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플라토 (컴퓨터 시스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라토(PLATO)는 1960년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시작된 컴퓨터 기반 교육 시스템으로, 1970년대 CDC(컨트롤 데이터 코퍼레이션)에 의해 상업화되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온라인 커뮤니티, 게임 등 다양한 기술 혁신을 이루었으며, 1970년대에는 12,000시간 이상의 코스웨어가 개발되어 고등 교육, 직업 훈련 등에 활용되었다. 1980년대에는 가정용 컴퓨터를 위한 Micro-PLATO가 출시되었으나, CDC의 사업 부진으로 서비스가 축소되었다. 플라토는 온라인 커뮤니티와 게임 문화 형성에 기여했으며, 2004년에는 Cyber1이라는 이름으로 부활하여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자공학사 - 지연선 기억기
    지연선 기억기는 전기 신호 지연을 이용해 정보를 저장하는 기술로, 초기 컴퓨터 메모리로 활용되었으며, 수은 지연선 기억기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현대 메모리 기술에 영향을 주었다.
플라토 (컴퓨터 시스템)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2. 역사

1944년 G.I. 법안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들에게 무상 대학 교육이 제공되면서, 이전에는 소수에게만 제한되었던 고등 교육의 문호가 넓어졌다. 1950년대 초, 입학자 수가 증가하면서 대학들은 신입생 교육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를 활용한 자동화된 교육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1957년 소련스푸트니크 1호 인공위성을 발사하자, 미국 정부는 과학 및 공학 교육에 대한 투자를 늘렸다. 1958년 미국 공군 과학 연구실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컴퓨터 교육 회의를 개최했고, IBM을 비롯한 여러 기관들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1959년경, 일리노이 대학교 물리학자 찰머스 W. 셔윈은 윌리엄 에버렛 공과대학 학장에게 컴퓨터 기반 학습 시스템을 제안했다. 에버렛 학장은 물리학자 다니엘 알퍼트에게 이 문제에 대한 회의를 소집하도록 했고, 실험실 조교였던 도널드 비처가 시연 시스템 구축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5]

1960년, 첫 번째 시스템인 PLATO I이 지역 ILLIAC I 컴퓨터에서 작동했다. 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용 텔레비전과 특수 키보드를 포함했다.[5] 1961년에는 두 명의 사용자를 지원하는 PLATO II가 가동되었다.[6]

PLATO III 터미널


PLATO III 키보드


PLATO 시스템은 1963년과 1969년 사이에 재설계되었다.[7] 1967년에는 TUTOR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한 PLATO III가 등장하여, 새로운 수업 모듈 설계가 가능해졌다. 윌리엄 노리스가 제공한 CDC 1604를 기반으로 구축된 PLATO III는 최대 20개의 터미널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었고, 샴페인-어바나 지역 시설에서 사용자 정의 컴퓨터 터미널로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었다.

PLATO I, II, III는 육군-해군-공군 기금 풀의 소규모 보조금으로 자금을 지원받았다. PLATO III 운영 시점에 이르러, 국립 과학 재단은 1967년 팀에 꾸준한 자금을 지원하여 알퍼트가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캠퍼스에 컴퓨터 기반 교육 연구소(CERL)를 설립할 수 있도록 했다.

1972년, PLATO IV가 운영을 시작하면서 다음과 같은 주요 기술 혁신을 선보였다.

기술설명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화면도널드 비처가 발명한 주황색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메모리와 비트맵 그래픽스를 통합했다. 512×512 비트맵으로, 하드웨어 로직을 통해 문자와 벡터 그리기를 수행했다.
터치 패널16×16 그리드 적외선 터치스크린 터치 패널을 통해, 학생들은 화면을 터치하여 질문에 답할 수 있었다.
마이크로피시 이미지압축 공기를 이용한 마이크로피시 이미지 선택기는 프로그램 제어 하에 화면 뒤에 컬러 이미지를 투영했다.
오디오 스니펫을 위한 하드 드라이브랜덤 액세스 오디오 장치는 총 17분 분량의 사전 녹음된 오디오를 저장할 수 있었다.[8]
Votrax영어 음성 합성기Votrax영어 음성 합성기는 TUTOR 언어의 "say" 명령어를 통해 텍스트를 읽을 수 있었다.
Gooch Synthetic WoodwindSherwin Gooch의 이름을 딴 이 신시사이저는 4성부 음악 합성을 제공했다.



윌리엄 노리스는 PLATO IV의 상업화에 큰 관심을 보였다. 그는 CDC를 하드웨어 중심에서 서비스 기반 회사로 전환하려 했고, 컴퓨터 기반 교육이 미래 주요 시장이 될 것이라 확신했다. 또한 PLATO를 통해 교육 불평등을 해소하고자 했다.[11]

CDC는 1970년대 동안 PLATO를 적극 홍보했지만, 1980년대 초 내부 평가 결과 PLATO는 인간 교사와 동등한 수준이지만, 교육 효과가 특별히 뛰어나지는 않다고 결론 내렸다.

높은 가격으로 인해 상업적으로 실패했으나, 기술 투자에 적극적인 대기업 및 정부 기관에서 일부 사용되었다.

1980년, Micro-PLATO가 도입되어 여러 가정용 컴퓨터에서 TUTOR 시스템을 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 CDC는 ''Homelink'' 서비스를 통해 다중 사용자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1986년, PLATO 서비스는 중단되었다. 비처는 CDC의 기업 문화, 높은 코스웨어 개발 비용, 높은 가격 책정이 문제였다고 지적했다.

2. 1. 배경

1944년 G.I. 법안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들에게 무상 대학 교육이 제공되기 이전에는, 고등 교육은 미국 인구의 소수에게만 제한되었다. 1950년대 초, 입학자 수가 증가하면서 많은 신입생에게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대학 행정가들에게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이에 컴퓨터화된 자동화가 공장 생산을 증가시킬 수 있다면, 학업 지도에도 அதே와 같이 적용할 수 있다는 발상이 생겨났다.

