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미드 소리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미드 소리안은 이란의 레슬링 선수로,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2005년부터 2010년까지 5연패를 달성했고, 2014년에도 우승하여 총 6번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도 2007년과 2008년에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8강에서 탈락했고,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32강에서 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헤란주 출신 - 무함마드 이븐 자카리야 알라지
무함마드 이븐 자카리야 알라지는 이란 출신의 페르시아계 의사이자 연금술사, 철학자이며, 의학, 연금술, 철학 분야에 기여했고, 특히 소아과, 신경외과, 안과를 개척했으며, 의학 백과사전 《알하위》 등을 저술했다. - 테헤란주 출신 - 자바드 네쿠남
자바드 네쿠남은 이란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축구 감독으로, 선수 시절 파스, CA 오사수나 등에서 활약했으며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활동한다. - 이란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자바드 포루기
자바드 포루기는 이란의 사격 선수이며, 2020년 하계 올림픽 남자 10m 공기권총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이란 최초의 올림픽 사격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 이란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베흐다드 살리미
이란의 은퇴한 역도 선수 베흐다드 살리미는 2010년 세계 선수권, 2012년 런던 올림픽,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나, 2016년 리우 올림픽 판정 논란과 2018년 아시안 게임 후 은퇴로 아쉬움을 남겼다. - 이란의 올림픽 레슬링 참가 선수 - 아미르 호세인 자레
아미르 호세인 자레는 이란의 자유형 125kg급 레슬링 선수로, 2019년 시니어 데뷔 후 세계 U-23 선수권 금메달, 도쿄 올림픽 동메달, 2021년 세계 선수권 금메달, 2022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2024년 파리 올림픽 은메달 등을 획득하며 이란 레슬링의 위상을 높였다. - 이란의 올림픽 레슬링 참가 선수 - 가셈 레자에이
가셈 레자에이는 이란의 레슬링 선수로, 그레코로만형 96kg급에서 2012년 런던 올림픽 금메달,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동메달, 2007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 동메달, 2015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 은메달, 2007년과 2008년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금메달을 획득했다.
하미드 소리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7성 장군 |
본명 | 하미드 소리안 레이한푸르 |
로마자 표기 | Hamid Sourian Reihanpour |
국적 | 이란 |
출생일 | 1985년 8월 24일 |
출생지 | 레이, 이란 |
신장 | 1.69m |
스포츠 정보 | |
국가 | 이란 |
종목 | 레슬링 |
세부 종목 | 그레코로만형 |
소속팀 | 바바크 레이 클럽 |
코치 | 압돌라 자레 |
메달 기록 | |
올림픽 | 금메달 1개 |
세계 선수권 대회 | 금메달 6개 |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금메달 1개 |
월드컵 |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
