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육군원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 육군 원수는 1190년경부터 존재한 프랑스의 군사 칭호이다. 초기에는 왕실 말 관리를 담당했으나, 리슐리외에 의해 콘스타블 직이 폐지된 후 군 최고 사령관의 역할을 수행했다. 1793년 폐지되었다가 나폴레옹 1세에 의해 제국 원수로 부활했고, 부르봉 왕정 복고 이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훈장의 성격을 띠게 되었으며, 1952년 알퐁스 쥐앵을 마지막으로 생존 시 임명은 중단되었다. 현재는 전쟁에서 승리한 장군에게만 수여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직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관직 - 부왕
부왕은 왕을 대리하는 자를 의미하며, 스페인 제국 시대에 광대한 영토를 통치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했고, 대영제국에서는 인도 총독이 부왕으로 불리는 등 다양한 국가에서 유사한 직책이 존재했다. - 프랑스의 군사 - 프랑스군
프랑스군은 2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군대로, 유럽 최강국으로 군림하며 주요 전쟁에 참전했고, 식민지 전쟁과 군사 정책 변화를 거쳐 현재는 국제 평화 유지 활동과 테러와의 전쟁에 참여하며 육군, 공군 및 우주군, 해군, 국가헌병대로 구성되어 있다. - 프랑스의 군사 - 프랑스 혁명군
프랑스 혁명군은 앙시앵 레짐 붕괴 후 혁명 정신으로 재편된 프랑스 군대로, 총동원령과 장교단 숙청, 전술 변화를 통해 혁명 이념에 부합하는 군대로 거듭나 프랑스 제1공화국을 수호하고 나폴레옹과 같은 지휘관을 배출하는 데 기여했다. - 칭호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칭호 - 마쓰다이라씨
마쓰다이라씨는 기원이 불분명하나 세이와 겐지 닛타씨의 후예로 여겨지기도 하고 가모씨나 스즈키씨의 일족일 가능성도 있으며 미카와국 유래설이 가장 널리 알려진 일본의 무가로, 14세기경 미카와 마쓰다이라 마을에 세력을 확립한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배출하고 에도 시대까지 이어졌다.
프랑스 육군원수 | |
---|---|
프랑스 원수 | |
개요 | |
임명 시 수여 | 원수 지팡이 |
기원 | 1185년 |
계급 그룹 | 장성 |
NATO 계급 코드 | OF-10 |
해당 군대 | 프랑스 육군 |
상위 계급 | 없음 |
하위 계급 | 육군 대장 |
동급 계급 | 프랑스 해군 원수 |
역사적 계급 | 프랑스 제국 원수 |
모토 (좌우명) | (전쟁의 공포, 평화의 영광) |
상징 | |
![]() | |
![]() | |
![]() | |
역사 | |
창설 연도 | 1185년 |
폐지 연도 | 폐지된 적 없음 (명맥 유지) |
추가 정보 | |
최초 임명자 | 알려지지 않음 (정확한 기록 부재) |
주요 인물 | (비롱 공작 샤를 드 공토) (레디기에르 공작 프랑수아 드 본) (튀렌 자작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 (빌라르 공작 클로드 루이 엑토르 드) (작센 공 마우리츠) (술트 장드디외) |
2. 역사
프랑스 원수(Maréchal de France)의 기원은 1190년경 존엄왕 필리프가 알베릭 클레망에게 수여한 *마르칼뤼 프랑시아*(marescallus franciae) 직위에서 유래되었다. 초기 프랑스 육군 원수의 역할은 왕실의 말을 관리하는 것이었으나, 13세기 초부터 군사적 역할이 강화되어 프랑스 콘스타블(Constable of France) 휘하의 기병대를 지휘하게 되었다. 1624년 리슐리외가 콘스타블 직을 폐지한 후, 프랑스 육군 원수는 군 최고 사령관이 되었다.