1957년 소련스푸트니크 1호 인공위성을 발사하자, 미국 정부는 과학 및 공학 교육에 더 많은 투자를 하게 되었다. 1958년, 미국 공군 과학 연구실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컴퓨터 교육에 관한 회의를 열었고, IBM을 비롯한 이해 관계자들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2. 2. 기원

1959년경, 일리노이 대학교 물리학자 찰머스 W. 셔윈은 윌리엄 에버렛 공과대학 학장에게 컴퓨터를 활용한 학습 시스템을 제안했다. 에버렛 학장은 물리학자인 다니엘 알퍼트에게 이 문제에 대한 회의를 소집하도록 권했다. 몇 주간의 회의 후에도 합의에 이르지 못했지만, 알퍼트는 이 문제에 대해 생각하고 있던 실험실 조교 도널드 비처에게 제안했고, 비처는 시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고 말했다.[5]

PLATO 프로젝트가 설립된 후, 1960년에 첫 번째 시스템인 PLATO I이 지역 ILLIAC I 컴퓨터에서 작동했다. 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용 텔레비전과 시스템 기능 메뉴를 탐색하기 위한 특수 키보드를 포함했다.[5] 1961년에는 PLATO II가 가동되었는데, 한 번에 두 명의 사용자를 지원하는 다중 사용자 시분할의 초기 구현 중 하나였다.[6]

PLATO 시스템은 1963년과 1969년 사이에 재설계되었다.[7] 1967년에는 생물학 대학원생 폴 텐크자르가 고안한 TUTOR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누구나 새로운 수업 모듈을 설계할 수 있는 PLATO III가 등장했다. 윌리엄 노리스가 제공한 CDC 1604를 기반으로 구축된 PLATO III는 최대 20개의 터미널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었고, 샴페인-어바나 지역 시설에서 사용자 정의 컴퓨터 터미널로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었다. 유일한 원격 PLATO III 터미널은 일리노이 주 스프링필드의 주 의사당 근처 스프링필드 고등학교에 있었으며, 비디오 연결과 키보드 데이터를 위한 별도의 전용 회선을 통해 PLATO III 시스템에 연결되었다.

PLATO I, II, III는 육군-해군-공군 기금 풀의 소규모 보조금으로 자금을 지원받았다. PLATO III가 운영될 즈음에는 관련된 모든 사람들이 이 프로젝트를 확장할 가치가 있다고 확신했다. 이에 따라 1967년, 국립 과학 재단은 팀에 꾸준한 자금을 지원하여 알퍼트가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캠퍼스에 컴퓨터 기반 교육 연구소(CERL)를 설립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시스템은 20개의 시분할 터미널을 지원할 수 있었다.

2. 3. NSF의 참여

1967년, 미국 국립 과학 재단(NSF)은 도널드 비처가 대학 내에 ''컴퓨터 기반 교육 연구소''(CERL)를 설립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지원했다.[8] 이는 PLATO III 시스템이 운영을 시작하면서 규모 확장의 필요성을 확신했기 때문이다.

1972년에는 새로운 시스템인 PLATO IV가 운영을 시작했다. PLATO IV의 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주요 기술 혁신을 포함하고 있었다.

기술설명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화면도널드 비처가 발명한 주황색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로, 메모리와 비트맵 그래픽스를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통합했다. 512×512 비트맵으로, 문자 및 벡터 그리기는 하드웨어 로직으로 수행되었다. 빠른 벡터 라인 그리기 기능이 포함되어 1260 에서 초당 60개의 라인 또는 180개의 문자를 렌더링했다. 사용자는 기본적인 비트맵 그래픽을 지원하기 위해 자체 문자를 제공할 수 있었다.
터치 패널16×16 그리드 적외선 터치스크린 터치 패널로, 학생들이 화면의 아무 곳이나 터치하여 질문에 답할 수 있었다.
마이크로피시 이미지압축 공기는 프로그램 제어 하에 화면 뒤에 컬러 이미지를 투영할 수 있는 피스톤 구동 마이크로피시 이미지 선택기를 구동했다.
오디오 스니펫을 위한 하드 드라이브랜덤 액세스 오디오 장치는 총 17분 분량의 사전 녹음된 오디오를 저장할 수 있는 자기 디스크를 사용했다.[8] 0.4초 이내에 4096개의 오디오 클립 중 아무거나 재생할 수 있었다. 1980년까지 이 장치는 Education and Information Systems, Incorporated에서 22분 이상 용량으로 상업적으로 생산되었다.[9]
Votrax영어 음성 합성기Votrax영어 음성 합성기가 개발되어, TUTOR 언어의 "say" 명령어를 통해 텍스트를 읽을 수 있었다.
Gooch Synthetic WoodwindSherwin Gooch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이 신시사이저는 PLATO 코스웨어에서 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해 4성부 음악 합성을 제공했다. 이후 PLATO V 터미널에서 16성부를 가진 Gooch Cybernetic Synthesizer로 대체되었다.


2. 4. CDC 시대

William Norris영어는 PLATO IV가 생산 품질에 도달하자 상업화에 큰 관심을 보였다. 노리스는 CDC를 하드웨어 중심에서 서비스 기반 회사로 전환하려 했고, 컴퓨터 기반 교육이 미래 주요 시장이 될 것이라 확신했다. 또한 1960년대 후반 사회 불안에 대한 해결책으로, PLATO를 통해 교육 불평등을 해소하고자 했다.[11]

노리스는 1960년대 후반 CERL에 개발용 기계를 제공했고, 1971년 CDC 내 PLATO 코스웨어 개발 부서를 설립했다. 1974년에는 미니애폴리스 CDC 본사에서 PLATO를 운영했고, 1976년에는 새로운 CDC Cyber 기계를 제공하는 조건으로 상업적 권리를 획득했다.

CDC는 1985년까지 회사 수입의 50%가 PLATO 서비스에서 나올 것이라 주장하며, 1970년대 동안 PLATO를 적극 홍보했다. 노리스는 농업 정보 시스템, 도시 빈민 청소년 강좌 등 비주류 강좌에도 투자했다.

1980년대 초, CDC는 대대적인 광고를 시작했지만, 내부 반발이 있었다. ''미니애폴리스 트리뷴''의 조사와 외부 평가 기관의 평가 모두 PLATO가 인간 교사와 동등한 수준이지만, 교육 효과가 특별히 뛰어나지는 않다고 결론 내렸다.

CDC는 개발 비용 회수를 위해 시간당 50달러를 청구하여, PLATO는 인간 교사보다 비싸 상업적으로 실패했다. 그러나 기술 투자에 적극적인 대기업 및 정부 기관에서 일부 사용되었다.

1980년, Micro-PLATO가 도입되어 TUTOR 시스템을 여러 가정용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 TI-99/4A, 아타리 8비트 컴퓨터, Zenith Z-100, 라디오샤크 TRS-80, IBM PC용 버전이 제작되었다. Micro-PLATO는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CDC 데이터 센터에 연결하여 다중 사용자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었다. CDC는 시간당 5달러의 ''Homelink'' 서비스를 도입했다.

노리스는 1984년까지 PLATO를 칭찬했지만, 1986년 CEO에서 물러나면서 PLATO 서비스는 중단되었다. 노리스는 Micro-PLATO가 실패 원인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 비처는 CDC의 기업 문화, 높은 코스웨어 개발 비용, 높은 가격 책정이 문제였다고 지적했다.

3. 기술 혁신

PLATO는 현재 흔히 사용되는 많은 기술들의 최초 또는 초기 사례였다.