기타 | 금메달 6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 |
올림픽 기록 | |
2012 런던 | 금메달, 55kg |
세계 선수권 대회 기록 | |
2005 부다페스트 | 금메달, 55kg |
2006 광저우 | 금메달, 55kg |
2007 바쿠 | 금메달, 55kg |
2009 헤르닝 | 금메달, 55kg |
2010 모스크바 | 금메달, 55kg |
2014 타슈켄트 | 금메달, 59kg |
그랑프리 기록 | |
2014 솜바텔리 | 금메달, 59kg |
2014 그단스크 | 금메달, 66kg |
2010 트빌리시 | 금메달, 60kg |
2007 소피아 | 동메달, 55kg |
2006 바쿠 | 동메달, 55kg |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기록 | |
2005 빌뉴스 | 금메달, 55kg |
아시아 선수권 대회 기록 | |
2007 비슈케크 | 금메달, 55kg |
2008 제주 | 금메달, 55kg |
아시아 주니어 선수권 대회 기록 | |
2005 제주 | 금메달, 55kg |
2004 알마티 | 은메달, 55kg |
2. 주요 경력
- * 2012년 런던 올림픽 금메달[3][4]
- 세계 선수권 대회
- * 우승 2005년
- * 우승 2006년
- * 우승 2007년
- * 우승 2009년
- * 우승 2010년
- * 우승 2014년
- 레슬링 아시아 선수권 대회
- * 1위 2007년
- * 1위 2008년

결과 | 라운드 | 상대 선수 | 점수 |
---|---|---|---|
2005년 세계 선수권 대회 / 부다페스트 / 금메달 / 55 kg | |||
승 | 32강 | 2–0 (4–3, 2–1) | |
승 | 16강 | 2–0 (4–0, 3–2) | |
승 | 8강 | 2–0 (2–1, 7–1) | |
승 | 4강 | DSQ (3–0, 5–0) | |
승 | 결승 | 2–0 (2–1, 4–3) | |
2006년 세계 선수권 대회 / 광저우 / 금메달 / 55 kg | |||
승 | 32강 | 2–0 (6–0, 7–0) | |
승 | 16강 | 2–0 (7–2, 2–1) | |
승 | 8강 | 2–0 (8–2, 4–0) | |
승 | 4강 | 2–0 (5–3, 3–2) | |
승 | 결승 | 2–0 (3–0, 3–0) | |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 / 바쿠 / 금메달 / 55 kg | |||
승 | 64강 | 2–0 (5–0, 8–1) | |
승 | 32강 | 2–0 (2–1, 4–0) | |
승 | 16강 | DSQ (4–0, 6–0) | |
승 | 8강 | 2–0 (4–3, 2–2) | |
승 | 4강 | 2–0 (3–0, 1–1) | |
승 | 결승 | DSQ (1–1, 3–0, 4–0) | |
2009년 세계 선수권 대회 / 헤르닝 / 금메달 / 55 kg | |||
승 | 32강 | 2–0 (7–0, 3–0) | |
승 | 16강 | 2–0 (1–0, 6–0) | |
승 | 8강 | 2–0 (1–0, 1–0) | |
승 | 4강 | 2–0 (1–0, 6–0) | |
승 | 결승 | 2–0 (5–0, 1–0) | |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 / 모스크바 / 금메달 / 55 kg | |||
승 | 32강 | 2–0 (5–0, 1–0) | |
승 | 16강 | 2–0 (2–0, 2–2) | |
승 | 8강 | 2–0 (2–0, 1–1) | |
승 | 4강 | 2–0 (1–0, 2–0) | |
승 | 결승 | 2–1 (4–0, 0–3, 1–0) | |
2014년 세계 선수권 대회 / 타슈켄트 / 금메달 / 59 kg | |||
승 | 64강 | 8–0 | |
승 | 32강 | 2–1 | |
승 | 16강 | 5–0 | |
승 | 8강 | 3–0 | |
승 | 4강 | 2–1 | |
승 | 결승 | 2–1 | |
2015년 세계 선수권 대회 / 라스베이거스 / 7위 / 59 kg | |||
승 | 32강 | 8–0 | |
승 | 16강 | 5–0, 폴 | |
패 | 8강 | 0–2, DSQ | |
패 | 패자부활전 | 5–6 |
2. 1. 올림픽
