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왕은 특정 지역을 통치하기 위해 임명된 대리인을 지칭하는 용어로, 스페인 제국, 포르투갈 제국, 영국 제국, 러시아 제국, 프랑스 식민지, 이탈리아 식민지 등 다양한 국가와 시대에서 사용되었다. 스페인 제국에서는 아메리카 대륙의 광대한 영토를 통치하기 위해 부왕 제도를 도입했으며, 포르투갈 제국에서는 인도와 브라질에 부왕을 파견했다. 영국 제국에서는 인도 총독이 부왕으로 불렸으며, 러시아 제국에서는 총독을 남예스니크라고 불렀다. 그 외 프랑스 식민지, 이탈리아 식민지 등에서도 부왕 제도가 활용되었으며, 비서구권에서도 유사한 역할을 하는 직책들이 부왕으로 번역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왕 - 카를로 펠리체
카를로 펠리체는 1821년부터 1831년까지 사르데냐의 왕으로 재위하며 반동 정치를 펼치고 내정을 다스렸으며, 자녀 없이 사망하여 카를로 알베르토가 왕위를 계승했다. - 부왕 - 콩타이지
콩타이지는 황태자를 음차한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초기에는 몽골 지도자를 지칭하다가 후금 시대에 정치적, 군사적 협력의 상징으로 사용되었고, 청나라 시대에도 지배 체제 강화에 활용되었으나, 몽골 제국에서는 황태자가 제대로 존재하지 않았으며, 북원 시대 알탄 칸이 칸의 후계자를 의미하는 작위로 사용하기도 했다. - 관직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관직 - 재상
재상은 역사 속 다양한 국가에서 최고위직 관리에게 주어진 명칭으로, 중국에서는 황제 보좌관, 유럽에서는 행정부 수반이나 외무부 장관을 의미했으며, 현대에는 정부 수반이나 특정 부처 장관, 또는 사법, 교육, 종교 분야의 직책을 지칭하기도 한다. - 포르투갈의 아메리카 식민화 - 대항해시대
대항해시대는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 유럽 국가들이 새로운 항로를 개척하고 식민지를 건설하며 세계를 탐험한 시기로, 유럽의 영향력 확대를 가져왔지만 아메리카 원주민 문명 파괴, 노예 무역 등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 포르투갈의 아메리카 식민화 - 포르투갈 제국
포르투갈 제국은 1415년 세우타 정복으로 시작하여 1999년 마카오 반환으로 해체된 포르투갈 왕국의 식민 제국이며, 대항해 시대를 주도하며 브라질, 아프리카, 아시아 등지에 식민지를 건설했고, 20세기 후반 식민지 독립과 마카오 반환을 거쳐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로 문화적 유산을 이어가고 있다.
부왕 | |
---|---|
기본 정보 | |
로마자 표기 | Viceroy |
영어 | Viceroy |
프랑스어 | Vice-roi |
스페인어 | virrey |
포르투갈어 | vice-rei |
정의 | |
설명 | 군주를 대표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칭호이다. |
어원 | 프랑스어에서 유래, '부(副)'를 의미하는 'vice'와 '왕'을 의미하는 'roy'의 합성어 |
역할과 권한 | |
역할 | 군주를 대신하여 특정 지역이나 식민지를 통치하는 역할 |
권한 | 군주의 권한을 위임받아 행정, 사법,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
역사적 배경 | |
기원 | 초기 근대 유럽에서 해외 식민지 경영과 함께 발전 |
사용 국가 | 스페인 제국 포르투갈 제국 영국 제국 프랑스 식민제국 |
관련 용어 | |
여성 형태 | vicereine |
관련 용어 | 총독, 대리, 지사 |
2. 스페인 제국
아라곤 왕관에서 유래한 부왕 칭호는 15세기 말 통일 이후 스페인 제국의 광대한 영토를 통치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스페인 국왕은 유럽, 아메리카 등지에 부왕을 임명하여 통치하였다. 부왕은 단순한 총독보다 높은 지위였지만, 실제로는 총독과 동등하거나 속주 지사의 상관이 아닌 경우도 있었다. 왕족에게 명예직으로 주어지기도 했지만, 왕위 계승자의 자질을 시험하는 의미도 있었다.