  • 디스플레이 그래픽스: 다운로드 가능한 글꼴에 저장되는 비트맵 그림 그리기 프로그램인 문자 집합 편집기가 있었다. 1975년에는 그래픽 응용 프로그램 생성기(TUTOR)인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가 개발되었다.[10]
  • 온라인 커뮤니티: 1973년에는 범용 컴퓨터 메시지 보드인 패드(PAD)와 뉴스그룹의 전신인 Notesfiles가 개발되었다. 같은 해 Talkomatic이 개발되었는데, 6개의 방에서 각 5명이 참여할 수 있는 실시간 텍스트 기반 채팅이었다. Term-talk은 1:1 채팅 기능이었다. 1974년에는 강사가 학생을 돕기 위해 사용하던 모니터 모드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Timbuktu의 전신이었다.[42]
  • 게임: PLATO는 최초의 실시간 멀티플레이어 게임을 포함하여 다양한 장르의 게임을 선보였다.


게임명개발자개발 연도장르설명
스페이스워! (Spacewar!영어)릭 블롬메(Rick Blomme)1969년경멀티플레이어 우주 전투PLATO 시스템용으로 개발됨[1]
엠파이어 (Empire영어)1974년경2D 실시간 우주 시뮬레이션30인 멀티플레이어 지원[1]
스페이심 (Spasim영어)1974년경1인칭 3D 우주 전투32인 멀티플레이어 지원[1]
dnd (dnd영어)1974-75년던전 탐험 (RPG)최초의 비디오 게임 보스 등장[1]
페딧5 (Pedit5영어)1974년경던전 탐험 (RPG)최초의 그래픽 던전 컴퓨터 게임으로 추정[1]
아바타 (Avatar영어)1978년경2.5D 그래픽 다중 사용자 던전 (MUD)60인 멀티플레이어 지원[1]
에어파이트 (Airfight영어)브랜든 포트너(Brand Fortner)1974년3D 비행 시뮬레이터브루스 아트윅의 Sublogic 창업 계기, Microsoft Flight Simulator로 발전[1]
팬서 (Panther영어)존 하펠리(John Haefeli)1975년경3D 탱크 시뮬레이션[1]
빌드업 (Build-Up영어)브루스 윌리스(Bruce Wallace)1975년3D 미로J. G. 발라드의 소설 기반[1]
씽크15 (Think15영어)1977년경2D 야외 황야 퀘스트 시뮬레이션[1]
프리셀 (Freecell영어)폴 알파일(Paul Alfille)1979년솔리테어[1]
마작 (Mahjong Solitaire영어)브로디 로커드(Brodie Lockard)1981년솔리테어[1]


  • 교육: 답변 심사 기계는 TUTOR의 약 25개 명령 세트로, 학생이 복잡한 개념에 대한 이해를 테스트하기 쉽게 만들었다. 1979년에는 부분 순서 계획을 특징으로 하는 야심 찬 ICAI 프로그래밍 시스템인 절차 논리 시뮬레이터(PLS)가 개발되었는데, Con Edison 증기 발전소 운영자를 훈련하는 데 사용되었다.

3. 1. 하드웨어

플라토는 당시 혁신적인 하드웨어 기술을 다수 선보였다. 1964년경 도널드 비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개발하여 PLATO IV에 적용했다.[5] 이 디스플레이는 메모리와 비트맵 그래픽을 통합한 것으로, 512x512 비트맵에 문자와 벡터를 모두 하드웨어 로직으로 처리했다. 빠른 벡터 라인 그리기 기능은 1260 보드에서 초당 60개의 라인 또는 180개의 문자를 렌더링할 수 있었다. 사용자들은 자체 비트맵 그래픽을 지원하기 위해 자신만의 문자를 제공할 수도 있었다.

같은 시기에 비처는 16x16 그리드의 적외선 터치스크린 터치 패널도 개발했다.[5] 이를 통해 학생들은 화면을 직접 터치하여 질문에 답할 수 있었다.

1972년경에는 셔윈 구치가 발명한 Gooch Synthetic Woodwind라는 4성부 음악 합성 신시사이저가 터미널용 음악 장치로 개발되었다.[41] 이는 PLATO 코스웨어에서 사운드를 제공했으며, 나중에 PLATO V 터미널에서는 16성부의 Gooch Cybernetic Synthesizer로 대체되어 더욱 복잡한 사운드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1981년의 PLATO V 터미널, 랭크트렉(RankTrek)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고 있다. 이는 동시적인 로컬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컴퓨팅과 원격 메인프레임 컴퓨팅을 결합한 최초의 사례 중 하나이다. 단색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특징적인 주황색 빛을 보여준다. 디스플레이 주변에 장착된 적외선 센서는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입력을 감지한다.


이 외에도 프로그램 제어 하에 컬러 이미지를 투사하는 마이크로피시 이미지, 총 17분 분량의 사전 녹음된 오디오를 저장하고 0.4초 이내에 재생할 수 있는 랜덤 액세스 오디오 장치, Votrax 음성 합성기 등 다양한 주변 장치가 PLATO IV 터미널에 연결되어 사용되었다.[8]

이후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등장하면서 PLATO V 터미널에는 인텔 8080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도입되었다. 이를 통해 소규모 소프트웨어 모듈을 다운로드하여 로컬에서 실행할 수 있게 되어, PLATO 코스웨어에 풍부한 애니메이션과 같은 정교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었다.[12]

3. 2. 디스플레이 그래픽스

1972년 일리노이 대학교의 연구원들은 PLATO 시스템을 견학하면서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기술들을 접했다. 그중에는 그림을 위한 ''Insert Display/Show Display''(ID/SD) 애플리케이션 생성기가 있었는데, 이는 훗날 제록스 스타 워크스테이션의 그래픽 드로 프로그램으로 발전했다. 또한 새로운 문자를 "페인팅"할 수 있는 ''Charset Editor''는 PARC에서 "Doodle" 프로그램으로 변환되었다.[10]

이러한 기술들은 캘리포니아주 팔로 알토의 연구원들에 의해 채택 및 개선되었으며, 이후 애플로 이전되어 초기 매킨토시 컴퓨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Charset Editor''는 MacPaint와 같이 비트맵 이미지를 그려 다운로드 가능한 글꼴로 저장하는 방식의 전신이 되었다.[10]

PLATO IV 터미널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화면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메모리와 비트맵 그래픽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통합한 혁신적인 기술이었다. 이 디스플레이는 512x512 비트맵을 지원했으며, 하드웨어 로직을 통해 빠른 벡터 라인 그리기 기능을 제공했다. 사용자들은 자체 문자를 제공하여 기본적인 비트맵 그래픽을 지원할 수 있었다.

''Show Display Mode''는 1975년에 개발된 TUTOR 소프트웨어를 위한 그래픽 애플리케이션 생성기로, QuickDraw의 드로잉 언어 에디터의 전신으로 평가받는다.