소리안은 2008 베이징 올림픽 55kg급에서 금메달을 딸 강력한 우승 후보였지만, 8강전에서 최종 금메달리스트인 러시아의 나지르 만키예프에게 패했다. 소리안은 동메달 결정전에서 대한민국의 박은철에게 패했는데, 소리안은 이 동메달 결정전 전에 두 번의 세계 선수권 결승전에서 박은철을 이긴 적이 있었다. 두 번의 패배 모두 타이브레이크 기준으로 패했다.[2]2012년 8월 5일, 소리안은 그레코로만형 레슬링 55kg급 결승에서 아제르바이잔의 로브샨 바이라모프를 꺾고, 이란 역사상 최초의 그레코로만형 레슬링 금메달을 획득했다.[3][4]
소리안은 8월 14일 32강전에서 오타 시노부(일본)에게 패했다. 경기 전반전에서 4-0으로 앞서나갔지만, 후반전에 체력이 급격히 고갈되어 결국 5-6으로 패했다.[7] 다음 경기는 패자부활전에서 알마트 케비스파예프(카자흐스탄)와의 경기였다. 그는 또다시 전반전에 7-0으로 여유 있게 앞서나갔고, 후반전에서 승리를 위해 단 1점만 필요했지만, 막판에 체력이 떨어져 경기를 졌다. 이것이 그의 리우에서의 마지막 경기였고, 그의 토너먼트는 놀랍게도 여기서 마무리되었다.[7]
2. 1. 1.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소리안은 2008 베이징 올림픽 55kg급에서 금메달을 딸 강력한 우승 후보였지만, 8강전에서 최종 금메달리스트인 러시아의 나지르 만키예프에게 패했다. 소리안은 동메달 결정전에서 대한민국의 박은철에게 패했는데, 소리안은 이 동메달 결정전 전에 두 번의 세계 선수권 결승전에서 박은철을 이긴 적이 있었다. 두 번의 패배 모두 타이브레이크 기준으로 패했다.[2]2. 1. 2. 2012년 런던 올림픽
2012년 8월 5일, 소리안은 그레코로만형 레슬링 55kg급 결승에서 아제르바이잔의 로브샨 바이라모프를 꺾고, 이란 역사상 최초의 그레코로만형 레슬링 금메달을 획득했다.[3][4]2. 1. 3.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소리안은 8월 14일 32강전에서 오타 시노부(일본)에게 패했다. 경기 전반전에서 4-0으로 앞서나갔지만, 후반전에 체력이 급격히 고갈되어 결국 5-6으로 패했다.[7] 다음 경기는 패자부활전에서 알마트 케비스파예프(카자흐스탄)와의 경기였다. 그는 또다시 전반전에 7-0으로 여유 있게 앞서나갔고, 후반전에서 승리를 위해 단 1점만 필요했지만, 막판에 체력이 떨어져 경기를 졌다. 이것이 그의 리우에서의 마지막 경기였고, 그의 토너먼트는 놀랍게도 여기서 마무리되었다.[7]2. 2. 세계 선수권 대회
하미드 소리안은 2005년 부다페스트 세계 선수권 대회 55kg급에서 박은철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2006년 광저우 세계 선수권 대회, 2007년 바쿠 세계 선수권 대회, 2009년 헤르닝 세계 선수권 대회, 2010년 모스크바 세계 선수권 대회 55kg급에서 연달아 우승하며 세계 선수권 대회 5연패를 달성했다. 2014년에는 타슈켄트 세계 선수권 대회 59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총 6번의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을 기록했다.결과 | 라운드 | 상대 선수 | 점수 |
---|---|---|---|
2005년 세계 선수권 대회 / 부다페스트 / 금메달 / 55 kg | |||
승 | 32강 | 2–0 (4–3, 2–1) | |
승 | 16강 | 2–0 (4–0, 3–2) | |
승 | 8강 | 2–0 (2–1, 7–1) | |
승 | 4강 | DSQ (3–0, 5–0) | |
승 | 결승 | 2–0 (2–1, 4–3) | |
2006년 세계 선수권 대회 / 광저우 / 금메달 / 55 kg | |||
승 | 32강 | 2–0 (6–0, 7–0) | |
승 | 16강 | 2–0 (7–2, 2–1) | |
승 | 8강 | 2–0 (8–2, 4–0) | |
승 | 4강 | 2–0 (5–3, 3–2) | |
승 | 결승 | 2–0 (3–0, 3–0) | |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 / 바쿠 / 금메달 / 55 kg | |||
승 | 64강 | 2–0 (5–0, 8–1) | |
승 | 32강 | 2–0 (2–1, 4–0) | |
승 | 16강 | DSQ (4–0, 6–0) | |
승 | 8강 | 2–0 (4–3, 2–2) | |
승 | 4강 | 2–0 (3–0, 1–1) | |