2. 1. 유럽
'부왕'이라는 칭호는 원래 아라곤 왕관에서 사용되었는데, 14세기부터 사르데냐와 코르시카의 스페인 총독을 가리키는 용어로 쓰였다.[36] 15세기 말 통일 이후, 스페인 국왕들은 광대한 스페인 제국의 여러 지역을 통치하기 위해 많은 부왕들을 임명했다.합스부르크 왕가 시대에는 아라곤, 발렌시아, 카탈루냐, 나바라, 포르투갈(이베리아 연합 시기), 사르데냐, 시칠리아, 나폴리 등에 부왕이 임명되었다.[36]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이후 스페인이 이탈리아 영토를 잃으면서 유럽 내 부왕령은 점차 사라졌다.[36] 하지만 이 이탈리아 영토들은 새로운 통치자들 아래서도 한동안 총독을 유지했는데, 나폴리는 1734년까지, 시칠리아는 1816년까지, 사르데냐는 1848년까지였다.
2. 2. 아메리카
카스티야 왕관에 편입된 아메리카 대륙에는 누에바 에스파냐 부왕령(멕시코, 중앙아메리카, 필리핀 등)과 페루 부왕령(남아메리카)이 설치되었다. 18세기 부르봉 왕조 시대에는 뉴그라나다 부왕령(현재의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등)과 라플라타 부왕령(현재의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등)이 추가되었다.[37] 각 부왕령은 청사(아우디엔시아)와 주장군령(Capitanía General) 등으로 세분화되어 통치되었다. 부르봉 개혁 이후에는 감독관 제도가 도입되어 부왕의 권한이 일부 제한되었다.[41]16세기 중반, 스페인은 신대륙에 거의 완벽한 정치 체제를 구축했다. 1524년 인디아스 枢機卿 회의가 신대륙 통치의 중추 기관으로 승격되었고, 1529년 안토니오 데 멘도사가 누에바 에스파냐 부왕령의 초대 부왕으로 임명되었다.[38] 17세기까지 누에바 에스파냐 부왕령과 페루 부왕령 두 부왕령이 존재했다. 멕시코시티를 수도로 한 누에바 에스파냐 부왕은 멕시코, 중앙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카리브해와 필리핀의 스페인령을 통치했다. 리마를 수도로 한 페루 부왕은 남아메리카의 스페인령 전역을 지배했다. 남아메리카의 베네수엘라는 누에바 에스파냐 부왕령의 통치하에 있기도 했다.[37]
신대륙에서 스페인 식민지가 확장됨에 따라 1717년 누에바 그라나다 부왕령(수도 보고타)과 1776년 리오 데 라 플라타 부왕령(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이 신설되었다.[37]
부왕은 각 관할 구역 내에서 최고 권력을 행사했다. 수도 인접 지역에서는 행정, 군사, 사법, 재정을 모두 총괄하고 하급 관리 대부분을 임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는 감사 역할 정도였다.[39] 신대륙에서 중요한 관직과 기관은 부왕, 총감(카피탄 헤네랄, Capitán generales), 아우디엔시아 세 가지였다. 총감은 조직상 부왕 아래였지만, 실질적으로는 부왕과 다름없이 부왕령 내 광대한 토지를 통치했다. 아우디엔시아의 장관도 유사한 권한을 가졌지만, 일반적으로 군사적 권위는 부왕에게 유보되었다.[37]
부왕령에는 직할령, 총감령, 장관령(프레시덴시아) 세 가지가 있었고, 거의 각 구획에 아우디엔시아가 설치되었다. 이들 아래에 총독령(고베르나시온)이나 프로빈시아(군부)가 있었고, 더 나아가 코레히미엔토나 Alcaldía mayores와 같은 구분으로 나뉘어, 최하부에는 카빌도라고 불리는 시 참사회가 통괄하는 마을이 있었다. 18세기 부르봉 개혁에 의해 인텐덴시아 제도가 실시되면서 코레히미엔토 이하의 지방 자치 단체는 폐지되었다.[41]
3. 포르투갈 제국
포르투갈 해상 제국의 식민지는 대부분 무역 기지 및 해군 기지로서 소규모로 설립되었으며, 카피탕(Capitão)이나 카피탕 모르(Capitão-mor)가 관리자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특히 중요한 곳에는 부왕(vice-rei)이 파견되었다.
