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 전투는 춘추 시대 진나라와 초나라 간의 주요 전투로, 초나라가 승리하여 춘추오패 중 하나인 초 장왕의 위세를 떨치는 계기가 되었다. 정나라를 공격한 초나라에 진나라가 구원군을 파견했으나, 정나라의 항복으로 전투가 벌어졌다. 진나라 지휘부의 혼란과 초나라의 전략적 판단, 그리고 전투 중 진나라 군대의 붕괴로 초나라가 승리했다. 이 전투 이후 진나라는 패권을 잃고 초나라가 부상했으며, 춘추 시대 패권 경쟁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597년 - 예루살렘 공방전 (기원전 597년)
    기원전 597년, 느부갓네살 2세가 유다 왕국을 침공하여 예루살렘을 함락시킨 예루살렘 공방전은 여호야김의 친이집트 정책에 대한 반발로, 여호야김 왕의 사망과 여호야긴 왕의 옹립, 그리고 많은 유대인들의 바빌론 유수를 야기했다.
  • 기원전 6세기 중국 - 춘추 시대
    춘추 시대는 기원전 771년 주나라 멸망 이후부터 기원전 453년 진나라 분열까지의 시기로, 수많은 소국들이 각축전을 벌이며 사회 구조가 변화하고 공자, 노자 등의 사상가들이 등장했으며, 오와 월의 흥망성쇠와 진의 분열을 거쳐 전국 시대로 이어진다.
  • 기원전 6세기 분쟁 - 예루살렘 공방전 (기원전 597년)
    기원전 597년, 느부갓네살 2세가 유다 왕국을 침공하여 예루살렘을 함락시킨 예루살렘 공방전은 여호야김의 친이집트 정책에 대한 반발로, 여호야김 왕의 사망과 여호야긴 왕의 옹립, 그리고 많은 유대인들의 바빌론 유수를 야기했다.
  • 기원전 6세기 분쟁 - 팀브라 전투
    팀브라 전투는 기원전 547년경 키루스 2세가 이끄는 페르시아 제국이 크로이소스의 리디아 왕국을 상대로 승리하여 리디아를 멸망시키고 소아시아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며 페르시아 전쟁의 원인이 된 전투이다.
필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전투 이름필 전투
부분전해당 없음
필 전투
날짜기원전 597년
장소중국, 허난성 정저우시 근처의 비 (邲, Bi)
원인해당 없음
영토 변화해당 없음
결과초나라의 승리, 초 장왕의 패권 확립
교전 세력
교전국 1초나라
교전국 2정나라
교전국 3진나라
지휘관 및 지도자
초나라 지휘관초 장왕
초나라 지휘관손숙오
초나라 지휘관자중
초나라 지휘관자반
진나라 지휘관순림보
진나라 지휘관사회
진나라 지휘관조삭
병력 규모
초나라 병력미상
진나라 병력미상
사상자 및 피해 규모
초나라 사상자미상
진나라 사상자미상

2. 배경

진(晉)나라와 초(楚)나라는 모두 당시 가장 강력한 국가였지만, 진나라는 문화와 혈통 면에서 정통 주(周)나라 국가로 여겨졌다. 반면 중국 장강 중류 지역의 비(非)중국 문화를 포함하는 초나라는 기껏해야 반(半)문명 국가로 여겨졌다.[1]

진-초의 경쟁은 성복 전투에서 초나라가 결정적인 패배를 당하면서 절정에 달했는데, 이 전투에서 진 문공이 제후국들의 맹주가 되었다.[1] 진 문공 사후, 초나라는 북방 원정을 통해 그 지위를 다시 확인하려 했지만, 진나라의 재상이었던 조둔 때문에 직접적인 충돌을 감수하려 하지 않았다.[1]