승 | 결승 | DSQ (1–1, 3–0, 4–0) | |
2009년 세계 선수권 대회 / 헤르닝 / 금메달 / 55 kg | |||
승 | 32강 | 2–0 (7–0, 3–0) | |
승 | 16강 | 2–0 (1–0, 6–0) | |
승 | 8강 | 2–0 (1–0, 1–0) | |
승 | 4강 | 2–0 (1–0, 6–0) | |
승 | 결승 | 2–0 (5–0, 1–0) | |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 / 모스크바 / 금메달 / 55 kg | |||
승 | 32강 | 2–0 (5–0, 1–0) | |
승 | 16강 | 2–0 (2–0, 2–2) | |
승 | 8강 | 2–0 (2–0, 1–1) | |
승 | 4강 | 2–0 (1–0, 2–0) | |
승 | 결승 | 2–1 (4–0, 0–3, 1–0) | |
2014년 세계 선수권 대회 / 타슈켄트 / 금메달 / 59 kg | |||
승 | 64강 | 8–0 | |
승 | 32강 | 2–1 | |
승 | 16강 | 5–0 | |
승 | 8강 | 3–0 | |
승 | 4강 | 2–1 | |
승 | 결승 | 2–1 | |
2015년 세계 선수권 대회 / 라스베이거스 / 7위 / 59 kg | |||
승 | 32강 | 8–0 | |
승 | 16강 | 5–0, 폴 | |
패 | 8강 | 0–2, DSQ | |
패 | 패자부활전 | 5–6 |
2. 3. 아시아 선수권 대회
하미드 소리안은 2007년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2008년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했다.
하미드 소리안은 2005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 55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32강에서 부가르 라히모프(우크라이나)를 2-0, 16강에서 바이람 외즈데미르(터키)를 2-0, 8강에서 라자로 리바스(쿠바)를 2-0으로 이겼다. 준결승에서는 예르메크 쿠케토프(카자흐스탄)가 실격패하여 결승에 진출했고, 결승에서 박은철(대한민국)을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3. 상세 국제 대회 기록
결과 라운드 상대 선수 점수 2005년 세계 선수권 대회 / 부다페스트 / 금메달 / 55 kg 승 32강 2–0 (4–3, 2–1) 승 16강 2–0 (4–0, 3–2) 승 8강 2–0 (2–1, 7–1) 승 4강 DSQ (3–0, 5–0) 승 결승 2–0 (2–1, 4–3)
3. 1. 2005년 세계 선수권 대회 (부다페스트)
하미드 소리안은 2005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 55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32강에서 부가르 라히모프(우크라이나)를 2-0, 16강에서 바이람 외즈데미르(터키)를 2-0, 8강에서 라자로 리바스(쿠바)를 2-0으로 이겼다. 준결승에서는 예르메크 쿠케토프(카자흐스탄)가 실격패하여 결승에 진출했고, 결승에서 박은철(대한민국)을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결과 | 라운드 | 상대 선수 | 점수 |
---|---|---|---|
2005년 세계 선수권 대회 / 부다페스트 / 금메달 / 55 kg | |||
승 | 32강 | 2–0 (4–3, 2–1) | |
승 | 16강 | 2–0 (4–0, 3–2) | |
승 | 8강 | 2–0 (2–1, 7–1) | |
승 | 4강 | DSQ (3–0, 5–0) | |
승 | 결승 | 2–0 (2–1, 4–3) | |
3. 2. 2006년 세계 선수권 대회 (광저우)