1793년 국민공회는 원수 칭호를 폐지했으나, 1804년 나폴레옹 1세가 프랑스 제1제정을 세우면서 '제국 원수'(Maréchal d'Empire)로 부활시켰다. 부르봉 왕정복고 시대에는 다시 '프랑스 원수'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나폴레옹 3세 치하의 프랑스 제2제정에서도 이 명칭이 유지되었다. 프랑스 제2제정 붕괴 이후 프랑스 제3공화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원수 칭호를 사용하지 않았다.
제1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프랑스 원수는 군사적 훈장으로 그 성격이 변화하였다. 필리프 페탱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비시 프랑스와의 협력 혐의로 다른 모든 직위와 칭호를 박탈당했으나, 프랑스 원수 칭호는 유지되었다. 이는 프랑스 원수가 프랑스 의회의 특별 법률에 의해 수여되는 훈장이기 때문이었다.
1952년 알퐁스 쥐앵이 마지막으로 생전에 프랑스 원수로 승진하였고, 1967년 사망하였다. 1984년에는 마리 피에르 코닉이 사후 프랑스 원수로 추서되었다. 오늘날 프랑스 원수 칭호는 전쟁에서 승리한 장군에게만 수여될 수 있다.
3. 카페 왕조
3. 1. [[필리프 2세]] (1180~1223)
알베릭 클레망은 1190년 최초로 프랑스 원수 직위에 임명되었다.[9] 몽모렌시의 마티외 2세는 1191년에 원수 직위에 임명되었다.[9] 기욤 드 부르넬은 1192년에, 니블롱 다라스는 1202년에 각각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9] 앙리 1세 클레망은 "작은 원수"로 불렸으며, 1204년에 원수 직위에 올랐다.[9] 장 3세 클레망은 1214년에, 기욤 드 라 투르넬은 1220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9]
3. 2. [[루이 9세]] (1226~1270)
페리 파스테는 샬랑주(Challeranges)의 영주로, 1240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장 기욤 드 보몽은 1250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고티에 3세 드 느무르는 느무르(Nemours)의 영주로, 1257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앙리 2세 클레망은 르메즈와 아르장탕의 영주로, 1262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에릭 드 보주와 르노 드 프레시니는 1265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라울 2세 소르와 랑슬로 드 생마르는 1270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1266년에는 위그 드 미르푸아가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1] 1255년에는 앙리 드 쿠상스가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3. 3. [[필리프 3세]] (1270~1285)
3. 4. [[필리프 4세]] (1285~1314)
장 드 바렌은 1288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시몽 드 믈룅은 라루프(La Loupe)와 마르슈빌(Marcheville)의 영주로 1290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기 드 클레르몽 드 넬은 1292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풀크 뒤 메를은 1302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마일 6세 드 누아예는 1302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장 드 코르베이는 그레(Grez)의 영주로 1308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르노 2세 드 트리는 1313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3. 5. [[루이 10세]] (1314~1316)
3. 6. [[필리프 5세]] (1316~1322)
1318년 마티외 드 트리(? ~ 1344)와 장 데 바르가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1322년에는 모레이유(Moreuil)의 영주 베르나르 6세 드 모레이(? ~ 1350)가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3. 7. [[샤를 4세]] (1322~1328)
로베르 8세 베르트랑 드 브리크베크(1285년 - 1348년)는 브리크베크 남작이자 롱슈빌 자작으로, 1325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4. 발루아 왕조
4. 1. [[필리프 6세]] (1328~1350)
앙소 드 주앵빌 (1265-1343)은 1339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샤를 1세 드 몽모렌시 (1325-1381)는 몽모랑시의 영주로 1344년에 프랑스 원수가 되었다. 로베르 드 오랭 (? ~ 1360)은 생브낭의 영주로 1344년에 프랑스 원수가 되었다. 기 2세 드 넬 (? ~ 1352)은 오페몽과 멜로의 영주로 1345년 프랑스 원수가 되었다. 에두아르 드 보주 (1316-1351)는 샤토뇌프의 영주로 1347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4. 2. [[장 2세 (프랑스)|장 2세]] (1350~1364)
아르눌 도드랭은 도드랭(Audrehem)의 영주로, 1351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으며 1370년에 사망했다. 로그 드 앙제스트는 아브네쿠르(Avenecourt)의 영주로, 1352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으며 1352년에 사망했다. 장 드 클레르몽은 샹티이(Chantilly)와 보몽(Beaumont)의 영주로, 1352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으며 1356년에 사망했다. 장 1세 르맹그르는 1310년에 태어나 1367년에 사망했으며, 1356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4. 3. [[샤를 5세]] (1364~1380)
장 4세 드 모컹시는 블랭빌의 영주로 1368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으며 1391년에 사망했다. 상세르 백작 루이 드 상세르는 1342년에 태어나 1402년에 사망했으며, 1369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4. 4. [[샤를 6세]] (1380~1422)
장 2세 르맹그르는 1391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장 2세 드 리외는 로슈포르와 리외의 영주로 1397년 프랑스 원수가 되었다. 피에르 드 리외는 로슈포르와 리외의 영주로 1417년 프랑스 원수가 되었다.클로드 드 보부아르는 아발롱 자작과 샤스텔뤼의 영주로 1418년 프랑스 원수가 되었다. 장 드 빌리에 드 릴아당은 1418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자크 드 몽브롱은 앙구모아의 영주로 1418년 프랑스 원수가 되었다.
