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학전은 1991년 설립된 공연단체로, 록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을 비롯하여 다양한 뮤지컬, 연극, 어린이극을 제작했다. 김민기 대표는 2004년부터 어린이들을 위한 공연을 시작하여 학교 폭력, 게임 중독 등 일상적인 소재를 다루며 교육적인 가치를 전달했다. 학전은 강신일, 설경구, 김윤석, 조승우 등 많은 배우와 김광석, 윤도현, 이적 등 가수를 배출했으며, 2024년 학전블루 소극장의 운영을 종료했다. 한국 뮤지컬계와 어린이 연극 발전에 기여했으며,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힘썼다. 2024년 한국 뮤지컬 어워즈에서 공로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극장 - 올림픽역도경기장
올림픽역도경기장은 1184석 규모의 좌석과 서라운드 음향 시설을 갖춘 공연 시설로, 뮤지컬과 콘서트 등 다양한 공연이 개최된다. - 대한민국의 극장 - 협률사
1902년 고종 즉위 40주년 기념으로 건립된 협률사는 한국 최초의 극장으로, 국가적 기념 행사장 및 근대극 발전에 기여했으나 풍기 문란 논란 속에 원각사로 바뀌었다가 화재로 소실되었다. - 서울 종로구의 건축물 - 탑골공원
탑골공원은 서울에 있는 한국 최초의 근대 공원으로, 3·1 운동의 발상지이자 원각사지 십층석탑 등 문화재와 독립운동 관련 시설이 있는 사적지이다. - 서울 종로구의 건축물 - 보신각
보신각은 조선 시대 한양 도성의 문을 여닫는 시각을 알리던 종루에서 유래하여 고종이 이름을 내린 종각으로, 현재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복원되어 매년 제야의 종 타종 행사가 열리는 장소이며 한국 전통 범종의 의미를 공유한다. - 1991년 설립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1991년 설립 - 대한민국 경찰청
대한민국 경찰청은 치안과 공공 안전 유지를 담당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미군정청 경무국에서 시작하여 내무부 외청으로 독립, 자치경찰제 도입 및 국가수사본부 출범을 거쳐 현재의 체계를 갖추었으며, 청장과 차장을 중심으로 여러 국, 심의관실, 과 및 담당관실로 구성되어 전국 시·도경찰청을 통해 지역 치안을 담당하고 경찰관 양성 및 특수 조직 운영 등 다양한 치안 수요에 대응한다.
학전 | |
---|---|
기본 정보 | |
![]() | |
개관 | 1991년 3월 15일 |
폐관 | 2024년 3월 15일 |
위치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 |
좌석 수 | 120석 |
운영 | (주)학전 |
대표 | 김민기 |
주요 인물 | 김민기 양희은 김광석 박학기 장필순 윤도현 조정치 이적 강산에 황정민 설경구 조승우 문성근 김윤석 송강호 전도연 최민식 장현성 유해진 박해일 김무열 정성화 남경주 황정민 김선영 이정열 최재웅 에녹 김다현 이지혜 |
상세 정보 | |
설명 | 학전은 김민기가 1991년 개관한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에 위치한 소극장이다. |
특징 | 1990년대 초, 김광석, 박학기, 장필순 등 포크 가수들의 콘서트 뮤지컬 《지하철 1호선》 (1994년 초연) |
폐관 | 2024년 2월, 재정난과 김민기 대표의 건강 악화로 인해 폐관 결정 2024년 3월 15일 폐관 |
관련 기사 | 소극장 학전 33년만 폐관…김민기 대표 "모두 다 그저 감사하다" |
2. 설립 배경 및 역사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제공된 원본 소스에 학전의 설립 배경 및 역사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이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2. 1. 어린이극 제작 시작 및 발전 (2004년 ~ 현재)
