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랑스의 총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의 총리는 프랑스 제5공화국의 정부 수반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국민의회에 책임을 진다. 총리는 정부의 행동을 지휘하고 국가 정책을 결정하며, 국민의회가 불신임 결의를 가결할 경우 사임해야 한다. 대통령과 국민의회 다수당이 다를 경우, 다수당에서 총리를 임명하는 코아비타시옹이 발생하기도 한다. 1959년 이후 미셸 드브레부터 시작하여 엘리자베트 보른까지 역대 총리들의 목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국가원수 - 샤를 드골
    샤를 드골은 프랑스의 장군이자 정치가로서, 제2차 세계 대전 중 자유 프랑스 운동을 이끌고 전후 제5공화국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프랑스 해방과 재건에 기여했으나, 독단적인 성격과 국수주의적 경향으로 논쟁을 일으키기도 했다.
  • 프랑스의 국가원수 - 폴 레노
    폴 레노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 대의원으로 활동하며 독일 배상금 문제에 관여했고, 세계 대공황 시기에는 영국과의 동맹을 지지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총리로 임명되었으나 독일의 침공으로 사임하고 수감되었다가 해방된 후 유럽 연합 구성을 지지했다.
  • 유럽의 국가원수 - 체코의 대통령
    체코의 대통령은 체코 공화국의 국가 원수이며, 국민 직선제로 선출되어 군 통수권, 법안 거부권 등을 행사하고 임기는 5년이며 1회 연임이 가능하다.
  • 유럽의 국가원수 - 루마니아의 대통령
    루마니아 대통령은 국가원수로서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5년 임기의 대통령은 총리 지명, 장관 임명, 법률안 재가 등의 권한을 가지며, 헌법 심각 위반 시 탄핵 절차를 거쳐 국민투표로 결정된다.
  • 프랑스의 총리 - 샤를 드골
    샤를 드골은 프랑스의 장군이자 정치가로서, 제2차 세계 대전 중 자유 프랑스 운동을 이끌고 전후 제5공화국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프랑스 해방과 재건에 기여했으나, 독단적인 성격과 국수주의적 경향으로 논쟁을 일으키기도 했다.
  • 프랑스의 총리 - 폴 레노
    폴 레노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 대의원으로 활동하며 독일 배상금 문제에 관여했고, 세계 대공황 시기에는 영국과의 동맹을 지지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총리로 임명되었으나 독일의 침공으로 사임하고 수감되었다가 해방된 후 유럽 연합 구성을 지지했다.
프랑스의 총리
프랑스 총리 정보
프랑수아 바이루
프랑수아 바이루 총리
현직 총리프랑수아 바이루
현직 취임일2024년 12월 13일
소속 부처프랑스 공화국 각료평의회
프랑스 정부
소속 기관각료평의회
국참사원
국가안전보장회의
보고 대상대통령
의회
관저마티뇽 관저
집무실파리, 프랑스
공식 호칭총리 각하 (외교)
총리 (평상시)
직위정부수반
임명권자대통령
임기정해지지 않음
법적 근거프랑스 헌법
전신앙시앵 레짐 이후 여러 직함 사용
설립일1815년 7월 9일
초대 총리샤를 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
연봉178,920 유로
공식 웹사이트프랑스 정부 공식 웹사이트
프랑스 총리 역사
프랑스 총리 명칭
프랑스 총리 급여

2. 프랑스 총리의 역할 및 권한

프랑스 총리는 프랑스 대통령 다음으로 프랑스에서 두 번째로 높은 직책이다. 총리는 임명되면 대통령에게 장관 명단을 제출한다. 총리가 서명한 법령과 결정은 거의 모든 행정 결정과 마찬가지로 행정 법원 시스템의 감독을 받는다. 일부 법령은 국무원의 자문을 받은 후 발표되며, 총리는 국무원 의장직을 맡을 자격이 있다.[2] 장관들은 총리에게 각 부처의 프로그램을 설명하고, 총리는 예산을 결정한다.

총리는 아직 법으로 서명되지 않은 법안을 헌법위원회에 제출할 수 있으며(제61조),[6] 대통령은 의회를 해산하기 전에 총리와 양원 의장과 상의해야 한다(제12조).[6]

2. 1. 정부 지휘 및 정책 결정

프랑스 헌법 제21조에 따르면, 총리는 "정부의 행동을 지휘한다."[6] 제20조는 정부가 "국가 정책을 결정하고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6] 이는 국내 문제를 포함하며, 대통령은 국가 안보 및 외교 정책 방향 설정과 프랑스 모든 정부 기관의 효율적인 운영을 조정하는 데 집중한다. 정부의 다른 구성원들은 대통령이 "총리의 추천으로" 임명한다.[6]

실제로, 공동정부가 아닌 경우 총리는 대통령과 조화롭게 행동한다. 헌법위원회에 따르면, 공동정부 기간에는 "권력의 중심이 엘리제 궁에서 마티뇽으로 이동"하며,[7] 대통령은 행정부 수반의 지위를 잃는다.[8] 이러한 경우, 총리는 전통적으로 국내 문제에서 우선권을 행사하고, 대통령은 국방 및 외교 문제에 대해 제한적인 행동을 한다.[9]