이러한 상황은 기원전 601년 조돈의 사망과 이듬해 진 성공의 사망, 그리고 기원전 598년 조둔의 후계자인 극결(郤缺)의 사망으로 극적으로 변화했다. 초 장왕은 이로 인해 발생한 진나라 지도부의 불안정을 틈타 직접 북쪽으로 원정을 이끌었다.[1]

초 장왕은 천하 평정을 목표로 하였으나, 북상할 때마다 진나라에 의해 저지당했다. 이에 장왕은 군사를 이끌고 정을 공격했다. 정은 진에 원군을 요청했지만, 진의 정경인 순림보는 정의 표리부동을 꿰뚫고 있었기에 원군을 보내지 않았다. 정은 패배하면 장왕에게 나라가 멸망당할 위기감을 느껴 필사적으로 저항했기에, 진의 예상보다 오랫동안 함락되지 않았다. 이에 진은 원군을 파견했으나, 진군이 정에 도착할 무렵에는 정이 함락되었다.[1]

정의 양공은 미자계가 주나라에 항복했을 때의 고사에 따라, 웃옷을 벗고 양손을 묶어 양을 끄는 예로 장왕을 맞이했다. 초의 여러 신하들은 정을 멸망시킬 것을 권했지만, 장왕은 정군에게 치욕을 주지 않기 위해 군사를 물리고, 다시 정과 동맹을 맺었다.[1]

2. 1. 진-초 갈등의 심화

진(晉)나라와 초(楚)나라는 모두 당시 가장 강력한 국가였지만, 진나라는 문화와 혈통 면에서 정통 주(周)나라 국가로 여겨졌다. 반면 중국 장강 중류 지역의 비(非)중국 문화를 포함하는 초나라는 기껏해야 반(半)문명 국가로 여겨졌다.[1]

진-초의 경쟁은 성복 전투에서 초나라가 결정적인 패배를 당하면서 절정에 달했는데, 이 전투에서 진 문공이 제후국들의 맹주가 되었다.[1] 진 문공 사후, 초나라는 북방 원정을 통해 그 지위를 다시 확인하려 했지만, 진나라의 재상이었던 조돈 때문에 직접적인 충돌을 감수하려 하지 않았다.[1]

이러한 상황은 기원전 601년 조돈의 사망과 이듬해 진 성공의 사망, 그리고 기원전 598년 조돈의 후계자인 극결(郤缺)의 사망으로 극적으로 변화했다. 초 장왕은 이로 인해 발생한 진나라 지도부의 불안정을 틈타 직접 북쪽으로 원정을 이끌었다.[1]

초장왕은 천하 평정을 목표로 하였으나, 북상할 때마다 진에 의해 저지당했다.[1] 이에 장왕은 일대 결심으로 직접 군사를 이끌고 정을 공격했다.[1] 정은 진에 원군을 요청했지만, 진의 정경인 순림보는 거듭된 정의 표리부동을 꿰뚫고 있었기에, 원군을 보내지 않고 내버려 두면 곧 정이 초에 항복할 것이라고 보고 이를 거절했다.[1] 정은 패배하면 이번에야말로 장왕에게 나라가 멸망당할 위기감을 느껴 필사적으로 저항했기에, 진의 예상보다 오랫동안 함락되지 않았다.[1] 이에 진은 원군을 파견했으나, 진군이 정에 도착할 무렵에는 정이 함락되었다.[1]

정의 양공은 미자계가 주에 항복했을 때의 고사에 따라, 웃옷을 벗고 양손을 묶어 양을 끄는 예로 장왕을 맞이했다.[1] 초의 여러 신하들은 정을 멸망시킬 것을 권했지만, 장왕은 "정군은 사람에게 겸손할 수 있었다. 반드시 나라를 잘 다스릴 것이다"라고 말하며, 정군에게 치욕을 주지 않기 위해 군사를 물리고, 다시 정과 동맹을 맺었다.[1]

