼고, 짧은 생애에도 불구하고 후대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1401년 출생 - 윤사분
    윤사분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세종, 세조, 예종, 성종 시대를 거치며 예문관제학, 우찬성, 우의정 등을 역임하고 좌익원종공신 1등에 봉해졌으며, 정희왕후의 동생이다.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의 초상화(1460년경), 보니파시오 벰보 그림. 스포르차는 낡고 더러운 오래된 캠페인 모자를 쓰고 있는 모습으로 보여주기를 주장했다. 브레라 미술관, 밀라노 소장.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의 초상화(1460년경), 보니파시오 벰보 그림. 스포르차는 낡고 더러운 오래된 캠페인 모자를 쓰고 있는 모습으로 보여주기를 주장했다. 브레라 미술관, 밀라노 소장.
칭호밀라노 공작
재위 기간1450년 3월 25일 – 1466년 3월 8일
선임자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
후임자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
출생일1401년 7월 23일
출생지치골리, 산 미니아토, 피렌체 공화국
사망일1466년 3월 8일
사망지밀라노, 밀라노 공국
배우자폴리세나 루포
비안카 마리아 비스콘티
가문스포르차 가문
아버지무치오 아텐돌로 스포르차
어머니루치아 데 마르티니 (데마르티니)
자녀
자녀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 밀라노 공작
이폴리타 마리아 스포르차, 칼라브리아 공작 부인
필리포 마리아 스포르차, 코르시카 백작
스포르차 마리아 스포르차, 바리 공작
프란체스코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
루도비코 스포르차, 밀라노 공작
아스카니오 마리아 스포르차
엘리자베타 마리아 스포르차, 몬페라토 후작 부인
오타비아노 마리아 스포르차, 루가노 백작
훈장

2. 생애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는 무치오 스포르차와 루차 다 토르사노 사이에서 태어난 일곱 사생아 중 한 명으로, 토스카나주 산미니아토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은 트리카리코(오늘날 바실리카타 주)에서 보냈으며, 1412년 나폴리의 라디슬라오 왕에게 후작으로 인정받았다. 16세 때 용병대장 안젤로 라벨로와 대결하여 두각을 나타냈고, 1418년 폴리세나 루포와 혼인하였으나 1420년 딸 안토니아 폴리세나를 낳은 직후 사망했다.[7]

1419년부터 아버지를 따라 군사 활동에 참여, 맨손으로 강철 주괴를 구부릴 수 있다는 명성을 얻었으며, 뛰어난 전략가이자 야전 사령관으로서 능력을 증명하였다. 1424년 아버지 무치오 스포르차가 사망하자, 처음에는 나폴리군과 싸웠고 그 후에는 교황 마르티노 5세, 밀라노 공작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와 싸웠다. 몇몇 성공을 거둔 후, 모르타라 성에서 사실상 죄수처럼 보내지는 불명예를 겪었으나, 루카 원정을 이끈 후 지위를 회복하였다.

1431년, 교황령을 위해 싸운 후 스포르차는 밀라노 공작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의 군대를 이끌고 베네치아 공화국과 맞섰다. 1432년,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의 서녀 비안카 마리아 비스콘티와 약혼했으나, 비스콘티 가문의 의심과 견제를 받았다.[7] 1433년부터 1435년까지는 밀라노군을 이끌고 교황령을 공격했고, 마르케에서 안코나를 함락시키자 교황 에우제니오 4세가 직접 도시의 대리인 칭호를 내려주기도 했다. 1436년부터 1439년까지는 피렌체와 베네치아를 위해 일하는 등 복잡한 행보를 보였다.

1440년, 나폴리 왕국에 있던 그의 영지를 아라곤의 알폰소 5세에게 빼앗기자,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와 화해했다. 1441년 크레모나에서 비안카 마리아 비스콘티와 정식으로 결혼했다.[7] 이후 나폴리 왕위 계승 분쟁에 개입하여 앙주의 르네와 동맹을 맺고 남부 이탈리아에서 전투를 벌였다.