총리는 국민의회 앞에서 정부의 "책임을 질 수 있다".[6] 이 절차는 국민의회에 법안을 제출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국민의회가 정부를 불신임하거나 법안이 자동으로 통과된다(제49조).[6] 정부가 여전히 의회의 지지를 받고 있음을 확인하는 것 외에도, 일반적인 의회 규칙을 통해 통과하기에는 너무 논란이 될 수 있는 일부 법안을 이러한 방식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2. 2. 대통령과의 관계

프랑스의 총리는 프랑스 대통령 다음으로 높은 직책이다. 대통령은 총리를 임명할 수 있지만 해임할 수는 없고, 사임을 요청할 수 있다. 총리를 포함한 프랑스 정부국회에 의해 해임될 수 있다.[2]

제5공화제에서 대통령은 국민의 직접 투표로 선출되며 총리 임명권을 가진다. 헌법상 총리를 수장으로 하는 프랑스 정부는 의회에도 책임을 지며, 하원인 국민의회가 불신임 결의를 가결하면 총리는 정부의 사표를 대통령에게 제출해야 한다. 따라서 대통령은 의회의 신임을 얻을 수 있는 총리를 임명해야 하며, 실제로는 국민의회의 다수파 정당에서 총리를 선출한다.[12]

대통령과 국민의회 다수파 정당이 같으면 대통령의 의향대로 총리가 임명되지만, 다수파 정당이 다르면 대통령은 대립 정당에서 총리를 임명해야 한다. 이러한 정권을 코아비타시옹(보혁 공존 정권)이라 하며, 이때 대통령은 주로 외교·군사를, 총리는 주로 내정을 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헌법 제21조에 따르면 총리는 "정부의 행동을 지휘"하고,[6] 제20조는 정부가 "국가 정책을 결정하고 수행"하며 국내 문제를 포함한다고 명시한다. 반면 대통령은 국가 안보 및 외교 정책 방향 설정과 프랑스 모든 정부 기관의 효율적 운영을 조정한다.[6] 정부 구성원은 대통령이 "총리의 추천으로" 임명한다.[6] 헌법위원회에 따르면, 코아비타시옹(보혁 공존 정권) 기간에는 "권력의 중심이 엘리제 궁에서 마티뇽으로 이동"하며,[7] 대통령은 행정부 수반 지위를 잃는다.[8] 이 경우 총리는 국내 문제에서 우선권을 갖고, 대통령은 국방 및 외교 문제에 제한적으로 행동한다.[9]

2. 3. 국회와의 관계

총리는 국회 앞에서 정부의 책임을 질 수 있다. 이 절차는 국민의회에 법안을 제출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국민의회가 정부를 불신임하거나 법안이 자동으로 통과된다(제49조).[6] 정부가 여전히 의회의 지지를 받고 있음을 확인하는 것 외에도, 일반적인 의회 규칙을 통해 통과하기에는 너무 논란이 될 수 있는 일부 법안을 이러한 방식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총리는 아직 법으로 서명되지 않은 법안을 헌법위원회에 제출할 수도 있다(제61조).[6] 대통령은 의회를 해산하기 전에 총리와 양원 의장과 상의해야 한다(제12조).[6] 총리는 의회에 법안을 제출할 수 있는 유일한 정부 구성원이다.

제5공화제에서, 헌법상 총리를 수장으로 하는 프랑스 정부는 의회에도 책임을 지며, 하원에 해당하는 국민의회가 불신임 결의를 가결할 경우, 총리는 정부의 사표를 대통령에게 제출해야 한다(일본에서 말하는 내각 총사퇴에 해당한다). 따라서 안정적인 정권 운영을 위해 대통령은 의회의 신임을 얻을 수 있는 총리를 임명해야 하며, 실제로는 국민의회의 다수파를 차지하는 정당에서 총리를 선출하게 된다.

정부 구성원인 장관은 총리의 제안에 따라 대통령이 임명한다. 또한 국민의회가 정부의 불신임 결의를 가결하거나 신임 결의를 부결할 경우, 총리는 대통령에게 정부의 사표를 제출해야 한다. 이때 대통령은 그 사표를 수리하거나, 자신의 권한에 따라 국민의회를 해산하는 두 가지 선택지 중 하나를 취하게 된다.

2. 4. 행정 권한

총리가 서명한 법령과 결정은 거의 모든 행정 결정과 마찬가지로 행정 법원 시스템의 감독을 받는다.[2] 일부 법령은 국무원(Council of State)의 자문을 받은 후 발표되며, 총리는 국무원 의장직을 맡을 자격이 있다.[2] 장관들은 총리에게 각 부처의 프로그램을 설명하고, 총리는 예산을 결정한다.[2]

3. 프랑스 총리 임명 절차

프랑스의 총리는 프랑스 대통령이 임명하며, 이론적으로는 누구든 임명할 수 있다.[3] 그러나 실제로는 국민의회가 불신임안을 통과시켜 정부를 사퇴시킬 수 있기 때문에,[4] 총리 인선은 국민의회 다수당의 의사를 반영해야 한다. 공존 시대에는 총리는 의회에만 책임을 진다.[5]

총리는 일반적으로 국민의회 의원 중에서 선출되지만, 드물게 대통령이 관료, 외교, 사업 경영 등의 경험을 고려하여 국회의원이 아닌 인물을 선택하기도 한다. 도미니크 드 빌팽은 선출직 경험 없이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총리를 역임한 대표적인 예이다.