2. 2. 진나라 지도부의 혼란

성복 전투에서 진 문공이 제후국들의 맹주가 된 이후, 진(晉)나라와 초(楚)나라는 모두 강력한 국가였다. 진나라는 문화와 혈통 면에서 정통 주(周)나라 국가로 여겨졌지만, 중국 양쯔강 중류 지역의 비(非)중국 문화를 포함하는 초나라는 반(半)문명 국가로 여겨졌다.[1]

진-초의 경쟁은 성복 전투에서 초나라가 패배하며 절정에 달했다. 진 문공 사후, 초나라는 북방 원정을 통해 지위를 재확인하려 했지만, 진나라 재상 조둔 때문에 직접적인 충돌은 피했다.[1]

기원전 601년 조둔, 기원전 600년 진 성공, 기원전 598년 조둔의 후계자 극결(郤缺)이 사망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초 장왕은 진나라 지도부의 불안정한 상황을 틈타 북쪽으로 원정을 이끌었다.[1]

3. 전투의 전개

초나라 장왕은 정나라를 공격하여 항복시켰고, 진나라 군과 싸우는 것에 의미가 없다고 판단하여 영윤(재상) 손숙오와 함께 후속 부대를 남겨두고 으로 철수하려 했다. 하지만 오찬이 장왕에게 "진나라의 정치를 담당하는 자는 임명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여러 신하들이 단결하지 못했습니다. 싸우면 반드시 이길 수 있습니다. 더욱이 적의 군주는 한 나라의 재상이며, 저희 군의 군주는 한 나라의 군주인데, 여기서 물러나면 어찌 천하에 보여줄 수 있겠습니까"라고 강력히 주장하며 싸울 것을 권했다.[1]

장왕은 고민 끝에 수레를 북쪽으로 돌려 정나라 내 관에 진을 치고 진나라에 화친을 위한 사자를 보냈다. 진나라 순림보사회는 이를 받아들여 사자를 보냈지만, 선곡은 몰래 사자를 보내 화친을 거부하고 싸우겠다고 전했다. 그러나 의심이 든 장왕은 다시 화친 사자를 보냈고, 결국 진나라와 화친하게 되었다.

순림보는 화친 사자로서 위기와 조섬을 보냈지만, 이 두 사람은 처음부터 화친할 생각이 없었고, 장왕을 쳐 없애려고 했다. 초왕의 진에 접근한 두 사람은 공격을 시작했지만, 방어가 굳건하여 뜻을 이루지 못했다. 퇴각하는 두 사람을 쫓아 장왕의 본진 병사들이 진나라 군대 안으로 돌입하려 하자, 장왕의 진이 고립될 것을 두려워한 손숙오는 황급히 전군에 돌격을 명령했다.[1]

순림보는 갑작스러운 초나라 군대의 돌격에 어찌할 바를 몰라 "가장 먼저 강(황하)을 건너 퇴각하는 자에게 상을 내리겠다"라고 전군에 포고했기에, 진나라의 중군과 하군은 순식간에 궤멸되었다. 퇴각할 때 황하를 건너는 배의 수가 부족하여 한 배에 많은 병사들이 몰려들었고, 먼저 배를 탄 병사들은 전복을 피하기 위해 배 가장자리를 잡은 병사의 손가락을 잘라냈다. 춘추좌씨전에서는 이 상황을 '''"배 안에서 손가락을 움켜쥘 수 있다"'''라고 묘사했다. 진나라 삼군 중에서 사회가 이끄는 상군만이 이 혼란 속에서도 동요하지 않고, 한 명의 병사도 잃지 않고 퇴각하는 데 성공했다.[1]