1447년,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밀라노는 암브로시아 공화국이 되었으나,[8] 혼란이 지속되었다. 스포르차는 로디를 포함한 공국의 다른 영지를 받았고, 굴리엘모 8세 델 몬페라토와 베네치아와 동맹을 맺어 공화국 정복을 시작했다. 1450년, 기근과 폭동이 일어난 밀라노에서 스포르차는 시민들의 추대로 밀라노 공작에 올랐다.[9]

스포르차는 효율적인 세금 제도를 도입하여 정부 수입을 크게 늘렸다. 그의 궁정은 르네상스 교육과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밀라노 시민들의 지지를 받았다.[8] 그는 밀라노에 오스페달레 마조레를 설립하고, 팔라초 델라렌고를 보수했으며, 아다강과 연결되는 수로인 나빌리오 다다를 건설하는 등 도시를 발전시켰다.[8]

피렌체코시모 데 메디치와 우호 관계를 맺은 그는 1454년 로디 조약을 통해 이탈리아 국가 간의 평화와 세력 균형을 추구했다.[8] 1461년 제노바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스피네타 캄포프레고소를 도제로 선출시켜 제노바와 사보나를 점령했다.[8] 그는 힘의 균형에 기반한 외교 정책을 펼쳐, 프랑스 등 외세의 위협에 대응하고 이탈리아 반도의 안정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8]

스포르차는 부종통풍으로 고통받았으며, 1466년 3월에 사망했다.[8] 그의 뒤는 아들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가 계승했다.[8]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에서 군주가 용병을 사용하면 안 된다는 경고와 함께, 나라를 통치하는 능력에 대해 프란체스코를 여러 차례 긍정적으로 언급했다.

2. 1. 어린 시절과 초기 경력

무치오 스포르차와 루차 다 토르사노 사이에서 태어난 일곱 사생아 중 한 명으로 토스카나주 산미니아토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은 트리카리코(오늘날 바실리카타 주)에서 보냈으며, 1412년 나폴리의 라디슬라오 왕에게 후작으로 인정받았다.

16세 때, 용병대장 안젤로 라벨로(Angelo Lavello, 일명 탈타글리아(il Tartaglia))와 대결하여 두각을 나타냈다. 1418년 칼라브리아 귀족 여성인 폴리세나 루포와 혼인하였다. 1420년 폴리세나는 안토니아 폴리세나(Antonia Polissena)라는 딸을 낳았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7]

1419년부터 아버지를 따라 군사 활동에 참여, 맨손으로 강철 주괴를 구부릴 수 있다는 명성을 얻었다. 이후 뛰어난 전략가이자 야전 사령관으로서 능력을 증명하였다. 1424년 아버지 무치오 스포르차가 사망하자, 처음에는 나폴리군과 싸웠고 그 후에는 교황 마르티노 5세, 밀라노 공작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와 싸웠다. 몇몇 성공을 거둔 후, 모르타라 성에서 사실상 죄수처럼 보내지는 불명예를 겪었으나, 루카 원정을 이끈 후 지위를 회복하였다.

2. 2. 밀라노 공작이 되기까지

1431년, 교황령을 위해 싸운 후 스포르차는 밀라노 공작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의 군대를 이끌고 베네치아 공화국과 맞섰다. 1432년,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의 서녀 비안카 마리아 비스콘티와 약혼했으나, 비스콘티 가문의 의심과 견제를 받았다.[7] 1433년부터 1435년까지는 밀라노군을 이끌고 교황령을 공격했고, 마르케에서 안코나를 함락시키자 교황 에우제니오 4세가 직접 도시의 대리인 칭호를 내려주기도 했다. 1436년부터 1439년까지는 피렌체와 베네치아를 위해 일하는 등 복잡한 행보를 보였다.

1440년, 나폴리 왕국에 있던 그의 영지를 아라곤의 알폰소 5세에게 빼앗기자,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와 화해했다. 1441년 10월 25일, 크레모나에서 비안카 마리아 비스콘티와 정식으로 결혼했다.[7] 이후 나폴리 왕위 계승 분쟁에 개입하여 앙주의 르네와 동맹을 맺고 남부 이탈리아에서 전투를 벌였다. 시기스몬도 판돌포 말라테스타와 베네치아인들의 도움을 받아 밀라노로 돌아갈 수 있었다.

스포르차는 몬톨모 전투에서 그의 아들 프란체스코를 격퇴시키고, 비스콘티 가문, 에우제니오 4세, 폴리세나를 살해했다고 하는 시지스몬도 말라테스타와의 전쟁에서 베네치아의 도움으로 승리했다. 그는 베네치아를 버리는 대가로 밀라노 공국의 총사령관(capitano generale) 칭호를 받았다.