질베르 모티에 드 라파예트는 1421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앙투안 드 베르지는 1422년 프랑스 원수가 되었다. 몽르벨앙브레스 백작 장 드 라봄은 1422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4. 5. [[샤를 7세]] (1422~1461)
아모리 드 세베락은 보케르(Beaucaire)와 쇼드에그(Chaude-Aigues)의 영주로 1424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으나 1427년에 사망했다. 장 드 브로스는 부삭(Boussac)과 생트세베르(Sainte-Sévère)의 남작으로 1375년에 태어나 1426년 프랑스 원수가 되었고 1433년에 사망했다. 질 드 레는 앵그랑드(Ingrande)와 샹토세(Champtocé)의 영주로 1404년에 태어나 1429년 프랑스 원수가 되었으며, 1440년에 사망했다.앙드레 드 몽포르 라발은 로에악(Lohéac)과 레스(Retz)의 영주로 1408년에 태어나 1439년 프랑스 원수가 되었고, 1486년에 사망했다. 필리프 드 퀼랑은 잘루아뉴(Jaloignes)와 라크루아제트(La Croisette), 생-아르망(Saint-Armand), 샬레(Chalais)의 영주로 1441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으며 1454년에 사망했다. 장 포통 드 상트라이유는 리무쟁(Limousin)의 가신(sénéchal)으로 1390년에 태어나 1454년 프랑스 원수가 되었고 1461년에 사망했다.
4. 6. [[루이 11세]] (1461~1483)
조아생 루오, 부아므나르(Boismenard)의 영주 (?~1478)는 1461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코맹즈 백작 장 드 레스캉 (?~1473)은 1461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볼페르트 6세 판보르셀렌, 네덜란드 베르(Vère)와 스코틀랜드 보칸(Boucan)의 백작 (?~1487)은 1464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피에르 드 로앙 지에, 로앙(Rohan)의 영주 (1450-1514)는 1476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4. 7. [[샤를 8세]] (1483~1498)
필리프 드 크레브쾨르 데스케르드(1418–1494)는 1486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장 드 보드리쿠르는 슈아죌(Choiseul)의 영주이자 쇼몽(Chaumont)의 법관(Baili)으로 1499년 사망하였고, 1486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5. 발루아-오를레앙 왕조
5. 1. [[루이 12세]] (1498~1515)
비제바노 후작 잔 자코모 트리불치오는 1499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샤를 2세 당부아즈는 쇼몽, 메이앙(Meillan)과 샤랑통(Charenton)의 영주로 1506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로트렉 자작 오데 드 푸아는 1511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로버트 스튜어트는 오비니(Aubigny)영주이자 레녹스(Lennox)백작으로 1514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6. 발루아-앙굴렘 왕조
6. 1. [[프랑수아 1세 (프랑스)|프랑수아 1세]] (1515~1547)
자크 2세 드 샤반은 라팔리스(La Palice)의 영주로 1515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가스파르 1세 드 콜리니는 샤티용쉬르루앙(Châtillon-sur-Loing)의 영주로 1516년 프랑스 원수가 되었다. 토마 드 푸아는 1518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안 1세 드 몽모랑시는 믈룅(Melun) 자작, 당빌(Damville)과 몽모랑시 공작이자 프랑스 왕실무관장으로, 1522년 프랑스 원수가 되었다.테오도르 드 트리뷜스와 부이용 공작 로베르 3세 드 라마크는 1526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클로드 단보와 르네 드 몽장은 1538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우다르 뒤 비에는 1542년 프랑스 원수가 되었다. 앙투안 드 레트 데프레와 멜피 공 조반니 카라치올리는 1544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6. 2. [[앙리 2세]] (1547~1559)