3. 3. 온라인 커뮤니티

PLATO 시스템은 초기 온라인 커뮤니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73년에 개발된 패드(Pad)는 세계 최초의 온라인 게시판 중 하나였다.[42] 같은 해, 뉴스그룹의 전신인 Notesfiles가 개발되었다. 또한, 1973년에는 최대 6명이 동시에 참여할 수 있는 실시간 텍스트 기반 채팅 프로그램인 Talkomatic이 개발되었다.[42] 1:1 채팅 기능인 Term-talk도 개발되어, 인스턴트 메시지의 초기 형태를 보여주었다. 1974년에는 강사가 학생을 돕기 위해 화면을 공유할 수 있는 모니터 모드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Timbuktu와 같은 원격 화면 공유 소프트웨어의 전신이었다.[42]

이러한 기능들은 현대 소셜 미디어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게시판, 채팅, 화면 공유 등은 온라인 상호작용의 기본적인 요소가 되었으며, PLATO 시스템의 사용자들은 이러한 기능을 통해 20년 이상 지속되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형성했다.[43]

하지만, 이러한 초기 온라인 커뮤니티 기능들이 긍정적인 측면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익명성으로 인한 문제, 정보의 신뢰성 문제 등 현대 소셜 미디어가 겪고 있는 문제들의 초기 형태가 PLATO 시스템에서도 나타났다.

3. 4. 게임

PLATO 시스템은 다양한 멀티플레이어 게임을 지원했으며, 이는 현대 게임 산업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게임명개발자개발 연도장르설명
스페이스워! (Spacewar!영어)릭 블롬메(Rick Blomme)1969년경멀티플레이어 우주 전투PLATO 시스템용으로 개발됨[1]
엠파이어 (Empire영어)1974년경2D 실시간 우주 시뮬레이션30인 멀티플레이어 지원[1]
스페이심 (Spasim영어)1974년경1인칭 3D 우주 전투32인 멀티플레이어 지원[1]
dnd (dnd영어)1974-75년던전 탐험 (RPG)최초의 비디오 게임 보스 등장[1]
페딧5 (Pedit5영어)1974년경던전 탐험 (RPG)최초의 그래픽 던전 컴퓨터 게임으로 추정[1]
아바타 (Avatar영어)1978년경2.5D 그래픽 다중 사용자 던전 (MUD)60인 멀티플레이어 지원[1]
에어파이트 (Airfight영어)브랜든 포트너(Brand Fortner)1974년3D 비행 시뮬레이터브루스 아트윅의 Sublogic 창업 계기, Microsoft Flight Simulator로 발전[1]
팬서 (Panther영어)존 하펠리(John Haefeli)1975년경3D 탱크 시뮬레이션[1]
빌드업 (Build-Up영어)브루스 윌리스(Bruce Wallace)1975년3D 미로J. G. 발라드의 소설 기반[1]
씽크15 (Think15영어)1977년경2D 야외 황야 퀘스트 시뮬레이션[1]
프리셀 (Freecell영어)폴 알파일(Paul Alfille)1979년솔리테어[1]
마작 (Mahjong Solitaire영어)브로디 로커드(Brodie Lockard)1981년솔리테어[1]



이러한 PLATO 게임들은 멀티플레이어, 3D 그래픽, 롤플레잉 등 현대 게임의 주요 요소를 개척했으며, MUD와 MMORPG와 같은 온라인 게임 장르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Airfight''는 Microsoft Flight Simulator의 개발에 직접적인 영감을 주었다.

PLATO 게임의 인기는 "The Enforcer"라는 프로그램의 개발로 이어졌는데, 이는 게임 실행을 감시하고 콘텐츠에 따른 접근 제한을 구현하는 초기 형태의 프로그램이었다.

3. 5. 교육

플라토 시스템은 교육 분야에서도 혁신적인 기능들을 선보였다. 대표적인 예로 '답변 심사 기계(Answer Judging Machinery)'는 TUTOR 언어의 25개 명령 세트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복잡한 개념을 이해했는지 쉽게 테스트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41]

1979년에는 '절차 논리 시뮬레이터(Procedural Logic Simulator, PLS)'라는 지능형 CAI 저작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 시스템은 부분 순서 계획 기능을 특징으로 하며, 콘 에디슨 증기 발전소 운영자 훈련에 사용되었다.[41]

이러한 플라토 시스템의 교육 기능들은 현대 이러닝 시스템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학생 개개인의 학습 수준과 스타일에 맞춰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적응형 학습 기술의 초기 형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4. 온라인 커뮤니티

PLATO 시스템은 획기적인 통신 및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온라인 커뮤니티의 기틀을 마련했다. 1973년 데이비드 R. 울리(David R. Woolley)가 만든 플라토 노트(PLATO Notes)는 세계 최초의 온라인 게시판 중 하나였으며, 이는 로터스 노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PLATO의 플라즈마 패널은 게임에 적합했지만, I/O 대역폭은 비교적 느렸다. 그러나 게임당 1500개의 공유 60비트 변수(초기) 덕분에 온라인 게임 구현이 가능했다. 교육용 컴퓨터 시스템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용자 커뮤니티는 게임에 큰 관심을 보였다.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PLATO에서 수천 개의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게임이 개발되었다. 그중에는 ''엠파이어''(Empire), ''에어파이트''(Airfight)[13], ''팬서''(Panther), 오리지널 ''프리셀''(Freecell), 그리고 ''dnd''를 포함한 롤플레잉 게임 등 다양한 장르의 게임이 있었다. 특히 ''dnd''는 ''모리아'', ''로그'' 등 MUD와 MOOs, 그리고 '''', ''퀘이크''와 같은 1인칭 슈팅 게임, ''에버퀘스트''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같은 MMORPG에 영향을 주었다. ''아바타''(Avatar)는 세계 최초의 MUD 중 하나이며 100만 시간 이상 사용되었다.

이러한 통신 도구와 게임은 수천 명의 PLATO 사용자로 구성된 온라인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 커뮤니티는 20년 이상 지속되었다.[14] PLATO의 게임이 매우 인기를 얻자, 게임 플레이를 규제하거나 비활성화하기 위해 "The Enforcer"라는 프로그램이 작성되기도 했다.

5. 사용자 정의 문자 집합

1970년대 초, 일리노이 대학교의 현대 외국어 그룹에서 일하던 일부 사람들은 히브리어 수업을 시작했는데, 처음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것을 제대로 지원하지 않았다. 브루스 셔우드가 테헤란에서 열릴 PLATO 데모에 참여하게 되면서, 셔우드는 돈 리와 함께 아랍 문자를 사용하는 페르시아어(파르시)를 포함하여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것을 지원하는 기능을 구현했다. 이 작업은 셔우드의 개인적인 관심사로 이루어졌으며, 별도의 자금 지원은 없었고 페르시아어나 아랍어 커리큘럼 개발로는 이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피터 콜, 로버트 레보위츠, 로버트 하트[18]는 이 새로운 시스템 기능을 사용하여 히브리어 수업을 다시 만들었다. PLATO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자체 8x16 문자 디자인 및 사용을 지원하여, 대부분의 언어(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언어 포함)를 그래픽 화면에 표시할 수 있었다.