대통령의 총리 선택은 국민의회 다수당과 일치해야 하지만, 총리는 정부 구성 후 신임 투표를 요청할 필요는 없다. 대통령의 임명 자체가 정부 승인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3]

3. 1. 대통령의 임명권

프랑스의 총리는 프랑스 대통령이 임명하며, 이론적으로는 누구든 임명할 자유가 있다.[3] 그러나 실제로는 국민의회가 불신임안을 통과시켜 정부의 사퇴를 강제할 수 있기 때문에,[4] 총리의 선택은 국민의회 다수당의 의지를 반영해야 한다. 공존 시대에는 총리는 의회에만 책임을 진다.[5]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이 1986년 총선 이후 자크 시라크를 총리로 임명한 경우가 공존의 한 예시이다. 미테랑의 사회당이 국민의회에서 가장 큰 정당이었지만,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했다. RPR은 프랑스 민주연합과 연합하여 과반수를 차지했다.

일반적으로 총리는 국민의회 의원 중에서 선택되지만, 드물게 대통령은 관료제나 외교 경험, 또는 사업 경영 성공 등을 이유로 국회의원이 아닌 인물을 선택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전 외무장관 도미니크 드 빌팽은 선출직 경험 없이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총리를 역임했다.

대통령의 총리 선택은 국민의회 다수당과 일치해야 하지만, 총리는 정부 구성 후 신임 투표를 요청할 필요가 없다. 대통령의 임명과 정부 승인으로 정당성을 확보하기 때문이다.[3] 1958년 헌법 이전에는 정부가 취임 시 신임 투표를 통과해야 했다.[3]

현대 (제5공화제) 프랑스의 총리는 공화국 대통령의 행정권 하에 있는 정부의 수장이다. 국민의 직접 투표로 선출되는 대통령이 총리 임명권을 가지고 있으며, 그 인선은 대통령에게 재량권이 있다. 관례상 총리는 임명된 후 헌법에 따른 신임 결의를 국민의회에 자문하여 의회의 신임을 명확히 하는 경우가 많지만, 헌법상 정부의 성립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총리는 대통령에게 임명된 시점에 총리로서의 지위를 얻을 수 있다.[12]

또한 일반적으로 대통령의 소속 정당과 국민의회의 다수파 정당이 동일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제로는 대통령의 의향에 따른 총리가 임명되는 경우가 많지만, 국민의회의 다수파 정당이 대통령의 소속 정당과 다른 상황이 발생하면, 대통령은 국민의회의 다수파인 대립 정당에서 총리를 임명해야 한다. 이렇게 구성된 정권을 코아비타시옹(보혁 공존 정권)이라고 하며, 이때 대통령은 주로 외교·군사를 담당하고, 총리는 주로 내정을 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3. 2. 국회와의 관계

프랑스의 총리는 프랑스 대통령이 임명하지만, 국민의회가 불신임안을 통과시켜 정부를 사퇴시킬 수 있다.[4] 따라서 총리는 국민의회 다수당의 의지를 반영하여 선택해야 한다. 공존 시대에는 총리는 의회에만 책임을 진다.[5]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은 1986년 총선 이후 자크 시라크를 총리로 임명했는데, 이는 공존의 한 예이다. 미테랑의 사회당은 국민의회에서 가장 큰 정당이었지만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했고, 프랑스 민주연합과 연합한 RPR이 과반수를 차지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총리는 국민의회 의원 중에서 선택되지만, 드물게 국회의원이 아닌 인물이 선택되기도 한다. 도미니크 드 빌팽은 선출직 경험 없이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총리를 역임했다.

대통령이 총리를 선택할 때 국민의회 다수당과 일치해야 하지만, 총리는 정부 구성 후 신임 투표를 요청할 필요는 없다. 대통령의 임명과 정부 승인으로 정당성을 확보하기 때문이다.[3] 1958년 헌법 이전에는 정부가 취임 시 신임 투표를 통과해야 했다.[3]

제5공화제에서 프랑스 정부는 의회와 대통령에게 모두 책임을 지는 이원적인 특징을 가진다. 국민의회는 불신임 결의를 통해 총리에게 정부 사표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대통령은 의회의 신임을 얻을 수 있는 총리를 임명해야 하며, 국민의회 다수당에서 총리를 선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2] 대통령 소속 정당과 국민의회 다수당이 다를 경우, 대통령은 국민의회 다수당에서 총리를 임명해야 한다. 이러한 정권을 코아비타시옹(보혁 공존 정권)이라고 하며, 대통령은 외교·군사, 총리는 내정을 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3. 3. 공존 정부

프랑스의 총리는 프랑스 대통령이 임명하지만, 국민의회가 불신임안을 통과시켜 정부를 사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총리 인선은 국민의회 다수당의 의사를 반영해야 한다.[4] 공존 상황에서는 총리가 의회에만 책임을 진다.[5]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은 1986년 총선 이후 자크 시라크를 총리로 임명했는데, 이는 공존 정부의 한 예시이다. 미테랑의 사회당은 국민의회에서 가장 큰 정당이었지만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했고, 시라크RPR프랑스 민주연합과 연합하여 과반수를 차지했다.