자크 달봉 드 생앙드레 드 프롱사크 후작(?~1562)은 1547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2] 부이용 공작 로베르 4세 드 라마크 (1520-1556)도 1547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2] 브리삭 백작 샤를 1세 드 코제 (1505-1563)는 1550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2] 피에트로 스토리치 (1500-1558)는 1554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2] 폴 드 라바르트, 테름(Thermes)의 영주 (1482-1558)는 1558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2]6. 3. [[프랑수아 2세]] (1559~1560)
몽모랑시 공작 프랑수아는 1559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몽모랑시 공작(1530–1579)이자 프랑수아 드 몽모랑시/Francois de Montmorency프랑스어(1520년 - 1563년)이다.6. 4. [[샤를 9세]] (1560~1574)
프랑수아 드 세포, 비에이빌(Vieilleville)의 영주는 1562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앵베르 드 라 플라티에르, 부르디용(Bourdillon)의 영주는 1564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앙리 1세 드 몽모랑시는 당빌의 영주, 몽모랑시 공작, 알레(Alais)와 다마르탱(Dammartin) 백작, 샤토브리앙(Chateaubriant) 남작, 샹티이와 에쿠엥(Ecouen)의 영주로 1566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스공디니 백작 아르튀 드 코제 브리삭은 1567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가스파르 드 소, 타반(Tavannes)의 영주는 1570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빌라르 후작 오노라 2세 드 사부아는 1571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레스 공작 알베르 드 공디는 1573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6. 5. [[앙리 3세]] (1574~1589)
로제 드 생래리, 벨가르드(Bellegarde)의 영주 (?~1579)는 1574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블레즈 드 라스랑 마생콤, 몽뤽(Montluc)의 영주 (1500-1577)도 1574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아르망 드 공토 비롱 (1524-1592)는 1577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자크 드 구아용, 마티뇽(Matignon)과 레파르(Lesparre)의 영주, 토리니(Thorigny) 백작, 모르타뉴쉬르지롱드 공(prince de Mortagne sur Gironde) (1525-1597)은 1579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장 6세 도몽, 에트라본(Estrabonne)남작, 샤토루 백작 (?~1580)도 1579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기욤 드 주아이외즈, 주아이외즈(Joyeuse) 자작, 생디디에(Saint-Didier), 로당(Laudun), 퓌베르(Puyver)t, 아르크(Arques)의 영주 (1520-1592)는 1582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루이 프레보 드 상삭 상삭 남작 (1496–1576)은 프랑스 원수였다. 프랑수아 구피에(François Gouffier, 1594년 사망)는 통칭 "le jeune"으로, 데퐁(Deffends) 후작, 크레베쾨르(Crèvecœur), 보니베(Bonnivet), 투아(Thois) 영주였으며, 1586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7. 부르봉 왕조
- 앙리 4세 (1589~1610)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는 1592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그는 튀렌 자작이자 부용 공작이었다.
비롱 공작 샤를 드 공토는 1594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으며, 프랑스 대원수 임명날짜는 불명이다.
메종포르 남작 클로드 드 라샤트르는 1594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장 드 몽뤽 드 발라니는 1594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샤를 2세 드 코세는 1594년 프랑스 육군 원수 지팡이를 받았다.
장 3세 드 보마누아는 1595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그는 네그르펠리스 백작이자 라바르댕 후작이었다.