6. 일리노이 대학교 음악대학 PLATO 프로젝트

1970년부터 1994년까지 일리노이 대학교(U of I) 음악 대학은 컴퓨터 기반 교육 연구소(CERL)의 PLATO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음악 온라인 교육을 탐구했다.[19] G. 데이비드 피터스(G. David Peters)의 지휘 아래, 음악 학부 교수진과 학생들은 PLATO의 기술적 기능을 활용하여 음악 관련 교육 자료를 제작하고 음악 커리큘럼에서 그 사용을 실험했다.[19]

피터스는 PLATO III에서 작업을 시작했으며, 1972년 PLATO IV 시스템은 수년 후에야 시장에 출시된 멀티미디어 교육법을 기술적으로 도입할 수 있게 했다. 1974년과 1988년 사이에는 25명의 U of I 음악 학부 교수진이 소프트웨어 커리큘럼 개발에 참여했으며, 40명 이상의 대학원생이 소프트웨어 작성과 교수진의 사용을 지원했다. 1988년, 이 프로젝트는 PLATO를 넘어 마이크로컴퓨터의 가용성과 사용 증가를 수용하기 위해 초점을 넓혔으며, ''일리노이 기술 기반 음악 프로젝트''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CERL PLATO 시스템이 1994년에 종료된 후에도 음악 대학에서는 다른 플랫폼에서 작업이 계속되었다.

24년에 걸친 음악 프로젝트 기간 동안 많은 참가자들이 교육 기관과 민간 부문으로 이동했다. 그들의 영향은 오늘날 특히 음악가와 음악 교육자가 사용하는 수많은 멀티미디어 교육법, 제품 및 서비스에서 찾을 수 있다.

6. 1. 주요 초기 노력

1970년부터 1994년까지 일리노이 대학교(U of I) 음악 대학은 컴퓨터 기반 교육 연구소(CERL) PLATO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음악 온라인 교육을 탐구했다.[19] G. 데이비드 피터스(G. David Peters)의 지휘 아래, 음악 학부 교수진과 학생들은 PLATO의 기술적 기능을 활용하여 음악 관련 교육 자료를 제작하고 음악 커리큘럼에서 그 사용을 실험했다.[19]

피터스는 PLATO III에서 작업을 시작했으며, 1972년 PLATO IV 시스템은 수년 후에야 시장에 출시된 멀티미디어 교육법을 기술적으로 도입할 수 있게 했다. 1974년과 1988년 사이에는 25명의 U of I 음악 학부 교수진이 소프트웨어 커리큘럼 개발에 참여했으며, 40명 이상의 대학원생이 소프트웨어 작성과 교수진의 사용을 지원했다.

PLATO 시스템을 위한 음악 교육 소프트웨어 개발에는 OPAL(Octave-Pitch-Accent-Length)이라는 PLATO 호환 음악 언어가 개발되었다. 이 언어를 위한 컴파일러, 두 개의 음악 텍스트 편집기, 음악 바이너리 파일 시스템, 음악 바이너리를 실시간으로 재생하고 악보를 인쇄하는 프로그램, 그리고 많은 디버깅 및 작곡 보조 도구도 함께 개발되었다. 또한 다수의 대화형 작곡 프로그램이 작성되었으며, Gooch 신디사이저와 같은 주변 장치들은 음악 교육 코스웨어에 많이 활용되었다.[31]

6. 1. 1. 음높이 인식/연주 평가

1969년, G. 데이비드 피터스는 플라토를 사용하여 트럼펫 연주자의 음정과 리듬 정확도를 평가하는 연구를 시작했다.[20] 그는 플라토 III 터미널용 인터페이스를 제작했다. 이 인터페이스는 (1) 음의 실제 높낮이를 판별하는 필터와 (2) 음의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계수 장치로 구성되었다. 이 장치는 빠른 음표, 트릴로 연주되는 두 음, 립 슬러(lip slur)를 인식하고 판별할 수 있었다. 피터스는 이러한 연구를 통해 컴퓨터 지원 교육에서 기악 연주의 음정과 리듬 정확도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함을 입증했다.[21]

6. 1. 2. 기악 음악 교육자를 위한 시각적 진단 기술

1970년대 중반, 미시간 대학교의 제임스 O. 프로세스는 기악 음악 교사들이 초급 밴드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문제들을 시각적으로 식별하도록 훈련하는 자료를 출판했다.[24] 프로세스는 각 악기에 대해 자세, 주법, 손 위치, 악기 위치 등 무엇을 찾아야 하는지에 대한 순서화된 체크리스트와 이러한 문제들을 보이는 어린 연주자들의 35mm 슬라이드 세트를 개발했다. 훈련생들은 시간 제한이 있는 수업 연습에서 슬라이드를 잠시 보고 체크리스트에 진단을 기록했으며, 이는 훈련 세션 후반에 검토 및 평가되었다.

1978년, 윌리엄 H. 샌더스는 PLATO IV 시스템을 사용하여 프로세스의 프로그램을 적용했다. 샌더스는 슬라이드를 PLATO IV 터미널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통해 후면 투영을 위해 마이크로피시로 전송했다. 훈련생들은 시간 제한이 있는 훈련에서 슬라이드를 보고 디스플레이에서 체크리스트를 터치하여 작성했다. 이 프로그램은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종합 기록을 유지했다. 훈련생들은 연습 시간의 타이밍을 변경하고 원할 때마다 반복할 수 있었다.

샌더스와 프로세스는 이후 PLATO를 사용한 프로그램 제공과 전통적인 교실에서의 제공을 비교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했다. 그 결과, 학생의 사후 시험 성적 및 훈련 자료에 대한 태도에서 제공 방식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컴퓨터를 사용하는 학생들은 자신만의 연습 시간을 설정하는 유연성을 높이 평가했으며, 훨씬 더 많은 연습 문제를 완료했고, 훨씬 더 짧은 시간 안에 이를 수행했다.[25]

6. 1. 3. 악기 식별

1960년대 후반부터 컴퓨터를 활용하여 악기 소리를 식별하는 교육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1967년 올빈(Allvin)과 쿤(Kuhn)은 컴퓨터에 연결된 4채널 테이프 레코더를 사용하여 시창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했다.[26] 1969년 네드 C. 데일(Ned C. Deihl)과 루돌프 E. 라도시(Rudolph E. Radocy)는 클라리넷 연주의 프레이징, 발음, 리듬을 구별하는 청각 개념 교육에 컴퓨터를 활용하는 연구를 수행했다.[27] 이들은 4트랙 테이프 레코더를 사용하여 미리 녹음된 오디오를 제공하고, 컴퓨터로 제어하여 총 2시간 분량의 재생/녹음 시간을 확보했다.[28]

1979년 윌리엄스(Williams)는 미니컴퓨터에 연결된 디지털 제어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를 사용했으나, 접근 시간이 가변적이고 느리다는 단점이 있었다.