3. 1. 인도
1505년부터 1896년까지 포르투갈령 인도(현재의 인도 고아)는 부왕(포르투갈어 ''vice-rei'') 또는 총독이 통치했다. 초대 부왕은 프란시스쿠 드 알메이다(1450년~1510년)이다.[8] 바스쿠 다 가마가 1498년 인도로 가는 해로를 발견한 지 7년 후였다.처음에 포르투갈의 마누엘 1세는 권력을 세 지역으로 분산시키려 했다. 동아프리카, 아라비아 반도 및 페르시아만 지역과 캄베이(구자라트)까지 감독하는 정부, 인도(힌두스탄)와 스리랑카 영토를 통치하는 정부, 말라카에서 극동까지 통치하는 정부였다.[8] 그러나 아폰수 드 알브케르크 총독(1509년~1515년)은 이 직책을 일원화했고, 이후에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일반적인 임기는 보통 3년이었지만, 권력 있는 총독들은 임기를 연장할 수 있었다. 16세기 인도 총독 34명 중 6명만이 더 긴 임기를 가졌다.[9]
3. 2. 브라질
1640년 이베리아 연합이 해체된 후, 포르투갈 귀족 출신 브라질 총독들은 총독(Viceroy)이라는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10] 1763년 브라질 주(Estado do Brasil)의 수도가 살바도르에서 리우데자네이루로 옮겨지면서 브라질은 영구적인 총독령이 되었다.[11]4. 영국 제국
영국 제국에서 부왕은 인도와 아일랜드에 존재했다.
1858년 인도통치법 제정으로 인도의 통치권이 영국 동인도 회사에서 영국 왕실로 이양되면서, 왕실을 대표하는 총독은 부왕(Viceroy)으로 불리게 되었다.
1700년부터 1922년까지 아일랜드 총독(Lord Lieutenant of Ireland)은 종종 부왕으로 불렸는데, 이는 1801년 아일랜드 왕국이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에 통합되었음에도 그러했다.
4. 1. 인도
1858년 인도 통치법 제정으로 인도의 통치권이 영국 동인도 회사에서 영국 왕실로 이양되면서, 왕실을 대표하는 총독은 부왕(Viceroy)으로 불리게 되었다.[12] "부왕"이라는 명칭은 법적 권한은 없었지만, 일상적인 대화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었다. 1858년 선포에서 캐닝 경을 "초대 부왕 겸 총독"이라고 언급했지만, 이후 임명장에는 "부왕"이라는 명칭이 명시되지 않았다.[12] 이 칭호는 의례적인 칭호였으며, 총독은 계속해서 왕실의 유일한 대표자였다.[12]부왕들은 런던에 있는 인도 담당 국무장관에게 직접 보고했으며, 인도 평의회의 자문을 받았다. 그들은 권한 행사에 있어서 상당히 자유로웠으며, 인도군을 통치했다.[13] 1919년 인도통치법에 따라 부왕들은 중앙 입법 의회와 권한을 일부 공유했는데, 이는 인도 자치 수립의 첫 단계였다. 이 과정은 1935년 인도통치법에 의해 가속화되었고, 1947년 인도와 파키스탄의 독립으로 이어졌다.
부왕은 인도 총사령관과 함께 인도에 있는 영국의 모습을 보여주는 얼굴이었고, 의례 행사뿐만 아니라 정치 문제에도 참석했다. 인도 황제와 황후의 대표로서 부왕은 인도 별 훈장과 인도 제국 훈장의 대총장을 역임했다.