하미드 소리안은 2006년 세계 선수권 대회 55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32강에서 비센테 릴로(스페인)를 2-0(6-0, 7-0)으로 이겼다. 16강에서는 부가르 라히모프(우크라이나)를 2-0(7-2, 2-1)으로 꺾었다. 8강에서는 베넬린 벤코프(불가리아)를 2-0(8-2, 4-0)으로 제압했다. 준결승에서 린지 덜라처(미국)를 2-0(5-3, 3-2)으로 이기고, 결승에서 로브샨 바이라모프(아제르바이잔)를 2-0(3-0, 3-0)으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3. 3.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 (바쿠)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는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개최되었다. 소리안은 이 대회 55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64강에서 셰인 파커 (오스트레일리아)를 2-0으로 이기고, 32강에서 안데르스 뉘블롬 (덴마크)에게 2-0으로 승리했다. 16강에서는 린지 덜라처 (미국)에게 실격승을 거두었고, 8강에서 비르질 문테아누 (루마니아)를 2-0으로 이겼다. 준결승에서는 크리스티안 프리시 (세르비아)를 2-0으로 꺾고, 결승에서 박은철 (대한민국)에게 실격승을 거두며 금메달을 차지했다.3. 4. 2008년 하계 올림픽 (베이징)
소리안은 2008 베이징 올림픽 55kg급에서 금메달을 딸 강력한 우승 후보였지만, 8강전에서 최종 금메달리스트인 러시아의 나지르 만키예프에게 패했다.[2] 32강에서 불가리아의 베넬린 벤코프를 폴승으로 이기고, 16강에서 팔라우의 엘긴 로렌 엘와이스를 2-0으로 이겼으나 8강에서 만키예프에게 1-2로 패했다. 패자부활전에서 세르비아의 크리스티안 프리시를 2-0으로 이겼으나, 동메달 결정전에서 대한민국의 박은철에게 0-2로 패하며 최종 5위를 기록했다.[2] 소리안은 이 동메달 결정전 전에 두 번의 세계 선수권 결승전에서 박은철을 이긴 적이 있었다.[2] 두 번의 패배 모두 타이브레이크 기준으로 패했다.[2]3. 5. 2009년 세계 선수권 대회 (헤르닝)
하미드 소리안은 2009년 세계 선수권 대회 55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32강에서 호아킨 마르티네스(스페인)을 2-0으로 이겼고, 16강에서 스펜서 망고(미국)를 2-0으로 이겼다. 8강에서는 에르한 카라쿠스(터키)를 2-0으로 이겼으며, 준결승에서 호칸 뉘블롬(덴마크)를 2-0으로 꺾었다. 결승에서는 로만 아모얀(아르메니아)을 2-0으로 이기고 금메달을 차지했다.3. 6.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 (모스크바)
하미드 소리안은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 55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32강에서 모하메드 부테르페사(알제리)를 2-0으로, 16강에서 베넬린 벤코프(불가리아)를 2-0으로, 8강에서 야니 하아파매키(핀란드)를 2-0으로 이겼다. 준결승에서는 로만 아모얀(아르메니아)을 2-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최규진(대한민국)을 2-1로 누르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결과 | 라운드 | 상대 선수 | 점수 |
---|---|---|---|
승 | 32강 | 2–0 (5–0, 1–0) | |
승 | 16강 | 2–0 (2–0, 2–2) | |
승 | 8강 | 2–0 (2–0, 1–1) | |
승 | 4강 | 2–0 (1–0, 2–0) | |
승 | 결승 | 2–1 (4–0, 0–3, 1–0) |
3. 7. 2012년 하계 올림픽 (런던)
2012년 8월 5일, 하미드 소리안은 그레코로만 레슬링 55kg급 결승에서 아제르바이잔의 로브샨 바이라모프를 꺾고 이란 역사상 최초의 올림픽 레슬링 금메달을 획득했다.[3][4] 16강에서 키르기스스탄의 아르센 에랄리예프를 2-1로, 8강에서 헝가리의 페테르 모도스를 2-0으로, 준결승에서 덴마크의 호칸 뉘블롬을 2-0으로, 결승에서 로브샨 바이라모프를 2-0으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3. 8. 2014년 세계 선수권 대회 (타슈켄트)