1981년 난 T. 와타나베(Nan T. Watanabe)는 컴퓨터 제어 오디오를 활용한 음악 교육의 가능성을 연구했다.[21] 그녀는 PLATO IV 터미널에 연결된 임의 접근 오디오 장치를 사용했는데, 음질 문제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오디오 클립에 빠르고 일관되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이 장치를 선택했다.[29]

와타나베는 초등학교 음악 교육 학생들을 대상으로 악기 소리 식별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학생들은 무작위로 선택된 악기 소리를 듣고 악기를 식별한 후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았다. 연구 결과, 컴퓨터 기반 훈련 그룹과 전통적인 교육 그룹 사이에 학습 효과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컴퓨터 보조 음악 교육에서 임의 접근 오디오를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30]

6. 1. 4. 일리노이 기술 기반 음악 프로젝트

1988년, 마이크로컴퓨터와 주변 장치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일리노이 대학교 음악 대학 PLATO 프로젝트는 ''일리노이 기술 기반 음악 프로젝트''로 이름을 변경했다.[19] 이후 연구자들은 1994년까지 새롭게 등장하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기술을 음악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탐구했다.

6. 1. 5. 영향 및 효과

일리노이 대학교 음악 대학은 1970년부터 1994년까지 CERL PLATO 컴퓨터 시스템을 활용하여 음악 온라인 교육을 연구했다. G. 데이비드 피터스의 지휘 아래, 음악 학부 교수진과 학생들은 PLATO의 기술을 이용하여 음악 관련 교육 자료를 만들고 음악 교육 과정에서 그 활용을 시도했다.[19]

1974년부터 1988년 사이에 25명의 일리노이 대학교 음악 학부 교수진이 소프트웨어 교육 과정 개발에 참여했고, 40명 이상의 대학원생들이 소프트웨어 작성과 교수진의 사용을 도왔다. 1988년, 이 프로젝트는 PLATO를 넘어 마이크로컴퓨터의 활용 증가를 수용하기 위해 범위를 넓혔다. 이로 인해 프로젝트 이름이 ''일리노이 기술 기반 음악 프로젝트''로 바뀌었다. CERL PLATO 시스템이 1994년에 종료된 후에도 음악 대학에서는 다른 플랫폼에서 연구가 계속되었다. 24년에 걸친 음악 프로젝트 기간 동안 많은 참여자들이 교육 기관과 민간 부문으로 이동했다. 그들의 영향은 오늘날 특히 음악가와 음악 교육자가 사용하는 수많은 멀티미디어 교육법, 제품 및 서비스에서 찾을 수 있다.

인디애나 대학교,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 델라웨어 대학교를 포함한 다른 교육 기관의 교육자와 학생들도 음악 교육을 위해 PLATO 시스템을 사용했다. 일리노이 대학교 일리노이 대학교 음악대학 PLATO 프로젝트의 많은 졸업생들은 컴퓨팅 및 미디어 기술에 대한 초기 실무 경험을 얻었으며 교육 및 민간 부문 모두에서 영향력 있는 위치로 진출했다.

이 시스템의 목표는 음악 교육자가 음악 받아쓰기 훈련, 자동 채점 키보드 연주, 엔벨로프 및 음색 청음 훈련, 음악 음향학의 대화형 예제 또는 실험실, 즉각적인 피드백이 있는 작곡 및 이론 연습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교육 자료 개발에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었다.[31] 한 청음 훈련 응용 프로그램인 Ottaviano는 1980년대 초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의 특정 학부 음악 이론 과정의 필수 요소가 되었다.

PLATO 호환 음악 언어인 OPAL(Octave-Pitch-Accent-Length)이 개발되었으며, 이 언어의 컴파일러, 두 개의 음악 텍스트 편집기, 음악 바이너리 파일 시스템, 음악 바이너리를 실시간으로 재생하고 악보를 인쇄하는 프로그램, 그리고 많은 디버깅 및 작곡 보조 도구도 개발되었다. 또한 다수의 대화형 작곡 프로그램이 작성되었다. Gooch의 주변 장치는 일리노이 대학교 음악 대학 PLATO 프로젝트와 같이 음악 교육 코스웨어에 많이 활용되었다.

또 다른 주변 장치는 보트랙스 음성 합성기였으며, 보트랙스를 사용하여 텍스트 음성 변환을 지원하기 위해 "say" 명령(언어를 선택하는 "saylang" 명령 포함)이 튜터 프로그래밍 언어에 추가되었다.

7. 기타 노력

PLATO 시스템은 교육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전국 증권 중개인 협회(NASD, 현재는 금융 산업 규제 당국)는 PLATO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시험 시스템을 개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70년대에 마이클 스타인, E. 클라크 포터, 짐 게스키에르는 NASD 임원 프랭크 맥콜리프와 협력하여 최초의 "온디맨드" 감독 상업 시험 서비스를 개발했다.[11] 이 시험 사업은 1990년 CDC에서 분사되어 드레이크 트레이닝 앤 테크놀로지스(Drake Training and Technologies)가 되었고, 이후 노벨과의 제휴를 통해 LAN 기반 클라이언트-서버 모델로 전환, 전 세계 수천 개의 독립적인 교육 기관에서 감독 시험을 배포하는 형태로 발전했다. 이는 오늘날 프로메트릭으로 이어지고 있다. 1994년에는 PLATO/Prometric 출신 베테랑들이 피어슨 VUE를 설립하여 글로벌 시험 인프라를 더욱 확장하고, 인터넷을 활용한 셀프 서비스 시험 등록을 개발하는 등 비즈니스 모델을 개선했다.[32]

PLATO 시스템에서 파생된 소규모 시험 관련 회사들도 여럿 있었는데, 그 중 하나가 The Examiner Corporation이다. 일리노이 대학교의 스탠리 트롤립 박사와 컨트롤 데이터 출신의 게리 브라운은 1984년에 The Examiner System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했다.[33]

1970년대 초, 제임스 스카일러는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MULTI-TUTOR 컴퓨터 지원 교육 시스템의 일부로 HYPERTUTOR라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는 여러 지역의 CDC 메인프레임에서 실행되었다.[34]

1973년부터 1980년 사이에는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 샴페인 기초 의학 과학 학교의 의학 컴퓨팅 연구소에서 토마스 T. 첸의 지휘 하에 PLATO의 TUTOR 프로그래밍 언어를 MODCOMP IV 미니컴퓨터로 포팅하는 작업이 진행되었다.[35] 더글러스 W. 존스, A.B. 바스킨, 톰 졸리가, 빈센트 우, 루 블룸필드 등이 구현에 참여했으며, 이는 TUTOR를 미니컴퓨터로 포팅한 최초의 사례였다.[36] 1976년까지 대부분 작동되었고, 1980년 첸은 이 시스템을 Simpler 시스템으로 판매하기 위해 Global Information Systems Technology (GIST)를 설립했다. GIST는 나중에 Adayana Inc.의 정부 그룹과 합병되었으며, 빈센트 우는 아타리 PLATO 카트리지를 개발했다.