일반적으로 총리는 국민의회 의원 중에서 선출되지만, 드물게 대통령이 관료, 외교, 사업 경영 등의 경험을 고려하여 국회의원이 아닌 인물을 선택하기도 한다. 도미니크 드 빌팽은 선출직 경험 없이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총리를 역임한 대표적인 예이다.

대통령이 총리를 임명하면 정부 구성이 완료되며, 별도의 신임 투표는 필요하지 않다. 이는 대통령의 임명 자체가 정부 승인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3] 과거 제5공화제 이전에는 정부 취임 시 신임 투표를 거쳐야 했다.[3]

국민의회 다수파 정당과 대통령의 소속 정당이 다를 경우, 대통령은 국민의회 다수파 정당에서 총리를 임명해야 한다. 이러한 정권을 코아비타시옹(보혁 공존 정권)이라고 부르며, 대통령은 주로 외교와 군사를, 총리는 주로 내정을 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4. 역대 프랑스 총리

프랑스의 총리직은 시대에 따라 그 명칭과 권한이 변화해왔다. 프랑스 제3공화국 시대에는 정부 수반을 "장관평의회 의장"()이라 칭했지만, 프랑스 외부에서는 비공식적으로 "총리" 또는 "프리미어"라고 불렸다. 장관평의회 의장은 영국 총리와 유사한 공식적인 권한을 부여받았으나, 실제로는 프랑스의 다당제 의회의 신임을 얻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의회는 불신임 투표를 통해 내각을 해임할 수 있었고, 그 결과 내각이 자주 교체되어 임시 정부만 남는 기간이 길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장관평의회 의장은 대개 약한 권한을 가졌으며, 카리스마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20세기 전반, 여러 차례 역할 강화 시도가 실패한 후, 프랑스 제5공화국이 수립되고 준대통령제가 도입되면서 총리직은 현재와 같은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1958년 헌법에는 의회의 정부 불신임 권한을 제한하는 등 총리의 지위를 강화하기 위한 여러 조항이 포함되었다. 그 결과, 제5공화국에서 총리가 불신임된 경우는 두 번뿐이었다. 1962년 조르주 퐁피두가 샤를 드 골의 대통령 직선제 국민투표 시도에 반대하여 실각한 경우[4]와, 2024년 미셸 바르니에가 헌법 제49조 3항을 발동하여 사회보장 예산을 의회 투표 없이 통과시킨 후 실각한 경우[10]이다.

프랑스 총리 공관인 마티뇽궁


역대 프랑스 총리 목록은 다음과 같다.

'''피에르 베레고부아'''
(PS)
1992-1993

4. 1. 프랑스 왕국 ( ~ 1792)

재임 기간이름
1598년 - 1611년Maximilien de Béthune (duc de Sully)|슐리 공작 막시밀리앙 드 베튀느프랑스어
1611년 - 1616년Nicolas IV de Neufville de Villeroy|니콜라 4세 드 뇌프빌 드 빌르와프랑스어
1616년 - 1617년콩치노 콩치니
1617년 - 1621년Charles d'Albert, duc de Luynes|뤼네 공작 샤를 달베르프랑스어
1621년 - 1624년공석
1624년 - 1642년알맹 장 뒤 프레시 드 리슐리외
1642년 - 1661년쥘 마자랭
1661년 - 1715년공석
1661년 - 1683년장바티스트 콜베르 (사실상)
1683년 - 1691년프랑수아미셸 르 테리에 (사실상)
1715년 - 1723년기욤 뒤부아
1723년 - 1726년루이 앙리 드 부르봉콩데
1726년 - 1743년앙드레에르퀼 드 플뢰리
1743년 - 1758년공석
1758년 - 1770년에티엔 프랑수아 드 쇼아젤
1770년 - 1774년René-Nicolas de Maupeou|르네니콜라샤를오귀스탱 드 모포프랑스어
1774년 - 1776년자크 튀르고
1776년 - 1781년장프레데리크 펠리포 드 모르파
1781년 - 1787년Charles Gravier, comte de Vergennes|샤를 그라비에 드 베르젠느프랑스어
1787년 - 1788년에티엔샤를 드 로메니 드 브리엔느
1788년 - 1789년자크 네케르
1789년루이 오귀스트 르 토노리에 드 브르투유
1789년 - 1790년자크 네케르
1790년 - 1791년Armand Marc de Montmorin Saint-Hérem|아르망 마르크 드 몽모랭 생테렘프랑스어
1791년 - 1792년공석


4. 2. 프랑스 제1공화국 (1792 ~ 1804)

프랑스 제1공화국(1792년~1804년)에는 총리직이 설치되지 않았다.

4. 3. 프랑스 제1제국 (1804 ~ 1815)

프랑스 제1제국 시기에는 총리직이 설치되지 않았다.