주아이외즈 공작 앙리는 1595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사블레 후작 위르뱅 드 몽모랑시 라발은 1595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알퐁스 도르나노는 1597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그랑세 백작 기욤 드 오트메르는 1597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레디기에르 공작 프랑수아 드 본은 1608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고, 1621년 프랑스 대원수로 임명되었다.
- 루이 13세 (1610~1643)

루이 13세 치하에서 프랑스 육군원수로 임명된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앙크르 후작 콘치노 콘치니 (1575-1617), 1613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수브레 후작 질 드 쿠르탕보 (1540-1626), 1614년 프랑스 원수 임명.
- 로클로르 남작 앙투안 (1560-1625), 1614년 프랑스 원수 임명.
- 메종포르 남작 루이 드 라샤트르 (?~1630), 1616년 프랑스 원수 임명.
- 테민 후작 퐁스 드 로지에르 테민 카르다이약 (1553-1627), 1616년 프랑스 원수 임명. 마지막 퀘르시의 그루동 영주이자, 캐나다 부왕이었다.
- 프랑수아 드 라그랑주 다르키엥, 세리(Séry)와 몽티니(Montigny)의 영주 (1554-1617), 1616년 프랑스 원수 임명.
- 비트리 공작 니콜라 드 로피탈 (1581-1644), 1617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샤를 드 수아죌 프라슬랭 (1563-1626), 1619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장 프랑수아 드 라 기셰, 라팔리스 백작 (1569-1632), 1619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숀 공작 오노레 달베르 (1581-1649), 1620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오브테르 자작 프랑수아 데스파르베 드 뤼상 (?~1628), 1620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샤를 드 크레키, 푸아 공, 레디기에르 공작 (1580-1638), 1621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샤티용 공작 가스파르 3세 드 콜리니 (1584~1646), 1622년 프랑스 원수 임명.
- 라포스 공작 자크 농파르 드 코몽 (1558-1652), 1622년 프랑스 원수 임명.
- 바송피에르 후작 프랑수아 (1579-1646), 1622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앙리 드 숌베르크 (1574-1632), 1625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장바티스트 도르나노 (1581-1626), 1626년 프랑스 원수 임명.
- 프랑수아 안니발 데스트레 (1573-1670), 1626년 프랑스 원수 임명.
- 티몰레옹 데피네 드 생뤽 (1580-1644), 1627년 프랑스 원수 임명.
- 보몽르로제 백작 루이 드 마리약 (1572-1632), 1629년 프랑스 원수 임명.
- 당빌과 몽모랑시 공작 앙리 2세, 프랑스 제독 (1595-1632), 1630년 프랑스 원수 임명.
- 투아라 후작 장 드 생보네 (1585-1636), 1630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에피아 후작 앙투안 코에피에 드 뤼제 (1581-1632), 1631년 프랑스 원수 임명.
- 브레제 후작 위르뱅 드 마이예 (1597-1650), 1632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쉴리 공작 막시밀리앙 드 베튄 (1560-1641), 1634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샤를 드 숌베르크 (1601-1656), 1637년 프랑스 원수 임명.
- 메이유레 후작 샤를 드 라포르트 (1602-1664), 1639년 프랑스 원수 임명.
- 그라몽 공작 앙투안 3세 (1604-1678), 1641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장바티스트 뷔드 드 게브리앙 (1602-1643), 1642년 프랑스 원수 임명.
- 로네 백작 프랑수아 로피탈 (1583-1660), 1643년 프랑스 원수 임명.