8. 기타 버전

금융 산업 규제 기관(Financial Industry Regulatory Authority, NASD)의 온라인 시험 시스템은 CDC가 PLATO를 활용하여 상업적으로 가장 크게 성공한 사례 중 하나이다. 1970년대에 마이클 스타인, E. 클라크 포터, 짐 게스키에어는 NASD 중역 프랭크 맥코리프와 협력하여 온디맨드형 상업 시험 서비스를 개발했다. 이 사업은 1990년에 CDC에서 Drake Training and Technologies로 독립했으며, 이후 노벨과 제휴하여 메인프레임에서 LAN 기반 클라이언트-서버 모델로 전환, 세계적인 규모로 자격 인증 시험 서비스를 제공했다. 현재는 프로메트릭이라는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다. 프로메트릭에서 퇴직한 사람들이 1994년에 유사한 기업 피어슨 VUE를 창업했다.

이 외에도 PLATO 시스템에서 파생된 소규모 기업들이 있었다. 2012년 현재 존속하고 있는 기업으로는 The Examiner Corporation이 있다. 일리노이 대학교 출신의 스탠리 트롤립과 CDC 출신의 게리 브라운이 1984년에 The Examiner System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회사의 기반을 다졌다.

1970년대 초반,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는 PLATO를 개량한 MULTI-TUTOR 시스템을 개발했고, 그 일환으로 제임스 스카일러가 HYPERTUTOR를 개발했다. 이는 여러 사이트에서 CDC제 메인프레임 상에서 동작했다[48]

1973년부터 1980년에 걸쳐, 일리노이 대학교 의학부의 토마스 T. 첸의 그룹은 TUTOR를 미니컴퓨터 MODCOMP|Modcomp IV영어에 이식했다[49]。 이것은 최초의 미니컴퓨터 이식이며, 1976년에 거의 동작하게 되었다[50]。 1980년, 첸은 이것을 판매하기 위해 Global Information Systems Technology (GIST)를 창업했다. 이후 Adayana Inc.에 흡수되었다. Modcomp IV 이식에 참여한 빈센트 우는 아타리용 PLATO 카트리지를 개발하고 있다.

1989년, CDC는 "PLATO"의 상표권과 코스웨어 판매 부문의 권리를 The Roach Organization (TRO)에 매각했다. TRO는 사명을 PLATO Learning으로 변경하고, 2012년 현재도 PC상에서 동작하는 PLATO 코스웨어의 판매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후에도 CDC는 기본 시스템을 CYBIS (CYber-Based Instructional System)로 개칭하여 개발을 지속하고, 기존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했다. 나중에 CYBIS 사업은 University Online에 매각되었고, University Online은 후에 VCampus로 개칭했다.

일리노이 대학교도 PLATO의 개발을 지속했고, University Communications, Inc. (UCI)와 공동으로 NovaNET라는 상업 온라인 서비스를 시작했다. CERL은 1994년에 폐쇄되었고, PLATO의 코드 베이스는 UCI가 관리 보수하게 되었다. UCI는 후에 NovaNET Learning으로 개칭되었으며, National Computer Systems (NCS)에 인수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NCS는 Pearson Education|피어슨영어에 인수되어, 몇 차례의 명칭 변경을 거쳐, Pearson Digital Learning이 되었다.

8. 1. 남아프리카 공화국

CDC가 PLATO 판매를 촉진하던 시기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980년대 초 PLATO의 가장 큰 사용자 중 하나였다.[21] 남아프리카의 전력 회사인 Eskom영어요하네스버그 북서부 근교에 CDC의 대형 기기를 소유하고 있었다.[21] 발전 및 송전에 관한 관리 업무 등에 사용되었지만, PLATO 소프트웨어도 작동시켰다.[21] 1980년대 초, 남아프리카 최대의 PLATO 시스템을 설치한 곳은 웨스턴케이프 대학교로, 유색 인종 교육용으로 한때 수백 대의 PLATO IV 터미널을 요하네스버그와 데이터 회선으로 연결했다.[21] 이 외에도 뉴캐슬 근교의 마다데니 칼리지 등, 몇몇 연구 교육 기관에서 PLATO를 채택했다.[21]

마다데니 칼리지는 특히 특수한 사례이다.[21] 학생은 1,000명 정도이며, 전원이 흑인이고, 99.5%가 줄루족이다.[21] 콰줄루 자치령 내 교사 10명을 배치한 대학 중 하나이며, 그중에서도 최대 규모이다.[21] 당시 교실에 전기조차 들어오지 않았으며, 대학 전체에 수동식 전화가 1대뿐이었다.[21] 그 안에 16대의 터미널을 배치하고 카펫이 깔리고 에어컨이 설치된 방은, 분명 이질적이었다.[21] 당시, PLATO 터미널을 통해서만 외부와 소통이 가능했다.[21]

학생들 대부분은 시골에서 왔으며, PLATO 터미널은 그들이 처음 보는 전자기기였다.[21] PLATO를 잘 다룰 수 있을까 하는 우려도 있었지만, 실제로 사용하게 해보니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21] 1시간 이내에 많은 학생들이 시스템에 익숙해졌고, 수학과 과학을 배웠다.[21] 특히 키보드 타이핑 학습이 인기를 끌었다.[21] 일부 학생들은 TUTOR (programming language)|TUTOR (프로그래밍 언어)영어 사용법까지 배우고, 심지어 극히 일부 학생들은 줄루어 코스웨어를 작성하기까지 했다.[21]

남아프리카에서는 기업 내 트레이닝에도 PLATO가 사용되었다.[21] Eskom영어은 발전소 운영자 교육에 PLATO를 이용하여 성과를 거두었다.[21] 남아프리카 항공(SAA)은 객실 승무원 교육에 PLATO에 의한 시뮬레이션을 채택했다.[21] 이 외에도 다수의 기업이 PLATO를 사내 교육에 채택했다.[21]

CDC의 남아프리카 지사는 PLATO 상에서 중학교 전 과정의 코스웨어 개발을 추진했지만, 완성 직전에 남아프리카에서 철수하게 되었다.[21] 이는, 미국에서 아파르트헤이트를 행하고 있는 남아프리카에 대한 반감이 강해졌기 때문이며, 또한 CDC가 마이크로컴퓨터의 급속한 발전에 뒤처졌기 때문이기도 하다.[21]

8. 2. Cyber1

2004년 8월, CDC의 최종 릴리스에 해당하는 PLATO[37] 버전이 온라인에서 부활했다. 이 PLATO 버전은 데스크톱 사이버(Desktop Cyber)라는 원래 CDC 하드웨어의 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에뮬레이션에서 실행된다. 입소문만으로 6개월 이내에 500명 이상의 이전 사용자가 시스템 사용에 가입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PLATO를 사용했던 많은 학생들은 PLATO의 강력한 통신 도구(대화 프로그램, 기록 시스템 및 노트 파일)를 사용하여 함께 모인 사용자 커뮤니티와 특별한 사회적 유대감을 느꼈다.