2004년부터 김민기 대표는 이 시대를 이끌어 갈 어린이들을 위한 공연의 필요성을 느껴 매해 '학전 어린이 무대' 시리즈 공연을 진행하고 있다.[1]학전 어린이 무대에는 판타지, SF, 영웅과 악당의 권선징악 스토리 소재가 등장하지 않는다.[1] 새로운 친구와의 만남, 부모님의 이혼, 학교 폭력, 게임 중독, 장애 아동이 겪는 차별 등 우리 일상에서 만나볼 수 있는 사건들을 무대 위로 올린다.[1] 배려와 공감, 소통과 믿음 등 따뜻한 마음과 가치를 아이들이 자연스레 습득할 수 있도록 풀어낸다.[1]
어린이들의 시각에서 풀어 낸 극은 아이의 공감을 이끌어 내며,[1] 아이들과 공연을 같이 관람하는 어른들에게는 '어른 동화'로서 신선한 재미와 가슴 찡한 교훈을 선사한다.[1] 이는 아이부터 어른까지 전 세대가 한 곳으로 모일 수 있는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 학전의 뜻이 담겨있다.[1]
공연 내내 연주자가 극의 상황에 맞춰 라이브로 연주를 한다.[1] 키보드, 어쿠스틱 기타, 일렉기타, 콘트라베이스, 알토 리코더, 실로폰, 멜로디언 등등 각각의 공연마다 다양한 악기들이 함께한다.[1]
3. 주요 작품
학전은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제작 및 공연했다.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초연 연도 | 작품명 | 장르 | 원작 정보 | 비고 |
---|---|---|---|---|
1994년 | 지하철 1호선 | 록 뮤지컬 | 독일 Linie Eins 번안 | 한국 사회와 소시민들의 모습을 그려내 큰 인기를 얻음.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문서 참고. |
1995년 | 개똥이 | 록 뮤지컬 | 윤기현의 동화 서울로 간 허수아비 중 '사랑의 빛' | |
1997년 | 모스키토 | 록 뮤지컬 | 독일 Die Moskitos sind da 번안 | |
1998년 | 의형제 | 뮤지컬 | 영국 Blood Brothers 번안 | |
2004년 | 우리는 친구다 | 어린이 무대 | 독일 Max Und Milli 번안 | <학전 어린이 무대> 시리즈 시작.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문서 참고. |
2008년 | 고추장 떡볶이 | 어린이 무대 | 독일 Spaghetti mit Ketchup 번안 | |
2008년 | 슈퍼맨처럼! | 어린이 무대 | 독일 Stronger than Superman 번안 | |
2008년 | 그림자 소동 | 어린이 무대 | 강정연의 동화 '바빠 가족' | |
2009년 | 진구는 게임 중 | 어린이 무대 | 독일 Flimmer Billy 번안 | |
2009년 | 무적의 삼총사 | 어린이 무대 | 독일 Bella, Boss und Bulli 번안 | |
2009년 | 굿모닝 학교 | 청소년 뮤지컬 | 뮤지컬 <모스키토>의 대본과 연출을 새롭게 바꾼 작품 | |
2010년 | 분홍병사 | 뮤지컬 | 프랑스 Le Soldat Rose 번안 | |
2010년 | 도도 | 뮤지컬 | 강정연의 동화 '건방진 도도군' | |
2012년 | 더 복서(복서와 소년) | 연극 | 독일 Das Herz eines Boxers 번안 | |
2014년 | 유령놀이 | 연극 | 서화교의 동화 '유령놀이' | |
2016년 | 연이의 일기 | 영상 노래극 | 김민기의 노래 엄마, 우리 엄마, 백구, 아빠 얼굴 예쁘네요 총 3곡을 엮어 만든 극 |
3. 1. 뮤지컬 《지하철 1호선》
1994년 초연된 록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은 독일 'Linie Eins'를 번안한 작품이다.
《지하철 1호선》은 한국 사회와 소시민들의 모습, 정서를 면밀히 그려내어 한국 뮤지컬계의 교과서로 불리며 역사적인 명성을 얻었다. 공연 횟수는 4000회를 넘기며 대학로 대표 뮤지컬로 자리 잡았다.