4. 4. 프랑스 복고 왕정 (1815 ~ 1830)

재임 기간이름비고
1815년탈레랑
1815년 ~ 1818년드 프레시
1818년 ~ 1819년Jean-Joseph Dessolles|장조제프 드솔프랑스어
1819년 ~ 1820년뒤카스
1820년 ~ 1821년드 프레시
1821년 ~ 1828년드 비엘
1828년 ~ 1829년드 마르티냐크공식적으로는 장관평의회 의장에 취임하지 않았지만 내무장관으로서 사실상 제7대 정부 수반의 직무를 대행함
1829년 ~ 1830년드 폴리냐크
1830년Casimir-Louis-Victurnien de Rochechouart de Mortemart|카지미르루이빅튀르니앵 드 로슈슈아르 드 모르테마르프랑스어
1830년 7월 29일 ~ 1830년 7월 31일부재 기간


4. 5. 7월 왕정 (1830 ~ 1848)

(통력)총리의 성명초상소속 정당내각재임 기간국왕의회-
(10)부재 기간 (중장 루이-필리프에 의한 독재)1830년 7월 31일
- 1830년 8월 2일공석style="background-color:#E75480" rowspan=5 |부재 기간 (섭정 루이-필리프 공작에 의한 친정)1830년 8월 2일
- 1830년 8월 9일공석부재 기간 (국왕 루이 필리프 1세에 의한 친정)1830년 8월 9일
- 1830년 11월 2일루이 필리프 1세

(1830년 - 1848년)10
(11)자크 라피트
오를레아니스트1830년 11월 2일
- 1831년 3월 13일11
(12)카지미르 피에르 페리에Casimir Perier|카지미르 페리에프랑스어
오를레아니스트rowspan=2|1831년 3월 13일
- 1832년 5월 16일
(재직 중 병사)style="background-color:#00eeee" rowspan=3 |style="background-color:black"|콜레라로 인한 전임 총리 사망으로 인한 부재 기간임시 내각1832년 5월 16일
- 1832년 10월 11일12
(13)니콜라장 드 디외 술트
무소속
(군인)제1차1832년 10월 11일
- 1834년 7월 18일style="background-color:#0000C8" rowspan=7 |13
(14)에티엔 모리스 제라르
무소속
(군인)1834년 7월 18일
- 1834년 11월 10일14
(15)위그 베르나르 마레
무소속1834년 11월 10일
- 1834년 11월 18일15
(16)아돌프 에두아르 모르티에
무소속
(군인)1834년 11월 18일
- 1835년 3월 12일
(재직 중 암살)16
(17)아쉴-빅토르-샤를 드 브로이
오를레아니스트1835년 3월 12일
- 1836년 2월 22일17
(18)아돌프 티에르
오를레아니스트제1차1836년 2월 22일
- 1836년 9월 6일18
(19)루이 마티외 몰레
오를레아니스트제1차1836년 9월 6일
- 1837년 4월 15일제2차1837년 4월 15일
- 1839년 3월 31일rowspan=2|style="background-color:black"|의회 선거 패배로 인한 부재 기간이행 내각1839년 3월 31일
- 1839년 5월 12일19
(20)니콜라장 드 디외 술트무소속
(군인)제2차1839년 5월 12일
- 1840년 3월 1일style="background-color:#E75480" rowspan=3|20
(21)아돌프 티에르오를레아니스트제2차1840년 3월 1일
- 1840년 10월 29일21
(22)니콜라장 드 디외 술트무소속
(군인)제3차1840년 10월 29일
- 1847년 9월 19일style="background-color:#0000C8" |style="background-color:#0000C8" rowspan=4|22
(23)프랑수아 기조
오를레아니스트1847년 9월 19일
- 1848년 2월 23일-
(24)루이 마티외 몰레오를레아니스트미구성1848년 2월 23일
- 1848년 2월 24일-
(25)아돌프 티에르오를레아니스트미구성1848년 2월 24일
- 1848년 2월 24일


4. 6. 프랑스 제2공화국 (1848 ~ 1852)

(통력)임시정부 의장 성명초상소속 정당내각재임 기간국가 원수의회 -
(26)자크 샤를 뒤퐁 드뢰르
공화파1848년 2월 24일
- 1848년 5월 9일겸임 -
(27)프랑수아 아라고
공화파1848년 5월 9일
- 1848년 6월 24일겸임 -
(28)루이 외젠 카베냐크
공화파
(군인)1848년 6월 28일
- 1848년 12월 20일겸임



차례
(계보)
총리 성명초상소속 정당내각임기대통령의회
23
(29)
오디롱 바로
오를레아니즘1848년 12월 20일
- 1849년 10월 31일
샤를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1848년 – 1852년)
-
(30)
오트풀 백작 알퐁스 앙리
오를레아니즘1849년 10월 31일
- 1851년4월 10일
-
(31)
레옹 포셰
오를레아니즘1851년 4월 10일
- 1851년 10월 26일
-
(32)
무정부 상태 기간(대통령 루이 나폴레옹에 의한 독재)1851년 10월 26일
- 1852년 12월 2일


4. 7. 프랑스 제2제국 (1852 ~ 1870)

나폴레옹 3세 황제가 직접 통치하던 1852년 12월 2일부터 1869년 12월 27일까지는 총리가 임명되지 않았다. 이후 임명된 총리는 다음과 같다.