총독직 역사 동안 인도 총독들은 캘커타(1911년까지)와 뉴델리, 두 도시에 근거지를 두었다. 캘커타가 인도의 수도였던 동안[14] 부왕들은 여름철을 심라에서 보냈다. 뉴델리에 있는 부왕 관저와 콜카타에 있는 정부 관저는 오늘날 각각 인도 대통령과 서벵골 주지사의 공식 관저로 사용되고 있다.[15]
주목할 만한 인도 총독으로는 워렌 헤이스팅스, 콘월리스 경, 커즌 경, 민토 백작, 첼름스퍼드 경, 마운트배튼 경 등이 있다. 마운트배튼 경은 마지막 부왕이자,[16] 인도령 인도의 초대 총독을 역임했다.

4. 2. 아일랜드
1700년부터 1922년까지 아일랜드 총독(Lord Lieutenant of Ireland)은 종종 부왕으로 불렸는데, 이는 1801년 아일랜드 왕국이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에 통합되었음에도 그러했다.[1]5. 영국 연방
일부 영국 연방 국가에서는 총독을 부왕으로 칭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1973년 고프 휘틀럼은 오스트레일리아 하원에서 "총독은 오스트레일리아 여왕의 부왕(viceroy)"이라고 말했다.[17]
1986년 오스트레일리아 법은 총독과 주지사의 실제 임명을 제외한 모든 왕실 권한은 총독 대표가 행사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명사인 'viceroy'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형용사 'viceregal'은 표준 용어이다.
6. 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에서는 남예스니크(наме́стник)라는 직책이 부왕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했다. наме́стник|나메스트니크ru는 "총독", "대리", "중위" 등으로 번역될 수 있다.[18][19][20][21]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폴란드 의회 왕국과 카프카스 총독령 등에 남예스니크가 임명되었다.
폴란드 의회 왕국에서는 1815년 12월 9일부터 1830년 12월 1일까지 콘스탄틴 파블로비치 로마노프 대공이 유일한 남예스니크였다.[24]
카프카스 총독령의 경우, 1844년부터 1881년까지 여러 남예스니크들이 임명되었다. 주요 남예스니크는 다음과 같다.
재임 기간 | 이름 | 비고 |
---|---|---|
1845년 - 1853년 | 미하일 세묘노비치 보론초프 공작 | |
1853년 - 1854년 | 니콜라이 안드레예비치 레아트 (Nikolay Andreyevich Read) | 대리 |
1854년 - 1856년 |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무라비요프 | |
1856년 - 1862년 | 알렉산드르 이바노비치 바랴친스키 공작 | |
1862년 - 1881년 |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로마노프 대공 | 이후 여러 황족을 포함한 코카서스 민정청장 계열 (1882년 - 1905년) |
1905년 - 1915년 | 일라묜 이바노비치 보론초프다슈코프 (Illaryon Ivanovich, Vorontsov-Dashkov) 백작 | |
1915년 - 1917년 2월 |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로마노프 대공 |
7. 프랑스 식민지
프랑스는 누벨프랑스(현재의 캐나다)에 부총독과 총독을 두었다.
시기 | 이름 | 비고 |
---|---|---|
1534년 7월 24일 – 1541년 1월 15일 | 자크 카르티에 | |
1541년 1월 15일 – 1543년 9월 | 장 프랑수아 드 라 로케, 로베르발 영주 ( 1500 – 1560) | |
1543년 9월 – 1578년 1월 3일 | 공백기 | |
1578년 1월 3일 – 1606년 2월 | 트로일루스 드 메스구에즈, 라 로슈-메스구에즈 후작 (1606년 2월 사망) | 1598년 1월 12일부터 부총독 |
1606년 2월 – 1614년 | 장 드 비앙쿠르, 푸트랭쿠르 영주, 생쥐스트 남작 (1557–1615) |
이후 1611년 10월 8일부터 1672년까지는 프랑스에 거주하는 총독들이 임명되었고, 이후에는 총독과 부총독이 임명되었다.
프랑스 대통령은 안도라에서 공동 군주 직함을 직권으로 유지하며(이전에는 프랑스 국왕의 직책), 대표를 파견하여 사실상 부왕처럼 통치하게 한다(공동 통치자인 우르헬 주교도 마찬가지).
8. 이탈리아 식민지
이탈리아는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소말릴란드 포함)와 알바니아에 부왕을 두었다.