1447년,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밀라노는 암브로시아 공화국이 되었으나,[8] 혼란이 지속되었다. 스포르차는 로디를 포함한 공국의 다른 영지를 받았고, 굴리엘모 8세 델 몬페라토와 베네치아와 동맹을 맺어 공화국 정복을 시작했다. 1450년, 기근과 폭동이 일어난 밀라노에서 스포르차는 시민들의 추대로 밀라노 공작에 올랐다.[9]

2. 3. 밀라노 공작 통치

스포르차는 효율적인 세금 제도를 도입하여 정부 수입을 크게 늘렸다. 그의 궁정은 르네상스 교육과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밀라노 시민들의 지지를 받았다.[8] 그는 밀라노에 오스페달레 마조레를 설립하고, 팔라초 델라렌고를 보수했으며, 아다강과 연결되는 수로인 나빌리오 다다를 건설하는 등 도시를 발전시켰다.[8]

피렌체코시모 데 메디치와 우호 관계를 맺은 그는 1454년 로디 조약을 통해 이탈리아 국가 간의 평화와 세력 균형을 추구했다.[8] 1451년 이후 롬바르디아 동부의 정복지 일부를 포기하고, 나폴리 왕국의 앙주 가문을 배신하는 등 현실적인 외교 정책을 펼쳤다.[8] 1461년 제노바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스피네타 캄포프레고소를 도제로 선출시켜 제노바와 사보나를 점령했다.[8] 그는 힘의 균형에 기반한 외교 정책을 펼쳐, 프랑스 등 외세의 위협에 대응하고 이탈리아 반도의 안정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8]

스포르차는 부종통풍으로 고통받았으며, 1466년 3월에 사망했다.[8] 그의 뒤는 아들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가 계승했다.[8]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에서 군주가 용병을 사용하면 안 된다는 경고와 함께, 나라를 통치하는 능력에 대해 프란체스코를 여러 차례 긍정적으로 언급했다.

3. 문화적 영향

프란체스코 스포르차는 예술과 학문의 후원자였다.[9] 그의 궁정에는 작가 프란체스코 필렐포 등 인문주의자들이 활동했다.

그의 후임자인 루도비코 스포르차레오나르도 다 빈치에게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의 기마상 제작을 의뢰했으나, 기마상은 완성되지 못했다. 1999년에 다 빈치의 원본을 청동상으로 만든 말 상을 주조하여 밀라노의 이포드로모 델 갈로포(Ippodromo del Galoppo) 경마장에 세웠다.

4. 가족 관계

프란체스코 스포르차는 두 번 결혼하였다.


  • 1418년 폴리세나 루포와 첫 번째 결혼을 하였으나, 1420년 폴리세나가 딸을 출산한 직후 사망하였다.
  • * 안토니아 폴리세나 (1420년)

  • 1441년 비안카 마리아 비스콘티와 두 번째 결혼을 하였으며, 슬하에 7남 2녀를 두었다.

이름출생사망비고
갈레아초 마리아1444년1476년밀라노 공작 (1466년 ~ 1476년)
이폴리타 마리아1446년1484년나폴리의 알폰소 2세와 결혼
필리포 마리아1449년1492년코르시카 백작
스포르차 마리아1451년1479년바리 공작
루도비코 마리아1452년1508년밀라노 공작 (1494년 ~ 1499년)
엘리사베타 마리아1453년1472년
아스카니오 마리아1455년1505년추기경
오타비아노 마리아1458년1477년루가노 백작


  • 조반나 다쿠아펜덴테(Giovanna d'Acquapendente)와의 사이에서 얻은 서자:
  • * 트리스타노 (1422년 - 1477년)
  • * 폴리세나 (1428년 - 1449년): 시지스몬도 말라테스타와 결혼, 암살당함.
  • * 스포르차 세콘도 (1433년 - 1492년/1493년)
  • * 드루시아나 (1437년 - 1474년): 야코포 피치니노와 결혼 (1464년)

참조

[1] 서적 A Renaissance Court: Milan under Galleazzo Maria Sforz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3-09-01
[2]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Italian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3-07-17
[3] 서적 Europe (c. 1400-1458) https://books.google[...] CUA Press 2013-11-01 # 추정 날짜
[4]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Italian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3-07-17
[5] 서적 Gli Sforza: La casata nobiliare che resse il Ducato di Milano dal 1450 al 1535 https://books.google[...] Lampi di stampa 1999-01-01
[6] 논문 The Langobard Revival of Matteo il Magno Visconti, Lord of Mila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3-09-01 # 추정 날짜
[7] 서적 르네상스의 여인들 한길사 1997-01-10
[8] 서적 The Renaissance and the Reformation Harper Bros. 1960-01-01 # 추정 날짜
[9]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