2011년에는 '박물관으로 간 지하철 1호선(서울역사박물관)'을 전시하기도 하였다. 2018년에는 10년 만에 음악을 새롭게 바꾸어 무대에 올랐다.[1]
3. 1. 1. 초연 및 각색
《지하철 1호선》은 초연 당시 한국 사회와 소시민들의 모습, 정서를 면밀히 그려내어 한국 뮤지컬계의 교과서로 불리며 역사적인 명성을 얻었다. 공연 횟수가 4000회를 넘어서며 대학로 대표 뮤지컬로 자리 잡았다.[1]소극장 최초로 라이브 밴드를 도입한 뮤지컬로, 5인조 밴드 '무임승차'가 공연 내내 라이브 연주를 진행한다.[1]
초연 이후 매년 시대적 상황에 맞게 각색되었으나, 2000년 이후부터는 '20세기의 초상'이자 '세기말 한국 사회의 모습을 담은 기록물'로서의 가치를 담아 1998년 IMF 외환 위기 당시 서울로 배경을 정착시켰다.[1]
2000년, 원작 《Linie Einsde》의 원작자 폴커 루드비히(Volker Ludwig)와 작곡자 비르거 하이만(Birger Heymann)으로부터 "《지하철 1호선》은 학전의 작품"이라는 칭송과 함께 저작권료를 전액 면제받았다. 원작자에게 독자성을 인정받아 저작권료 전액 면제를 받은 것은 한국 뮤지컬계에서 이례적인 일로 큰 화제를 모았다.[1]
3. 1. 2. 국내외 공연 및 평가
Linie Einsde은 한국 사회와 소시민들의 정서를 섬세하게 그려내어 한국 뮤지컬계의 교과서로 불리며, 공연 횟수 4000회를 넘긴 대학로 대표 뮤지컬이다.[1] 2000년에는 원작자 폴커 루드비히(Volker Ludwig)와 작곡자 비르거 하이만(Birger Heymann)으로부터 "학전의 작품"이라는 칭송과 함께 저작권료 전액을 면제받았다.[1]2001년 독일 베를린 그립스 극장 공연에서 현지 언론과 평단의 극찬을 받았으며,[1] 같은 해 중국 베이징과 상하이 공연에서는 급격한 자본주의화에 대한 중국 사회의 고민을 담아냈다는 평가와 함께 중국 언론과 지식인 사회의 주목을 받았다.[1] 또한, 일본국제교류기금의 기획·초청으로 도쿄, 오사카, 후쿠오카에서 투어 공연을 진행하였다.[1]
2003년에는 홍콩 아츠 페스티벌에 한국 연극·뮤지컬 최초로 초청되어 전회 매진을 기록하였고,[1] 2005년에는 프랑크푸르트 도서전 주빈국 행사에서 '지금의 한국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힘있는 뮤지컬'로 평가받았다.[1]
2003년에는 독일 그립스 극단을 초청하여 문예회관 대극장에서 원작 공연을 선보이며 한독 문화교류사에 의미 있는 기록을 남겼고, 지난 출연진들이 3000회를 기념하는 공연을 함께 했다.[1] 2019년에는 독일 그립스 극단 50주년 페스티벌의 폐막작으로 초청되었다.[1]
3. 1. 3. 수상 경력
《지하철 1호선》은 한국 뮤지컬계의 교과서로 불리며 역사적인 명성을 갖고 있으며, 공연 횟수가 4000회를 넘었다. 주요 수상 및 초청 내역은 다음과 같다.- 2000년, 원작자 폴커 루드비히와 비르거 하이만으로부터 "《지하철 1호선》은 학전의 작품"이라는 칭송과 함께 저작권료 전액 면제[1]
- 2003년, 홍콩 아츠 페스티벌에 한국 연극·뮤지컬로는 최초로 초청
- 2005년, 프랑크푸르트 도서전 주빈국 행사에서 공연
- 2019년, 독일 그립스 극단 50주년 페스티벌 폐막작 초청
- 2021년,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DIMF) 공식 초청작 선정
3. 2. 학전 어린이 무대
김민기는 2004년부터 이 시대를 이끌어 갈 어린이들을 위한 공연의 필요성을 느껴 <학전 어린이 무대> 시리즈를 시작하였다.[1]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2004년 초연, <우리는 친구다> (독일 'Max Und Milli'의 번안극)[1]
- 2008년 초연, <고추장 떡볶이> (독일 'Spaghetti mit Ketchup'의 번안극)[1]
- 2008년 초연, <슈퍼맨처럼!> (독일 'Stronger than Superman'의 번안극)[1]
- 2008년 초연, <그림자 소동> (원작: 강정연의 동화 '바빠 가족')[1]
- 2009년 초연, <진구는 게임 중> (독일 'Flimmer Billy'의 번안극)[1]
- 2009년 초연, <무적의 삼총사> (독일 'Bella, Boss und Bulli'의 번안극)[1]
3. 2. 1. 주요 작품 목록
학전은 2004년부터 매해 <학전어린이무대> 시리즈 공연을 진행하고 있다. 이 공연은 김민기 대표가 이 시대를 이끌어 갈 어린이들을 위한 공연의 필요성을 느껴 시작되었다.[1]학전 어린이 무대는 판타지, SF, 영웅과 악당의 권선징악 이야기가 아닌, 우리 일상에서 만나볼 수 있는 사건들을 다룬다.[1] 새로운 친구와의 만남, 부모님의 이혼, 학교 폭력, 게임 중독, 장애 아동이 겪는 차별 등이 그 예시이다. 이를 통해 배려, 공감, 소통, 믿음 등 따뜻한 마음과 가치를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도록 돕는다.