Cyber1에서 사용되는 PLATO 소프트웨어는 VCampus의 허가를 받아 CYBIS의 최종 릴리스(99A)이다. 기본 운영 체제는 CDC의 메인프레임 사업의 나머지를 인수한 Syntegra(현재 British Telecom [BT])의 허가를 받아, NOS 운영 체제의 최종 릴리스인 NOS 2.8.7이다. Cyber1은 데스크톱 사이버 에뮬레이터에서 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다. 데스크톱 사이버는 다양한 CDC 사이버 메인프레임 모델과 많은 주변 장치를 소프트웨어로 정확하게 에뮬레이션한다.[38]

Cyber1은 1980년대 CERL과 CDC 시스템에서 성장한 원래 PLATO 커뮤니티를 보존하기 위해 16,000개 이상의 원래 수업에 무료로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 부활한 시스템의 평균 부하는 약 10~15명의 사용자이며, 개인 메모와 노트 파일을 보내고 UIUC의 원래 PLATO 시스템에서 100만 시간 이상 사용 시간을 기록한 ''아바타''(Avatar)와 ''엠파이어''(Empire, 스타 트렉과 유사한 게임)와 같은 터미널 간 게임을 즐긴다.[37]

참조

[1] Citation Email
[2] 보고서 CSL Quarterly Report for June, July, August 1960 Coordinated Science Laboratory, University of Illinois 1960-09
[3] 웹사이트 Virtual reality - Living in virtual worlds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3-05-19
[4] 서적 Before the crash : early video game history https://www.worldcat[...]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2012
[5] 학술지 Computers, Teaching Machines, and Programmed Learning - Computer Teaching Machine Project: PLATO on ILLIAC http://www.bitsavers[...] 2020-09-05
[6] 학술지 MISCELLANEOUS: 2. University of Illinois, Plato II, Urbana, Illinois http://www.dtic.mil/[...] 1962-04
[7] 학술지 MISCELLANEOUS: 4. University of Illinois, PLATO II and III, Urbana, Illinois http://www.dtic.mil/[...] 1964-07
[8] 보고서 Critical Incidents in the Evolution of PLATO Projects https://eric.ed.gov/[...] ERIC 1977-06-03
[9] 보고서 A Digitally Addressable Random-Access Image Selector and Random-Access Audio System CERL Report A-13 1970-08
[10] 서적 Adding Sense: Context and Interest in a Grammar of Multimodal Mean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11] 웹사이트 CDC Viking 721 - Terminals https://terminals-wi[...]
[12] PDF The Plato V Terminal https://archives.lib[...] 1977-08
[13] 웹사이트 The History of Microsoft Flight Simulator http://mujweb.cz/hav[...] 2017-11-12
[14] Citation PLATO: The Emergence of Online Community http://thinkofit.com[...] Think of it 2004-10-15
[15] Citation Novanet http://www.pearsondi[...] Pearson digital 2007-03-11
[16] Citation Basic Medical Sciences PLATO IV Project—An Evaluation http://eric.ed.gov/E[...] 1979-02
[17] Citation Evaluation of a Three Year Health Sciences PLATO IV Computer-Based Education Project http://eric.ed.gov/E[...] University of Illinois 1978-03
[18] 학술지 Teaching Hebrew with the Aid of Computers: The Illinois Program 1984
[19] 서적 The Friendly Orange Glow: The untold story of the PLATO System and the dawn of cyberculture Pantheon Books 2017
[20] 학위논문 Feasibility of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for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1974, 35, 1478A-1479a, University Microfilms No. 74-14, 598 1974
[21] 학술지 Review of Audio Interfacing Literature for Computer-Assisted Music Instruction 1980-02
[22] 학위논문 Design and trial of a computer-assisted lesson in rhythm University of Illinoi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1973, 34, 813A, University Microfilms No. 73-17-362 1973
[23] 학술지 Design and trial of a computer-assisted lesson in rhythm 1974-04-01
[24] 웹사이트 Visual Diagnostic Skills Program https://www.giamusic[...] GIA Publications, Inc. 2018-02-08
[25] 학위논문 The effect of computer-based instructional materials in a program for visual diagnostic skills training of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students University of Illinoi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1979, DAI-A-41/06 1979
[26] 학술지 Computer-Assisted Teaching: A New Approach to Research in Music 1967
[27] 보고서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in Instrumental Music https://eric.ed.gov/[...]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1969
[28] 학술지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Potential for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1969
[29] 학술지 Random-access Audio in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1978
[30] 학위논문 Computer-assisted music instruction utilizing compatible audio hardware in computer-assisted aural drill University of Illinoi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A-42/09, University Microfilms, AAI 8203628 1981
[31] 서적 PLATO Music Systems http://eric.ed.gov:8[...] ED.gov 2006-04-13
[32] Citation Hypertext + Tutor = Hypertutor http://www.eric.ed.g[...] Northwestern University IL 1975-08
[33] Citation Modcomp http://www.cs.uiowa.[...] U Iowa
[34] Citation Plato http://www.cs.uiowa.[...] U Iowa
[35] URL https://archives.eve[...] 2024-08
[36] 웹사이트 Computer Science | the Evergreen State College https://www.evergree[...]
[37] 웹사이트 Cyber1 http://www.cyber1.or[...]
[38] 웹사이트 Desktop CYBER Emulator http://members.iinet[...] Tom Hunter 2015-10-30
[39] 이메일 Email from [[ドナルド・ビッツァー|Don Bitzer]]
[40] 학술지 Engineering for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Illinois 1965
[41] 웹사이트 PLATO Music Systems http://eric.ed.gov/E[...] 1978-03-00
[42] 서적
[43] 서적
[44] 웹사이트 Novanet website http://www.novanet.c[...]
[45] 서적
[46] 웹사이트 The University of Illinois Basic Medical Sciences PLATO IV Project--An Evaluation http://eric.ed.gov/E[...]
[47] 웹사이트 Evaluation of a Three Year Health Sciences PLATO IV Computer-Based Education Project http://eric.ed.gov/E[...]
[48] 웹사이트 Hypertext + Tutor = Hypertutor http://www.eric.ed.g[...]
[49] 웹사이트 Modcomp Minicomputers http://www.cs.uiowa.[...]
[50] 웹사이트 Porting Tutor to the Modcomp IV Minicomputer http://www.cs.uiowa.[...]
[51] 웹사이트 Cyber1.org http://www.cyber1.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