- 루이 14세 (1643~1715)

튀렌 자작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는 1643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고, 1660년 프랑스 대원수로 임명되었다. 가시옹 백작 장은 1643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슈아죌 공작 세자르 프라슬랭과 란조 백작 조시아는 1645년, 빌루아 공작 니콜라 드 뇌빌은 1646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콜리니 공작 가스파르 4세는 1649년, 도몽 공작 앙투안 드 로슈바롱, 라페르테-앵베르 후작 자크 데탕프, 라페르테-센테르 공작 앙리, 오캥쿠르 후작 샤를 드 몽시, 그랑세 백작 자크 루셀은 1651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라포르스 공작 아르망 농파르 드 코몽과 라팔뤼오 백작 필리프 드 클레랑보는 1652년, 미오생 백작 세자르 달브레와 도뇽 백작 루이 드 푸코는 1653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몽주 백작 장 드 쉴랭베르, 에스테르네 후작 아브람 드 파베르, 카스텔노 후작 자크 모비시에르는 1658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벨퐁 후작 베르나르댕 지고, 마린 후작 프랑수아 드 크레키, 위미에르 공작 루이 드 크르방은 1668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에스트라드 백작 고드프루아 데스트라드, 나바이유 공작 필리프 드 몽토 베낙, 숌베르크 공작 프레데리크 아르망, 뒤라 공작 자크 앙리 드 뒤포르, 라푀이야드 공작 프랑수아 도뷔송, 모트르마르 공작 루이 빅토르 드 로슈슈아르, 뤽상부르 공작 프랑수아 앙리 드 몽모랑시, 로슈포르 후작 앙리 루이 달루아니는 1675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로르쥬 공작 기 드 뒤포르는 1676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에스트레 백작 장 2세는 1681년, 프랑시에르 후작 클로드 드 슈아죌, 그랑프레 후작 장 아르망 드 주아이외즈, 빌루아 공작 프랑수아 드 뇌빌, 부플레르 공작 루이 프랑수아, 투르빌 백작 안 일라리옹 드 코스탕탱, 노아유 공작 2세 안 쥘, 니콜라 카티나는 1693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방돔 공작 루이조제프 드 부르봉은 1695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빌라르 공작 클로드 루이 엑토르는 1702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고, 1733년 프랑스 대원수로 임명되었다. 샤밀리 후작 노엘 부통, 데스트레 공작 빅토르 모리스, 샤토르노 후작 프랑수아 루이 루슬레, 보방 후작 세바스티앙 르 프레스트르, 로젠 후작 콘라트, 위그셀르 후작 니콜라 샬롱 뒤 블레, 테세 백작 르네 드 프룰레, 탈라르 공작 카미유 도스튄, 몽르벨 후작 니콜라 오귀스트 드 라봄, 아르쿠르 공작 앙리, 마르생 백작 페르디낭은 1703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베릭 공작 1세 제임스 피츠제임스는 1706년, 마티뇽 백작 샤를 오귀스트 구아용은 1708년, 브종 후작 자크 드 바쟁과 아르타낭 백작 피에르 드 몽테스큐는 1709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아르타낭 백작 피에르 드 몽테스큐는 소설로 유명한 다르타낭은 아니지만, 그의 일가이다.
7. 1. [[앙리 4세]] (1589~1610)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는 1592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그는 튀렌 자작이자 부용 공작이었다.비롱 공작 샤를 드 공토는 1594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으며, 프랑스 대원수 임명날짜는 불명이다.
메종포르 남작 클로드 드 라샤트르는 1594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장 드 몽뤽 드 발라니는 1594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샤를 2세 드 코세는 1594년 프랑스 육군 원수 지팡이를 받았다.
장 3세 드 보마누아는 1595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그는 네그르펠리스 백작이자 라바르댕 후작이었다.
주아이외즈 공작 앙리는 1595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사블레 후작 위르뱅 드 몽모랑시 라발은 1595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알퐁스 도르나노는 1597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그랑세 백작 기욤 드 오트메르는 1597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레디기에르 공작 프랑수아 드 본은 1608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고, 1621년 프랑스 대원수로 임명되었다.
7. 2. [[루이 13세]] (1610~1643)
루이 13세 치하에서 프랑스 육군원수로 임명된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앙크르 후작 콘치노 콘치니 (1575-1617), 1613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수브레 후작 질 드 쿠르탕보 (1540-1626), 1614년 프랑스 원수 임명.
- 로클로르 남작 앙투안 (1560-1625), 1614년 프랑스 원수 임명.
- 메종포르 남작 루이 드 라샤트르 (?~1630), 1616년 프랑스 원수 임명.