어린이의 시각에서 풀어낸 극은 아이들의 공감을 이끌어내며, 함께 공연을 관람하는 어른들에게는 '어른 동화'로서 신선한 재미와 감동을 선사한다.[1] 이는 아이부터 어른까지 전 세대가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자 한 학전의 뜻이 담겨있다.
공연 중에는 연주자가 극의 상황에 맞춰 키보드, 어쿠스틱 기타, 일렉 기타, 콘트라베이스, 알토 리코더, 실로폰, 멜로디언 등 다양한 악기를 라이브로 연주한다.[1]
3. 2. 2. 특징 및 교육적 가치
김민기 대표는 2004년부터 이 시대를 이끌어 갈 어린이들을 위한 공연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매해 학전 어린이 무대 시리즈 공연을 진행하고 있다.[1]학전 어린이 무대는 다른 어린이극과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보인다.[1]
- 판타지, SF, 영웅과 악당의 권선징악 이야기가 아닌, 새로운 친구와의 만남, 부모님의 이혼, 학교 폭력, 게임 중독, 장애 아동이 겪는 차별 등 우리 일상에서 만나볼 수 있는 사건들을 소재로 한다.[1]
- 배려, 공감, 소통, 믿음 등 따뜻한 마음과 가치를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도록 이야기를 풀어낸다.[1]
- 어린이의 시각에서 극을 풀어내 아이들의 공감을 얻고, 어른들에게는 '어른 동화'로서 신선한 재미와 감동을 선사한다.[1]
- 아이부터 어른까지 전 세대가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1]
- 공연 중에는 연주자가 극의 상황에 맞춰 키보드, 어쿠스틱 기타, 일렉 기타, 콘트라베이스, 알토 리코더, 실로폰, 멜로디언 등 다양한 악기를 라이브로 연주한다.[1]
3. 3. 기타 주요 작품
- 1995년 초연, 록 뮤지컬 <개똥이>: 윤기현의 동화 '서울로 간 허수아비' 중 '사랑의 빛'이 원작이다.
- 1997년 초연, 록 뮤지컬 <모스키토>: 독일 'Die Moskitos sind da'의 번안극이다.
- 1998년 초연, 뮤지컬 <의형제>: 영국 'Blood Brothers'의 번안극이다.
- 2009년 초연, 청소년 뮤지컬 <굿모닝 학교>: 뮤지컬 <모스키토>의 대본과 연출을 새롭게 바꾼 작품이다.
- 2010년 초연, 뮤지컬 <분홍병사>: 프랑스 'Le Soldat Rose'의 번안극이다.
- 2012년 초연, 연극 <더 복서(복서와 소년)>: 독일 'Das Herz eines Boxers'의 번안극이다.
4. 학전 출신 인물
학전은 많은 배우와 가수를 배출한 곳으로 유명하다.
학전 출신 배우로는 강신일, 설경구, 김윤석, 장현성, 황정민, 조승우 등이 있다. 이들은 학전의 다양한 공연에 참여하며 연기 경험을 쌓았다.