이탈리아어 ''viceré''는 이탈리아 동아프리카에서 최고 식민지 대표에게 부여된 직함이었다. 이 직함은 이탈리아군이 에티오피아 제국(현재 에티오피아)을 점령한 1936년 5월 5일부터 이탈리아의 마지막 행정관이 연합군에 항복한 1941년 11월 27일까지 사용되었다.
1939년 4월 7일, 이탈리아는 알바니아 왕국(현재 알바니아)을 침공했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의 '''알바니아 부왕(Viceré of Albania)'''은 산사비노 백작 프란체스코 야코모니(Francesco Jacomoni) di San Savino였으며, 그가 떠난 후에는 알베르토 파리아니 장군이 그 역할을 맡았다.
9. 기타 부왕령
헝가리의 게자 2세가 1154년 이전에 임명한 보스니아의 첫 통치자이자 총독은 보리치 반이었다. 그는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으며,[28] 템플 기사단과 관계를 맺고 보스니아와 슬라보니아에 땅을 기증했다.[29] 그의 동생 도미니크도 템플 기사단 기사였다.[30]
보리치 반은 보스니아 정치에 대한 광범위한 권력과 거부권을 행사했기 때문에, 현대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고등 대표 직책과 비교되기도 한다.[31][32]
중세 크로아티아 왕국 초기부터 크로아티아 지역에서 왕을 대표하고 군 최고 사령관 역할을 하는 총독은 크로아티아 반이었다. 18세기에 크로아티아 반은 크로아티아 최고 정부 관리가 되었고, 반 정부의 수장이자 사실상 크로아티아의 초대 총리였다. 마지막 반은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유고슬라비아가 붕괴될 때까지 직책을 유지했다.
10. 비서구권의 부왕
오스만 제국의 헤디브(이집트 총독),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총쩐, 중국 청나라의 총독 등도 부왕으로 번역되기도 한다.[35]
무함마드 알리 왕조 시대 Egypt Eyalet|이집트 주영어에서 1867년부터 1914년까지 사용된 "헤디브(خديوي)" 칭호가 이에 해당한다. 19세기 전반 이집트에 성립된 무함마드 알리 왕조는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을 명목적으로 인정하면서도 실질적으로는 반독립 상태였다. 창시자 무함마드 알리(재위: 1805년 - 1848년)는 오스만 제국과 다른 문장을 사용하여 독립된 왕조임을 내외에 보였지만, 명목상으로는 Egypt Eyalet|이집트 주영어의 총독(왈리)이라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초기 무함마드 알리 왕조의 당주는 오스만 제국의 다른 주의 총독과 마찬가지로 주 총독급 문무 고관이 사용하는 칭호인 "파샤"를 사용했다. 1867년, 무함마드 알리의 손자인 이스마일 파샤 시대에 이집트 총독이 독자적인 칭호 "헤디브"를 사용하는 것이 오스만 제국 정부로부터 인정되었고,[34] 이 칭호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이집트가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 하에서 벗어나는 1914년까지 사용되었다. 페르시아어로 "지배자"를 의미하는 칭호인 이 헤디브는 "부왕"으로 번역된다.
총쩐(Tổng Trấn, 모든 군사 지방의 총독)직은 초기 베트남 응우옌 왕조(1802~1830)의 정치적 직책이었다. 1802년, 자롱제(Gia Long)의 통치 아래, 행정 중심지가 하노이(Hanoi)인 북부 베트남(Bắc thành, 북부 베트남)과 행정 중심지가 호찌민(Ho Chi Minh City)인 자딘(Gia Định)(Gia Định thành, 남부 베트남)을 관할하는 두 명의 총쩐이 있었고, 응우옌 황제들은 수도 후에(Huế, Phú Xuân)에서 중부 베트남(Kinh Kỳ, 중부 베트남)만 통치했다. 총쩐은 때때로 영어로 부왕(viceroy)으로 번역된다.[35] 1830년, 민망제(Minh Mạng) 황제는 베트남 전역에 대한 황제의 직접적인 통치력을 강화하기 위해 이 직책을 폐지했다.