- 테민 후작 퐁스 드 로지에르 테민 카르다이약 (1553-1627), 1616년 프랑스 원수 임명. 마지막 퀘르시의 그루동 영주이자, 캐나다 부왕이었다.
- 프랑수아 드 라그랑주 다르키엥, 세리(Séry)와 몽티니(Montigny)의 영주 (1554-1617), 1616년 프랑스 원수 임명.
- 비트리 공작 니콜라 드 로피탈 (1581-1644), 1617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샤를 드 수아죌 프라슬랭 (1563-1626), 1619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장 프랑수아 드 라 기셰, 라팔리스 백작 (1569-1632), 1619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숀 공작 오노레 달베르 (1581-1649), 1620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오브테르 자작 프랑수아 데스파르베 드 뤼상 (?~1628), 1620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샤를 드 크레키, 푸아 공, 레디기에르 공작 (1580-1638), 1621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샤티용 공작 가스파르 3세 드 콜리니 (1584~1646), 1622년 프랑스 원수 임명.
- 라포스 공작 자크 농파르 드 코몽 (1558-1652), 1622년 프랑스 원수 임명.
- 바송피에르 후작 프랑수아 (1579-1646), 1622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앙리 드 숌베르크 (1574-1632), 1625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장바티스트 도르나노 (1581-1626), 1626년 프랑스 원수 임명.
- 프랑수아 안니발 데스트레 (1573-1670), 1626년 프랑스 원수 임명.
- 티몰레옹 데피네 드 생뤽 (1580-1644), 1627년 프랑스 원수 임명.
- 보몽르로제 백작 루이 드 마리약 (1572-1632), 1629년 프랑스 원수 임명.
- 당빌과 몽모랑시 공작 앙리 2세, 프랑스 제독 (1595-1632), 1630년 프랑스 원수 임명.
- 투아라 후작 장 드 생보네 (1585-1636), 1630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에피아 후작 앙투안 코에피에 드 뤼제 (1581-1632), 1631년 프랑스 원수 임명.
- 브레제 후작 위르뱅 드 마이예 (1597-1650), 1632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쉴리 공작 막시밀리앙 드 베튄 (1560-1641), 1634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샤를 드 숌베르크 (1601-1656), 1637년 프랑스 원수 임명.
- 메이유레 후작 샤를 드 라포르트 (1602-1664), 1639년 프랑스 원수 임명.
- 그라몽 공작 앙투안 3세 (1604-1678), 1641년 프랑스 원수 임명.
- 장바티스트 뷔드 드 게브리앙 (1602-1643), 1642년 프랑스 원수 임명.
- 로네 백작 프랑수아 로피탈 (1583-1660), 1643년 프랑스 원수 임명.
7. 3. [[루이 14세]] (1643~1715)
튀렌 자작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는 1643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고, 1660년 프랑스 대원수로 임명되었다. 가시옹 백작 장은 1643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슈아죌 공작 세자르 프라슬랭과 란조 백작 조시아는 1645년, 빌루아 공작 니콜라 드 뇌빌은 1646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콜리니 공작 가스파르 4세는 1649년, 도몽 공작 앙투안 드 로슈바롱, 라페르테-앵베르 후작 자크 데탕프, 라페르테-센테르 공작 앙리, 오캥쿠르 후작 샤를 드 몽시, 그랑세 백작 자크 루셀은 1651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라포르스 공작 아르망 농파르 드 코몽과 라팔뤼오 백작 필리프 드 클레랑보는 1652년, 미오생 백작 세자르 달브레와 도뇽 백작 루이 드 푸코는 1653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몽주 백작 장 드 쉴랭베르, 에스테르네 후작 아브람 드 파베르, 카스텔노 후작 자크 모비시에르는 1658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벨퐁 후작 베르나르댕 지고, 마린 후작 프랑수아 드 크레키, 위미에르 공작 루이 드 크르방은 1668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에스트라드 백작 고드프루아 데스트라드, 나바이유 공작 필리프 드 몽토 베낙, 숌베르크 공작 프레데리크 아르망, 뒤라 공작 자크 앙리 드 뒤포르, 라푀이야드 공작 