3. 1. 정나라의 배신과 진나라의 대응

초나라 장왕은 진나라의 동맹국인 정나라를 공격하여 정나라가 초나라에 충성을 맹세하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1] 한편, 진나라 군대의 새로운 사령관인 순림보는 정나라를 구원하기 위해 군대를 이끌었지만, 황하 북쪽 강둑에 야영하는 동안 정나라의 항복 소식을 접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진나라 지휘관들 사이에서 초나라 군대와 전투를 벌일지 여부에 대한 의견 차이가 발생했다. 동시에 초나라 군대는 30리 후퇴하여 진나라의 공세를 기다렸다.[2]

초 장왕은 천하 평정을 목표로 하였으나, 북상할 때마다 진에 의해 저지당했다. 이에 장왕은 직접 군사를 이끌고 정을 공격했다. 정은 진에 원군을 요청했지만, 진의 정경인 순림보는 거듭된 정의 표리부동을 꿰뚫고 있었기에 원군을 보내지 않았다. 순림보는 내버려 두면 곧 정이 초에 항복할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이다. 정은 패배하면 장왕에게 나라가 멸망당할 위기감을 느껴 필사적으로 저항했기에, 진의 예상보다 오랫동안 함락되지 않았다. 이에 진은 원군을 파견했으나, 진군이 정에 도착할 무렵에는 정이 함락되었다.

정의 양공은 미자계가 주에 항복했을 때의 고사에 따라, 웃옷을 벗고 양손을 묶어 양을 끄는 예로 장왕을 맞이했다. 초의 여러 신하들은 정을 멸망시킬 것을 권했지만, 장왕은 "정군은 사람에게 겸손할 수 있었다. 반드시 나라를 잘 다스릴 것이다"라고 말하며, 정군에게 치욕을 주지 않기 위해 군사를 물리고, 다시 정과 동맹을 맺었다.

3. 2. 진나라 지휘부의 내분

순 린푸는 정나라의 배신 소식을 듣고 후퇴를 주장했지만, 그의 부관 선 호는 패권을 쥔 국가로서 전투를 피하는 것은 비겁한 행위라며 지시 없이 자신의 부대를 이끌고 황하를 건넜다. 이로 인해 나머지 군대도 따를 수밖에 없었다.[1]

한편, 초나라 측에서는 장왕이 진나라 군대의 위용에 압도되어 있었고, 심지어 그의 지휘관 손숙오조차 처음에는 후퇴를 지지했다. 오찬은 최고 지휘관인 순 린푸의 경험 부족, 부관인 선 호의 경솔함, 그리고 진나라 지휘관들 간의 갈등을 들어 이에 반대했다. 이에 장왕은 비록 양 군대 간에 휴전 협상이 계속되고 있었지만, 진나라 군대에 맞서기로 결심했다.[1]

정나라의 함락을 알게 된 진나라 군대의 사(師) 장수 순림보는 철수하려 했고, 상군(上軍)의 장수 사회 역시 "좋습니다. 싸움은 적의 허점을 찔러 움직이는 것입니다. 덕(德), 형(刑), 정(政), 사(事), 전(典), 례(禮)의 6가지가 바르게 행해지는 초나라와 적대해서는 안 됩니다."라고 말하며 이에 찬동했지만, 중군(中軍)의 좌(佐) 선곡은 싸우기를 원하여 독단적으로 병사를 움직였으므로, 어쩔 수 없이 싸우게 되었다.

3. 3. 초나라의 전략과 승리

진나라 순 린푸는 정나라가 배신했다는 소식을 듣고 후퇴를 주장했지만, 그의 부관 선 호는 패권을 쥔 국가로서 전투를 피하는 것은 비겁한 행위라며 지시 없이 자신의 부대를 이끌고 황하를 건넜다. 이로 인해 나머지 군대도 어쩔 수 없이 뒤따르게 되었다.[1]

한편, 초나라 장왕은 진나라 군대의 위용에 압도되었고, 심지어 그의 지휘관 손숙오조차 처음에는 후퇴를 지지했다. 그러나 오찬은 최고 지휘관인 순 린푸의 경험 부족, 부관인 선 호의 경솔함, 그리고 진나라 지휘관들 간의 갈등을 이유로 후퇴에 반대했다. 이에 장왕은 양 군대 간에 휴전 협상이 계속되고 있었지만, 진나라 군대에 맞서기로 결심했다.[1]