차례총리 성명초상소속 정당임기의회
1에밀 올리비에
보나파르티스트1869년 12월 27일 ~ 1870년 8월 9일
2샤를 쿠장-몽토방
보나파르티스트1870년 8월 9일 ~ 1870년 9월 4일


4. 8. 프랑스 제3공화국 (1870 ~ 1940)



제3공화국 시대 정부 수반의 공식 명칭은 '장관평의회 의장'(Président du Conseil des Ministres프랑스어)이었으나, 비공식적으로 '총리' 또는 '프리미어'로 불렸다. 장관평의회 의장은 영국 총리와 비슷한 권한을 가졌지만, 실제로는 프랑스 다당제 의회의 신임을 얻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의회는 불신임 투표로 내각을 해임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내각이 자주 교체되고 임시 정부만 남는 기간이 길어졌다. 장관평의회 의장은 대체로 약한 권한을 가졌으며, 카리스마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4. 9. 비시 프랑스 (1940 ~ 1944)

(경력)총리의 이름초상부총리내각임기국가 원수의회-필리프 페탱
Henri Philippe Benoni Omer Joseph Pétain프랑스어
(국가 원수 겸임)
피에르 라발제2차1940년 7월 11일
- 1940년 12월 13일필리프 페탱
Henri Philippe Benoni Omer Joseph Pétain프랑스어
--
(1940년 - 1944년)-피에르에티엔 플랑댕제3차1940년 12월 13일
- 1941년 2월 9일-프랑수아 다를랑제4차1941년 2월 9일
- 1942년 4월 18일111
(123)피에르 라발
없음제5차1942년 4월 18일
- 1944년 8월 17일


4. 10. 프랑스 공화국 임시 정부 (1944 ~ 1947)

차례
(역대)
총리 성명초상소속 정당내각임기국가 원수의회
1
(124)
샤를 드골
무소속제1차1944년 8월 20일
- 1946년 1월 26일
겸임rowspan=2 |
제2차
2
(125)
Félix Gouin|펠릭스 구앵프랑스어
프랑스 노동자 인터내셔널(SFIO)제1차1946년 1월 26일
- 1946년 6월 24일
겸임
3
(126)
조르주 비도
공화국 인민 운동(MRP)제1차1946년 6월 24일
- 1946년 12월 16일
겸임
4
(127)
레옹 블룸
프랑스 노동자 인터내셔널(SFIO)제3차1946년 12월 16일
- 1947년 1월 22일
겸임


4. 11. 프랑스 제4공화국 (1947 ~ 1959)

프랑스 제4공화국 각료평의회 의장
대수
(총계)
총리 성명초상화소속 정당내각임기대통령의회
112
(128)
폴 라마디에
프랑스 노동자 인터내셔널
(SFIO)
제1차1947년 1월 22일
- 1947년 11월 24일
뱅상 오리올
1
제2차
113
(129)
로베르 쉬만
공화 국민 운동
(MRP)
제1차1947년 11월 24일
- 1948년 7월 26일
114
(130)
André Marie|앙드레 마리프랑스어
공화주의 진보당·
진보 사회당
(PRS)
제1차1948년 7월 26일
- 1948년 9월 5일
115
(131)
로베르 쉬만--공화 국민 운동
(MRP)
제2차1948년 9월 5일
- 1948년 9월 11일
116
(132)
Henri Queuille|앙리 퀴유프랑스어
공화주의 진보당·
진보 사회당
(PRS)
제1차1948년 9월 11일
- 1949년 10월 28일
117
(133)
조르주 비도--공화 국민 운동
(MRP)
제2차1949년 10월 28일
- 1950년 7월 2일
제3차
118
(134)
앙리 퀴유--공화주의 진보당·
진보 사회당
(PRS)
제2차1950년 7월 2일
- 1950년 7월 12일
119
(135)
르네 플레뱅
민주 사회 저항 연맹
(UDSR)
제1차1950년 7월 12일
- 1951년 3월 10일
120
(136)
앙리 퀴유
공화주의 진보당·
진보 사회당
(PRS)
제3차1951년 3월 10일
- 1951년 8월 11일
121
(137)
르네 플레뱅--민주 사회 저항 연맹
(UDSR)
제2차1951년 8월 11일
- 1952년 1월 20일
2
122
(138)
에드가르 포르
공화주의 진보당·
진보 사회당
(PRS)
제1차1952년 1월 20일
- 1952년 3월 8일
123
(139)
앙투안 피네
전국 독립당 농민센터
(CNIP)
제1차1952년 3월 8일
- 1953년 1월 8일
124
(140)
르네 마이에
공화주의 진보당·
진보 사회당
(PRS)
제1차1953년 1월 8일
- 1953년 6월 27일
125
(141)
조제프 라니엘
전국 독립당 농민센터
(CNIP)
제1차1953년 6월 27일
- 1954년 6월 18일
제2차르네 코티
126
(142)
피에르 망데스 프랑스
공화주의 진보당·
진보 사회당
(PRS)
제1차1954년 6월 18일
- 1955년 2월 23일
127
(143)
에드가르 포르--공화주의 진보당·
진보 사회당
(PRS)
제2차1955년 2월 23일
- 1956년 1월 31일
128
(144)
기 모레
프랑스 노동자 인터내셔널
(SFIO)
제1차1956년 1월 31일
- 1957년 6월 12일
3
129
(145)
Maurice Bourgès-Maunoury|모리스 부르주모누리프랑스어
공화주의 진보당·
진보 사회당
(PRS)
제1차1957년 6월 12일
- 1957년 11월 6일
130
(146)
펠릭스 가이야르
공화주의 진보당·
진보 사회당
(PRS)
제1차1957년 11월 6일
- 1958년 5월 13일
131
(147)
피에르 플리믈랭
공화 국민 운동
(MRP)
제1차1958년 5월 13일
- 1958년 6월 1일
132
(148)
샤를 드 골
신공화국 연합
(UNR)
제3차1958년 6월 1일
- 1959년 1월 8일