프랑수아 도뷔송, 모트르마르 공작 루이 빅토르 드 로슈슈아르, 뤽상부르 공작 프랑수아 앙리 드 몽모랑시, 로슈포르 후작 앙리 루이 달루아니는 1675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로르쥬 공작 기 드 뒤포르는 1676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에스트레 백작 장 2세는 1681년, 프랑시에르 후작 클로드 드 슈아죌, 그랑프레 후작 장 아르망 드 주아이외즈, 빌루아 공작 프랑수아 드 뇌빌, 부플레르 공작 루이 프랑수아, 투르빌 백작 안 일라리옹 드 코스탕탱, 노아유 공작 2세 안 쥘, 니콜라 카티나는 1693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방돔 공작 루이조제프 드 부르봉은 1695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빌라르 공작 클로드 루이 엑토르는 1702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고, 1733년 프랑스 대원수로 임명되었다. 샤밀리 후작 노엘 부통, 데스트레 공작 빅토르 모리스, 샤토르노 후작 프랑수아 루이 루슬레, 보방 후작 세바스티앙 르 프레스트르, 로젠 후작 콘라트, 위그셀르 후작 니콜라 샬롱 뒤 블레, 테세 백작 르네 드 프룰레, 탈라르 공작 카미유 도스튄, 몽르벨 후작 니콜라 오귀스트 드 라봄, 아르쿠르 공작 앙리, 마르생 백작 페르디낭은 1703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베릭 공작 1세 제임스 피츠제임스는 1706년, 마티뇽 백작 샤를 오귀스트 구아용은 1708년, 브종 후작 자크 드 바쟁과 아르타낭 백작 피에르 드 몽테스큐는 1709년에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다. 아르타낭 백작 피에르 드 몽테스큐는 소설로 유명한 다르타낭은 아니지만, 그의 일가이다.
참조
[1]
서적
The Sicilian Vespers: A History of the Mediterranean World in the Later Thirteen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2]
서적
Henry II: King of France 1547–1559
Duke University Press
1988
[3]
웹사이트
Issue of Giovanni Battista, Pope Innocent VIII
http://genealogy.euw[...]
genealogy.euweb.cz
2016-11
[4]
간행물
Encyclopædia Britannica
1911
[5]
서적
Napoleon's Marshals
Methuen
1909
[6]
웹사이트
The Audacity of de Gaulle
https://www.hoover.o[...]
2013-02-01
[7]
문서
1984年6月6日の法令による死後追号
[8]
문서
1952年7月11日に法律で認可され、1952年8月23日に[[共和国大統領 (프랑스)|共和国大統領]]が法令を公布した。しかし、両方の法律は政府によるもの。(法案として計画されたが提議されていない)。
[9]
서적
[10]
웹사이트
https://books.google[...]
[11]
문서
Ce n'est pas le celebre d'Artagnan, juste un parent eloigne
[12]
문서
Dictionnaire des marechaux de France, [[editions Perrin]].
[13]
서적
[14]
문서
Suite a son proces, Philippe Petain est frappe d'indignite nationale, mais les historiens ne semblent pas d'accord sur le fait que cette indignite comprenait egalement la perte de son titre de marechal de France.
[15]
웹사이트
Loi {{n°}}52-52 du 15 janvier 1952
http://legifrance.go[...]
Journal officiel de la Republique francaise|JORF
1952-01-16
[16]
웹사이트
Decret du 7 mai 1952
http://legifrance.go[...]
Journal officiel de la Republique francaise|JORF
1952-05-08
[17]
웹사이트
Loi {{n°}}52-811 du 11 juillet 1952
http://legifrance.go[...]
Journal officiel de la Republique francaise|JORF
1952-07-12
[18]
웹사이트
Decret du 6 juin 1984
http://legifrance.go[...]
Journal officiel de la Republique francaise|JORF
1984-06-08
[19]
간행물
Encyclopædia Britannica
1911
[20]
서적
Napoleon's Marshals
Methuen
1909
[21]
문서
Quid des présidents de la République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