김광석은 학전 소극장에서 1000회 공연이라는 기록을 남겼다.[1] 여행스케치, 윤도현, 나윤선, 강산에, 들국화, 권진원, 박학기, 동물원, 노래를 찾는 사람들, 정원영, 한영애, 이적, 정준일, 심현보 등 많은 가수들이 학전에서 공연했다.[1]
4. 1. 배우
학전은 많은 배우를 배출한 곳으로 유명하다. 다음은 대표적인 학전 출신 배우들이다.배우 이름 |
---|
강신일 |
이황의 |
설경구 |
김윤석 |
장현성 |
황정민 |
조승우 |
서범석 |
방은진 |
배해선 |
이정은 |
오지혜 |
김선화 |
이일진 |
권재환 |
채국희 |
안내상 |
김희원 |
박명훈 |
남문철 |
배성우 |
김원해 |
이종혁 |
신성록 |
박윤희 |
안세호 |
김무열 |
전배수 |
박혁권 |
이두일 |
이성욱 |
최덕문 |
김종구 |
임문희 |
정문성 |
박정표 |
김재범 |
방진의 |
구원영 |
이정헌 |
최민철 |
최영우 |
김대명 |
박형수 |
김중기 |
최재웅 |
김국희 |
김히어라 |
서지영 |
정욱진 |
이문식 |
김의성 |
홍석천 |
박성일 |
김은영 |
유선 |
서영희 |
김비비 |
이선빈 |
이들은 학전의 다양한 공연에 참여하며 연기 경험을 쌓았고, 학전에서의 경험은 이들이 성장하는 데 큰 밑거름이 되었다.
4. 2. 가수
김광석은 학전 소극장에서 1000회 라이브라는 위대한 업적을 남겼다.[1] 여행스케치, 김광석, 윤도현, 나윤선, 강산에, 들국화, 권진원, 박학기, 동물원, 노래를 찾는 사람들, 정원영, 한영애, 이적, 정준일, 심현보 등 많은 가수들이 학전에서 공연했다.[1]5. 학전 소극장
학전 소극장은 1991년에 개관한 학전블루 소극장과 1996년에 개관한 학전그린 소극장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학전블루 소극장은 2024년 3월 15일에, 학전그린 소극장은 2013년 3월 10일에 폐관하였다.[1]
5. 1. 학전블루 소극장
1991년에 대학로에 개관하였다. 학전의 메인 공연장으로, 학전의 제작, 기획 공연뿐만 아니라 콘서트와 김광석 노래부르기 경연 장소 등 다양한 복합문화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서울 지하철 4호선 혜화역 2번 출구와 가깝다. 2024년 3월 15일부로 학전블루 소극장은 폐관하였다.[1]5. 2. 학전그린 소극장
1996년 5월에 개관하여 학전의 뮤지컬, 연극 등을 공연하였으나, 새 건물주의 용도 변경으로 인하여 2013년 3월 10일 폐관하였다.6. 사회적 기여 및 평가
학전은 소극장 문화를 활성화하고 대중음악과 연극 분야의 인재를 양성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또한, 사회적 약자를 위한 공연을 통해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힘썼다. 그러나 운영상의 어려움과 재정난으로 인해 폐관을 결정하게 된 것은 아쉬운 점으로 남는다.
7. 수상 내역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문화예술은 ‘금’메달 경쟁이 아니다 [뉴스룸에서]
'아침이슬' 수록 고 김민기 명반…1주기 맞아 LP로 복원
'뒷것' 고 김민기 1주기…LP 발매·재단 설립
사람 많은 건 싫다던 김민기, 그러나 추모하는 사람들은 모였다
고 김민기 1주기…'아침이슬' 담긴 첫 앨범 LP로 재발매 | JTBC 뉴스
고 김민기 1주기, '학전김민기재단' 설립한다…첫앨범 LP 재발매
김민기 1주기 맞아 LP 재발매, 재단 설립 추진
김민기 1집, 55년 만에 LP로 재탄생한다…재단 설립도 추진
[61회 백상] 감동 선사 드라마·울림 주는 다큐…올해 최고의 '작품'은 | JTBC 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