4. 12. 프랑스 제5공화국 (1959 ~ 현재)

(기수)총리의 성명초상소속 정당내각취임일퇴임일대통령의회1
(149)미셸 드브레(Michel Debré)
신공화연합(UNR)제1차1959년 1월 8일1962년 4월 14일샤를 드 골(Charles de Gaulle)
--
(제1기)12
(150)조르주 퐁피두(Georges Pompidou)
신공화연합
(UNR)제1차1962년 4월 14일1962년 12월 7일제2차1962년 12월 7일1966년 1월 8일2제3차1966년 1월 8일1967년 4월 8일샤를 드 골(Charles de Gaulle)
--
(제2기)
(권한대행 알랭 포에르)제4차1967년 4월 8일1968년 5월 31일3제5차1968년 5월 31일1968년 7월 10일3
(151)모리스 쿠브 드 뮈르빌(Maurice Couve de Murville)
공화국 민주 연합
(UDR)제1차1968년 7월 10일1969년 6월 20일44
(152)자크 샤방델마스(Jacques Chaban-Delmas)
공화국 민주 연합
(UDR)제1차1969년 6월 20일1972년 7월 6일조르주 퐁피두(Georges Pompidou)
--

(권한대행 알랭 포에르)5
(153)피에르 메스메르(Pierre Messmer)
공화국 민주 연합
(UDR)제1차1972년 7월 6일1973년 4월 5일제2차1973년 4월 5일1974년 3월 1일5제3차1974년 3월 1일1974년 5월 27일6
(154)자크 시라크(Jacques Chirac)
공화국 민주 연합
(UDR)제1차1974년 5월 27일1976년 8월 26일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Valéry Giscard d'Estaing)
7
(155)레몽 바르(Raymond Barre)
무소속
프랑스 민주연합(UDF)과 협력 관계제1차1976년 8월 26일1977년 3월 29일제2차1977년 3월 29일1978년 3월 31일제3차1978년 3월 31일1981년 5월 21일68
(156)피에르 모루아(Pierre Mauroy)
사회당
(PS)제1차1981년 5월 21일1981년 6월 23일프랑수아 미테랑(François Mitterrand)

(제1기)제2차1981년 6월 23일1983년 3월 23일7제3차1983년 3월 23일1984년 7월 17일9
(157)로랑 파비위스(Laurent Fabius)
사회당
(PS)제1차1984년 7월 17일1986년 3월 20일10
(158)자크 시라크(Jacques Chirac)
(제1차 코아비타시옹)--공화국 연합
(RPR)제2차1986년 3월 20일1988년 5월 10일811
(159)미셸 로카르(Michel Rocard)
사회당
(PS)제1차1988년 5월 10일1988년 6월 22일프랑수아 미테랑(François Mitterrand)

(제2기)제2차1988년 6월 22일1991년 5월 15일912
(160)에디트 크레송(Edith Cresson)
사회당
(PS)제1차1991년 5월 15일1992년 4월 2일13
(161)피에르 베레고부아(Pierre Bérégovoy)사회당
(PS)제1차1992년 4월 2일1993년 3월 29일14
(162)에두아르 발라뒤르(Edouard Balladur)
(제2차 코아비타시옹)
공화국 연합
(RPR)제1차1993년 3월 29일1995년 5월 18일1015
(163)알랭 쥐페(Alain Juppé)
공화국 연합
(RPR)제1차1995년 5월 18일1995년 11월 7일자크 시라크(Jacques Chirac)
--
(제1기)제2차1995년 11월 7일1997년 6월 3일16
(164)리오넬 조스팽(Lionel Jospin)
(제3차 코아비타시옹)
사회당
(PS)제1차1997년 6월 3일2002년 5월 6일1117
(165)장피에르 라파랭(Jean-Pierre Raffarin)
국민운동연합(UMP)제1차2002년 5월 6일2002년 6월 17일자크 시라크(Jacques Chirac)
--
(제2기)제2차2002년 6월 17일2004년 3월 30일12제3차2004년 3월 31일2005년 5월 31일18
(166)도미니크 드 빌팽(Dominique de Villepin)
국민운동연합
(UMP)제1차2005년 5월 31일2007년 5월 15일19
(167)프랑수아 피용(François Fillon)
국민운동연합
(UMP)제1차2007년 5월 17일2007년 6월 18일니콜라 사르코지(Nicolas Sarkozy)
제2차2007년 6월 19일2010년 11월 13일13제3차2010년 11월 14일2012년 5월 10일20
(168)장마르크 에로(Jean-Marc Ayrault)
사회당
(PS)제1차2012년 5월 15일2012년 6월 18일프랑수아 올랑드(François Hollande)
제2차2012년 6월 18일2014년 3월 31일1421
(169)마뉘엘 발스(Manuel Carlos Valls)
사회당
(PS)제1차2014년 3월 31일2014년 8월 26일제2차2014년 8월 26일2016년 12월 6일22
(170)베르나르 카즈뇌브(Bernard Cazeneuve)
사회당
(PS)Gouvernement Bernard Cazeneuve|베르나르 카즈뇌브 내각프랑스어2016년 12월 6일2017년 5월 10일23
(171)에두아르 필리프(Édouard Philippe)
공화당
(LR)
비주류Gouvernement Édouard Philippe (1)|제1차 에두아르 필리프 내각프랑스어2017년 5월 15일2017년 6월 21일에마뉘엘 마크롱(Emmanuel Macron)