전투는 진나라 군대의 두 장군이 순 린푸가 망설이는 것에 불만을 품고 초나라 군대를 도발하기로 결정하면서 시작되었다. 장왕이 직접 그 장군들을 추격했고, 순 린푸는 그 두 장군을 진나라 진영으로 호송하기 위해 병력을 보냈지만, 이 구원 부대에서 일어나는 흙먼지를 본 진나라 군대는 전면적인 진격으로 오인했다. 장왕이 고립될 수 있다는 우려에 손숙오는 즉시 초나라 군대에 전면 진격을 명령했고, 이 예상치 못한 공격에 진나라 군대는 압도되어 궤멸되었다.[1]

장왕은 전투에서 승리한 후, 그의 장군들을 이끌고 황하에서 말에게 물을 먹였다. 잔여 병력을 추격하여 섬멸하자는 요청은 성복 전투의 굴욕을 갚았으니 더 이상의 학살은 필요 없다는 이유로 거부되었다.[1]

4. 전투의 결과 및 영향

필 전투는 진나라의 패권을 약화시키고 초나라 장왕의 부상을 가져온 중요한 사건이다. 장왕은 이 전투의 승리로 춘추오패 중 한 명으로 꼽히게 된다. 전투 후 진나라 군대는 황하를 건너 퇴각하면서 큰 혼란을 겪었는데, 춘추좌씨전에는 "배 안에서 손가락을 움켜쥘 수 있다"라고 묘사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었다.

4. 1. 진나라의 패권 약화와 초나라의 부상

필 전투 이후, 진은 한동안 침체기에 접어들었고, 초나라 장왕의 위세가 천하를 덮게 되었다. 이로 인해 장왕은 춘추오패 중 한 명으로 꼽히기도 한다.[3]

진나라 군대는 황하를 건너 퇴각할 때 배의 수가 부족하여 혼란을 겪었다. 한 배에 많은 병사들이 몰려들었고, 먼저 배를 탄 병사들은 배가 뒤집히는 것을 막기 위해 배 가장자리를 잡은 병사들의 손가락을 잘라내기까지 했다. 춘추좌씨전에서는 이 상황을 "'''배 안에서 손가락을 움켜쥘 수 있다'''"라고 묘사할 정도였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도 진나라 상군을 이끌던 사회는 동요하지 않고 병사 한 명도 잃지 않고 퇴각하는 데 성공했다.

4. 2. 초나라 군의 편제

직책이름비고
중군장순림보
중군좌先縠|선곡중국어
중군대부조괄, 조영제
상군장사회
상군좌극극
상군대부鞏朔|공삭중국어, 韓穿|한천중국어
하군장조삭
하군좌난서
하군대부荀首|순수중국어, 조동
사마한궐
중군장수沈尹子桱|심윤자경|label=자경중국어 (심윤)
좌군장수子重|자중중국어 (공자영제, 장왕의 형제)
우군장수子反|자반중국어 (공자측, 장왕의 형제)
기타장왕, 손숙오영윤


4. 3. 춘추시대 패권 경쟁의 심화

이 전투 이후, 진나라는 한동안 침체기에 접어들고 초나라 장왕의 위세가 천하를 덮게 된다. 이로 인해 장왕은 춘추오패로 꼽히기도 한다.[3]

5. 역사적 평가 및 의의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과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지침에 따라 수정하여 출력하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Gongyang Zhuan : 宣公 : 宣公十二年 - Chinese Text Project https://ctext.org/go[...]
[2] 서적 Duke Xuan's Twelfth Year http://www2.iath.vir[...]
[3] 문서 代 (戦国)|代 趙 (戦国)|趙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