2014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 소리안은 59kg급에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64강에서 알렉스 아네치테이(루마니아)를 8-0으로 이기고, 32강에서는 하템 마흐무드 (이집트)를 2-1로, 16강에서는 이스마엘 보레로 (쿠바)를 5-0으로, 8강에서는 탈레 마마도프 (아제르바이잔)를 3-0으로, 준결승에서는 엘무라트 타스무라도프 (우즈베키스탄)를 2-1로 꺾었다. 결승전에서는 미기얀 세메노프 (러시아)를 상대로 2-1 승리를 거두며 우승을 차지했다.결과 | 라운드 | 상대 선수 | 점수 |
---|---|---|---|
승 | 64강 | 알렉스 아네치테이 (루마니아) | 8–0 |
승 | 32강 | 하템 마흐무드 (이집트) | 2–1 |
승 | 16강 | 이스마엘 보레로 (쿠바) | 5–0 |
승 | 8강 | 탈레 마마도프 (아제르바이잔) | 3–0 |
승 | 4강 | 엘무라트 타스무라도프 (우즈베키스탄) | 2–1 |
승 | 결승 | 미기얀 세메노프 (러시아) | 2–1 |
3. 9. 2015년 세계 선수권 대회 (라스베이거스)
하미드 소리안은 2015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 59kg급에 출전하여 7위를 기록했다. 32강에서 라이베르 로드리게스 (베네수엘라)를 상대로 8-0으로 승리했고, 16강에서는 야니 하아파매키 (핀란드)를 폴승으로 이겼다. 8강에서는 로브샨 바이라모프 (아제르바이잔)에게 실격패 당했고, 패자부활전에서 윤원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게 5-6으로 패하며 최종 7위로 대회를 마감했다.결과 | 라운드 | 상대 선수 | 점수 |
---|---|---|---|
승 | 32강 | 8–0 | |
승 | 16강 | 5–0, 폴 | |
패 | 8강 | 0–2, DSQ | |
패 | 패자부활전 | 5–6 |
3. 10. 2016년 하계 올림픽 (리우데자네이루)
소리안은 2016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와 대륙 예선에서 탈락한 후, 2016년 하계 올림픽 출전권을 얻기 위해 2016년 세계 레슬링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1(몽골)과 2016년 세계 레슬링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2(터키)에 참가했다.[5] 2016년 5월 7일, 소리안은 터키에서 열린 예선 토너먼트에서 1위를 차지하며 리우 올림픽 출전권을 확보했다.[6]2016년 하계 올림픽 남자 그레코로만형 레슬링 59kg급 경기에 출전한 소리안은 32강에서 오타 시노부(일본)에게 패했다.[7] 경기 전반전에서 4-0으로 앞서나갔지만, 후반전에 체력이 급격히 고갈되어 결국 5-6으로 패했다.[7] 패자부활전에서 알마트 케비스파예프(카자흐스탄)에게 패하며 최종 11위로 대회를 마감했다.[7]
참조
[1]
웹사이트
Hamid Mohammad Soryan Reihanpour
http://www.london201[...]
2012-08-27
[2]
웹사이트
Nazyr Mankiev and Islam-Beka Albiev win gold for Russia -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http://www.iht.com/a[...]
[3]
웹사이트
London 2012 Wrestling: Iran's Hamid Sourian Claimed Gold Medal in Men's 55kg Greco-Roman
http://kabirnews.com[...]
Kabir News
2012-08-06
[4]
뉴스
London Olympics: Iran's Reihanpour wins Greco-Roman 55kg wrestling gold
http://timesofindia.[...]
The Times Of India
2012-08-06
[5]
웹사이트
Instagram
https://www.instagra[...]
[6]
웹사이트
Sourian claims gold in Istanbul to book Olympic spot
http://en.mehrnews.c[...]
2016-05-07
[7]
웹사이트
Google
https://www.google.n[...]
2016-08-15
[8]
뉴스
ロンドン五輪 レスリンググレコローマンでイラン人選手が金
http://japanese.irib[...]
IRIB
2012-08-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