(제1기)Gouvernement Édouard Philippe (2)|제2차 에두아르 필리프 내각프랑스어2017년 6월 21일2020년 7월 3일1524
(172)장 카스텍스(Jean Castex)
무소속제1차2020년 7월 3일2022년 5월 16일25[13]엘리자베트 보른(Élisabeth Borne)진보 지역 연합[14]제1차2022년 5월 16일2024년 1월 9일에마뉘엘 마크롱(Emmanuel Macron)
26[16]
(174)가브리엘 아탈(Gabriel Attal)르네상스제1차2024년 1월 9일(현직)16



소속
정당
nowrap|nowrap|



제5공화국에서 총리는 대통령의 행정권 하에 있는 정부의 수장이다. 대통령은 국민의 직접 투표로 선출되며 총리 임명권을 가진다. 헌법상 총리를 수장으로 하는 프랑스 정부는 의회에도 책임을 지며, 국민의회가 불신임 결의를 가결할 경우, 총리는 정부의 사표를 대통령에게 제출해야 한다. 따라서 대통령은 의회의 신임을 얻을 수 있는 총리를 임명해야 하며, 실제로는 국민의회의 다수파를 차지하는 정당에서 총리를 선출하게 된다.

대통령의 소속 정당과 국민의회의 다수파 정당이 동일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제로는 대통령의 의향에 따른 총리가 임명되는 경우가 많지만, 국민의회의 다수파 정당이 대통령의 소속 정당과 다른 상황이 발생하면, 대통령은 국민의회의 다수파인 대립 정당에서 총리를 임명해야 한다. 이렇게 구성된 정권을 코아비타시옹(보혁 공존 정권)이라고 하며, 이때 대통령은 주로 외교·군사를 담당하고, 총리는 주로 내정을 담당한다.

정부 구성원인 장관은 총리의 제안에 따라 대통령이 임명한다. 또한 국민의회가 정부의 불신임 결의를 가결하거나 신임 결의를 부결할 경우, 총리는 대통령에게 정부의 사표를 제출해야 한다. 이때 대통령은 그 사표를 수리하거나, 또는 자신의 권한에 따라 국민의회를 해산하는 두 가지 선택지 중 하나를 취하게 된다.

참조

[1] 웹사이트 IG.com Pay Check https://www.ig.com/u[...] IG
[2] 뉴스 Francois Bayrou named as new French prime minister https://edition.cnn.[...] CNN 2024-12-13
[3] 웹사이트 Qui désigne le Premier ministre ? https://www.vie-publ[...] 2024-07-11
[4] 웹사이트 La motion de censure : véritable moyen de contrôle ? https://www.vie-publ[...] 2024-07-05
[5] 웹사이트 Rôle du président de la République, cohabitations : un historique https://www.vie-publ[...] 2019-06-19
[6] 웹사이트 French National Assembly – Assemblée nationale https://web.archive.[...] 2012-05-17
[7] 웹사이트 Comment la Constitution organise-t-elle la cohabitation ? https://www.conseil-[...] 2021-10-01
[8] 웹사이트 Les cohabitations https://www.vie-publ[...] 2018-07-07
[9] 논문 Jacques Fournier. ''Le travail gouvernemental'' https://www.persee.f[...]
[10] 뉴스 En direct: 331 députés votent la censure du gouvernement de Michel Barnier, le premier ministre va remettre sa démission à Emmanuel Macron https://www.lemonde.[...] Le Monde.fr 2024-12-04
[11] 뉴스 Salaire brut abaissé à 9 940 euros pour les ministres, 14 910 pour Hollande et Ayrault http://www.leprogres[...] 2012-05-17
[12] 웹사이트 フランス現行憲法上の議院内閣制における信任―信任手続を中心に― https://dl.ndl.go.jp[...] 2021-07-20
[13] 웹사이트 フランス 新首相にボルヌ氏任命 女性首相は30年ぶり 史上2人目 https://web.archive.[...] 2022-05-18
[14] 웹사이트 Clément Beaune rejoint les macronistes de gauche https://www.lopinion[...] 2020-11-20
[15] 웹사이트 【詳細】フランス大統領選 現職のマクロン大統領が再選 https://web.archive.[...] 2022-05-18
[16] 웹사이트 仏新首相 最年少34歳のガブリエル・アタル氏に任命 https://www3.nhk.or.[...] NHKnews web 2024-01-09
[17] 뉴스 フランス、新首相に中道右派のバルニエ氏 元欧州委員 https://www.nikkei.c[...] 2024-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