청나라에서는 강력한 지방 행정권을 가진 총독(英: general supervisor-protector)이 있었는데, 이들은 2~3개의 "성"(현재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의 "성"에 해당)을 통치했고, 그 지역은 직례, 호광, 양강, 양광, 섬감, 민절, 운귀, 사천으로 나뉘었다. 이홍장은 1867년부터 1870년까지 양광총독을 역임했고, 원세개는 직례총독을 지낸 적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Les roys de Engeltere: An illustrated genealogy for King Edward I (Cotton MS Vitellius A XIII/1)
https://ora.ox.ac.uk[...]
2024-09-17
[2]
웹사이트
viceroy
https://www.collinsd[...]
2020-06-27
[3]
웹사이트
Roy Edward (Edward III) manuscript
https://www.bl.uk/ca[...]
2023-05-28
[4]
웹사이트
roy
https://books.google[...]
2023-05-23
[5]
웹사이트
viceregal
http://www.oxforddic[...]
2014-11-22
[6]
서적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dictionary.o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04-04
[7]
웹사이트
vicereine
http://www.oxforddic[...]
2014-11-22
[8]
웹사이트
O Secretário dos despachos e coisas da Índia pero d´Alcáçova Carneiro
http://repositorio.u[...]
Universidade de Lisboa
[9]
서적
Foundations of the Portuguese Empire, 1415–1580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0]
서적
The Portuguese empire, 1415–1808: a world on the move
https://books.google[...]
JHU Press
[11]
서적
A concise history of Brazil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Imperial Gazetteer of India
Clarendon Press
[13]
서적
Imperial Gazetteer of India
Clarendon Press
[14]
서적
History of India
William Collins, Sons, & Company
[15]
서적
Dome Over India
India Book House Ltd.
[16]
서적
The Indian Empire: Its People, History and Products
Trübner and Co., Ludgate Hill
[17]
서적
The Truth of the Matter
https://books.google[...]
Melbourne University Publishing
2005
[18]
Efron
Наместники
[19]
서적
A course in Russian history—the seventeenth century
M.E. Sharpe
[20]
서적
Государев наместник : историческая повестьо М.Н. Кречетникове
Золотая аллея
[21]
웹사이트
h''rono.ru'': namest``nik
http://www.hrono.ru/[...]
2010-01-19
[22]
간행물
Изменение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го деления России в XIII-XX в.
http://www.ruthenia.[...]
[23]
학술지
Administrative Regionalization in the Russian Empire 1802–1826
2002-01-01
[24]
서적
Handbook for Travellers in Russia, Poland, and Finland
https://books.google[...]
[25]
웹사이트
КАВКАЗ
http://whp057.narod.[...]
2011-11-23
[26]
뉴스
L'île des Faisans, le mini-royaume des vice-rois d'Espagne et de France
https://www.lemonde.[...]
2019-08-02
[27]
법률
Avis de vacance d'un emploi de directeur départemental interministériel adjoint, délégué à la mer et au littoral (DDTM des Pyrénées-Atlantiques)
https://www.legifran[...]
2017-07-20
[28]
서적
The Late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Late Twelfth Century
[29]
서적
The Military Orders: On Land and by Sea
[30]
기관
Magyar Országos Levéltár
[31]
웹사이트
Interview: Christian Schwarz-Schilling, High Representative for BiH: 'The Last Bosnian Viceroy'
http://www.ohr.int/i[...]
2006-03-31
[32]
서적
A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Genocide: Portraits of Evil and Good
https://books.google[...]
[33]
서적
Aśoka and the Decline of the Mauryas
https://books.google[...]
1961-04-16
[34]
웹사이트
Ismail Pasha, Ottoman Viceroy of Egypt and New Spain
http://www.britannic[...]
[35]
서적
Goddess on the rise: pilgrimage and popular religion in Vietna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6]
서적
スペイン・ポルトガルを知る事典
[37]
서적
ラテン・アメリカを知る事典
[38]
서적
ラテン・アメリカを知る事典
[39]
서적
ラテン・アメリカを知る事典
[40]
서적
ラテン・アメリカを知る事典
[41]
서적
ラテン・アメリカを知る事典
[42]
웹사이트
The Last Days of Bush's Viceroy
http://www.time.com/[...]
Time
2004-06-25
[43]
웹사이트
The Viceroy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06-0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